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198B1 -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198B1
KR100641198B1 KR1020050031189A KR20050031189A KR100641198B1 KR 100641198 B1 KR100641198 B1 KR 100641198B1 KR 1020050031189 A KR1020050031189 A KR 1020050031189A KR 20050031189 A KR20050031189 A KR 20050031189A KR 100641198 B1 KR100641198 B1 KR 10064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s
mobile communication
platform
service provi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996A (ko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9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EFS에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탑재하고 제2 EFS에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탑재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Embedded File System)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를 후술할 이동 통신 모뎀부와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부팅을 시도하고,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한 부팅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에 제2 EFS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MSM)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부팅 시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두 국가의 서로 다른 플랫폼의 서비스망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 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EFS(EMBEDDED FILE SYSTEM) AND PLATFORM SUPPLYING METHOD BY THEREOF}
도1은 본 발명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 통신 모뎀부(MSM) 20:스위칭부
30:제1 EFS 40:제2 EFS
50:배터리
본 발명은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EFS에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탑재하고 제2 EFS에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탑재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플랫폼을 제공 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EFS(Embedded File System)를 구비하고, 이 EFS는 단말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구조는 단말기의 각 제조업체마다 다르고, 단말기가 서비스 받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구성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국제로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이용할 수 있고, 이동 통신 사업자간 소프트웨어 호환이 이루어진 지역(국가)에서는 SMS/MMS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EFS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국가를 자주 왕래하는 경우에는 매번 공항에서 국제로밍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여 사용해야 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제로밍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SMS/MMS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제1 EFS에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고, 제2 EFS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여 단말기 부팅 시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한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망으로의 연결이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제2 EFS에 구 성된 제2국의 서비스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두 국가의 서로 다른 플랫폼의 서비스망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Embedded File System)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를 후술할 이동 통신 모뎀부와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부팅을 시도하고,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한 부팅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에 제2 EFS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MSM)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은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부팅 시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 시도 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의 듀얼 EFS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제2국에서 단말기 서비스를 받기 위해 매번 국제로밍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필요없이 서로 다른 두 국가 플랫폼의 서비스망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EFS와 제2 EFS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초기 부팅 시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하고, 그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인 경우 부팅 모드를 제2 EFS로 전환하고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의 서 비스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즉, 제2 EFS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번 제2국의 국제로밍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필요가 없고, 또한 기본 서비스 플랫폼에 의한 부팅이 실패한 경우 제2국의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동 전환하여 부팅을 시도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부 구성 블록도를 표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모뎀부(MSM)(10)와, 스위칭부(20)와, 제1 EFS(30)와, 제2 EFS(40)와, 배터리(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1을 참고하면, 제1 EFS(30)는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망의 등록 채널과 통화채널 및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 포함된다.
제2 EFS(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의 등록 채널과 통화채널 및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2 EFS(40)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스위칭부(20)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1 EFS(30) 혹은 제2 EFS(4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단말기 부팅 시 기 설정된 부팅 조건에 의해 이동 통신 모뎀부(10)로부터 수신받고, 전원은 배터리(50)로부터 공급받아 단말기의 전원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말기가 재부팅하는 경우에도 설정데이터가 초기화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부팅 조건은 제1 EFS(30)에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시도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3회)인 경우를 의미하고, 그 부팅 조건에 의해 스위칭부(20)는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2 EFS(40)를 연결한다.
이동 통신 모뎀부(MSM)(10)는 단말기 부팅 시 스위칭부(20)에 의해 연결된 제1 EFS(30)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하고, 제1 EFS(30)에 의한 부팅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20)로 제2 EFS(40)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2 EFS(40)를 연결하고, 단말기를 자동 재부팅하여 상기 제2 EFS(40)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도2는 도1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를 표시한 것으로, 제1 EFS(30)를 이용한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의 연결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3회)인 경우 제2 EFS(40)로 전환하고,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말기 부팅 시 제1 EFS(30)와 연결하고, 제1 EFS(30)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시도가 실패하고, 그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인 경우 제2 EFS(40)로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와, 단말기를 재부팅하고, 모드 전환된 제2 EFS(40)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 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회수는 3회가 적당하고, 이 회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말기 생산업체에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럼, 상기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면 스위칭부(20)는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1 EFS(30)를 자동 연결시키고, 제1 EFS(30)에 구성된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이용하여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사용자가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이 구성된 국내에 있는 경우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이 성공되어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된다. 즉, 단말기는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에 등록하기 위해 단말기에 부여된 등록 채널을 수취할 준비를 하고, 이동 통신망에서 송신하는 채널의 신호와 단말기의 등록 채널이 동기화되면 단말기는 호출(paging)을 통해 단말기의 정보를 이동 통신망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망은 단말기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등록을 허용하여 이동 통신망에 접속시킨다.
