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215B1 -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215B1
KR100642215B1 KR1020040098710A KR20040098710A KR100642215B1 KR 100642215 B1 KR100642215 B1 KR 100642215B1 KR 1020040098710 A KR1020040098710 A KR 1020040098710A KR 20040098710 A KR20040098710 A KR 20040098710A KR 100642215 B1 KR100642215 B1 KR 10064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group
presence information
bu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583A (ko
Inventor
현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라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라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라비전
Priority to KR102004009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2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의 보다 안정적이면서, 확장적인 프리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 및 인스턴스 메세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보다 확장적인 구조의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정의하고, 다양한 사용자 단말 환경(PC, Mobile, PDA, PocketPC, Home Network 등)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인터넷, 유선, 무선망)에서 상기 정의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 관리, 표현(display)하며, 사용자가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수정 및 갱신을 원하거나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에 접근할 수 있기를 원하는 특정 사용자에게 그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XML 형식의 문서를 SIP 메시지에 포함하여,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XML 문서는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서,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룹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버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와, 0 또는 1개 이상의 와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 대해 수정 및 갱신을 원하거나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에 접근할 수 있기를 원하는 특정 사용자에게 그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XML 형식의 문서를 SIP 메시지에 포함하여,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XML 문서는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유저인포(ex-preinfo) 엘리먼트와; 상기 익스-유저인포(ex-pre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서, 확대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유저와 관련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에 접근할 수 있기를 원하는 특정 사용자에게 그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 확대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사용자가 제공할 수 정보를 정의하고 있다.
프리젠스 정보, 프리젠스 서버, 버디, 와처

Description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The method for Presence Service using SIP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XML format for Extended Presenc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a, 도 7b, 도 8a,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XML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XML 데이터 구조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c는 상기 도 9b의 실시예를 표현하는 예시도.
도10a는 본 발명에 따른 XML 데이터 구조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b는 상기 도 10a의 실시예를 표현하는 예시도.
도10c는 본 발명에 따른 XML 데이터 구조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d는 상기 도 10c의 실시예를 표현하는 예시도.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위한 XML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0a, 도 20b, 도 20c, 도 20d, 도 20e, 도 20f, 도 20g, 도 20h, 도 20i, 도 20j, 도 20k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위한 XML 데이터 구조에 의해 작성된 예시도.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b, 도 21c, 도 21d, 도 21e는 상기 도 21a의 실시예에 대한 SIP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2b, 도 22c, 도 22d, 도 22e, 도 22f, 도 22g는 상기 도 22a의 실시예에 대한 SIP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3b, 도 23c는 상기 도 23a의 실시예에 대한 SIP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4b, 도 24c는 상기 도 24a의 실시예에 대한 SIP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5b, 도 25c는 상기 도 25a의 실시예에 대한 SIP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와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XML 문서 형식을 이용하여 자신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 수정, 갱신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에 접근하기를 원하거나,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에 접근하기를 원하는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와, 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 단말 환경(PC, mobile, PDA, Pocket PC, Home Network 등)에서 간단하고, 편리하며,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인터넷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일상생활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의 동료나 친구(buddy)와 통신하기 위하여 통상의 이메일(e-mail)보다는, MSN(Microsoft Network), IRC(Internet Relay Chat)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presence information)를 제공하는 프리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 및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IM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를 더 선호하게 되었고,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와 IM 서비스를 통칭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메신저(Messenger)라는 명칭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통해 선택된 동료나 친구가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만약 접속하고 있는 경우 IM 서비스를 통해 그들과 메시지들을 쉽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는 로그인(log-in)과 같은 간단한 동작으로 상대방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이메일과는 달리 즉각적이고 연속적인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종래의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된 개인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모바일이나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지원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거나, 또는 일부 이동통신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더라도, 다른 회사의 서비스와 상호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여러 회사에서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를 독자적으로 시행하고 있고, 각 회사에서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 및 프로토콜도 통일되지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간에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서,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에 관한 공통적인 데이터 구조 및 표준 프로토콜을 정립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 및 IM 서비스에 관한 공통적인 데이터 구조 및 표준 프로토콜은, 당 업계의 평균적 지식을 갖는 당업자라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과 앞으로 정립될 내용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및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 환경(Mobile, Pc, Home Network 등)에서 사용 가능하고,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 : 상태 정보를 갖고 있는 주체)의 프리젠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구조와, 이러한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하는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고, IM 서비스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IETF에서는 상기 프리젠스 정보 제공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지금까지 RFC3265, RFC3856, RFC3857, RFC3858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XML 문서 포맷을 이용하고, 상기 RFC3265, RFC3856, RFC3857, RFC3858의 내용을 포함하며, 앞으로 논의되는 내용까지도 포함될 수 있도록,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와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SIP 프로토콜과 XML 문서형식을 이용하여 자신 및 특정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 수정,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XML 스키마)를 제시하고,
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 단말 환경(PC, mobile, PDA, Pocket PC, Home Network 등)에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인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는, 프리젠스 서버(PA 모듈)가 특정 사용자(PUA)에게 전송하는 SIP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나타내는 XML 메시지에 있어서, 상기 XML 메시지의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서,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룹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버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와, 0 또는 1개 이상의 와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는, 특정 사용자(PUA)가 프리젠스 서버(PA 모듈)에 전송하는 SIP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XML 메시지에 있어서, 상기 XML 메시지의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와;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서,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유저(user) 관련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와,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에게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와,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그룹(group) 관련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 중 적어도 1개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는,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요청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에 최초로 전송하는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와;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와;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와; 사용자가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와처에 대해 권한(Authorization)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와; 프리젠스 서버가,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전체 또는 수정된 일부 내용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노티파이(NOTIFY) 중 어느 1개의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SIP 메시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요청하기 위해,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전송받은 프리젠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와의 사이에 SIP 프로토콜에 의해 다이얼로그(dialog)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기본적인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하기 위한 그룹 정보(group information), 사용자 자신의 버디(buddy)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버디 정보(buddy information),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제공 받고자 하는 와처(watcher)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와처 정보(watcher information)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와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RFC 2778, RFC 3265, RFC 3856, RFC 3857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를 수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RFC 2778, RFC 3265, RFC 3856, RFC 3857에 정의된 용어들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에서 새롭게 추가적으로 정의되는 용어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각 사용자(Presence User Agent; PUA)는 PA(Presence Agent) 모듈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로부터 프리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를 받을 수 있다. 즉, 각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에 특정 사용자(사용자 자신 포함)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전송하면, 프리젠스 서버의 PA 모듈은 우선 그 사용자가 적법하게 등록된 사용자인지 그리고, 그 사용자가 해당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받을 권한이 있는 지 등을 확인 후, 적법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 인증이 되면,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에 대한 200 OK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한 후에, 프리젠스 서버의 데이타베이스(DB)에서 해당 프리젠스 정보를 검색한 후 그 사용자에게 해당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 리퀘스트 메시지(NOTIFY request message)를 전송해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PC, 모바일(Mobile), PDA, Pocket PC,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등 다양한 단말 환경을 통해 프리젠스 서버(또는 PA 모듈)로부터 자신의 확장된 프레즌스 정보와 자신의 접근 가능한 다른 사용자의 프리젠스 정보(베이직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각 사용자의 단말과 PA 모듈 사이에는 SIP 프로토콜에 의한 다이얼로그(dialog)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SIP 프로토콜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프리젠스 정보의 데이터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XML schema)에 의해 정의되고, 본 발명에 의한 XML 스키마에 따라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를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기본적인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하기 위한 그룹 정보(group information), 사용자 자신의 버디(buddy)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버디 정보(buddy information),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제공 받고자 하는 와처(watcher)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와처 정보(watcher information)의 4가지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외에도 기타 사용자 환경설정 정보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확장 가능하고 총체적인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group), 버디(buddy), 와처(watcher)에 대한 정보 각각은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 포함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리스트(list)형태로 표현이 된다. 또한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상기 리스트 정보 이외에도, 기타 리스트(other list) 구조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확장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가 사용자B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알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의 PA 모듈로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게 되면, 사용자A가 사용자B로부터 사용자B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접근 가능한 권한(Authorization)을 부여 받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이 사용자B는 사용자A의 버디(buddy)로 간주되고, 상기 사용자A는 사용자B의 와처(watcher)로 간주된다. 물론 상기 버디와 와처는 반드시 사람이 휴대하는 단말 환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홈 네트워크와 같이 전자적으로 원격 제어되는 시스템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일부 정보로서, 사용자의 기본적인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예를 들면 'on-line/off-line' 또는 'open/closed'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 : 사용자가 단말 환경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명칭), 상세 상태 정보('AWAY', 'BUSY', 'DON'T DISTURB' 등과 같이 자신의 기분이나 부재 등의 상태 표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 중에서 와처(watcher)들에게 공개, 제공 가능한 사용자 정보이다.
