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814B1 -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814B1
KR100640814B1 KR1020050082639A KR20050082639A KR100640814B1 KR 100640814 B1 KR100640814 B1 KR 100640814B1 KR 1020050082639 A KR1020050082639 A KR 1020050082639A KR 20050082639 A KR20050082639 A KR 20050082639A KR 100640814 B1 KR100640814 B1 KR 10064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nterpolated
signal
original
atten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14B1/ko
Priority to CNA200610153316XA priority patent/CN192958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원신호메모리;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보간라인 발생부; 원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1감쇄기;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보간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2감쇄기; 감쇄 팩터 생성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당되는 감쇄 팩터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에 출력하여 해당 감쇄 비율을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로부터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교대로 읽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라인 선택부; 상기 라인 선택부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디인터레이스를 수행할 때 보간된 라인의 주사선을 원라인의 주사선에 비해 어둡게 주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밝기를 제어하여 화질열화를 방지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TV, 영상, 화면, 디인터레이스, 보간, 화질, 열화, 비월주사, 감쇄

Description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Deinterlace display apparatus of picture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비월주사 방식의 원신호를 보간하여 순차주사로 만드는 디인터레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신호 메모리 11 : 보간라인 발생부
12 : 보간 메모리 13 : 제 1감쇄기
14 : 제 2감쇄기 15 : 라인 선택부
16 : 타이밍 컨트롤러(LVDS) 17 : 디스플레이 패널
18 : 동기 처리부 19 : 클럭 체배기
20 : 마이컴 21 : 밝기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 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picture device) 또는 영상표시장치(映像表示裝置, video display terminal)는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영상표시장치로는 CRT(cathode ray tube)가 있다. 이 CRT는 일반 모니터나 TV브라운관에 주로 쓰이는 방식으로, 화면에 전자총으로 광선을 쏘아 브라운관 위의 형광체에 맞춰 발광시켜 문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도 LCD(액정디스플레이), TFT-LCD(박막액정디스플레이), PDP(플라스마디스플레이),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등의 고정화소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기기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비월주사(interlace) 방식과 순차주사(progressive) 방식이 있다.
비월주사 방식은 화면의 홀수라인들의 집합인 홀수필드(odd field)와 짝수라인들의 집합인 짝수필드(even field)가 교대로 시간차를 두고 반복하여 보여지는 형태로 구현된다.
일반적인 TV에 많이 사용하는 음극선관(CRT)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압의 디플렉션(deflection)을 해야하므로 고압의 전류를 적게 변동시키기 위하여 수평주파수가 작은 비월주사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 PDP, LCD, DLP등을 이용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고압의 디플렉션을 하지 않기 때문에 라인 떨림(line flicker)이나, 화면 번쩍임(large area flicker), 주사선의 감지 등 여러 가지 결점이 있는 비월주사 방식보다 순차주사 방식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고정화소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비월주사 신 호가 들어오면 순차주사로 바꾸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면, 이러한 기능을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라 한다.
이를 수행하지 않으면 고정화소 디스플레이는 한 라인씩 건너서 주사를 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밝기가 절반(½)가량으로 줄어들게 된다. CRT에서도 순차주사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밝기를 증가시키기보다는 플리커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CRT는 새도우마스크가 있어서 주사선을 건너뛰더라도 그 주위가 밝게 빛나므로 밝기는 줄어들지 않으며, 반대로 주사선을 두 배로 늘려 순차주사를 하더라도 스캔 시간이 그만큼 두 배로 빨라져서 결국 CRT를 밝히는 시간의 합은 동일하므로 화면이 밝아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인터레이스는 주로 고정화소에서만 많이 쓰는데, 이때의 실제 화질은 프레임간의 움직임이 많을 경우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비월주사 방식의 원신호를 보간하여 순차주사로 만드는 디인터레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1, 3, …. 은 소위 홀수(odd 또는 top)필드이고, 필드2, 4, ….는 짝수(even 또는 bottom)필드이다. 각각의 홀수/짝수 필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한 프레임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인터레이스 처리를 함으로써 홀수/짝수 필드의 구분은 사라지고 모두가 프레임 같은 모양을 하는 순차주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점선으로 된 보간라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상하, 앞뒤(필드 및 프레임 전후)의 라인을 근거로 하여 변화량이 적은 방향으로 보간하는 것 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2A' 라인을 보간하기 위하여 상하의 2A, 2B와 앞뒤의 1B, 3B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알고리듬에 떠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보통 상하나 앞뒤의 수직부분에 해당하는 화소만 참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용량과 처리속도가 허용하는 한 그 주위의 화소를 가능한 많이 참조로 하여 필터의 차수를 높이는 것이 더 성능이 좋아진다. 