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72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72B1
KR100640372B1 KR1020040083210A KR20040083210A KR100640372B1 KR 100640372 B1 KR100640372 B1 KR 100640372B1 KR 1020040083210 A KR1020040083210 A KR 1020040083210A KR 20040083210 A KR20040083210 A KR 20040083210A KR 100640372 B1 KR100640372 B1 KR 10064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lumns
row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077A (ko
Inventor
김성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72B1/ko
Priority to US11/219,190 priority patent/US20060082473A1/en
Priority to EP05022524A priority patent/EP1647877A1/en
Priority to CNA2005101128342A priority patent/CN1763700A/zh
Publication of KR2006003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0Dynamic coding, i.e. by key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의 검출 시 오류 없이 검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행들과 다수의 열들과 상기 행들 중 하나와 상기 열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각 행마다 입력 값을 하이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들을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행들과 상기 열들이 연결되는 모든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키 입력을 검사하는 키 스캔 과정과, 상기 키 스캔 후 선택된 열을 다시 입력 포트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키 매트릭, 키 매트릭 구조, 키 신호 검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IGNAL OF KEY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 매트릭 내부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캔 동작 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시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위치 및 이동성에 상관없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술 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서비스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단문 메시지에서부터 인터넷을 통해 고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각종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른 장비 예를 들어 컴퓨터와 같은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등이 필요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인터넷 게임을 하거나 또는 e-mail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또는 e-mail 서비스 등에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장치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명령어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키 매트릭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밖에 터치 스크린 방법이나 터치 패드 방법 등이 있으나,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키 매트릭 방법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키 매트릭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 매트릭 내부의 회로 구성도 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 매트릭의 내부 회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에서는 키 매트릭 회로와 제어부(111) 및 주변회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키 매트릭 회로는 가로의 행(Row)과 세로의 열(Column) 및 상기 행과 열을 연결하는 스위치들(121-154)로 구분된다. 상기 각 스위치들(121-154)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를 누르면, 상기 열과 행간 연결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키를 누르고 있다가 다시 이를 떼는 경우에는 다시 해당하는 스위치는 상기 행과 상기 열간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각 스위치들(121-154)의 하단부에 기재한 숫자들(1, 2, 3, 4, 5, 6) 및 문자(UP, DOWN)들은 각각 해당하는 행과 열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1)가 키 값으로 인지하는 기초 값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와 키 매트릭 회로의 연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는 특정한 키 값을 인지하기 위한 단자들(G-01, …, G-14, …)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11)에 키 값을 인지하기 위한 단자들(G-01, …, G-14, …)은 일반적으로 범용 목적 입/출력 포트(General Purpose Input/Output Port)들로 구성된다. 상기 각 단자들(G-01, …, G-14, …) 중 행과 열은 그 동작에서 서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각 단자들(G-01, …, G-14, …)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각 행과 연결되는 단자들(G-01, G-02, G-03, G-04)은 각각 입력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며, 초기 값이 1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초기 값을 1로 설정 하기 위해 각 행의 회로에 풀-업(pull-up) 저항(R)이 전원 단자(Vcc)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원 단자(Vcc)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른 회로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라면 항상 하이(high) 상태를 유지하므로 초기 값을 1로 검출하게 된다.
반면에 각 열과 연결되는 단자들(G-11, G-12, G-13, G-14)은 각각 출력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며,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각 단자들로의 출력은 1로 세팅되어 있다. 그리고 특정한 키의 입력 즉, 사용자가 특정한 키를 누르는가를 검사할 때에만 해당 열에 대응하는 단자에서 '0'의 값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키의 입력을 검사하는 동작을 "키 스캔(Key Scan)" 동작이라 한다.
그러면 상기한 구성 하에서 키 스캔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캔 동작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검사를 수행할 열을 선택한다. 상기 열의 선택 순서는 순차적인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상기 제어부(111)에 구비된 단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G-11 -> G-12 -> G-13 -> G-14 -> G-11 -> G-12 -> …"과 같은 순서로 단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 열을 선택한 후 제어부(111)는 202단계에서 선택된 열의 출력을 '0'의 값으로 출력한다. 만약 G-11의 단자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G-11의 단자로는 '0'의 값이 출력되며, 나머지 G-12, G-13, G-14의 단자로는 '1'의 값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열의 출력을 '0'으로 전환한 후 제어부(111)는 204단계에서 행의 단자를 통해 어떠한 행의 값이 로우(low)의 값으로 입력되는가를 검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을 알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G-11의 단자를 통해서 '0'의 값이 출력될 때, 해당 열에 위치한 스위치들(121, 131, 141, 151) 중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숫자 1에 해당하는 스위치(121)를 누르면, 상기 열과 행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G-11의 출력단을 통해 '0'의 값이 출력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접지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G-01 단자 또한 접지로 '0'의 값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즉, G-02, G-03, G-04의 포트들은 모두 하이(high)의 값을 입력으로 하고 있으나, G-01의 포트에서는 로우의 값을 입력받게 된다. 