한편, RFC 3265에 따르면,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는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리소스(resource)의 프리젠스 정보를 기술한 바디(body)를 포함하며, 이 때의 바디(body)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의 "액셉트 헤더 필드(Accept header field)"에 나열된 문서 포맷 중 하나를 따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만일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에서 "액셉트 헤더(Accept header)"가 생략이 되었다면, 해당 패키지(package)에서 정의하는 기본적인 포맷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PUA) 및 노티파이어(notifier; PA)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키지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의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XML 스키마의 데이터 구조에 따라 노티파이어(notifier)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키지에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XML 스키마에서 정의된 데이터 구조를 본 발명에서는 '익스-프리인포(ex-preinfo)'데이터 구조라고 정의한다. 또한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키지에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XML 스키마에서 정의된 데이터 구조를 본 발명에서는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데이터 구조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모든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및 노티파이어(notifier)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어플리케이션/익스-프리인포+xml(application/ex-preinfo+xml)의 데이터 포맷과, '어플리케이션/익스-유저인포+xml(application/exp-userinfo+xml)의 데이터 포맷을 지원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정의한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 즉,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문서는 XML의 문법에 충실하고 유효해야 하며, XML 1.0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되고, UTF-8을 이용하여 인코딩(encoding)되어야 하며, 또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 및 그 일부분을 식별하기 위해 XML 네임스페이스(namespaces)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문서에서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위한 네임스페이스(namespace) URI는 'URN'으로 정의되고(RFC 2141), 네임스페이스 식별자(namespace identifier)는 'ietf'로 정의되며(RFC 2648), 또한 RFC 3688에 의해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RN은,"urn:ietf:params:xml:ns:ex-preinfo"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문서는 루트 엘리먼트(root element)를 익스-프리인포(ex-preinfo)로 시작한다("root element name: ex-preinf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기본적으로 그룹 리스트(group-list), 버디 리스트(buddy-list), 와처 리스트(watcher-list)를 루트 엘리먼트(root element)의 서브 엘리먼트(sub element)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는, 확장성의 목적으로 다른 네임스페이스에서 정의된, 리스트(list)를 표현하는 엘리먼트가 루트 엘리먼트의 서브 엘리먼트로 올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네임스페이스(unknown 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 및 속성(Attributes)은 무시 되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트 엘리먼트인 익스-프리인포 엘리먼트(ex-preinfo element)는 버전(version), 스테이트(state)라는 두 개의 속성(Attributes)을 포함해야 한다.
여기서 버전은(version),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된 문서(즉,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의 수령자(recipient; subscriber)가 그 문서들을 적절하게 정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으로서, 0에서 시작해서, 상기 수령자에게 새로운 문서가 보내질 때마다 1씩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버전(version)이라는 속성은, 특정 리소스(resource)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 대해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경우로 한정되고, 또한 32비트 인티저(32 bit integer)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트(state)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인지, 아니면 일부 내용만을 포함하는 문서인지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풀(full) 값과 파샬(partial) 값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프리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 인스턴트 메세징(Instant Messaging)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을 위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그룹(Group)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그룹(Group)은 파일 시스템(File System)에서의 디렉토리(Diretory) 또는 폴더(Folder)와 유사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파일(File)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논리적으로 그것들을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 등을 나타내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스, 윈도우, OS/2, 매킨토시 및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들은 모두, 파일들이 어딘가에 계층적인 구조로 위치하는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파일은 계층구조 내의 바른 위치인 디렉토리(Directory) 또는 서브 디렉토리(Sub directory) 내에 놓여진다. 파일 시스템에서의 디렉토리(Directory)는 서로 연관이 있는 파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서 저장할 수 있도록 구분된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그룹(Group)의 개념은 파일 시스템에서의 디렉토리(Directory)의 개념과 유사하며, 프리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 및 인스턴트 메세징(Instant Messaging)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정보는 파일 시스템에서의 파일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서의 그룹 리스트(group-list)는 하나 이상의 그룹(group)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그룹은 버디 리스트(buddy-list), 와처 리스트(watcher-list), 기타 리스트(Other List) 등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버디(buddy), 와처(watcher) 및 기타 사용자 관련 정보들을 분류, 저장, 검색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전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서에는(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의 스테이트(state) 속성(attribute) 값이 '풀(full)'인 경우), 그룹 리스트에 반드시 포함되어져야 하는 그룹이 있는데, 이러한 그룹을 본 발명에서는 루트 그룹(root group)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루트 그룹 안에는 모든 사용자 관련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들을 분류, 저장, 검색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그룹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즉, 루트 그룹 밑으로,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그룹은 루트 그룹의 서브 그룹(Sub Group 또는 1st Sub Group)이 되고, 이 서브 그룹 밑으로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서브 그룹(2nd Sub Group)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계층적인 구조로 그룹을 생성하여,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의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그룹은 그 그룹의 목적에 부합하는 이름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이 이름은 사용자 정의에 의해 언제든지 변경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의에 의해 생성된 그룹은 언제든지 삭제도 가능하다. 다만, 루트 그룹은 파일 시스템에서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의 개념과 유사하여, 루트 그룹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환경에서 변경, 삭제가 불가능 하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사용하는 어떤 서비스 및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해지 신청, 또는 시스템 관리자 권한으로 사용자를 삭제하는 등, 해당 사용자에 대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가 삭제될 때에야 소멸되는 그룹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는 반드시 그룹 리스트(group-list) 엘리먼트를 자신의 하위 엘리먼트(또는 서브 엘리먼트)로 포함하여야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그룹 엘리먼트(group element)를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그룹 엘리먼트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그룹화하기 위한 최상의 그룹을 지칭하는 루트 그룹(Root Group)을 나타낸다. 그리고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가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최상의 그룹인 루트 그룹(Root Group)은 시스템에 의해 생성이 된다. 즉, 상기 루트 그룹은 특정 리소스(resource)에 대해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가 생성될 때, 시스템에서 임의로 생성, 부여하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저장하는 최상위 그룹이다.
한편,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group-list element)는 리소스(resource), 패키지(package), 스테이트(state)라는 3개의 속성(Attributes)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리소스(resource)는 사용자의 URI로 표현되고, 상기 패키지(package)는 해당 리소스(resource)(즉,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 대한 이벤트 패키지(event package)를 지시하는 토큰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트(state)는, 그룹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니면 변경된 그룹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풀(full) 값과 파샬(partial) 값을 갖는다. 따라서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의 스테이트 속성 값이 풀(full)인 경우에는, 루트 그룹(Root group)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엘리먼트를 포함해야 하고, 이 처럼 루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엘리먼트를 루트 그룹 엘리먼트(root group element)라고 한다. 만일,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의 스테이트 속성 값이 파샬(partial)인 경우에는, 그룹 리스트가 루트 그룹 엘리먼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에는, 확장성의 목적으로 다른 네임스페이스에서 정의된 엘리먼트가 올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네임스페이스(unknown 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 및 속성은 무시 되어야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엘리먼트는, 지-인덱스(g-index), 지-뎁스(g-depth), 프리-지인덱스(pre-gindex), 지-네임(g-name)라는 4개의 필수 속성(mandatory Attributes)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지-인덱스(g-index)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에서 명시된 리소스(resource)에 한해서 유일한 값(unique value)을 가지며, 각 생성된 그룹을 구분하는 색인(index) 값을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이 속성은 시스템에 의해 생성이 되어지며 불분명한 문자열(opaque String) 값을 갖는다.
