KR100642671B1 -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671B1
KR100642671B1 KR1020050045487A KR20050045487A KR100642671B1 KR 100642671 B1 KR100642671 B1 KR 100642671B1 KR 1020050045487 A KR1020050045487 A KR 1020050045487A KR 20050045487 A KR20050045487 A KR 20050045487A KR 100642671 B1 KR100642671 B1 KR 10064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s
contact
keypad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김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김일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Priority to KR102005004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671B1/ko
Priority to US11/315,210 priority patent/US200602559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 각각은 다수의 문자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인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구성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의 일부 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변환 입력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버튼의 접촉 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하는 구성에 있어서 키패드의 키버튼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다수의 감지점에 접촉이 생겨서 문자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을 키버튼 표면, 측면 또는 밑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원터치 방식, 문자 입력, 키패드, 키버튼, 감지 센서, 전극, 멤브레인 스위치, 접촉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도 1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키버튼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키버튼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케이스 412: 전도성 도료
415: 비전도성 도료 417: 전극
430: 케이스 432, 433: 전도성 도료
435: 전극 437: 비전도성 도료
450: 탄성 물질 455: 전극
470: 지지부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리모콘 등에 숫자 입력을 위해서 사용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하는 구성에 있어서 키버튼 표면에 또는 측면에 또는 키버튼 구성 밑부분에 또는 키버튼에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주위에 감지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리모콘 등의 숫자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이다.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용도는 음성 신호의 전달이라는 점에서 고정식 전화기와 다를 바 없었고 단지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이라는 기능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었으며, 따라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내장된 회로의 신호처리 능력과 그에 필요한 기억용량이 더욱 늘어나게 되었고, 따라서 단순한 음성 신호의 전달이라는 기본 기능에 부가적으로 점차 문자를 입력시켜 저장하고 처리하는 정보처리 단말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가장 단순한 응용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단문 문자 메시지(SMS)의 사용 역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기타 디지털 TV의 보급 등과 더불어 TV의 리모콘에서도 문자 입력을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리모콘은 단순히 TV의 채널 선택을 위한 숫자 입력을 위해서 키패드를 채택하고 있으나, 디지털 TV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가 개발되고 보급됨에 따라서 문자 입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이나 금융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경우 리모콘 또는 기타 부가적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간단하게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리모콘에 사용되는 키패드는 기본적으로 숫자, 즉 전화번호나 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써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려면 여러 가지 키버튼을 번갈아가며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은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키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 과정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대부분의 문자를 키버튼을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하는 방안에 대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2005년 5월 11일자로 출원된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라는 명칭의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공개되지 않음)는 키패드 주위에 감지라인을 배치하고 감지라인에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다수의 대응되는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키패드 주위에 접촉을 감지하는 감 지 라인(sensing line)이 내장되는 예를 도시하며, 도 1의 (b)는 키패드 주위에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점이 내장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시되듯이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는 종래의 키패드의 12개의 키버튼 주위에 추가적으로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라인(SL1 내지 SL4) 또는 감지점(SP11 내지 SP44)을 배치하여서 각 키버튼을 어느 쪽에서 누르는가에 따라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라인(SL1 내지 SL4) 또는 감지점(SP11 내지 SP44)을 통하여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변환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기재된 