물론 상하 라인수도 상하 한라인 뿐만 아니라 여러 라인을 참조로 하면 더욱더 좋은 보간 화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PDP나 LCD-TV와 같은 화소수가 패널에 의해 일정하게 고정된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TV의 비월주사 방식의 영상신호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화질열화가 발생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디인터레이스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화질열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는,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원신호메모리;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보간라인 발생부; 원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1감쇄기;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보간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2감쇄기; 감쇄 팩터 생성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당되는 감쇄 팩터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에 출력하여 해당 감쇄 비율을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로부터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교대로 읽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라인 선택부; 상기 라인 선택부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감쇄기의 감쇄 팩터 k1과 상기 제 2감쇄기의 감쇄 팩터 k2는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감쇄기는 1-k1, 상기 제 2감쇄기는 1-k2의 감쇄 팩터를 각각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는 동기처리부와; 상기 동기처리부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 또는 상기 라인 선택부에 공급하는 클럭 체배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은,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를 생성된 감쇄 팩터에 의하여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단계; 매라인마다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 가면 읽어내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0이상 1이하의 k1과 k2의 감쇄팩터를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1-k1 및 1-k2의 감쇄 팩터를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고,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디인터레이서의 보간라인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고정화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신호 메모리(10), 보간라인 발생부(11), 보간 메모리(12), 제 1감쇄기(13), 제 2감쇄기(14), 라인 선택부(15), 타이밍 컨트롤러(LVDS)(16), 디스플레이 패널(17), 동기 처리부(18), 클럭 체배기(19), 마이컴(20), 밝기 제어부(21)로 구성된다.
원신호메모리(10)는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고, 보간라인 발생부(11)는 원영상신호를 추정한 디인터레이스 방식을 통하여 보간 영상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감쇄기(13)는 원영상신호를 상기 밝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고, 제 2감쇄기(14)는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11)로부터 출력된 보간영상신호를 밝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킨다.
상기 제 1감쇄기(13)의 감쇄 팩터 k1과 상기 제 2감쇄기(14)의 감쇄 팩터 k2는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감쇄기(13)는 1-k1, 상기 제 2감쇄기(14)는 1-k2의 감쇄 팩터를 각각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컴(20)은 밝기 제어부(21)에 감쇄 팩터 생성 명령을 출력하고, 밝기 제어부(21)는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당되는 감쇄 팩터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13)(14)에 출력하여 감쇄비율을 제어한다.
동기처리부(18)는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고, 클럭 체배기(19)는 상기 동기처리부(18)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11) 또는 라인 선택부(15)에 공급한다.
라인 선택부(15)는 매라인마다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13)(14)로부터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면 읽어내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LVDS)(16)는 상기 라인 선택부(1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LVDS Tx신호로 변환하여 PDP나 LCD와 같은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패널(17)에 출 력한다.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패널(17)은 본 발명의 디인터레이스 방식에 의해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은,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00);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110);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를 생성된 감쇄 팩터에 의하여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단계(S120); 매라인마다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면 읽어내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30); 상기 단계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0이상 1이하의 k1과 k2의 감쇄팩터를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1-k1 및 1-k2의 감쇄 팩터를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고,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감쇄시 공급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간라인 발생부(11)는 디인터레이스 개념을 구현한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블록으로 여기서는 별도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출력되는 보간영상신호는 제 2감쇄기(14)를 거쳐 어느 정도의 감쇄(減殺) 효과를 거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즉, 보간라인 발생부(11)에서 발생된 보간영상신호는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만든 것이므로 가능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완전히 감쇄시키면 밝기가 반으로 떨어지기는 하지만 동시에 디인터레이싱 효과가 사라지고 원래의 비월주사와 같은 형태로 되어 화면의 변화가 심한 부분에서는 라인플리커(line-flicker)가 생겨버리는 역효과를 가져오므로 일방적으로 보간라인만 완전히 감소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보간라인을 어떤 비율 이상으로 감쇄시키고자 할 때는 원영상신호도 함께 어느 정도 감쇄시킴으로써 규정된 밸런스(balance)를 맞추어주면 그러한 라인플리커 현상은 막으면서 화면을 어둡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감쇄기(13)(14)는 일종의 곱셈기 이지만 그 배율(곱셈값)은 1 이하이기 때문에 감쇄기라 칭한다.