상기 지-뎁스(g-depth)는 루트 그룹으로부터 몇 번째의 하위 그룹인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만일 지-뎁스(g-depth) 값이 '0'라면, 이 그룹은 루트 그룹을 나타낸다.
프리-지인덱스(pre-gindex)는, 자신의 첫 번째 상위 그룹에 대한 색인(index)값을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만일 이 그룹이 루트 그룹(g-depth= '0')이라면, 프리-지인덱스(pre-gindex) 값은 'NULL'값을 갖고, ""로 표시된다. 또한 그 그룹의 지-뎁스(g-depth) 값이 '1'이라면, 프리-지인덱스(pre-gindex) 값은 루트 그룹의 색인(index) 값을 가져야 한다.
지-네임(g-name)은 시스템의 기본 정의 및 사용자 정의에 의해 정의되는 해당 그룹의 이름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엘리먼트(group element)는 지-뷰(g-view)의 속성을 선택적으로(optional) 포함할 수 있다.
지-뷰(g-view)는 사용자 단말의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그룹을 보여줄 것인지('unhidden') 아니면, 보여주지 않을 것인지('hidden')를 결정하는 선택적(optional) 속성이다. 만일 지-뷰(g-view) 속성 값이 히든(hidden)이면, 사용자 단말의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는 보여 지지 않으면서, 내부적으로 그룹화 하여 분류, 저장, 검색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속성이다. 이런 히든(hidden) 그룹에 포함되는 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 설정 메뉴]에서 해당하는 항목을 확인, 수정하거나, 사용자 개인 인증(Password설정 등)을 통해서만 확인, 수정 가능한 정보들을 그룹화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이다. 그룹 엘리먼트의 기본 지-뷰(g-view) 속성 값은 언히든(unhidden)이며, 따라서 그룹 엘리먼트에 이 속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그 그룹 엘리먼트의 지-뷰(g-view) 값은 언히든(unhidden)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XML 스키마(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하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 및 그룹 엘리먼트를 이용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루트 그룹을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표현하면 도 9a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는 도 9b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표현된 그룹 리스트에 속하는 그룹 정보들은 사용자의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도 9c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서 익스-프리인포 루트 엘리먼트(ex-preinfo root element)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group-list element) 외의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buddy-list element)를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buddy-list element)는 하나 이상의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를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해야 한다. 확장성의 목적으로 다른 네임스페이스(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가 올 수 있으나, 알려지지 않은 네임스페이스(unknown 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 및 속성은 무시 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buddy-list element)는 리소스(resource), 패키지(package), 스테이트(state)라는 3개의 속성(Attributes)을 포함해야 한다.
리소스(resource)는 사용자의 URI로 표현되는 속성이고, 패키지(package)는 해당 리소스(resource)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 대한 이벤트 패키지(event package)를 지시하는 토큰을 포함하는 속성이다. 그리고 스테이트(state)는 버디 리스트(buddy-list)에 포함되는 모든 버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full) 아니면, 변경된 버디에 대한 정보만(partial)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따라서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의 스테이트(state) 속성 값이 풀(full)인 경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서의 모든 버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파샬(partial)인 경우에는 변경된 사항이 있는 특정 버디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해야 한다.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버디 리스트(buddy-list)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사용자가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접근 가능한 권한을 획득하였거나, 그 권한을 획득 중에 있는 경우, 그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를 사용자의 버디(buddy)라고 하며,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그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에 대한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 정보와 만일 권한 이 있는 경우, 그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실제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 정보란, 사용자가 그 버디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권한을 획득한 경우에는 액티브(active)로 표현되고, 권한을 획득하지 못하고 권한 획득을 기다리는 경우에는 펜딩(pending)으로 표현되는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buddy-list element)는 하나 이상의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를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하여야 하고, 만일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의 스테이트(state) 속성 값이 풀(full)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버디 엘리먼트를 정의하고 있는데, 이 버디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 즉, 버디 리스트(buddy-list)의 리소스(resource) 속성에서 지정하고 있는 리소스(resource)에 대한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PUA)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가지고 오기 위해 PA 모듈로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보냈을 때, PA 모듈은 노티파이 메시지(NOTIFY Message)를 통해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state="full")를 사용자에게 보내주는데, 이때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버디 리스트(buddy-list(state="full"))에서, 첫 번째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이 사용자의 온/오프(on/off) 정보, 디스플레이-네임(display-name), 커런트-스테이터스(current-status) 등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있다.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그룹 리스트(group-list)에서 정의한 각각의 그룹으로 그룹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버디 엘리먼트는 지-인덱스(g-index) 속성을 포함하여 하며, 이 속성은 각각의 버디가 어떤 그룹에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하고 있다. 또한 확장성의 목적으로 다른 네임스페이스(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가 올 수 있으나, 알려지지 않은 네임스페이스(unknown 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 및 속성은 무시 되어야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스테이터스(status), 이벤트(event), 아이디(id), 커런트-스테이터스(curr-status), 그리고 지-인덱스(g-index)라는 5개의 필수 속성(mandatory attributes)을 포함해야 한다.
아이디(id)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amtion)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든 버디(buddy) 및 와처(watcher)등 사용자로 표현되는 모든 항목에 대해서 유일한 값을 갖는 식별자로서, 시스템에 의해 불분명한 문자열 형태로 생성된다. 그리고 이벤트(event)는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이를 야기하는 사건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RFC 3858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테이터스(status)는, 사용자가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했을 때, 이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펜딩(pending)', '액티브(active)'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커런트-스테이터스(curr-status)는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며, 오픈(open), 클로즈드(closed) 값으로 표현된다. 상기 오픈(open) 및 클로즈드(closed)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RFC 3863에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그리고 지-인덱스(g-index)는 해당 버디가 포함되어 할 그룹(group)을 지시한다. 만일 해당 엘리먼트가 사용자 자신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엘리먼트인 경우, 지-인덱스(g-index) 값은 NULL 값을 갖고, ""로 표현된다.
한편,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디스플레이-네임(display-name), 디테일-스테이터스(detail-status)라는 2개의 속성(Attributes)을 선택적으로(optional)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네임(display-name)은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공개 가능한 문자 형식의 이름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디테일-스테이터스(detail-status)는 커런트-스테이터스(curr-status) 속성과 연관이 있는 속성으로서, 오픈(open), 클로즈드(closed)의 상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AWAY, BUSY" 등으로 표현된다.
한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에서 익스-프리인포 루트 엘리먼트(ex-preinfo root element)는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를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해야 한다.