구성은 대부분의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의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고 키패드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키버튼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감지 라인 또는 감지점을 키버튼 사이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하나의 키버튼을 누를 때 그 옆의 감지점 또는 감지라인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접촉은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기재된 구성에서 문자 입력의 오류를 가져오므로, 따라서 이러한 오동작을 피하기 위해서 접촉 강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비교하는 구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계치를 비교하는 구성은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더 복잡하게 하며 제조 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문자 입력상의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버튼의 접촉 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하는 구성에 있어서 키패드의 키버튼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다수의 감지점에 접촉이 생겨서 문자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을 키버튼 표면, 측면 또는 밑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 각각은 다수의 문자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인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구성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의 일부 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변환 입력부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변환 입력부는 상기 제2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3×4 배열로 배치되는 0번 내지 9번 및 '*'과 '#' 키버튼의 12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1번, 4번, 7번, '*' 키버튼의 오른쪽 표면 또는 오른쪽 측면 또는 오른쪽 밑부분과, 2번, 5번, 8번, 0번 키버튼의 왼쪽 표면 또는 왼쪽 측면 또는 왼쪽 밑부분과, 2번, 5번, 8번, 0번 키버튼의 오른쪽 표면 또는 오른쪽 측면 또는 오른쪽 밑부분과, 3번, 6번, 9번, '#' 키버튼의 왼쪽 표면 또는 왼쪽 측면 또는 왼쪽 밑부분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3×4 배열로 배치되는 0번 내지 9번 및 '*'과 '#' 키버튼의 12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1번, 4번, 7번, '*' 키버튼의 왼쪽의 공간과, 3번, 6번, 9번, '#' 키버튼의 오른쪽의 공간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키패드의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상기 키버튼의 4개로 분할된 표면 부위 또는 상기 분할된 표면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키버튼의 측면 또는 상기 키버튼의 측면 밑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의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포되어 전도성 도료와, 상기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포되어 전도성 도료와, 상기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의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금되는 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금되는 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 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양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버튼과, 내부의 구멍에 상기 다수의 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여 상기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패드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 각각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각각의 걸림턱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걸림턱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양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버튼과, 내부의 구멍에 상기 다수의 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여 상기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패드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 각각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물질과, 상기 탄성 물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각각의 걸림턱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걸림턱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감지 센서(S11 내지 S44)가 키버튼 배열 사이에 배치 하는 것이 아니라 키버튼 표면이나 키버튼 구성 내 또는 키버튼의 측면 또는 키버튼에 접촉하는 키패드의 표면 부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감지 센서(S11 내지 S44)는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감지 라인 또는 감지점 구성을 키버튼 표면에 배치하거나 키버튼 구성 내에 배치하거나 또는 키버튼의 측면 또는 키버튼에 접촉하는 키패드의 표면부분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감지 라인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감지점으로 구성되거나 그 기능면에서는 차이가 없다. 예컨대 감지 센서(S11 내지 S14)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감지 라인(SL1) 또는 감지점(SP11 내지 SP14)이 배치되는 위치만이 변경되었을 뿐 사실상 동일한 접촉 감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감지 라인으로 구성하더라도 일정 영역에서만 노출된다면 감지점과 사실상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감지 라인 또는 감지점을 구분하지 않고 단순히 감지 센서로만 표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는 감지 센서를 통하여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변환 입력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문자 변환 입력부는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듯이 감지 센서(S11, S12, S13, S14)는 1번, 4번, 7번 및 '*' 키버튼의 왼쪽 외부에 배치된다. 