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15B1 -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15B1
KR100532615B1 KR10-2003-0004624A KR20030004624A KR100532615B1 KR 100532615 B1 KR100532615 B1 KR 100532615B1 KR 20030004624 A KR20030004624 A KR 20030004624A KR 100532615 B1 KR100532615 B1 KR 10053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user
mode
menu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498A (ko
Inventor
김수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모드 또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로의 동작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다수의 방송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와, 상기 방송채널 및 상기 메뉴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가 마련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뉴화면이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을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씩 이동시킬 수 있어 다른 방송채널로의 변경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and channel chan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에서 다른 방송채널로의 채널변경이 용이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위성수신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format)의 신호로 변환하는 일종의 방송용 모뎀이다.
디지털 방송의 특징 중 하나가 다채널화 이다. 즉, 디지털 방송에서는 수백~수천 개의 채널을 통해 방송프로그램이 제공되므로 시청자의 선택의 여지가 많아지는 동시에 프로그램 선택이 복잡하다. 그래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데이터서비스의 하나로서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 및 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메뉴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콘을 구비하여, 리모콘에 구비된 각종 조작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리모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채널을 조정하기 위한 채널 업/다운키(11 내지 14), 음량 업/다운키(21 및 22) 및 메뉴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페이지 업/다운키(31 및 32)를 포함하여 다수의 기능키가 마련되어 있다.
채널 업/다운키(11 내지 14)는 방송모드에서 방송채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되며, 페이지 업/다운키(31 및 32)는 사용자 메뉴모드에서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리고, 채널 업/다운키(11 내지 14)는 방송채널을 한 채널씩 가감시킬 수 있는 1채널 가산/감산키(11 및 12) 및 한번에 열 채널씩 가감시킬 수 있는 10채널 가산/감산 키(13 및 14)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모콘으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S100),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채널 변경 명령이 10채널 가산키(13)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10). S110 단계에서, 10채널 가산키(13)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10채널을 가산하여 채널을 변경시킨다(S120). 이와 달리 S110 단계에서, 10채널 감산키(14)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S130), 제어부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10채널을 감산하여 채널을 변경시킨다(S140).
한편, S110 단계 및 S140단계에서, 상기 채널 변경 명령이 10채널 가/감산키(13 및 14)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1채널 가산키(11)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50). 1채널 가산키(11)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1채널을 가산하여 채널을 변경시킨다(S160). 이와 달리, S150 단계에서 1채널 가산키(11)신호가 아닌 경우, 1채널 감산키(12)신호이므로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1채널을 감산하여 채널을 변경시킨다(S170).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다수의 방송채널이 존재하는 디지털 방송에서 1채널 가/감산키(11 및 12)로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채널이동폭이 작아 채널 변경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여 10채널 가/감산키(13 및 1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채널을 한번에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할 수는 있으나, 조작키의 증가로 리모콘의 구성이 복잡해져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방송채널을 10채널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은 방송채널이 증가되는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별도의 조작키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채널 변경시 다수개의 채널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어 채널변경이 용이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모드 또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로의 동작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다수의 방송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와, 상기 방송채널 및 상기 메뉴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가 마련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뉴화면이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및/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널이동폭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이동폭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모드 또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로의 동작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통해 방송채널 및 상기 메뉴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키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사용자 메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뉴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널이동폭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이동폭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대한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는 튜너부(210), IF 복조부(215), 채널디코더(220), TS디코더(225), 음향처리부(230), 스피커(235), 영상처리부(240), 디스플레이장치(245), OSD 처리부(250), 저장부(255), 적외선 수신부(260), 리모콘(265) 및 제어부(270)를 구비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는 디지털 위성수신기, 유/무선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장치 및 Web TV 수신기 등과 같은 셋탑박스(Set top box)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는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텔레비전을 통해 영상 및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튜너부(210)는 안테나(205)를 통해 수신되는 고조파(RF) 방송신호 중 후술할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되는 선국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의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출력한다.
IF 복조부(215)는 튜너부(210)로부터 출력되는 IF신호를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채널디코더(220)는 IF 복조부(215)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 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낸다. 채널디코더(220)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은 TS(Transport Stream)디코더(225)로 출력된다.
TS디코더(225)는 채널디코더(220)의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로부터 음향데이터, 영상데이터 및 부가데이터를 분리한다. TS디코더(225)에 의해 분리된 음향데이터는 음향처리부(230)로 입력되며, 영상데이터는 영상처리부(240)로 입력된다. 그리고 부가데이터는 제어부(270)로 입력된다. 이러한 부가데이터에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EPG) 및/또는 MPEG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대한 테이블들인 프로그램 사양정보,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가 포함된다.
음향처리부(230)는 TS디코더(225)로부터 입력되는 음향데이터를 MPEG규격 또는 돌비(dolby)AC-3규격에 따라 디코딩한 후 증폭하여 스피커(235)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영상처리부(240) TS디코더(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MPEG규격에 따라 디코딩한 후 증폭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4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40)는 영상데이터를 후술할 OSD 처리부(250)에서 제공되는 OSD 데이터와 합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245)를 통해 출력한다.
OSD 처리부(250)는 후술할 제어부(27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공하는 데이터를 OSD 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OSD 데이터는 영상처리부(240)로 출력된다.
저장부(255)는 제어부(270)의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롬(Flash 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제어부(27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과 같은 휘발성메모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55)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 및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255)에는 방송채널별 튜너 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적외선 수신부(260)는 리모콘(265)으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리모콘(265)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 및 숫자 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리모콘(265)에는 방송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채널 업/다운키 및 페이지 업/다운키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265)은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에서 10 채널 가/감산키(13 및 14)만 제거한 것으로, 종래 리모콘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키는 유선방식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의 본체 상에 키패드(Keypad)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70)는 적외선 수신부(260)를 통해 리모콘(265)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저장부(255)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즉, 제어부(270)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 중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변경 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적외선 수신부(260)를 통해 페이지 업/다운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70)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의 동작모드가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방송모드인지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인지를 확인한다.
동작모드 확인결과 동작모드가 사용자 메뉴모드인 경우, 제어부(270)는 페이지 업/다운키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45)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중인 메뉴화면 페이지를 업(up) 또는 다운(down) 시킨다. 사용자 메뉴모드에서 페이지 업/다운키에 의한 메뉴화면 페이지의 업/다운 동작은 통상의 페이지 업/다운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달리 동작모드 확인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 경우, 제어부(270)는 저장부(255)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부(255)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을 확인한 후,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업/다운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30채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10번채널을 시청하던 중에 102채널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페이지 업키를 다섯 번 조작한다. 그러면 10번 방송채널은 10채널-40채널-70채널-100채널 순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채널 업키(미도시)를 두 번 조작하면, 방송채널은 100채널-101채널-102채널 순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선국대상 방송채널이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해당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튜너부(27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선국대상 방송채널에 대응하여 저장된 튜너 설정정보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튜너부(210)로 전송한다. 즉, 안테나(205)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 중 선국대상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튜너부(210)에 선국대상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Frequency), 심볼레이트(Symbol rate) 및 FEC 등과 같은 정보를 설정해야 한다.
한편, 저장부(255)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업/다운 되도록 시킨다. 즉,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동폭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페이지 업/다운키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방송채널에서 10채널씩 업 또는 다운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10채널)을 이용하여 10번채널을 102번 채널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페이지 업키를 아홉 번 조작한다. 그러면 10번 방송채널은 10채널-20채널-30채널-40채널-50채널-60채널-70채널-80채널-90채널-100채널 순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채널 업키를 두 번 더 조작하여 102채널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이동폭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채널이동폭을 리모콘(265)에 마련된 조작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OSD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OSD 처리부(250)를 제어한다. 이때, 채널이동폭 설정메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65)에 마련된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65)에 마련된 숫자키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채널이동폭 설정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채널이동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방송모드에서 페이지 업/다운키를 이용하는 경우 방송채널을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채널 변경과 동일하게 방송채널을 1채널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270)는 적외선 수신부(260)를 통해 페이지 업/다운키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0 단계에서 페이지 업/다운키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지 사용자 메뉴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10).
S310 단계에서 현재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저장부(255)를 확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20). S320 단계에서 저장부(255)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현재방송채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업/다운된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채널번호를 확인한다(S330).
그리고, 제어부(270)는 해당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저장부(255)로부터 선국대상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튜너 설정정보를 독출하여 튜너부(210)를 설정한다(S340). 제어부(270)는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튜너부(210)를 제어한다. 튜너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한다(S350).
한편, S310 단계에서 현재 동작모드가 사용자 메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중인 메뉴화면 페이지에 대한 업/다운동작이 수행되도록 처리한다(S360).
또한, 상기 S320 단계에서 저장부(255)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 정보를 기초로 업/다운 되도록 처리한다(S370). 또한, 제어부(270)는 S370 단계 수행 후 S340 단계 및 S350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간단한 키 조작으로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에서 원하는 채널로의 이동이 용이하며, 방송신호가 존재하는 방송채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한 번에 다수개의 채널씩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페이지 업/다운키를 사용하면 되므로 리모콘(265)에 기능키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변경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키를 동작모드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리모콘 및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본체내의 키패널에 조작키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을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씩 이동시킬 수 있어 다른 방송채널로의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채널이동폭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 할 수 있으므로 방송채널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방송채널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용 리모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을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채널이동폭 설정메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210 : 튜너부
220 : 채널디코더 225 : TS디코더
230 : 음향처리부 240 :영상처리부
250 : OSD 처리부 260 : 적외선 수신부
265 : 리모콘 270 : 제어부