상기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는 RFC 3858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며, 다만 확장을 위해 스테이트(state) 속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는 와처 엘리먼트(watcher element)들의 리스트(list)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자신, 즉 와처 리스트(watcher-list)의 리소스(resource) 속성에서 명시된 리소스(resource)의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와처(watcher)들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확장성의 목적으로 다른 네임스페이스(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가 올 수 있으나, 알려지지 않은 네임스페이스(unknown namespace)에서 정의된 엘리먼트 및 속성은 무시 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는 리소스(resource), 패키지(package), 스테이트(state)라는 3개의 필수 속성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리소스(resource)는 RFC 3858에서의 의미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URI를 나타내는 속성이고, 상기 패키지(package)는 해당 리소스(resource)에 대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가 제공되기 위한 이벤트 패키지(event package)를 지시하는 토큰을 포함하는 속성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트(state)는 와처 리스트(watcher-list) 에 포함되는 모든 와처(watcher)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full) 아니면, 변경된 와처(watcher)에 대한 정보만(partial)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그리고 와처 엘리먼트(watcher element)는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그에 따른 내용 및 의미는 RFC 3858에서의 내용, 의미와 동일하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처 엘리먼트(watcher element)는 RFC 3858에서 정의된 필수 속성('id', 'status', 'event')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선택적인 속성('display-name', 'expiration', 'duration-subscribed')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와처 엘리먼트(watcher element)는 RFC 3858에서 정의된 상기 속성 외에 추가적으로 지-인덱스(g-index)라는 속성을 포함한다. 상기 지-인덱스(g-index)는 필수 속성은 아니고, 선택적 속성(optional attribute)이다. 상기 지-인덱스(g-index)는 각 와처(watcher)가 포함될 그룹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와처가 속할 그룹을 지정하지 않으면, 그 와처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루트 그룹에 속하게 된다.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의 와처 리스트(watcher-list)는 '0' 또는 그 이상의 와처(watcher)로 이루어지고, 그 와처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 및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 그리고 이 와처가 포함되어야 할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이 그 와처에 대해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다면, 그 와처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는 펜딩(pending) 상태로 나타나고, 와처는 그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자신이 그 와처에 대해 권한을 부여했다면, 그 와처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나타나고, 와처는 그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처 정보와 관련된 내용은 RFC3857, RFC3858에서 정의하고 있는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각 와처를 효율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하기 위해 그룹에 대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리소스(resource)에 대해 PA 모듈이 가장 기본적으로 생성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본 발명에 따른 XML 스키마에 의해 도 10a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문서의 데이터 포맷은 'ex-preinfo'이고, 버전(version) 속성이 "0" 값이므로 PA 모듈로부터 받은 최초의 정보이고, 스테이트(state)가 풀(full) 값이므로 그 특정 리소스(resource)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전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리스트에는 하나의 그룹 정보만 있으므로 상기 그룹은 루트 그룹이고, 버디 리스트에도 하나의 버디 정보만 있으므로 상기 버디 정보는 사용자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와처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나, 그 와처 리스트에는 와처 정보가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도 10b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joe"의 리소스(resource)에 대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가 도 10c 같다고 가정하면,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받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는 도 10d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수정, 삭제 등의 변경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정의한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은 자신의 상태 정보 변경, 그룹 정보 변경, 버디 정보 변경, 와처 정보 변경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처럼 변경하고 싶은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사용자가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시켜서 PA 모듈에 전송시킴으로서, 원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변경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상태 정보 변경에는, 커런트 스테이터스(Current status : 'open(on-line)', 'closed(off-line)') 변경과,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 변경, 디테일 스테이터스(Detail status : 'AWAY', 'BUSY', 'DON'T DISTURB' 등) 변경이 있다. 그룹(group) 정보 변경에는,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네임(name) 변경이 있다. 버디(buddy) 정보 변경에는, 버디 추가, 버디 삭제, 버디의 그룹 정보 변경이 있다. 와처(watcher) 정보 변경에는, 권한(Authorization) 부여 및 와처의 그룹 정보 변경이 있다. 그 외에 추가적인 정보 변경으로는, 특정 사용자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Blocked User List)로 등록, 블록된 유저(Blocked User)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Blocked User List)로부터 해제, 그리고 사용자 정의의 추가적인 정보 변경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블록된 유저(Blocked User)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했을 때, 그 서브스크립션 자체를 거부하고자 할 때,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악의를 가진 사용자로 간주하고, 그 사용자에게는 어떤 정보도 공개하고 싶지 않으며, 정보 공개 요청에 대한 어떤 문의도 수신하고 싶지 않을 때, 그 사용자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Blocked User List)에 등록함으로써, 미연에 이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 또 한 예는, 사용자가 이미 특정 사용자에 대해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후에 특정한 이유로 인해, 그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공개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자는 그 특정 사용자를 자신의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Blocked User List)에 등록함으로써, 자신이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가 그 특정 사용자에게는 공개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Blocked User List)의 이용을 통해 자신의 사생활 보호 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변경에 대한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의 상세한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그리고 도 19에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 즉,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에서 루트 엘리먼트는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1st element)는, 확대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유저와 관련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에게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 확대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PUA)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PA 모듈)에 전송하는 SIP 메시지의 바디에는,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가 반드시 포함되고, 그와 함께 상기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만 포함된다. 상기 하위 엘리먼트 중 어떤 엘리먼트가 포함될 지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유저 정보의 변경을 위한 경우에는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와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만 포함되고, 특정 사용자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해 권한을 부여하는 경에는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와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만 포함되고, 그룹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와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만 포함된다.
도 12에는 상기 루트 엘리먼트의 첫 번째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 즉 상기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와,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 및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XML 스키마(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유저의 추가(즉, 버디의 추가)를 위한 애드 유저(Add_User) 엘리먼트, 유저의 삭제를 위한 딜리트 유저(Delete_User) 엘리먼트, 유저가 속한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유저그룹(Change_UserGroup) 엘리먼트, 사용자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을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디스플레이 네임(Change_DisplayName) 엘리먼트, 사용자 자신의 현재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디테일스테이터스(Change_DetailStatus) 엘리먼트,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애드 블랙리스트(Add_BlackList) 엘리먼트,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서 삭제하기 위한 딜리트 블랙리스트(Delete_BlackList)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2nd elemen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에 대해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_Subscribe)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그룹의 추가를 위한 애드 그룹(Add_Group) 엘리먼트, 그룹의 삭제를 위한 딜리트 그룹(Delete_Group) 엘리먼트, 그룹 네임의 변경을 위한 체인지 지네임(Change_Gname)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2nd element)를 포함한다.
도 13, 도 14및 도 15에는 상기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와,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 및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 즉 상기 루트 엘리먼트의 2번째 하위 엘리먼트(2nd element)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XML 스키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애드 유저(Add_User) 엘리먼트는, 특정 유저를 자신의 버디 리스트(Buddy List)에 등록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유저(us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3rd element)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딜리트 유저(Delete_User) 엘리먼트는, 특정 유저를 자신의 버디 리스트(Buddy List) 또는 와처 리스트(Watcher List)로부터 삭제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델 유저(delus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3rd element)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유저그룹(Change_UserGroup) 엘리먼트는, 특정 유저가 포함되어 있는 그룹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유저(us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3rd element)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디스플레이 네임(Change_DisplayName)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을 변경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name)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3rd element)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디테일스테이터스(Change_DetailStatus)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스테이터스(status)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애드 블랙리스트(Add_BlackList) 엘리먼트는, 특정 사용자를 자신의 블록된 유저 리스트(Blocked User List)에 등록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블록 유저(blockedus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딜리트 블랙리스트(Delete_BlackList) 엘리먼트, 자신의 블록된 유저 리스트(Blocked User List)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 리스트(Blocked User List)로부터 해제 또는 제거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델 블록 유저(del_blockedus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_Subscribe)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사용자에게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Authorization)을 부여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애드 그룹(Add_Group) 엘리먼트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그룹을 생성하여, 자신의 그룹 리스트(Group List)에 등록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그룹(group)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딜리트 그룹(Delete_Group) 엘리먼트는, 사용자가 생성한 특정 그룹을 자신의 그룹 리스트(Group List)로부터 삭제하기를 원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델 그룹(delgroup)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지네임(Change_Gname)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이 생성한 그룹의 이름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로서, 체인지 그룹 네임(chgname)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는다.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에는 상기 2nd 엘리먼트들의 하위 엘리먼트(3rd element)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XML 스키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user) 엘리먼트는, 상기 애드 유저(Add_User) 엘리먼트 및 체인지 유저그룹(Change_UserGroup)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버디 리스트에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 또는 해당 그룹을 변경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인덱스(g-index)를 필수 속성으로 갖는다. 상기 지-인덱스(g-index)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해당 유저가 속하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인덱스(index)를 나타낸다.