그 각각에 해당하는 감쇄 팩터(factor)는 k1과 k2이며, 이 값은 0~1의 값을 가지고 반드시 k1≤k2 (k값이 클수록 감쇄가 심함)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k값은 0일 때, 곱셈값이 1-0=1 이 되어 감쇄가 없음을 의미하므로, 입력신호가 감쇄기(13)(14)를 통하더라도 값이 줄지 않고, k값이 1일 때는 곱셈값이 0이 되어 완전히 감쇄되므로 입력신호에 상관없이 감쇄기(13)(14)의 출력은 0이 된다.
이 감쇄 팩터 k1, k2는 밝기 제어부(21)에서 나오며, 이는 다시 마이컴(20)으로 부터 명령을 받아 명령코드에 의해서 해당되는 감쇄 팩터를 만들어 낸다.
여기서, 상기 감쇄 팩터가 1≤k2인 이유는 k1은 원영상신호를 감쇄하는 경우이므로 이는 보통 때는 0으로 두다가 k2값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지면 라인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하여 k1값도 같이 저하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k2가 0 ~ 0.5 까지는 k1 값은 항상 0으로 두고, k2가 0.5 이상이 될 때는 k1 = k2 -0.5 정도로 하면, k1과 k2의 차이는 0.5보다 크지 않으므로 라인플리커는 생기지 않고 전체적인 화면 밝기만 달라진다.
한편, 디인터레이스를 하기 위해서는 매라인마다 각각의 메모리(10)(12)로부터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며 읽어야 하는데, 원신호메모리(10)와 보간메모리(12)의 읽는 속도는 원영상의 수평동기의 2배가 되어야 원영상의 1H구간 동안에 원영상과 보간영상을 모두 읽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동기처리부(18)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여 클럭 체배기(19)로 2fs clock을 만들어 사용한다.
한편,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은 수평동기는 라인 선택부(15)에서 매라인마다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면 읽어내기 위한 것이며, 수직동기는 매필드마다 원영상라인과 보간영상라인이 서로 바뀌기 때문에 수직동기를 기점으로 서로 순서를 바꾸기 위함이다.
이렇게 읽어낸 영상신호는 라인 선택부(15)에서 합쳐져서 비로소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가 완성된다.
이는 다시 타이밍 컨트롤러(LVDS)(16)에 의해 LVDS Tx신호로 바뀌어 PDP나 LCD와 같은 고정화소 디스플레이 패널(17)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 소진폭 차동 신호 전송) 방식은, 디지털 정보를 구리선을 통해 고속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보내기 위한 전송 방식으로 LV, 즉 저전압이라는 것은 LVDS가 표준 전압인 5V 대신에 3.3V나 또는 1.5V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LVDS는 TIA/EIA-644 IEEE 1596.3 에서 정의된 data접속 표준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인터레이스 방식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밝기가 최대인 경우(감쇄 factor, k1=k2-0)를 제외하고는 항상 보간영상신호 라인이 원영상신호 라인보다 밝기가 낮은 상태에 있으므로, 보간된 영상 라인은 원영상라인에 비해 눈에 덜 뜨이게 되어, 이로 인해 디인터레이스에 의한 화질열화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한편, 원영상신호가 순차주사 형태인 경우에는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여서는 안되므로 항상 k1=k2 로 두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외에도 패널 자체의 전압이나 LCD인 경우에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하여 화면의 밝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월주사 형태의 영상신호의 밝기의 조절을 원영상신호의 감쇄정도(k1)와 보간영상신호의 감쇄정도(k2) 사이에 규정된 차이를 두고(k1≤k2 (k값이 클수록 감쇄가 심함)), 이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최대 밝기(k1=k2=0)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보간영상신호 라인이 원영상신호 라인 보다 밝기가 낮은 상태에 있으므로, 보간된 영상 라인은 원영상라인에 비해 눈에 덜 뜨이게 되어, 이로 인해 디인터레이스에 의한 화질열화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은 TV, VCR, 모니터, TV수신 퍼스널컴퓨터 및 셋톱박스(STB)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및 위성 TV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NTSC, PAL, SECAM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기기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텔레비전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비월주사 형태의 영상신호의 밝기의 조절을 원영상신호의 감쇄정도(k1)와 보간영상신호의 감쇄정도(k2) 사이에 규정된 차이를 두고(k1≤k2), 이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최대 밝기(k1=k2=0)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보간영상신호 라인이 원영상신호 라인보다 밝기가 낮은 상태에 있으므로, 보 간된 영상 라인은 원영상라인에 비해 눈에 덜 뜨이게 되어, 이로 인해 디인터레이스에 의한 화질열화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보간된 라인의 주사선을 원라인의 주사선에 비해 어둡게 주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그 밝기를 제어하여 화질열화를 방지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원신호메모리;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보간라인 발생부;
    원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1감쇄기;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보간영상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제 2감쇄기;
    감쇄 팩터 생성 명령을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당되는 감쇄 팩터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에 출력하여 해당 감쇄 비율을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