반면, 사용자가 국내가 아닌 제2국에 있는 경우 제1 EFS(30)에 의한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의 등록이 실패하면, 그 실패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 여기서는 3회 동안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제1 EFS 모드에 의한 등록 시도가 3회 실패하면, 이동 통신 모뎀부(10)에서 스위칭부(20)로 제2 EFS(40)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2 EFS(40)를 연결한다. 즉, 단말기의 부팅 모드를 제2 EFS 모드 로 전환한다.
상기 제2 EFS 모드로 전환되면 단말기는 자동 재부팅되고, 이때, 스위칭부(20)는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이동 통신 모뎀부(10)와 제2 EFS(4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가 재부팅되면 제2 EFS(40)에 구성된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제2 EFS(40)에 의한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의 등록 시도 시 사용자가 제2국에 위치하면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이 성공되어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되며,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의 등록 시도가 실패하고 그 등록 실패가 3회 반복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모드를 다시 제1 EFS 모드로 변환하여 재부팅한 후 상기 과정들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EFS에 사용자 단말기로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고, 제2 EFS에 국제로밍을 위한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국제로밍할 때마다 국제로밍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서로 다른 두 국가에 대한 서비스망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EFS에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고, 제2 EFS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을 구성하여 단말기 부팅 시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한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기본 서비스 이동 통신망으로의 연결이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제2 EFS에 구성된 제2국의 서비스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두 국가의 서로 다른 플랫폼의 서비스망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Embedded File System)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를 후술할 이동 통신 모뎀부와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EFS 혹은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부팅을 시도하고,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한 부팅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스위칭부에 제2 EFS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MSM)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단말기 재부팅 시에도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이동 통신 모뎀부와 제1 EFS 혹은 제2 EFS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3.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1 EFS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국의 서비스 사업자용 플랫폼으로 구성된 제2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부팅 시 상기 제1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 시도가 기 설정된 회수 실패한 경우 부팅 모드를 제2 EFS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EFS로 전환한 후 단말기를 재부팅하고, 제2 EFS에 구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2국 서비스 사업자용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회수는 3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0050031189A 2005-04-14 2005-04-14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KR10064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89A KR100641198B1 (ko) 2005-04-14 2005-04-14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89A KR100641198B1 (ko) 2005-04-14 2005-04-14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96A KR20060108996A (ko) 2006-10-19
KR100641198B1 true KR100641198B1 (ko) 2006-11-06

Family

ID=3761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189A KR100641198B1 (ko) 2005-04-14 2005-04-14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1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372A (ja) 2000-02-14 2001-10-12 Toshiba Corp 複数のプラットフォーム間を渡る統合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88471A (ko) * 2001-05-17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작동방법
KR20030037373A (ko) * 2001-11-03 2003-05-14 주식회사데이콤 듀얼모드 단말기 및 이를 통한 무선 랜망과 이동 전화망의로밍 서비스 구현방법
KR20040055427A (ko) * 2002-12-21 2004-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및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갱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372A (ja) 2000-02-14 2001-10-12 Toshiba Corp 複数のプラットフォーム間を渡る統合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88471A (ko) * 2001-05-17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작동방법
KR20030037373A (ko) * 2001-11-03 2003-05-14 주식회사데이콤 듀얼모드 단말기 및 이를 통한 무선 랜망과 이동 전화망의로밍 서비스 구현방법
KR20040055427A (ko) * 2002-12-21 2004-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및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갱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96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706B1 (ko) 통신작동시스템및그방법
KR100584443B1 (ko) 소프트웨어 콤포넌트 다운로드 관리 기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와 그 방법
EP1761088B1 (en) Customisation of mobile stations
US5966667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0566224B1 (ko) 무선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EP1244325B1 (en) Radio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for radio apparatus
KR100841510B1 (ko)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모듈식 데이터 구성요소
US2007006629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ownloading configuration fil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313257A (en) Selecting data relevant to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in vicinity of a programmable subscriber unit
KR20080104742A (ko)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선택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EP0825791A1 (en) Mobile telephone system
US71973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eable modular hardwa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641198B1 (ko) 듀얼 efs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플랫폼 제공 방법
KR20070092378A (ko) 서비스 프로파일 자동 갱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자동 갱신방법
EP3556126B1 (en) Method for provisioning enhanced communication capabilities to user equipment
KR101001409B1 (ko) 이동통신데이터망을 이용한 국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국제메시징센터, 로컬메시징게이트웨이, 다운로드센터,이동통신 단말 및 시스템
AU20082001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eable modular hardwa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149644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자동 리셋방법 및 장치
KR1006907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 설정방법
JP2020052736A (ja) 中継装置、ファームウェア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76866A (ko) 듀얼모드 통신 단말기의 현지 시각 설정 방법
KR20180056334A (ko) 앱 기반 해외 로컬 발신 방법
GB2351882A (en) Activation of a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7165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