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642B1 -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642B1
KR100641642B1 KR1020050043381A KR20050043381A KR100641642B1 KR 100641642 B1 KR100641642 B1 KR 100641642B1 KR 1020050043381 A KR1020050043381 A KR 1020050043381A KR 20050043381 A KR20050043381 A KR 20050043381A KR 100641642 B1 KR100641642 B1 KR 10064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per
conveyor
ba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해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2Feeding or positioning web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제작 과정에서 정상작업된 원지의 진행상황에는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불량원지만을 외부로 배출하여 원지의 진행상황 변화를 보정해야 함에 따른 작업시간지연 및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하고, 불량원지의 수거가 보다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의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그 사이로 원지가 진행되고, 상부컨베이어가 2세트 이상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된 이송장치부를 갖는 상자 제작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컨베이어의 간격 사이에 원지유도단부가 원지의 진행선상에 간섭/이탈되도록 구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 중 위치가 고정된 어느 일측의 컨베이어에 설치된 배출구동부와; 상기 원지유도단부에 의해 유도된 불량원지의 진행선상 상부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배출유도롤러로 구성되며, 이들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컨베이어의 외면에 접촉되어 불량원지의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배출유도구동롤러인 배출유도부와; 상기 배출유도부에 의해 배출유도된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연장선상 상부에 배치되고, 불량원지를 상측으로 진행시켜 외부로 수거할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배출이송장치부로 이루어진다.
상자, 원지, 접착, 폴딩

Description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Inferior paper discharging apparatus for box ma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가 적용된 구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가 적용된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의 불량원지 배출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불량원지 배출장치 중 배출구동부의 구동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송장치부 20: 하부컨베이어
30: 상부컨베이어 40: 배출구동부
41: 배출유도기구 42: 실린더
43: 배출유도단부 50: 배출유도부
51: 배출유도구동롤러 52: 배출유도피동롤러
60: 배출이송장치부 61: 프레임
62: 배출이송컨베이어 63: 가이더
67: 수거함
본 발명은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상자제작 과정에서 정상작업된 원지의 진행상황에는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불량원지만을 외부로 배출하여 원지의 진행상황 변화를 보정해야 함에 따른 작업시간지연 및 생산성 저하의 요인을 해소하고, 불량원지의 수거가 보다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상자 제작기기는 상자를 제작하기 위해 재단된 원지가 공급위치에 세팅되면, 세팅된 원지를 순차적으로 진행시키며 특정의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 및 폴딩라인을 형성하고 다수회 폴딩(folding)하여 물품의 보관, 제품의 포장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상자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된 상자 제작기기는 재단된 원지를 각 과정별로 이송시키기 위해 원지의 진행구간 상, 하측에는 다수의 컨베이어 밸트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가 설치되며, 이 이송장치는 원지의 이송정확성 확보를 위한 가압지점을 증가시키기 위해 판넬형태의 베이스에 다수개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배열설치하고, 롤러의 외측에 밸트가 감겨지는 통상의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자 제작기기의 상자 제작과정은, 원지가 적재되어 공급되는 원 지공급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원지가 이송되며 목적하는 위치에 접착제 도포 및 폴딩라인이 형성되어 기초작업이 수행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를 원지의 진행방향에서 전, 후, 좌, 우로 폴딩하는 과정에 의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폴딩작업이 수행된 원지는 접착제 도포상태가 불균일하거나 잘못 재단된 원지가 공급되어 폴딩된 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인쇄 상태가 불량한 원지 등을 감지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된 배출장치는 원지의 기초작업이 수행되고 폴딩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상태가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상태가 불량한 원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배출장치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8-0021786호(출원일자 1998. 06. 11, 이하 기 출원발명)의 "판상가공물의 컨베이어 내의 분류장치"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된 기 출원발명은 원지(기 출원발명에서는 "용지"로 표기)가 정상진행되는 컨베이어의 폴딩과정이 완료된 이후의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원지의 진행선상에서 그 상측의 롤러가 불량요인이 발생된 채로 진행되는 원지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가압된 원지의 끝단이 원지의 진행선상 하측에 설치된 분류앵글에 의해 하측으로 유도되어 불량원지를 하측으로 배출(기 출원발명에서는 "방출"로 표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 출원발명은 밸트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측의 롤러로 원지가 가압하도록 하면 밸트의 장력이 변화되어, 이와 하나의 밸트에 의해 연결된 컨베이어의 밸트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원지의 진행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진행속도의 변화는 항상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진행되어야 하는 원지의 진행간격이 다소나마 변화되고, 이와 같은 진행간격의 변화에 의해 