즉 각 키버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감지 센서(S11, S12, S13, S14)는 그 위치상 사용자가 1번, 4번, 7번 및 '*' 키버튼을 누를 때 그 옆의 감지 센서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를 확률 이 매우 적으므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감지 센서를 키버튼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감지 센서(S41, S42, S43, S44)는 3번, 6번, 6번 및 '#' 키버튼의 오른쪽 외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감지 센서(S41, S42, S43, S44) 역시 문자 입력 오류의 가능성이 낮으므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감지 센서를 키버튼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지 센서(S11, S12, S13, S14)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라인(SL1) 또는 감지점(SP11, SP12, SP13, SP14)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감지 센서(S41, S42, S43, S44)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라인(SL1) 또는 감지점(SP41, SP42, SP43, SP44)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감지 센서(S11 내지 S14, S41 내지 S44)는 다른 감지 센서(S21 내지 S34')들과 마찬가지로 키버튼의 왼쪽 부분 또는 오른쪽 부분에 포함되도록 또는 키버튼과 접촉하는 표면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의 제품 설계시 감지 센서(S11 내지 S14, S41 내지 S44)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 센서(S21 내지 S24)는 1번, 4번, 7번 및 '*' 키버튼의 오른쪽 측면, 또는 키버튼 표면의 오른쪽 부분 또는 키버튼의 오른쪽 밑부분에 배치된다. 또는 각 키버튼의 오른쪽에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S21' 내지 S24')는 2번, 5번, 8번 및 0번 키버튼의 왼쪽 측면, 또는 키버튼 표면의 왼쪽 부분 또는 키버튼의 왼쪽 밑부분에 배치된다. 또는 각 키버 튼의 왼쪽에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S31 내지 S34)는 2번, 5번, 8번 및 0번 키버튼의 오른쪽 측면, 또는 키버튼 표면의 오른쪽 부분 또는 키버튼의 오른쪽 밑부분에 배치된다. 또는 각 키버튼의 오른쪽에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S31' 내지 S34')는 3번, 6번, 9번 및 '#' 키버튼의 왼쪽 측면, 또는 키버튼 표면의 왼쪽 부분 또는 키버튼의 왼쪽 밑부분에 배치된다. 또는 각 키버튼의 왼쪽에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도 1에 도시된 감지 라인(SL1 내지 SL4)과 비교한다면, 마치 감지 센서(S11 내지 S44)를 통하여 6개의 감지 라인이 배치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S11 내지 S1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과, 감지 센서(S21 내지 S2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과, 감지 센서(S21' 내지 S2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과, 감지 센서(S31 내지 S3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과, 감지 센서(S31' 내지 S3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과, 감지 센서(S41 내지 S44)로 구성된 하나의 감지 라인으로 총 6개의 감지 라인을 포함하는 것과 그 효과가 동일하게 된다. 또한 비록 각 키버튼의 왼쪽 또는 오른쪽 부분에 감지 센서가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지만, 키버튼의 다른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5번 키버튼의 경우 키버튼 표면의 윗부분, 키버튼 표면 윗부분의 측면, 또는 그 밑부분에 배치되거나, 키버튼 표면의 아랫부분, 키버튼 표면 아랫부분의 측면, 또는 그 밑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키버튼의 접촉하는 키패드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키버튼의 표면의 4개의 부분이나, 4개의 측면 또는 그 밑부분, 또는 각 키버튼에 접촉하는 키패드 케이스 표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키버튼 표면 전부를 감지 센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중 어떠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복합적으로 취해서 키버튼에 4개의 방향에 대해서 각각 감지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각 키버튼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문자가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자에 표시되는 기호(')는 예컨대, 기호(ㅈ')는 1번 키버튼의 오른쪽 부분을 누르면 문자 (ㅈ)이 입력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기호(ㅗ')는 8번 키버튼의 위쪽 부분을 누르면 문자 (ㅗ)가 입력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되듯이 감지 센서는 각 키버튼의 밑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서 보이지 않으나 키버튼의 상, 하, 좌, 우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키버튼의 상하좌우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문자 (ㅗ)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8번 키버튼의 위쪽 부분을 누르면 된다. 즉 8번 키버튼을 누르면서 5번 키버튼이 일부 눌러지도록 하면, 8번 키버튼에서는 키버튼의 접촉에 의해서 신호가 입력되고, 5번 키버튼은 표면의 아랫부분 측면이 일정 부분 눌려지면서 감지 센서에 의해서 5번 키버튼이 완전히 눌려지지는 않고 아랫부분 측면이 일부 접촉된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접촉은 사용자가 문자 (ㅗ)를 입력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 문자 변환 입력부에서 해석되어 문자 (ㅗ)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쉬프트(shift)는 예컨대 * 키버튼과 문자 (ㄱ)에 해당되는 3번 키버튼의 왼쪽 부분을 누른 경우 문자 (ㄲ)이 입력되고, * 키버튼과 문자 (ㅓ)에 해당되는 8번 키버튼의 왼쪽 부분을 누른 경우 문자 (ㅕ)가 입력되도록 쌍자음이나 ㅕ, ㅑ, ㅛ, ㅠ 등의 모음을 입력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0번 버튼의 왼쪽을 누르면 기호 (,)가 입력되고, 오른쪽을 누르면 기호 (.)가 입력된다.