Claims (8)

  1.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모드 또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로의 동작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방송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튜너부;
    상기 방송채널 및 상기 메뉴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페이지키가 마련된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 및/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페이지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지 사용자 메뉴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을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메뉴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화면이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널이동폭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이동폭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5.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방송모드 또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메뉴모드로의 동작모드 전환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통해 방송채널 및 메뉴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키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지 사용자 메뉴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가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이동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을 상기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채널이동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디폴트로 설정된 채널이동폭 만큼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널이동폭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이동폭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채널 변경 방법.
KR10-2003-0004624A 2003-01-23 2003-01-23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KR10053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24A KR100532615B1 (ko) 2003-01-23 2003-01-23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24A KR100532615B1 (ko) 2003-01-23 2003-01-23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98A KR20040067498A (ko) 2004-07-30
KR100532615B1 true KR100532615B1 (ko) 2005-12-01

Family

ID=3735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24A KR100532615B1 (ko) 2003-01-23 2003-01-23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425B1 (ko) * 2005-05-11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 채널 선국 방법
KR100736483B1 (ko) * 2005-07-0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채널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98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093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운용 방법
KR1010263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18762B1 (ko)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KR100429221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정보 제공방법
WO2004006563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20050076389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for a video display appliance and method thereof
US20060156345A1 (en)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KR20060109717A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US20060156339A1 (en) Electric program guide receiving apparatus,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90191A1 (en) Controller device to be connected to tuner device via IEEE 1394 serial bus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KR1005326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변경 방법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KR100735190B1 (ko) 방송 편성 정보 안내 방법 및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611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0029357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33090B1 (ko) 디지털 tv의 제어방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KR101101503B1 (ko) 디지털티브이 채널 선국 방법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JP4682642B2 (ja) 受像装置および録画装置の再生コンテンツ選択装置
JP200423577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