그리고 델 유저(deluser) 엘리먼트는 상기 딜리트 유저(Delete_User)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삭제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아이디(id)를 필수 속성으로 갖는다. 상기 아이디(id)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특정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네임 엘리먼트(displayname)는, 상기 체인지 디스플레이 네임(Change_DisplayName)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온라인상에 있는 다른 유저에게 사용자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네임을 생성 또는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문자열 형태로 형성되고, 변경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네임이 너무 길지 않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길이를 100바이트 또는 100자 이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테이터스(status) 엘리먼트는, 상기 체인지 디테일스테이터스(Change_DetailStatus)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사용자의 구체적인 현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디테일-스테이터스(detail-status)라는 필수 속성을 갖는다. 상기 디테일-스테이터스(detail-status)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테이타 구조의 버디(buddy) 엘리먼트에서 정의된 디테일-스테이터스(detail-status)와 같은 속성으로서 해당 사용자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TUS_ONLINE", "STATUS_BUSY", "STATUS_DON'T_DISTURB", "STATUS_WORKING", "STATUS_EATING", "STATUS_LINE_IS_BUSY", "STATUS_PRETEND_OFFLINE"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유저(blockeduser) 엘리먼트는, 상기 애드 블랙리스트(Add_BlackList)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아이디(id)를 필수 속성으로 구비한다. 상기 아이디(id)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델 블록 유저(del_blockeduser) 엘리먼트는, 상기 딜리트 블랙리스트(Delete_BlackList)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특정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아이디(id)라는 필수 속성을 갖는다. 상기 아이디(id)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해당 블록된 유저(blocked user)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엘리먼트는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_Subscribe)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사용자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에게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와 액셉턴스(acceptance)라는 두 개의 필수 속성을 갖는다. 상기 리소스(resource)속성은 사용자로부터 권한(authorization)을 기다리고 있는 특정 유저의 리소스(resource)를 나타내며, URI값으로 표현되고, 상기 액셉턴스(acceptance) 속성은 상기 특정 유저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해 권한을 부여할지 부여하지 않을지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권한 부여의 경우'액셉트(accept)' 값을 갖고, 권한 부여 거부의 경우 '리젝트(reject)' 값을 갖는다.
그리고 그룹(group) 엘리먼트는 상기 애드 그룹(Add_Group)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프리-지인덱스(pre-gindex) 속성과, 0 또는 양의 정수를 갖는 지-뎁스(g-depth) 속성, 그리고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네임(g-name) 속성을 필수 속성으로 구비하고,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뷰(g-view) 속성을 선택적 속성으로 구비한다.
상기 각 속성은 모두 상기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프리-지인덱스(pre-gindex)는 추가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의 상위 그룹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고, 지-뎁스(g-depth)는 해당 그룹이 루트 그룹으로부터 몇 번째 서브 그룹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며, 지-네임(g-name)은 추가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에 대해 사용자가 임의로 표현하는 그룹의 이름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지-뷰(g-view)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해당 그룹을 나타내는 언히든(unhidden) 값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해당 그룹을 숨기는 히든(hidden) 값을 갖는 속성이다.
그리고 델 그룹(delgroup) 엘리먼트는 상기 딜리트 그룹(Delete_Group)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인덱스(g-index) 속성을 필수 속성으로 구비한다. 상기 지-인덱스(g-index) 속성은,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삭제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체인지 그룹 네임(chgname) 엘리먼트는, 상기 체인지 지네임(Change_Gname)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인덱스(g-index)와 지-네임(g-name)이라는 필수 속성을 구비한다. 상기 각 속성은 모두 상기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속성으로서, 상기 지-인덱스(g-index) 속성은, 네임(name)을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의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를 나타내고, 상기 지-네임(g-name) 속성은 변경된 해당 그룹의 이름을 나타낸다.
이하에는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 내용이 작성되는 실시예를 기재한다.
유저 추가(버디 추가)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a와 같다.
유저 삭제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b와 같다.
버디의 다른 그룹 지정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c와 같다.
사용자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 변경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d와 같다.
사용자 자신의 상세 상태 정보(detail-status) 변경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e와 같다.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 추가함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f와 같다.
특정 블록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에서 제거함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g와 같다.
그룹 추가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h와 같다.
그룹 삭제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i와 같다.
그룹 네임 변경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j와 같다.
특정 서브스크립션에 대한 권한 부여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을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면 20k와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XML 스키마, 즉 익스-프리인포(ex-preinfo) 데이터 구조와 익스- 유저인포(exp-userinfo) 데이터 구조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PA 모듈) 사이에 일어나는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해 각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는, SIP 프로토콜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SIP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IP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와,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가 있다. 한편, 상기 프리젠스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상기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익스-유저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21a에는 각 사용자(사용자A 및 사용자B)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a에는 사용자A가 사용자B를 자신의 버디로 추가하기 위해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과정과, 사용자B가 사용자A에게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a, 도 24a 및 도 25a에는 각각 그룹을 추가, 특정 유저(버디 또는 와처)의 그룹을 변경, 그리고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을 변경하기 위해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 또는 변경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전송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에 보내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와,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에게 보내는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SIP 데이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SIP 메시지 중,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는 RFC3265에서 정의하는 용어로서, 각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확인, 수정, 갱신을 위해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SIP 메시지이다. 한편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다' 또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은 사용자가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를,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그리고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로 구분한다.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는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제공받고, 동시에 프리젠스 서버와의 다이얼로그(dialog) 형성을 위해 최초로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SIP 메시지이고,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가 오프라인(off-line) 상태에서 온라인(on-line)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프리젠스 서버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에서 오프라인 및 온라인은 각각 RFC 2778에서의 '클로즈드(Closed)' 및 '오픈(Open)'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기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는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유지시키는 SIP 메시지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에서는 다이얼로그(dialog)의 유지를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리젠스 서버에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를 계속해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는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를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을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전송하는 SIP 메시지로서,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는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SIP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한 유효 기간을 갱신하고, 사용자의 단말 역시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전송한 시점부터 헤더(Header)의 익스파이어(Expires)에서 정의한 시간 후에 다음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헤더(Header) 및 익스파이어(Expires)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와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를 구성하는 용어로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크게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 그룹 정보(Group Information), 버디 정보(Buddy Information), 와처 정보(Watcher Information)로 분류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상태 정보들로써 현재 상태 정보(current status : 'open/closed'),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 상세 상태 정보(detail status : 'AWAY', 'BUSY' 등)를 나타내고,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와처(watcher)들에게 공개 가능한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프리젠스 서버에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전송하여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그 사용자에게 즉시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를 통해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고, 이와 동시에 이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와처들에게도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를 전송함으로서 관련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또한 사용자는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이용하여, 그룹을 생성, 수정 및 명칭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정보와 관련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즉시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또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또는 그룹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그룹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의 굉장히 민감한 개인 정보이므로 권한 획득 여부를 불문하고 와처에게 공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룹 정보 변경과 관련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와 관련된 정보의 변경 사항을 와처들에게 알려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처들은 타인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그룹 정보에 대해서는 접근 권한 없다.
그리고 상기 버디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버디의 추가 및 삭제, 버디가 포함된(될) 그룹의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버디 추가는, 사용자가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행위를 말한다. 버디 추가와 관련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한 PA 모듈은 그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 후, 아직 권한이 없다면,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의 바디(body)에 현재 이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가 펜딩(pending)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는 그 버디에게도, 사용자가 권한(Authorization) 부여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때, 그 버디의 현재 상태 정보(current status)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이면,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이용하여 즉시 이런 사실을 알려주고,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이면, 이 버디가 프리젠스 서버에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등록할 때,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알려준다. 또한 사용자는 버디를 추가할 때, 이 버디가 포함되어야 할 그룹을 지정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의 루트 그룹에 어떤 서브 그룹도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이 버디를 포함시킬 그룹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이 버디는 기본적으로 루트 그룹에 포함된다.
상기 와처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와처에게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부여와, 와처가 포함된(될) 그룹을 변경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와처 정보와 관련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는 와처가 포함된(또는 포함될) 그룹을 변경하는 경우뿐이고, 와처에게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메시지를 본 발명에서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는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와처(watcher)에 대해 권한(Authorization)을 부여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로서, 본 발명에서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와 관련된 정보는 와처 정보뿐이다.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에 보낸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의 결과로 가져온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와처 정보는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와처들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 정보(펜딩(pending)/액티브(active))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의 소프트웨어(software)는 그 와처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가 펜딩(pending) 상태인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용자는 이 와처에 대해 권한을 부여하거나(accept), 거절할 수 있는데(reject), 사용자는 이러한 권한 부여에 대한 결과를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프리젠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프리젠스 서버(PA 모듈)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변경된 프리젠스 정보를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프리젠스 서버는 해당 와처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이면,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이용하여 권한 부여 여부를 알려주고,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이면, 해당 와처가 프리젠스 서버에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전송하여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등록할 때,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알려준다. 이러한 경우, 권한 부여 결과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버디 정보에 포함되어,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해당 와처에게 전송된다.