도 3의 실시예는 감지 센서를 키버튼의 4개의 측면에 감지 센서를 부착하면서 이를 키버튼의 밑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키패드 표면에는 별도의 감지 라인이나 감지점이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감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하였듯이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키버튼을 누를 때 다른 키버튼에 부수적으로 접촉이 생기는 경우 해당 접촉을 감지하여 다수의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원터치 입력에 대한 설명은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구성에 비해서 장점은 감지 센서가 키버튼의 측면 또는 표면, 또는 키버튼과 접촉하는 키패드 케이스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키패드의 제조에 있어서 감지 라인 또는 감지점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상기 특허 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에 비해서 이러한 배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의 구성의 경우 두개의 버튼이 동시에 눌러지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위해 누르는 키버튼을 주입력 버튼이라고 하고, 사용자가 주입력 버튼의 왼쪽 또는 오른쪽을 누를때 의도하지 않고 또는 키버튼 사이의 공간적 제약에 의해서 불가피하게 누르게 되는 키버튼을 부입력 버튼이라고 한다면, 주입력 버튼에서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여야 할지 또는 부입력 버튼에서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여야 할지 문자 변환 입력부에서는 판단을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임계치를 비교하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하며, 또한 대응되는 문자 입력에 있어서 오류의 가능성이 높지만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경우 주입력 버튼과 부입력 버튼의 구분을 제1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자 입력에 있어서의 오류의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키버튼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키버튼과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 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키버튼 표면 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도 4a 또는 도 4b의 구성을 키패드 전체에 대해서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가장 간단하게는 키버튼의 표면 또는 측면에 감지점을 배치하고 이를 신호처 리 회로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지만, 키버튼의 표면에는 이미 각종 숫자 및 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10-2005-39447호 또는 본 발명과 같이 다수의 문자를 하나의 키버튼에 대응시키고 접촉 감지에 따라 대응되는 특정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하는 구성에서는 감지 센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더 필요할 수 있다.
도 4a는 다수의 키버튼(410)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410a 또는 410b)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케이스(430)의 표면에 도포된 전도성 도료(432a 내지 432d)에 의해서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고, 전도성 도료(432a 내지 432d)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비전도성 도료를 도포하며, 도포된 전도성 도료(432a 내지 432d) 부분 중 대응되는 부분, 예컨대 도면부호(432b, 432c)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각각의 전도성 도료 부분을 신호 처리용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배선(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또는 전도성 도료(432a 내지 432d) 대신에 전도성 물질을 도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키패드 표면은 카바이드 계열의 도금이 잘 되는 PC라는 물질 또는 도금이 잘 되지 않는 ABS을 사용하여 구성이 가능하고, 따라서 전도성 물질이 도금될 부분에는 PC를 도금이 필요없는 부분에는 ABS를 이중으로 사출하여 구성하고, 전기 도금을 실시하면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부분과 도금되지 않는 부분으로 형성되어 도 4a를 통해 도시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얻을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물질을 도금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금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역할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b는 전도성 도료(412a 내지 412d)가 키버튼(410a 또는 410b)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케이스(430)의 표면이 아니라 키버튼(410a 또는 410b) 표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키버튼(410a 또는 410b) 표면을 전도성 도료(412a 내지 412d)와 비전도성 도료(415a 내지 415b)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제1 감지 센서를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도성 물질을 도금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버튼(410a 또는 410b) 표면 전체를 전도성 도료로 도포하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키버튼 표면 전체가 감지 센서로서 작용하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문자(ㅈ)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번 키버튼을 누르면서 2번 키버튼 전체에 배치된 전도성 도료 또는 전도성 물질에 의해서 사용자와 전기적으로 접촉이 되며, 1번 키버튼(즉 전술한 주입력 버튼) 밑부분의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 등에 의한 신호 입력과 2번 키버튼(즉 전술한 부입력 버튼)의 전기적 접촉에 의한 신호를 해석하여 문자 (ㅈ)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키버튼 표면 전체에 전도성 도료 또는 전도성 물질을 도금하는 것은 그 내용상 일부분에 도포하는 것과 그 역할면에서는 사실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는 도 4a 또는 도 4b의 구성을 키패드 전체에 대해서 구현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도성 도료(433a 내지 433d)가 각 키버튼 주위에 도포되거나 또는 