일정시간 작업을 진행한 후 장치를 정지시키고, 원지의 진행간격을 재설정한 후 다시 구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및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과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더불어, 상기 기 출원발명은 불량이 발생된 원지를 하측으로 배출하게 되어 장치의 하측의 재순환 용기에 수집하게 되지만, 대체로 장치의 하부는 프레임, 또는 베이스에 의해 대략 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집된 불량원지를 외부로 수거하기 위해서는 재순환 용기를 별도의 조립체로 하여 그 자체를 외부로 이탈시키거나 은폐된 상태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신체 일부를 장치의 내부로 강제 투입하여 불량원지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써,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원지의 이송과정에 간섭됨 없이 불량이 발생된 원지만을 상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정상작업된 원지의 진행상황에 간섭되지 않도록 불량원지를 배출하고, 배출된 불량원지가 작업자의 원지 수거가 편리한 눈높이 정도의 위치에서 수집되도 록 하여 작업불량요인의 신속한 확인에 따른 불량요인의 신속한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불량원지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의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그 사이로 원지가 진행되고, 상부컨베이어가 2세트 이상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된 이송장치부를 갖는 상자 제작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컨베이어의 간격 사이에 원지유도단부가 원지의 진행선상에 간섭/이탈되도록 구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 중 위치가 고정된 어느 일측의 컨베이어에 설치된 배출구동부와; 상기 원지유도단부에 의해 유도된 불량원지의 진행선상 상부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배출유도롤러로 구성되며, 이들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컨베이어의 외면에 접촉되어 불량원지의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배출유도구동롤러인 배출유도부와; 상기 배출유도부에 의해 배출유도된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연장선상 상부에 배치되고, 불량원지를 상측으로 진행시켜 외부로 수거할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배출이송장치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가 적용된 구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가 적용된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 한 불량원지 배출장치의 불량원지 배출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불량원지 배출장치는 급지된 원지에 접착제 도포 및 폴딩라인을 형성하는 등의 기초작업이 수행되고, 기초작업된 원지가 기초작업된 과정 이후의 구간에 설치된다.
상기 불량원지 배출장치가 적용된 상자 제작기기는 원지의 기초작업수행에서 부터 박스로 완성되기 위해 폴딩된 원지가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의 전과정에 걸쳐 이송장치부(10)가 설치되며, 이 이송장치부(10)는 상부와 하부의 컨베이어(30, 20)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원지는 상, 하부의 컨베이어(30, 20) 사이로 진행되어 하부의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고 상부의 컨베이어(30)에 가압되어 이송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부(10) 중 하부 컨베이어(20)는 각각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기 위해 베이스(21)에 다수의 롤러(22)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설치되고, 이들 롤러(22)에는 벨트(23)가 장착되어 원지의 이송구간을 형성하게 되며, 다수의 롤러(22) 중 어느 하나의 것에는 동력발생기구인 모터(24)에 의해 구동되어 벨트(23)의 진행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부 컨베이어(30)는 설치플레이트(31)에 다수의 롤러(32)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설치되고 이들 롤러(32)에 벨트(33)가 장착되며, 이들 롤러(32) 중 어느 하나에 동력발생기구인 모터(34)와 결합하여 벨트구동이 가능한 구성을 구현한 것으로, 하부 컨베이어(20)의 상부에 2이상의 세트(set)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 며 배열설치된다.
상기된 배출장치는 배출구동부(40), 배출유도부(50), 배출이송장치부(6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가지며, 2세트 이상의 상부 컨베이어(30)의 배열에 의해 발생되는 간격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동부(40)는 상부컨베이어(30)의 간격 사이에 원지유도단부(43)가 원지의 진행선상에 간섭/이탈되도록 구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30, 20) 중 위치가 고정된 어느 일측의 컨베이어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구동부(40)는 배출유도기구(41)와, 구동기구인 실린더(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유도기구(41)는 일 끝단부가 불량원지를 상향유도하기 위해 상향 만곡된 원지유도단부(43)로 형성되고,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 각도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즉, 배출유도기구(41)는 대략 3각형의 형태를 유지하여 일끝단에 원지유도단부(43)가 형성되고, 이와 대략 수평한 끝단에 힌지결합지점이 형성되며, 나머지 끝단이 실린더(4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2)는 배출유도기구(41)의 각도회전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원지유도단부(43)의 타측(상기된 "나머지 끝단")에 결합되고,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배출유도기구(41)를 각도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2)는 반드시 하부컨베이어(2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로써 배출유도기구(41)가 수평한 바(bar)의 형태일 경우 그 중심에 힌지결합지점을 두고 상부컨베이어(30)의 고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배출유도기구(41)를 각도회전시키는 등과 같이 배출유도기구(41)의 형태에 따라 여러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50)는 원지유도단부(43)에 의해 유도된 불량원지의 진행선상 상부에 배치된 2개 이상(도면에서는 2개)의 배출유도롤러(51, 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들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컨베이어(30)의 외면에 접촉되어 불량원지의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배출유도구동롤러(51)가 되며, 그 나머지 롤러가 배출유도피동롤러(52)가 된다.