그리고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는 특정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가 보내는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의 종류에 따라 다른 내용의 프리젠스 정보를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특히, 프리젠스 서버는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메시지에 대해서만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전체를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또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 메시지에 대해서는 변경된 프리젠스 정보만을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서, 서버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다이얼로그(dialog)를 원활하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그룹 추가 또는 그룹 이름 변경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메시지를 받은 경우에는, 그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그룹 정보만을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그 사용자에게 전송해준다. 그리고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버디 추가의 내용을 포함하는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메시지를 받은 경우에는, 그 사용자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버디 정보만을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통해 그 사용자에게 전송해주고, 그 버디에게도 상기 사용자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가 펜딩(pending) 상태임을 나타내는 변경된 와처 정보만을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의해,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와 노티파이어(notifier)가 전송하는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 및 노티파이(NOTIFY) 리퀘스트에 대한 SIP 메시지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SIP 프로토콜 상에서 프리젠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본 발명에서는 '확장된 프리젠스 이벤트 패키지(Extended Presence Event Package)'라 칭하고,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이벤트 패키지'이름은 SIP 메시지 상에서 '익스-프리젠스(ex-presence)'로 표현된다.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이벤트 패치지'에서 정의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 프리젠스 서버 등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SIP 메시지 상에 이와 같은 내용을 명시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RFC3265의 규정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와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 메시지는 이벤트(Event) 헤드 필드를 포함해야 하며, 상기 이벤트 헤더 필드의 값은 상기에서 정의한 '익스-프리젠스(ex-presence)'값을 갖는다("Event: ex-presence").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이벤트 패치지' 및 '익스-프리젠스(ex-presence)'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명칭으로서,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편의 또는 국제적인 규약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명칭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헤더(Header)에는, 사용자의 리소스(resource)와, 요청하는 정보의 명칭 또는 바디(body)에 기재되는 내용의 명칭(본 발명에서는 '익스-프리젠스(ex-presence)')을 나타내는 이벤트(Event),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의 다이얼로그(dialog)를 유지하기 위해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를 보내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익스파이어(Expires), 그리고 바디(body)에 기재되는 내용(본 발명에서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컨텐트 타입(Content-Type)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은 규칙은 RFC3261에서 정의된 SIP 메시지 정의를 따른다.
그리고 상기 바디(body)에는 상기 이벤트 헤더에 명시된 패키지에 대한 내용이 상기 컨텐트 타입(Content-Type)에 표시된 데이터 구조로 기재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의 바디(body)에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되고,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에 대한 SIP 메시지의 바디(body)에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 내용이 익스-유저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모든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에 대한 SIP 메시지는, 헤더(header)에 상기 익스파이어(Expires)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익스파이어(Expires) 값은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의 다이얼로그(dialog)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의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를 보낼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만일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에 익스파이어(Expires) 헤더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익스파이어(Expires) 헤더의 기본값은 '3600'초 정도로 정의하고, 익스파이어(Expires) 값이 '0'인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로그(dialog)의 종료를 의미한다. 한편, 프리젠스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내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에는 상기 익스파이어(Expires) 헤더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메시지는,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다이얼로그(dialog)를 생성하는 메시지임과 동시에 프리젠스 서버에 사용자 자신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에서 온라인(On-Line/Open)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등록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익스파이어(Expires) 값이 '0'이라는 의미는 프리젠스 서버에 자신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에서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또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를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로 간주한다.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는 익스파이어(Expires)에서의 정의하고 있는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될 수도 있으며, 한번도 발생이 안 될 수도 있다.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는 각각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생성이 되어지고, 프리젠스 서버로 전송되어지나,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on-line)가 유지되고 있음을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를 전송, 수신한 사용자의 단말과 프리젠스 서버는 모두, 다이얼로그(dialog) 유지와 관련된 타이머(Timer)를 갱신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는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그리고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 및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는 바디(body)를 포함하지 않고 헤더(header)만으로 이루어지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및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는 바디(body)와 헤더(header)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는 다이얼로그(dialog)를 생성시키는 메시지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그리고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는 독자적으로 다이얼로그(dialog)를 생성시키지 못하고,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생성되어진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또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일부 정보를 업데이트(생성, 변경, 삭제 등)하거나, 와처(watcher)에 대해 권한 부여를 위해서 프리젠스 서버로 전송 되어진다. 따라서 만일 다이얼로그(dialog)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프락시(Proxy) 서버들을 경유했다면, 이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INITIAL SUBSCRIBE request)와 그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RFC3261에서 정의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간의 메시지가 이동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나머지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들은 이 메시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라우트 헤더 필드(Route header filed)를 포함하게 된다.
이하에는 상기 각 서브스크라이브 리퀘스트(SUBSCRIBE request)들의 동작 관계를 표로 정리하였다.
동작(operation) 바디 (Body) 익스파이어 값 (Expires value) 서브스크라이브 타입 (SUBSCRIBE Type) 다이얼로그(dialog) 형성
초기(initial) No >0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 Yes
갱신 (Refresh) 갱신 (Refresh) No >0 리서브스크라이브 No
변경, 추가 Yes >0 셋팅 서브스크라이브 No
권한 부여 Yes >0 오스 서브스크라이브 No
종료 No 0 리서브스크라이브 No
그리고 도 21b, 도 21c, 도 21d, 도 21, 도 22b, 도 22c, 도 22d, 도 22e, 도 22f, 도 22g, 도 23b, 도 23c, 도 24b, 도 24c, 도 25b, 도 25c에는 각각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및 도 25a에서 사용자A 및 사용자B가 프리젠스 서버의 PA 모듈과 교환하는 각 리퀘스트(request)에 대한 SIP 메시지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SIP 메시지의 바디에는 본 발명에 따른 XML 스키마의 데이터 구조에 의해 작성된 XML 메시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는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가지고 오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사용자에게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1a에서 사용자A(JOE)와 사용자B(TOM)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의 SIP 메시지가 도 21b 및 도 21d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해당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각 사용자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1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JOE)와 사용자B(TOM)에게 전송한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의 SIP 메시지가 도 21c 및 도 21e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1c에 도시된 상기 사용자A(JOE)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는, 사용자A(JOE) 자신 외에 2명의 버디("john", "aran")에 관한 정보와, 1명의 와처("bob")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A(JOE)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네임은 "My name is joe!!"이고, 현재 상태(curr-status)는 "open"이고, 디테일 스테이터스(detail-status)는 "STATUS_ONLINE"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A(JOE)는 시스템에서 생성한 "Root Group"과, "Watcher List" 이외에 "My friend"라는 그룹을 생성했고, 자신의 버디인 "john", "aran"을 상기 "My friend" 그룹에 지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상기 "Watcher List" 그룹은 히든(hidden) 속성을 갖는 그룹이므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한편, 도 21e에 도시된 사용자B(TOM)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 따르면, 사용자B(TOM)은 시스템에서 생성한 자신을 나타내는 버디 이외에는 어떤 버디 및 와처의 목록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2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A는 사용자B를 자신의 버디로 추가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사용자에게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2a에서 사용자A(JOE)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의 SIP 메시지가 도 2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A(JOE)가 사용자B(TOM)를 버디로 추가하는 과정 즉, 특정 리소스(resource)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과정이, 본 발명에 따른 익스-유저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A로부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A가 사용자B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고, 만일 없다면, 이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는 펜딩(pending) 상태임을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A에게 알려준다. 이처럼 도 22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에게 전송한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의 메시지가 도 22c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티파이 리퀘스트(NOTIFY request)의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A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도 22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된 메시지의 바디의 스테이트(state) 속성이 "partial" 값을 가지므로, 프리젠스 서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버디와 관련하여 변경된 정보만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현재 사용자A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가 펜딩(pending)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B의 실제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오픈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버디 정보에서의 사용자B의 현재 상태 정보는 "closed(off-line)", "STATUS_OFF"로 표시가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B에게도, 사용자A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상태가 펜딩(pending) 상태이며, 권한 획득 가능 여부를 기다리고 있음을 사용자B(TOM)에게도 알려야 하는데, 사용자B(TOM)의 현재 상태가 "open(on-line)" 상태이고, 또한 사용자B(TOM)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와처 정보에 변경이 생겼기 때문에, 즉시 이러한 내용을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알려주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B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2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B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가 도 22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테이트 속성이 "partial" 값이므로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B에게 변경된 와처 정보만을 전송한다. 한편, 프리젠스 서버의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B(TOM)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는, 사용자A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한 권한 부여 여부를 묻는 경고 메시지 창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B는 상기 경고 메시지 창에 대해 권한 부여 여부에 대한 결정('Approved' 또는 'Rejected')을 하고, 그 결정된 내용을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의 메시지 바디에 포함하여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2a에서 사용자B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의 메시지가 도 22e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e에 따르면 사용자B(TOM)는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즉, 상기 사용자A(JOE)에 대해 권한을 부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의 메시지 전송으로 인해 사용자B의 와처 정보가 변경되므로,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를 전송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사용자B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와처 정보를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 바디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B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2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B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가 도 22f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B로부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를 전송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A에게 사용자B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았음을 알려야 하는데, 사용자A의 현재 상태가 "open(on-line)" 상태이고, 또한 사용자B(TOM)의 권한 부여로 인해 사용자A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버디 정보에 변경이 생겼기 때문에, 즉시 이러한 내용을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A에게 알려주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A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2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가 도 22g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A는 사용자B(TOM)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그룹을 추가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 리퀘스트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사용자에게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3a에서 사용자A(JOE)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의 SIP 메시지가 도 2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A가 추가한 그룹은 "My co-workers"라는 이름을 가지고(g-name="My co-workers"), 루트 그룹의 하위 그룹이며(g-depth="1"),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타난다(g-view="unhidden").
