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36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36B1
KR100641436B1 KR1020040049278A KR20040049278A KR100641436B1 KR 100641436 B1 KR100641436 B1 KR 100641436B1 KR 1020040049278 A KR1020040049278 A KR 1020040049278A KR 20040049278 A KR20040049278 A KR 20040049278A KR 100641436 B1 KR100641436 B1 KR 10064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diting
screen
broadcast name
ed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420A (ko
Inventor
배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편집에서 방송이름편집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동시에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즉, 본 발명은 튜너 및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편집화면상에서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상기 채널 편집화면에 팝업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 편집 및 채널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널편집 화면에서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띄울 수 있으므로 채널 편집화면과 방송이름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방송이름기능 이외의 타 기능에 대해서도 구현이 가능함을 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표시기기/채널편집화면/방송이름편집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채널편집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채널편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방송이름 편집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을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튜너 102 : 디먹스
103 : 영상신호 처리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5 : 음성신호 처리부 106 : 스피커
107 : 키 입력부 108 : 제어부
109 : 메모리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편집 화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채널편집 기능과 기타 다른 기능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기로써, 티브이 또는 모니터 등이 대표적인 영상표시기기 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국 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식의 티브이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수신할 수 없는 홈쇼핑, 전자 신문, 주식 정보 등 각종 부가 서비스가 추가되었고 대역폭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채널도 많이 추가되었다.
최근 들어 디지털 방송이 가속화되면서 위성/지상파/케이블을 통한 고화질/고음질 방송이 시작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에 비해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방송의 장점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비디오/오디오 압축방법(MPEG-2, AC-3)을 이용하여 고화질/고음질의 A/V를 압축하여 기존의 위성/지상/케이블 밴드를 통해 QPSK/VSB/QAM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한 채널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지상파 같은 경우는 기존의 한 채널에 SD 급은 4채널 이상, HD 급은 1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더불어 디지털 티브이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정보를 A/V와 같이 전송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늘어난 채널에 대 한 방송안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공중파 채널만을 수신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을 통한 다양한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현시점에서 적게는 50여개 많게는 100여 개 이상의 채널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압축 기술 및 전송의 압축 기술의 신장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보다 많은 채널을 방송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늘어난 채널 중에서 자기가 보고싶은 채널을 찾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해야만 한다. 그래서,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에는 선호 채널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많은 채널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채널만을 선호채널 항목에 추가하도록 한 것이며, 기존의 선호채널 설정의 편집기능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채널 편집 기능에서는 현재 채널 맵에 있는 채널번호는 굵은 채로 표시가 된다.
그리고, 좌/우/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 맵에 있는 채널로 이동한 후 리모콘상의 “선호채널” 이란 버튼을 입력하면 선호채널 리스트에 저장이 되고, 해당 채널번호앞에 하트(♥) 표시가 나타난다.
다시 한번 “선호채널” 버튼을 입력하면 선호채널 목록에서 삭제되고, 하트(♥) 표시 또한 삭제된다.
이와 같은 선호채널 설정 과정이 종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좌측에 선호채널 목록에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채널 목록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채널 절환을 시키면, 사용자는 일일이 채널 절환 할 필요 없이 간단한 리모콘 조작만으로 선호 채널을 선국 할 수 있다.
현재의 방송에서는 채널 69개의 채널과 유선 125개의 채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은 도 1과 같이 전체 채널의 번호를 모두 표시하고, 그 채널에 대한 채널의 존재 유무를 명암이나 색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선호 채널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이름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도 2와 같이 별도로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화면을 이용한 채널 편집방법 및 방송이름 편집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방법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채널편집 기능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S12).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2), 사용자가 채널편집 기능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도 1과 같은 채널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3).
그리고, 상기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면 현재 기억된 채널, 정보에 대한 채널 표시 및 채널을 튜닝한다(S14).
이어서 사용자가 채널 편집을 위한 키 입력이 존재하면 해당키 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15∼S19).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입력으로는, 상/하/좌/우키, 확인키, 선호채널키 및 취소/메뉴 키 등이 있으며, 사용자가 상/하/좌/우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이동하여 채널을 튜닝하는 기능이 있고, 사용자가 확인 키를 입력하면 채널 기억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채널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기억 및 지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취소나 메뉴키를 사용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종료되며, 이와 같이 채널 편집화면은 사용자가 임의의 채널을 기억, 지움을 수행하고, 또한 선호채널을 기억 및 지움 하는데 편리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한편 사용자가 채널편집 기능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일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S21).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방송이름 편집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S22).
그리고, 사용자가 방송이름 명령을 입력하면 도 2와 같은 방송 이름의 리스 트가 디스플레이 된다(S23).
그리고, 이때 현재 채널을 튜닝하며, 방송 이름의 화면의 초기위치를 디스플레이 한다(S24).
이어서 사용자가 방송이름 기능을 위한 키 입력을 하면 해당 키 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25∼S29).
또한,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한다(S30).
이때 사용자가 방송 이름 화면에서 상/하/좌/우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이름 로고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며, 확인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을 기억 또는 지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업/다운 키를 입력하면 현재 기억된 채널로 채널을 이동할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취소나 메뉴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기능화면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방송이름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일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S31).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채널 편집화면과, 도 2에 도시된 방송이름 정보는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면을 이동시켜가면서 기능들을 설정 해야만 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채널 편집화면과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튜너 및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편집화면상에서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상기 채널 편집화면에 팝업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 편집 및 채널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이름 편집화면은 상기 채널 편집화면상에 팝업 되어 디스플레이 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튜너,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채널편집화면상에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 후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채널편집화면에서 키 입력이 존재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키 입력에 있어서 방송이름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상기 채널편집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이름 편집화면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을 설정한 후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닫고 기타 채널편집을 위한 채널 편집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상기 채널편집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편집화면내 소정영역에 팝 업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튜너 및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 및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채널 편집 화면에서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팝업되고, 방송이름 편집 및 채널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01)와, 상기 튜너(101)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등을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102)와,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7)와, 상기 키 입력부(107)를 통해 입력되는 요구 명령에 따라 해당 명령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채널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채널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편집 화면상에서 방송이름 편집명령 입력시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팝업되고,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02)에서 분리된 음성신호가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05)와, 상기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부(104)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03)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7)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튜너(10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기 선택한 외부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7)를 통해 채널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종래와 마찬가지의 채널편집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되는 채널편집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7)를 통해 방송이름 편집을 위한 키를 입력하면 채널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방송이름 편집을 위한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팝 업 된다.
따라서, 상기 채널 편집을 하는 가운데, 사용자가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팝업되고, 방송 이름 편집화면에서 사용자가 방송 이름을 설정하며, 방송 이름 편집이 완료되면 방송 이름 편집 화면을 닫고, 기타 채널편집을 위한 채널 편집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채널 편집을 하는 가운데, 방송 이름 키를 입력하면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이름 기능을 설정하고, 방송이름 편집 화면을 닫으면, 다시 채널 편집을 위한 채널편집 화면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한다(S101∼S102).
그리고, 사용자가 채널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다(S103).
이어서 현재 기억된 채널정보에 대한 채널표시 및 채널을 튜닝한다(S104).
그리고 사용자가 채널편집 화면에서 키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 결과 키 입력이 존재하고, 상/하/좌/우 키가 입력되면 채널위치 이동 후 채널을 튜닝한다(S106∼S107).
또한 사용자가 상기 상/하/좌/우 키를 입력하지 않고 확인 키를 입력하면 채널기억 및 지움기능을 수행한다(S108∼S109).
이어서 사용자가 선호채널 키를 입력하면 선호채널의 기억 및 지움등을 수행한다(S110∼S111).
그리고 사용자가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12∼S113).
이어서 방송이름 화면의 초기위치를 동시에 표시한다(S114).
그리고 사용자가 키 입력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5).
이어서 사용자가 상/하/좌/우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로고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116∼S117).
또한 사용자가 확인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기억 및 지움 기능을 수행한다(S118∼S119).
이어서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 명령을 입력하면 기억된 채널로 채널을 이동하여 튜닝한다(S120∼S121).
한편 사용자가 취소, 메뉴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기능 메뉴를 완료하고 상기 채널편집 화면으로 복귀한다(S122∼S123).
또한 상기 채널 편집화면에서 사용자가 취소, 메뉴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원 영상신호로 복귀 하든지, 종료하든지 결정한다(S124∼S12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채널편집 명령을 선택하면 채널 편집화면(115)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때 채널 편집화면(115)에는 채널 번호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채널 편집 기능을 수행중 사용자가 방송이름 키를 이용하여 방송이름 화면(116)을 띄우게 되면, 방송이름 편집을 위한 화면은 상기 채널 편집화면내에 팝업 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방송이름 편집화면에서 방송이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텍스트(Text)를 이용하여 방송 이름을 직접 써서 입력할 수 도 있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채널편집 화면에서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띄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채널정보와 방송이름정보를 편집하기 위해 메뉴이동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채널 편집화면과 방송이름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방송이름기능 이외의 타 기능에 대해서도 구현이 가능함을 시사할 수 있다.