상기된 각 롤러의 결합지점은 배출유도구동롤러(51)의 경우 상부컨베이어(30)의 설치플레이트(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 일측이 벨트(33)의 외면에 접촉하여 인접한 상부컨베이어(30)의 롤러(32)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하여 불량원지의 배출방향과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피동롤러(52)는 상, 하부컨베이어(30, 20)의 베이스(21) 또는 설치플레이트(31)와 연결결합된(도면에서는 설치플레이트와 연결) 연결대(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배출유도구동롤러(51)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배출유도피동롤러(52)는 배출유도구동롤러(51)에 의해 진행되는 불량원지를 배출유도구동롤러(51)에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진행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외면에 브러쉬(5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이송장치부(60)는 배출유도부(50)에 의해 배출유도된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연장선상 상부에 배치되고, 불량원지를 상측으로 진행시켜 외부로 수거할 위치까지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이송장치부(50)는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프레임(61)을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61)에 배출이송컨베이어(62)와 가이더(63)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이송컨베이어(62)는 배출유도부(50)에 의해 유도진행되는 원지를 수거위치까지 이송하기 위해 프레임(61) 상에 회전가능한 다수의 롤러(64)를 배열설치하고, 이들 롤러(64)에 벨트(65)를 장착하여 불량원지의 진행구간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롤러(64) 중 어느 하나에 모터 등의 동력발생기구를 결합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컨베이어(30)를 구동시키는 모터(34)에서 벨트(또는 체인, 와이어 등) 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벨트(65)가 궤적을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더(63)는 배출이송컨베이어(62)의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측면에 일정간격(불량원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배출이송컨베이어(62) 또는 상기 프레임(61)의 고정된 지점과 연결되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이송장치부(60)는 불량원지가 배출되는 각도 및 작업자가 불량원지를 수거하기 위한 최적의 각도와 길이로 상부컨베이어(20) 상측에 설치되며, 배출이송컨베이어(62)의 끝단지점에 불량원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프레임(61)에 결합된 수거함(67)을 포함한다.
도 4는 상기 불량원지 배출장치 중 불량원지를 배출하는 배출구동부의 구동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장치부(10)의 상, 하부컨베이어(30, 20) 사이로 폴딩작업된 원지가 진행되고, 이 상태에서 이송장치부(10)의 일측에 설치된 불량원지 감지부(통상의 구성으로 도시생략)에 의해 불량이 발생된 원지가 감지되면, 감지된 불량원지는 배출구동부(40)에 의해 상측으로 구분되고, 배출유도부(50)에 의해 유도되어, 배출이송장치부(60)에 의해 이송되어 수거함(67)에 수집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동부(40)의 구동은 감지된 불량원지가 이송될 때 배출유도기구(41)가 실린더(42)의 구동에 의해 각도회전되어 배출유도단부(43)가 원지의 이송선상에 간섭됨에 의해 불량원지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상측으로 이동한 불량원지는 그 선단이 배출유도부(50)의 배출유도구동롤러(51)에 의해 유도진행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유도단부(43)가 원지의 이송선상에서 이탈되도록 실린더(42)가 구동되어 각도회전되고, 이 때, 상기 배출유도피동롤러(52)는 외면의 브러쉬(53)가 유도진행되는 불량원지를 가압하여 진행안정성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유도된 불량원지는 곧이어 배출이송장치부(60)의 배출이송컨베이어(62)와 가이더(63)의 사이에서 상측으로 진행되어 수거함(67)에 투입된 후 외부로 수거되는 것이다.