키버튼 표면의 일부 부분에 도포되어 있는 형태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전도성 도료(433a 내지 433d)는 키버튼 옆에 배치되거나 또는 키버튼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도료(433a 내지 433d)는 비록 도시되기는 4개의 라인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키버튼 주변에서만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도록 각 라인이 분할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키버튼이 노출된 부분에 감지점을 배치하는 대신에 키버튼이 이동통신 단말기나 리모콘 등의 케이스에 가려진 안쪽 부분, 즉 키버튼의 안쪽 테두리 부분에 또는 키버튼의 밑부분에 감지점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키버튼에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키버튼의 스위치에 가해지는 힘이 멤브레인(membrane)을 눌러서 신호 입력이 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위치를 감지점의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키버튼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키버튼의 밑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단순화하여 도시한다.
종래의 키버튼은 예컨대 탄성 물질 등을 이용하여 키버튼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경우 아래 부분과 접촉하고 손가락을 키버튼에서 떼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되듯이, 탄성 물질(450), 예컨대 고무 등이 버튼(410)과 지지부(470) 및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480) 사이에 위치하여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480)의 커버(cover)로서 작용하며 또한 버튼(41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평상시의 경우에는 버튼(410)과 키패드 표면 케이스(430)가 버튼(410)의 걸림턱에 의해서 접촉되고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버튼(410)의 걸림턱이 밑부분의 탄성 물질(45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버튼(410)의 양쪽 측면의 걸림턱이 어느 부분과 접촉하는 지를 감지한다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시되듯이 케이스(430)의 아랫부분과 버튼(410)의 걸림턱의 윗부분에 대응되도록 전극(435a와 417a, 435b와 417b)을 각각 배치하면, 평소에는 전극(435a와 417a, 435b와 417b)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면 이러한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전극(435a와 417a, 435b와 417b)의 접촉 해제 여부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버튼(410)의 걸림턱의 아랫부분과 탄성 물질(450)의 대응되는 부분에 전극(417c와 455a, 417d와 455b)을 각각 배치한다면, 평소에는 전극(417c와 455a, 417d와 455b)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있다가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면 접촉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 여부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키버튼을 의도하지 않고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려면 단순히 버튼(410)의 걸림턱과 케이스(43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이 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버튼(410)의 걸림턱과 탄성 물질(450)이 접촉하는지 여부를 대응되는 전극을 통하여 감지하면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케이스(430)와 버튼(410)의 걸림턱에 각각 전극(435a, 435b, 417a, 417b)을 배치하고, 케이스(430)에 배치되는 전극(435a, 435b) 또는 걸림턱에 배치되는 전극(435a, 435b, 417a, 417b)을 신호 처리를 위한 배선에 연결한 후, 접촉에 의해서 어느 부분이 눌려졌는지를 검사하면, 예컨대 전극(417a, 435a)이 접촉이 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480)에는 신호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라면 버튼(410)의 왼쪽 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걸림턱에 배치된 전극(417c, 417d)과 지지부(470)에 배치된 전극(455a, 455d)에 대해서는 예컨대 지지부(470)의 전극(455a, 455d)에 신호 처리를 위한 배선을 연결한 후 어느 쪽에서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지 검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접촉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3×4 배열로 배치되는 0번 내지 9번 및 '*'과 '#' 키버튼의 12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여지만 이밖의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키버튼의 접촉 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문자를 원터치로 입력하는 구성에 있어서 키패드의 키버튼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다수의 감지점에 접촉이 생겨서 문자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을 키버튼 표면, 측면 또는 밑부분에 감지 센서를 배치하는 구성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 각각은 다수의 문자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문자들 중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인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 구성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상기 키패드의 표면의 일부 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변환 입력부
