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235B1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1235B1 KR100641235B1 KR1020040115612A KR20040115612A KR100641235B1 KR 100641235 B1 KR100641235 B1 KR 100641235B1 KR 1020040115612 A KR1020040115612 A KR 1020040115612A KR 20040115612 A KR20040115612 A KR 20040115612A KR 100641235 B1 KR100641235 B1 KR 100641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dio
- signal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audio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102100032533 ADP/ATP transloc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6396 ADP/ATP transloc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000768061 Escherichia phage P1 Antirepressor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796932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718417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FM; Frequency Modulation) 송신 기능에 의해, 수신측 오디오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 된 오디오신호와 원래 오디오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에프엠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송신 출력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된 오디오신호와 재생중인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오디오변조신호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한 에프엠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기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eeds an audio signal reproduced by a receiving side audio device through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frequency modulation (FM)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convenience by comparing the feedback audio signal with the original audio signal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of the FM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M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t is to improve th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hat receiv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compares the feedback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being reproduced,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output power of the audio modulation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 terminal; And an audio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ame FM frequency band as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modulating the received audio modulation signal,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according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이동통신단말기 101:오디오재생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udio playback unit
102:지연부 103:에프엠변조기102: delay unit 103: FM modulator
104:전력증폭부 105:마이크104: power amplifier 105: microphone
106:비교기 107:저역필터106: comparator 107: low pass filter
108:송신출력 전력제어부 200:오디오기기108: transmission output power control unit 200: audio device
201,203:증폭부 202:에프엠복조기201,203: amplifier 202: FM demodulator
ANT1, ANT2: 안테나ANT1, ANT2: Antenna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FM; Frequency Modulation) 송신 기능에 의해, 수신측 오 디오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 된 오디오신호와 원래 오디오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에프엠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송신 출력전력을 높이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n FM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o convert an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a receiving audio receiver to a microph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feedback through the feedback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audio signal, and increases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of the FM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M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t relates to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술개발이 점차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카메라 기능을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하여 음성통화 서비스를 지원함과 아울러, 카메라 기능을 서비스하여 촬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 기능과 함께 이동통신단말기에 많이 탑재되는 기능 중에는 MP3 기능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MP3기능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MP3파일 등의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해 재생중인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Recently, technology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gradually developing. Accordingly, the camera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pport the voice call service, and the camera function can be used to shoot. Among the function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the camera function, there is an MP3 function. The MP3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ys a music file such as an MP3 fil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enjoy the music being played through the earphone or the speaker.
상기 MP3 기능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한 특징은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MP3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별도의 MP3 플레이어를 휴대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The main fea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MP3 function is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ways equipped with the MP3 function to enjoy music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P3 player.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 자체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음악을 감상해야 하므로, 웅장한 음악을 감상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와 이어폰이 아닌 외부의 오디오 기기를 통해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도록 에프엠 송신 기능을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하였다. However,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listen to music through its own speaker or earphone, there is a limit to listening to the grand music. Therefore, the FM transmission function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through an external audio device other than the speaker and earphon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외부의 오디오 기기를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상기 에프엠 송신 기능을 통한 음악감상을 하기 위해서 는 우선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의 오디오 기기의 에프엠 주파수를 동일하게 맞춰야 한다. 사용자는 깨끗한 음질을 서비스 받기 위해 채널을 변경해가며 에프엠 주파수를 설정한다.Accordingly, the music play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njoyed through an external audio device. In this case, in order to enjoy music through the FM transmission function, the FM frequenci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audio device must be equally set. The user sets the FM frequency by changing the channel to receive clean sound quality.
그러나, 종래 에프엠 송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디오 송신출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에프엠 송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주파수에, 외부환경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여도 이를 해결하지 못하여 깨끗한 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FM transmission function does not hav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udio transmission output, so even if interference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 occurs in the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it is not solv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clear audio signal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FM; Frequency Modulation) 송신 기능에 의해, 수신측 오디오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 된 오디오신호와 원래 오디오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에프엠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송신 출력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using the FM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receiving side audio device is converted into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the feedback through the feedback audio signal and the original audio signal,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of the FM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M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된 오디오신호와 재생중인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오디오변조신호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n audio device, compares the feedback audio signal with the reproduced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output power of the audio modulated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한 에프엠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기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udio device for receiving an audio 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ame FM frequency band as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modulating the received audio modulation signal,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accordingly. It is don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An audio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specific music file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는 마이크와;A microphone for feeding back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상기 오디오 재생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A delay unit for dela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reproduc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받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지연부의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with the audio signal of the delay unit and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비교기의 차이신호를,저역 필터링하여 그에 따른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저역필터와;A low pass filter for low pass filtering the difference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outputting a difference signal accordingly;
상기 저역필터에서 필터링된 차이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송신출력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출력 전력제어부와;A transmission output power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difference signal filtered by the low pass filter with a re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오디오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알에프신호와 혼합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에프엠변조기와;An FM modulator for mixing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audio reproducing unit with an RF signal and outputting an audio modulation signal accordingly;