이 때, 수거함(67)에 투입되어 수집된 불량원지는 대략 작업자의 눈높이가 되도록 수거함(67)의 높이를 설정하여, 작업자가 수집된 불량원지의 불량요인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른 상자 제작기기 상의 불량요인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정상작업된 원지의 진행상황에 간섭되지 않고 불량원지만을 배출하여 장시간의 작업 이 후에도 원지의 진행간격이 유지되므로써 별도의 원지간격 재설정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 및 생산성 저하 요인이 해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불량원지가 이송장치부의 상측으로 배출되고 수집되어 작업자가 이를 보다 손쉽게 외부로 수거할 수 있게 되므로써 작업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5)

  1. 상부와 하부의 컨베이어(30, 20)가 설치되어 그 사이로 원지가 진행되고, 상부컨베이어(30)가 2세트 이상으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된 이송장치부(10)를 갖는 상자 제작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컨베이어(30)의 간격 사이에 원지유도단부(43)가 원지의 진행선상에 간섭/이탈되도록 구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 하부 컨베이어(30, 20) 중 위치가 고정된 어느 일측의 컨베이어에 설치된 배출구동부(40)와;
    상기 원지유도단부(43)에 의해 유도된 불량원지의 진행선상 상부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배출유도롤러(51, 52)로 구성되며, 이들 롤러(51, 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컨베이어(30)의 외면에 접촉되어 불량원지의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배출유도구동롤러(51)인 배출유도부(50)와;
    상기 배출유도부(50)에 의해 배출유도된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연장선상 상부에 배치되고, 불량원지를 상측으로 진행시켜 외부로 수거할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배출이송장치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부(40)는
    일 끝단부가 불량원지를 상향유도하기 위해 상향 만곡된 원지유도단부(43)로 형성되고,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 각도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배출유도기구(41)와;
    상기 배출유도기구(41)의 각도회전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원지유도단부(43)의 타측에 결합되고,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배출유도기구(41)를 각도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50)는
    배출유도구동롤러(51)를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출유도롤러(52) 외면에 부러쉬(53)를 형성하여, 진행되는 불량원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이송장치부(60)는
    하부컨베이어(20)의 고정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결합된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에 설치되어 배출유도부(50)에 의해 유도진행되는 원지를 수거위치까지 이송하는 배출이송컨베이어(62)와;
    상기 배출이송컨베이어(62)의 불량원지가 진행되는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배출이송컨베이어(62) 또는 상기 프레임(61)의 고정된 지점과 연결되어 고정설 치된 가이더(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이송장치부(60)는
    배출이송컨베이어(62)의 원지가 배출되는 끝단부 위치의 프레임(61)에 불량원지가 수집되는 수거함(6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KR1020050043381A 2005-05-24 2005-05-24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KR10064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381A KR100641642B1 (ko) 2005-05-24 2005-05-24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381A KR100641642B1 (ko) 2005-05-24 2005-05-24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642B1 true KR100641642B1 (ko) 2006-11-02

Family

ID=3764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381A KR100641642B1 (ko) 2005-05-24 2005-05-24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6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765B1 (ko) 국수의 종이 결속 포장장치
US3406963A (en) Timed bottom feed magazine
US3716964A (en) Wrapping sheet dispenser for roll wrapping machine
KR101421427B1 (ko) 2d/3d 캐드캠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
KR100711195B1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0722515B1 (ko) 두개의 라인으로된 에어컨 콘덴서용 냉매관의 가공장치
CN109159475B (zh) 箱体输送线、包装箱组装设备及箱体预处理方法
KR100641642B1 (ko)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KR101937554B1 (ko)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CN109159474B (zh) 提手筛选机构、包装箱组装设备及提手筛选方法
CN109159476B (zh) 包装箱组装装置
KR100641643B1 (ko) 상자 제작기기용 불량원지 배출장치
CN213564615U (zh) 一种全自动糊盒机的送纸装置
CN1058664C (zh) 模版释放装置
CN105016126B (zh) 一种具有切刀功能的全自动纸辊覆膜切割机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CN113682598A (zh) 一种自适应封箱侧贴标机
CN207345149U (zh) 纸板机
KR101589875B1 (ko) 드럼인쇄기로부터 인쇄된 골판지를 로터리 슬로터로 운반하기 위한 골판지 운반장치
US1185600A (en) Method and machine for straightening coated paper.
CN220945522U (zh) 一种浆层纸生产用多工位分切机
KR101484632B1 (ko) 포장용기 제조장치
CN219190465U (zh) 一种包装膜切割装置
KR102497154B1 (ko) 포장박스 자동 테이핑장치
CN109159477B (zh) 具有摇盖分离导向功能的箱体输送线及包装箱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