    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상기 키버튼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변환 입력부는 상기 제2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키버튼 각각의 어느 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감지하여 해당 키버튼의 해당 접촉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3×4 배열로 배치되는 0번 내지 9번 및 '*'과 '#' 키버튼의 12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1번, 4번, 7번, '*' 키버튼의 오른쪽 표면 또는 오른쪽 측면 또는 오른쪽 밑부분과, 2번, 5번, 8번, 0번 키버튼의 왼쪽 표면 또는 왼쪽 측면 또는 왼쪽 밑부분과, 2번, 5번, 8번, 0번 키버튼의 오른쪽 표면 또는 오른쪽 측면 또는 오른쪽 밑부분과, 3번, 6번, 9번, '#' 키버튼의 왼쪽 표면 또는 왼쪽 측면 또는 왼쪽 밑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3×4 배열로 배치되는 0번 내지 9번 및 '*'과 '#' 키버튼의 12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 감지 센서는 1번, 4번, 7번, '*' 키버튼의 왼쪽의 공간과, 3번, 6번, 9번, '#' 키버튼의 오른쪽의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키패드의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상기 키버튼의 4개로 분할된 표면 부위 또는 상기 분할된 표면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키버튼의 측면 또는 상기 키버튼의 측면 밑부분에 배치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의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포되어 전도성 도료와,
    상기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포되어 전도성 도료와,
    상기 전도성 도료가 도포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접촉하는 키패드 표면의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금되는 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키버튼 중 하나 이상의 키버튼에 대해서 키버튼 표면의 전부 또는 분할된 일부 부분들에 도금되는 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부분들 중 대응되는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양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버튼과,
    내부의 구멍에 상기 다수의 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여 상기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패드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 각각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각각의 걸림턱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걸림턱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양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버튼과,
    내부의 구멍에 상기 다수의 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여 상기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패드 케이스와,
    상기 다수의 버튼 각각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물질과,
    상기 탄성 물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감지 센서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각각의 걸림턱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버튼의 걸림턱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인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20050045487A 2005-05-11 2005-05-30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64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487A KR100642671B1 (ko) 2005-05-30 2005-05-30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US11/315,210 US20060255971A1 (en) 2005-05-11 2005-12-23 Keypa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487A KR100642671B1 (ko) 2005-05-30 2005-05-30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671B1 true KR100642671B1 (ko) 2006-11-10

Family

ID=3765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487A KR100642671B1 (ko) 2005-05-11 2005-05-30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59B1 (ko) 2007-09-07 2013-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59B1 (ko) 2007-09-07 2013-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1563B (zh) 移动终端
US8497786B2 (en) Capacitive keyboard with enhanced electrode areas
US8390481B2 (en) Sensing capacitance change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6760015B2 (en)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3226418B (zh) 带按键开关的电容式触摸板
US9349551B2 (en) Keyboard with elastic member disposed on touch panel
US20060255971A1 (en) Keypa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using the same
US20010003539A1 (en) Telephone keypad having a dual-switch button
KR20040108794A (ko) 다기능 키를 가진 키패드
KR20070094900A (ko) 방향 검지 스위치
US20080018607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A253749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keypad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and reduced size, and associated method
US2004023961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ser input via time domain reflectometry
KR20090049863A (ko) 키버튼과 터치에 의한 입력수단을 가지는 정전 용량 센서를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작동방법
JP6246111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KR100706706B1 (ko) 기계적 접촉 신호와 전기적 접촉 신호를 동시에 받아들이는스위치 매트릭스 장치
KR100764568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JP4049703B2 (ja) 入力装置
KR100642671B1 (ko)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1106278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JP2012068724A (ja) 入力装置
JP4286114B2 (ja) 入力装置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607109B1 (ko)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670009B1 (ko)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