Claims (6)

  1. 튜너 및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편집화면상에서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상기 채널 편집화면에 팝업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 편집 및 채널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이름 편집화면은 상기 채널 편집화면상에 팝-업(Pop-Up) 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3. 튜너,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채널편집화면상에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 후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편집 및 방송이름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채널편집화면에서 키 입력이 존재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키 입력에 있어서 방송이름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상기 채널편집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이름 편집화면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방송이름을 편집한 후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닫고 기타 채널편집을 위한 채널 편집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이름 편집화면을 상기 채널편집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편집화면내 소정 영역에 팝업되는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6. 튜너 및 메모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 및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편집 명령을 입력하면 채널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채널 편집 화면에서 방송이름 키를 입력하면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상기 채널 편집 화면내에 팝 업 됨과 동시에 방송이름 편집 및 채널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편집화면 및 방송이름 편집 화면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KR1020040049278A 2004-06-29 2004-06-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4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78A KR100641436B1 (ko) 2004-06-29 2004-06-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78A KR100641436B1 (ko) 2004-06-29 2004-06-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20A KR20060000420A (ko) 2006-01-06
KR100641436B1 true KR100641436B1 (ko) 2006-10-31

Family

ID=3710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78A KR100641436B1 (ko) 2004-06-29 2004-06-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20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1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guides with category selection overlay
JP3857636B2 (ja) デジタルtvでチャネルマップを提供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515287A5 (ko)
KR100688651B1 (ko) 영상표시기기의 프로그램정보 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4811A (ko) 영상표시기기의 화질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002838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컨텐츠 운용방법
CN100418364C (zh) 具有屏幕切换时间显示功能的广播接收装置及其方法
JP4274780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54931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629537B1 (ko) 프로그램 제어장치 및 방법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KR1006414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5571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탐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840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611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437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7220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1015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326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KR1006867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252353B1 (ko) 복합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삭제 방법
KR20040059307A (ko) 영상 신호 수신 장치의 채널 속성 설정 방법
JP2007306118A (ja) 予約取消方法、予約取消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974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피아이피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