그리고 사용자A로부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사용자A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그룹 정보만을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A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각 사용자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3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JOE)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SIP 메시지가 도 23c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특정 유저(사용자B;버디)가 속한 그룹을 변경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사용자에게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4a에서 사용자A(JOE)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의 SIP 메시지가 도 2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A는 사용자B(TOM)를 "My co-workers" 그룹(g-index="an2stj9dwlr")에 지정했다.
그리고 사용자A로부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사용자A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버디 정보만을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A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각 사용자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4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JOE)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SIP 메시지가 도 24c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을 변경하기 위해 프리젠스 서버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는 이 사용자에게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5a에서 사용자A(JOE)가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의 SIP 메시지가 도 2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5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A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네임을 "How r u today?"로 변경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네임은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속하고,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는 버디 리스트의 첫 번째 버디 정보에 속한다. 따라서 사용자A로부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받은 프리젠스 서버는, 즉시 사용자A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변경된 버디 정보만을 본 발명에 따른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로 작성하여,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사용자A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각 사용자는 즉시 200OK 응답을 전송한다. 이처럼 도 25a에서 프리젠스 서버가 사용자A(JOE)에게 전송한 노티파이(NOTIFY)의 SIP 메시지가 도 25c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네임이 속하는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는 와처들에게 공개 가능한 정보이므로,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A의 와처들 중 권한을 부여받은 와처들에게 상기 변경된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노티파이(NOTIFY)의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하여 전송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와 프리젠스 서비스를 위한 SIP 데이터 구조 및 그에 따른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자 단말 환경(PC, Mobile, PDA, PocketPC, Home Network 등) 및 네트웍 환경에서(유선, 무선, 인터넷 망)에서 더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XML 스키마, 즉 익스-프리인포 데이터 구조와 익스-유저인포 데이터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확인 및 변경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정보의 저장, 검색을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환경에서 검증된 파일 시스템의 개념을 적용한 그룹 정보를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 포함함으로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저장, 관리, 표현을 위한 안정적이고, 익숙하고, 확장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제공 받음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며, 유용한 프리젠스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Claims (43)

  1. 프리젠스 서버(PA 모듈)가 특정 사용자(PUA)에게 전송하는 SIP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나타내는 XML 메시지에 있어서,
    상기 XML 메시지의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와;
    그룹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와, 버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와, 와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 중에서 적어도 1개를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프리인포(ex-preinfo) 엘리먼트는,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수령자(recipient)가 그 데이터들을 적절하게 정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0에서 시작해서 상기 수령자에게 새로운 데이터가 보내질 때마다 1씩 증가하는 버전(version) 속성과;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풀(full) 값을 갖고, 일부 내용만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파샬(partial) 값을 갖는 스테이트(stat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의 URI를 나타내는 리소스(resource) 속성과;
    그룹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풀(full) 값을 갖고, 변경된 그룹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파샬(partial) 값을 갖는 스테이트(stat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리스트 엘리먼트는,
    최상의 그룹인 루트 그룹 엘리먼트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루트 그룹 밑으로 생성되는 다수의 서브 그룹(1st Sub Group) 엘리먼트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브 그룹 밑으로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서브 그룹(2nd Sub Group) 엘리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그룹 엘리먼트에는, 버디 리스트(buddy-list), 와처 리스트(watcher-list)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버디(buddy) 정보, 와처(watcher) 정보 및 기타 사용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엘리먼트는,
    각 그룹을 구분할 수 있도록 불분명한 문자열(opaque string)의 색인(index) 값을 갖는 지-인덱스(g-index) 속성과;
    자신의 첫 번째 상위 그룹에 대한 색인(index)값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프리-지인덱스(pre-gindex) 속성과;
    각 그룹이 루트 그룹으로부터 몇 번째의 하위 그룹인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0 또는 양의 정수를 표현되는 지-뎁스(g-depth) 속성과;
    해당 그룹의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네임(g-nam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buddy-list element)는,
    사용자의 URI를 나타내는 리소스(resource) 속성과;
    버디 리스트(buddy-list)에 포함되는 모든 버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풀(full) 값을 갖고, 변경된 버디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파샬(partial) 값을 갖는 스테이트(stat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디 리스트 엘리먼트의 스테이트(state) 속성이 풀(full) 값을 갖는 경우,
    사용자 자신에 대한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는,
    와처(watcher)들에게 공개, 제공 가능한 사용자 정보로서,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또는 오픈/클로즈드(open/closed)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와;
    사용자가 단말 환경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명칭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과;
    사용자 자신의 기분이나 부재 등의 상세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 상태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2. 제1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프리젠티티(Presentity)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했을 경우, 상기 프리젠티티(Presentity)는 사용자의 버디(buddy)로 간주되고,
    상기 버디 엘리먼트(buddy element)는,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amtion)에 포함되는 모든 버디(buddy)에 대해서 유일한 값을 갖는 식별자로서, 불분명한 문자열 형태로 생성되는 아이디(id) 속성과;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이를 야기하는 사건을 지칭하는 이벤트(event) 속성과;
    상기 버디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대해 접근 권한을 획득한 경우 액티브(active) 값을 갖고, 접근 권한을 기다리는 경우 펜딩(pending) 값을 갖는 스테이터스(status) 속성과;
    상기 버디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오픈(open) 값과 클로즈드(closed) 값을 갖는 커런트-스테이터스(curr-status) 속성과;
    그리고 상기 버디가 포함되어 할 그룹(group)을 나타내는 지-인덱스(g-index) 속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처 리스트 엘리먼트(watcher-list element)는,
    사용자 자신의 URI를 나타내는 리소스(resource) 속성과;
    와처 리스트(watcher-list)에 포함되는 모든 와처(watcher)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풀(full) 값을 갖고, 변경된 와처(watcher)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 파샬(partial) 값을 갖는 스테이트(stat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는 프리젠티티(Presentity)는 와처(watcher)로 간주되고,
    상기 와처 엘리먼트(watcher element)는,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amtion)에 포함되는 모든 와처(watcher)에 대해서 유일한 값을 갖는 식별자로서, 불분명한 문자열 형태로 생성되는 아이디(id) 속성과;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이를 야기하는 사건을 지칭하는 이벤트(event) 속성과;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대해 접근 권한을 획득한 경우 액티브(active) 값을 갖고, 접근 권한을 기다리는 경우 펜딩(pending) 값을 갖는 스테이터스(status) 속성과;
    각 와처(watcher)가 포함될 그룹을 나타내는 지-인덱스(g-index)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5. 삭제
  16. 특정 사용자(PUA)가 프리젠스 서버(PA 모듈)에 전송하는 SIP 메시지의 바디(body)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의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XML 메시지에 있어서,
    상기 XML 메시지의 최상위 엘리먼트(root element)가 되는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와;
    상기 익스-유저인포(exp-userinfo)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로서,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유저(user) 관련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와,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에게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와,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그룹(group) 관련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1st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포(user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유저의 추가(즉, 버디의 추가)를 위한 애드 유저(Add_User) 엘리먼트와,
    유저의 삭제를 위한 딜리트 유저(Delete_User) 엘리먼트와,
    유저가 속한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유저그룹(Change_UserGroup) 엘리먼트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네임(Display Name)을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디스플레이 네임(Change_DisplayName) 엘리먼트와,
    그리고 사용자의 상세 상태(detail status)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체인지 디테일스테이터스(Change_DetailStatus) 엘리먼트와,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로 추가하기 위한 애드 블랙리스트(Add_BlackList) 엘리먼트와,
    특정 유저를 블록된 유저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딜리트 블랙리스트(Delete_BlackList)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2nd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인포(auth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특정 프리젠터티(Presentity)의 배아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에 대해 권한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_Subscribe)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인포(groupinfo) 엘리먼트는,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를 필수 속성으로 갖고;