    상기 제 1 및 제 2감쇄기로부터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교대로 읽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라인 선택부;
    상기 라인 선택부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쇄기의 감쇄 팩터 k1과 상기 제 2감쇄기의 감쇄 팩터 k2는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쇄기는 1-k1, 상기 제 2감쇄기는 1-k2의 감쇄 팩터를 각각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는 동기처리부와;
    상기 동기처리부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상기 보간라인 발생부 또는 상기 라인 선택부에 공급하는 클럭 체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5. 비월주사된 디지털 영상신호로부터 원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원영상신호를 추정하여 보간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를 생성된 감쇄 팩터에 의하여 소정의 비율로 감쇄시키는 단계;
    매라인마다 원영상신호와 보간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면 읽어내어 디인터레이스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디인터레이스에 의하여 보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0이상 1이하의 k1과 k2의 감쇄팩터를 가지며, 그 비율은 k1 ≤ k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팩터는
    상기 원영상신호 및 보간영상신호에 대하여 각각 1-k1 및 1-k2의 감쇄 팩터를 갖으며, k값이 0일때 감쇄가 0이되어 최대값을 출력하고, k값이 1일때 완전히 감쇄되어 출력값이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분리하고,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로 2배의 클럭을 만들어 감쇄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방법.
KR1020050082639A 2005-09-06 2005-09-06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64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639A KR100640814B1 (ko) 2005-09-06 2005-09-06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NA200610153316XA CN1929586A (zh) 2005-09-06 2006-09-06 图像设备的双重交互显示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639A KR100640814B1 (ko) 2005-09-06 2005-09-06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814B1 true KR100640814B1 (ko) 2006-11-02

Family

ID=3764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639A KR100640814B1 (ko) 2005-09-06 2005-09-06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0814B1 (ko)
CN (1) CN192958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9586A (zh)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1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the frame rate to be optimal for the material being display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image throughout
KR100549977B1 (ko) 동적 계수 가중으로 스케일링하고 플리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1667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interlaced images on non-interlaced display
AU2003248047B2 (en) Method and video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US7064790B1 (en) Adaptive video data frame resampling
KR10068499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380985B1 (en) Resizing and anti-flicker filtering in reduced-size video images
US69753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and edge-adaptive signal frame rate up-conversion
EP1342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ace-progressive video conversion
US811586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7508449B1 (en) Film mode judder elimination circuit and method
US201402042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549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0814B1 (ko) 영상기기의 디인터레이스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356138B1 (ko) 배속영상신호표시방법,디스플레이장치및텔레비젼수상기
CN111292668B (zh) 显示面板的刷新频率调整方法及装置
JP201209503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07550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288329A (zh) 一种图像信号变换模式及装置
RU2245002C2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сигналов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в приемнике твч
KR100277727B1 (ko) 복합 영상 신호의 수평 라인 정보 검출 장치
Schu et al. FRAME RATE CONVERSION IC FOR 120 HZ FLAT PANEL DISPLAYS
JPH05115057A (ja) 映像信号変換回路
US20070024745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Schu et al. 16.2: System-on-Silicon Solution for High Quality HDTV Video Deinterlacing and Frame Rate Conversion for Flat Panel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