상기 송신출력 전력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프엠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의 전력레벨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 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nd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level of the audio 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FM modulator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audio mod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ntenna.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and effects on the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시스템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된 오디오신호와 재생중인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오디오 변조신호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동일한 에프엠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특정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101)와; 상기 오디오 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는 마이크(105)와; 상기 오디오 재생부(10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102)와; 상기 마이크(105)를 통해 피이드백 받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지연부(102)의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06)와; 상기 비교기(106)의 차이신호를,저역 필터링하여 그에 따른 차이신호를 출력하는 저역필터(107)와; 상기 저역필터(107)에서 필터링된 차이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송신출력모드를 제어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와; 상기 오디오 재생부(101)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알에프신호와 혼합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에프엠변조기(103)와; 상기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프엠변조기(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의 전력레벨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를 안테나(ANT1)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증폭부(104)를 구비한다.The
상기 오디오기기(200)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변조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는 제1 증폭부(201)와; 상기 제1 증폭부(20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에프엠 복조기(202)와; 상기 에프엠 복조기(20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204)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203)를 구비한다.The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먼저, 오디오기기(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동일한 에프엠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데, 즉 제1 증폭부(201)는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변조신호를, 일정 레벨 증폭하고, 에프엠복조기(202)는 상기 제1 증폭부(20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며, 제2 증폭부(203)는 상기 에프엠 복조기(20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204)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First, the
이때, 상기 스피커(204)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송신 주파수의 주변환경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거나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여,상기 스피커(204)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원래의 음을 발생하지 못하고 잡음신호가 출력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오디오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마이크(105)를 통해 피이드백받아, 그 오디오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일정 레벨이상의 잡음신호를 포함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송신출력을 고출력모드로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된 오디오신호와 재생중인 오디오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오디오 변조신호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That is, the
상술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송신출력 제어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nsmission output control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우선, 오디오 재생부(101)는 특정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105)는 상기 오디오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피이드백 받는다.First, the
이때, 지연부(102)는 상기 오디오 재생부(10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데, 즉 오디오 재생부(101)에서 출력되는 원래의 오디오신호와 상기 마이크(105)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시간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송수신 경로만큼 지연시킨다.At this time, the
이후, 비교기(106)는 상기 마이크(105)를 통해 피이드백받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지연부(102)의 오디오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한 차이신호를 저역필터(107)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역필터(107)는 상기 비교기(106)에서 출력되는 차이신호를 저역필터링하는데, 즉 상기 저역필터(107)는 펄스폭변조신호의 형태로 이루어진 차이신호를 필터링하여 직류신호로 출력한다.Thereafter, the
이후,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는, 상기 저역필터(107)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차이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송신출력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력증폭부(104)에 인가하는데, 즉 상기 저역필터(107)에서 필터링된 차이신호가 기준신호보다 작으면 송신출력 전력을 저출력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저역필터(107)에서 필터링된 차이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크면 송신출력 전력을 고출력 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transmission output
한편, 에프엠 변조기(103)는 상기 오디오 재생부(101)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알에프신호와 혼합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를 전력증폭부(104)에 인가한다.Meanwhile, the FM modulator 103 mixes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이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부(104)는 상기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에프엠변조기(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의 전력레벨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그에 따른 오디오 변조신호를 안테나(ANT1)를 통해 송신하는데, 즉 상기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의 저송신 출력모드 제어신호에 의해, 에프엠변조기(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의 전력레벨을, 기설정된 정상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송신출력 전력제어부(108)의 고송신출력모드 제어신 호에 의해, 에프엠변조기(10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변조신호의 전력레벨을, 기설정된 고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Accordingly, the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FM; Frequency Modulation) 송신 기능에 의해, 수신측 오디오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 된 오디오신호와 원래 오디오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에프엠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송신 출력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receiving audio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FM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d with the original audio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of the FM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M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FM; Frequency Modulation) 송신 기능에 의해, 수신측 오디오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피이드백 받아, 그 피이드백 된 오디오신호와 원래 오디오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에프엠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에프엠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송신 출력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주변환경의 변화에 의한 에프엠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열화를 최소화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udio signal reproduced by a receiving side audio device through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FM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s the original audio signal with the original audio signal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transmission output power of the FM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M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by minimizing deterioration due to interferenc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5612A KR100641235B1 (en) | 2004-12-29 | 2004-12-29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5612A KR100641235B1 (en) | 2004-12-29 | 2004-12-29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6982A KR20060076982A (en) | 2006-07-05 |
KR100641235B1 true KR100641235B1 (en) | 2006-11-02 |
Family
ID=3716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5612A KR100641235B1 (en) | 2004-12-29 | 2004-12-29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1235B1 (en) |
-
2004
- 2004-12-29 KR KR1020040115612A patent/KR1006412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6982A (en) | 2006-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95809B2 (en) |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with bass enhancement | |
US703147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speaker | |
US20070230714A1 (en) | Time-delay hearing instrument system and method | |
JPH07131268A (en) | Telephone set | |
KR100641235B1 (en)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2078037A (en) | Wireless loudspeaker | |
KR101108809B1 (en) | FM transmission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 |
JP2003263872A (en) | Audio output device | |
KR101576680B1 (en) | Vehicle audio system and method of reproducing its radio signal | |
JP3310070B2 (en) | Voice communication device with echo canceller | |
JP7054751B2 (en) |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 |
JP2007036908A (en) | Audio output device | |
KR10034250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ording voice signals of mobil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
JP2002191074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usic reproducing device | |
JP3444802B2 (en) | Wireless communicator | |
KR200375494Y1 (en) |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er for mobile phone | |
KR20030042612A (en) | A stereo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a computer audio signal | |
KR200266817Y1 (en) | A stereo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a computer audio signal | |
KR100469846B1 (en) | Hands-free For Halmet Radio | |
JP2002218013A (en) | Audio device | |
JP2024005139A (en) | wireless receiver | |
KR200279855Y1 (en) | Transmitter apparatus for wireless output a music data and voice data | |
KR20030026723A (en) | Sub woofer system of audio | |
FI107426B (en) | Sound reproduction module arrang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station | |
JPH02193441A (en) | Telephon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