    특정 그룹의 추가를 위한 애드 그룹(Add_Group) 엘리먼트와,
    특정 그룹의 삭제를 위한 딜리트 그룹(Delete_Group) 엘리먼트와,
    그리고 특정 그룹 네임의 변경을 위한 체인지 지네임(Change_Gname)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하위 엘리먼트(2nd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_Subscribe) 엘리먼트는,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3rd element)로 갖으며,
    상기 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엘리먼트는, 사용자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특정 유저를 나타내기 위해 URI 값으로 표현되는 리소스(resource) 속성과, 상기 특정 유저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에 대해 권한을 부여할 경우'액셉트(accept)' 값을 갖고, 권한을 부여하지 않을 경우 '리젝트(reject)' 값을 갖는 액셉턴스(acceptance) 속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 그룹(Add_Group) 엘리먼트는, 그룹(group) 엘리먼트를 하위 엘리먼트로 갖으며,
    상기 그룹(group) 엘리먼트는,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의 첫 번째 상위 그룹에 대한 색인(index)값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프리-지인덱스(pre-gindex) 속성과;
    상기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이 루트 그룹으로부터 몇 번째의 하위 그룹인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0 또는 양의 정수를 표현되는 지-뎁스(g-depth) 속성과;
    상기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의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열(string)로 표현되는 지-네임(g-name) 속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SIP 메시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를 요청하기 위해,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전송받은 프리젠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와의 사이에 SIP 프로토콜에 의해 다이얼로그(dialog)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의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다이얼로그(dialog)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Extended Presence Information)는, 기본적인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 저장, 검색하기 위한 그룹 정보(group information), 사용자 자신의 버디(buddy)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버디 정보(buddy information),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제공 받고자 하는 와처(watcher)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와처 정보(watcher information)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가 오프라인(off-line) 상태에서 온라인(on-line)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프리젠스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에 의해 사용자와 프리젠스 서버 사이에 형성된 다이얼로그(dialog)를 유지하기 위한 리서브스크라이브(RE SUBSCRIBE)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37. 제34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Basic Presence Information)를 수정하기 위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4-1과정과;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2과정과;
    그리고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와처(watcher)들에게 상기 변경된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4-3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38. 제34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그룹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5-1과정과;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5-2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39. 제34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버디 및/또는 와처가 포함되는 그룹을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버디 및/또는 와처를 삭제하기 위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6-1과정과;
    상기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버디 정보 및/또는 와처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6-2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40. 제34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유저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하여 그 특정 유저를 자신의 버디로 추가하기 위한 셋팅 서브스크라이브(SETTING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7-1과정과;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버디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7-2과정과;
    상기 제7-1과정에 의해 상기 버디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 중에서 와처 정보가 변경되고,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상기 버디의 변경된 와처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버디에게 전송하는 제7-3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7-3과정은,
    상기 버디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이면, 즉시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와처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 메시지를 상기 버디에게 전송하는 제7-3a과정과;
    상기 버디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이면, 상기 버디가 프리젠스 서버에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전송하여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등록할 때,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와처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버디에게 전송하는 제7-3b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7-3과정에 의한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버디가, 자신의 베이직 프리젠스 정보에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한 와처(즉, 상기 사용자)에 대해 권한(Authorization)을 부여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오스 서브스크라이브(AUTH SUBSCRIBE)를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7-4과정과;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와처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버디에게 전송하는 제7-5과정과;
    상기 7-4과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에서 버디 정보가 변경되고,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버디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7-6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7-6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이면, 즉시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버디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7-6a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가 오프라인(off-line/closed) 상태이면, 이 사용자가 프리젠스 서버에 이니셜 서브스크라이브(INITIAL SUBSCRIBE)를 전송하여 현재 상태 정보가 온라인(on-line/open)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등록할 때, 상기 프리젠스 서버가 변경된 버디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파이(NOTIFY)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제7-6b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KR1020040098710A 2004-11-29 2004-11-29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KR10064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10A KR100642215B1 (ko) 2004-11-29 2004-11-29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10A KR100642215B1 (ko) 2004-11-29 2004-11-29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83A KR20060059583A (ko) 2006-06-02
KR100642215B1 true KR100642215B1 (ko) 2006-11-02

Family

ID=3715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710A KR100642215B1 (ko) 2004-11-29 2004-11-29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220B1 (ko) * 2005-08-2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의 경유경로 감춤 장치 및 방법
WO2008041830A1 (en) * 2006-10-03 200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ls notification rule for multiple presentities
KR100915187B1 (ko) * 2007-05-14 2009-09-02 엔에이치엔(주) 프레즌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X2010008351A (es) 2008-01-29 201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para proporcionar un servicio de comparticion de contenidos, y un dispositivo para el mismo.
US9204084B2 (en) 2008-01-29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recording control method for peers, and a device therefor
KR100977181B1 (ko) * 2009-07-22 2010-08-23 엔에이치엔(주) 프레즌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856A (ja) 2003-02-07 2004-08-26 Nec Corp 仮想プレゼン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856A (ja) 2003-02-07 2004-08-26 Nec Corp 仮想プレゼンス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FC3265,http://www.ietf.org/rfc/rfc3265.txt?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83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788B2 (en) Schema-based services for identity-based access to device data
US10474660B2 (en) Universal data aggregation
KR100554239B1 (ko) 사용자 및 클라이언트 아이덴티티 인스턴트 메시징 분리
EP1397923B1 (en) Mobile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EP2586171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granting temporary access to electronic content
JP4909496B2 (ja) いくつかのエンティティのプレゼンス情報にアクセスする方法
EP0782304B1 (en) Universal message storage system
US78180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communication groups
US77970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lk group distribution
US8487770B2 (en) Programmable presence proxy for determining a presence status of a user
EP0782316B1 (en) Universal message delivery system
US8195137B2 (en)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for mobile traffic
JP5847579B2 (ja) ユーザが、少なくとも1人の他のユーザによって提供される少なくとも1つのサービ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864716B1 (en) Talk group management architecture
US20050071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electronic mail message with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sender
US201000234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torage access rights management
US9634865B2 (en) Method of providing quick answer service in SIP message service system
WO2007068195A1 (fr) Procede et systeme de demande d'informations d'utilisateur, agent de recherche, client et serveur
WO2007109962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réalisation d'un service de présence,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 de présence et client de corps de présence
US200900491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stant messaging community
US78442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n and opt-out talk group management
JP2005532727A (ja) プレゼンス情報の更新
KR100642215B1 (ko)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확장된 프리젠스 정보를 위한 xml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EP2075986A1 (en) Enhanced presence server system
US8490202B2 (en) Method for mask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