이를 통해 G-11의 열과 G-01의 행의 조합에 의거하여 입력된 키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아무런 키도 입력하지 않았거나 또는 해당하는 열의 키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11)는 행의 포트들(G-01, G-02, G-03, G-04) 모두로부터 '1'의 값을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해당하는 열과 행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누른 키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열에 대하여 키 스캔 동작이 이루어진 이후에 다음 열에 대하여 키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다음 열의 키 스캔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그 밖의 다른 방법을 통해 다음 열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열을 선택한 이후에 제어부(111)는 202단계 이하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키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도 1의 장치에서 도 2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서로 다른 2개의 키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사용자가 매우 빠른 속도로 연속해서 2개의 키를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빠른 속도로 연이어 누른 경우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연이어 누르는 동작으로 인해 두 개의 키가 동시에 접 지되는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도 2의 키 스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키 스캔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이유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설명한 가정에서 즉, 제어부(111)가 G-11의 열을 검사할 때, 사용자가 숫자 1의 키와 숫자 2의 키를 동시에 또는 빠른 속도로 연이어 누른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1)는 G-11의 출력 포트로는 '0'의 값을 출력하게 되며, G-12의 출력 포트로는 '1'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숫자 1과 숫자 2를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빠른 속도로 연속해서 누르는 경우에 상기 숫자 1과 숫자 2이 위치한 행의 입력 단자인 G-01 포트는 G-11의 출력 포트와 G-12의 출력 포트로부터의 출력에 영향을 받게된다. 즉, G-11의 출력 포트로는 '0'의 값이, G-12의 출력 포트로는 '1'의 값이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 하드웨어 로직 상으로 판단해 볼 때, '0'의 값이 G-01의 입력 단으로 입력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측정을 통해 확인하면, G-01의 포트로는 0의 값도 아니며, 1의 값도 아닌 값이 입력된다. 따라서 G-01의 입력 포트는 완전한 '1'의 값은 아니지만, 1에 근사한 값 또는 완전한 0의 값은 아니지만 0에 근사한 값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1)는 어떤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된 것을 검출할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이후에 G-12의 포트에 대하여도 키 스캔 동작을 수행할 때 동일한 결과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동시에 두 개의 키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누른 경우나 또는 아주 빠른 속도로 같은 행에 위치한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연속해서 누르는 경우에 제어부(111)는 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아주 빠른 속도로 다른 행에 위치한 2개의 서로 다른 키를 연속해서 누르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에 해당하지 않지만, 동일한 행에 대하여는 상술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값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 매트릭 로직 상에서 동일한 행에 위치한 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빠르게 입력할 때 입력된 키 값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매트릭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입력되는 키 값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행들과 다수의 열들과 상기 행들 중 하나와 상기 열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각 행마다 입력 값을 하이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들과, 상기 각 열들과 각 행들을 대응되는 포트들과 연결하고, 상기 각 열들과 연결되는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하며, 상기 각 행들과 연결되는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한 후 상기 열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키 스캔을 수행하며, 상기 키 스캔 동작 시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한 후 로우 값을 출력하여 상기 다수의 행들 중 상기 선택된 열과 연결된 행의 값을 검출함으로써 입력 키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행들과 다수의 열들과 상기 행들 중 하나와 상기 열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각 행마다 입력 값을 하이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들을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행들과 상기 열들이 연결되는 모든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키 입력을 검사하는 키 스캔 과정과, 상기 키 스캔 후 선택된 열을 다시 입력 포트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또는 핸드폰 또는 PCS 폰 또는 스마트 폰 또는 PDA 또는 그 밖의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키 매트릭 구조란,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열과 행을 구분하고, 열과 행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를 검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 1을 응용 또는 유추하여 그와 유사하거나 약간의 변형된 키 매트릭 구조들을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되는 구조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 매트릭 구조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도 1의 구조에서 제어부(111)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가 달라진다. 그 밖에 제어부(111)의 동작 또한 달라지게 된다. 그러면 먼저 제어부(111)에서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가 달라지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고, 나머지 동작이 달라지는 부분은 첨부된 제어 흐름도를 이용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각 행(Row)들과 연결되는 모든 포트들(G-01, G-02, G-03, G-04)을 입력 포트로 설정한다. 그리고 각 열(Column)들과 연결되는 모든 포트들(G-11, G-12, G-13, G-14) 또한 입력 포트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각 열들과 연결되는 포트들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캔 동작 시 입/출력이 변환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밖에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주변 회로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풀-업(pull-up) 저항들이 연결되는 형태나 전 압 등은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1)의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을 때, 연결될 때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신호 검출 시의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300단계에서 모든 열을 입력 포트로 설정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1)는 입력 포트로 설정된 열들 중 검사를 수행할 열을 선택한다. 상기 열의 선택 순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인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상기 제어부(111)에 구비된 단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G-11 -> G-12 -> G-13 -> G-14 -> G-11 -> G-12 -> …"과 같은 순서로 단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 열을 선택한 후 제어부(111)는 302단계에서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모든 열의 포트들이 출력 포트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든 출력 포트들이 입력 포트들이기 때문에 해당 열의 키 스캔 동작을 위해서는 입력 포트를 출력 포트로 전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열의 포트가 만일 G-11의 포트라면 이를 출력 포트로 전환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1)는 304단계에서 출력 포트로 전환된 포트를 통해 '0'의 값으로 출력한다. 만약 G-11의 단자가 선택되어 키 스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G-11의 단자로만 '0'의 값이 출력되며, 그 밖의 나머지 포트들로는 열과 행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입력 포트들이 된다.
이와 같이 키 스캔이 이루어지는 열로 '0'의 값을 출력하면서 제어부(111)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행을 검사하여 입력된 키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를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G-11의 포트를 통해 '0'의 값이 출력될 때, 사용자가 아무런 키도 입력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G-11에 해당하는 열과 연결되는 행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행의 입력 포트들(G-01, G-02, G-03, G-04)은 모두 하이(high)의 값을 가진다. 반면에 숫자 1의 키가 입력된 경우라면 숫자 1에 해당하는 스위치(121)가 G-01의 포트와 G-11의 포트를 연결한 상태가 된다. 이때 G-11의 포트를 이용하여 키 스캔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G-11의 포트가 '0'의 값을 출력하여 G-11의 포트가 접지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G-01의 포트 또한 접지가되어 로우(low)의 값을 입력받는다. 다른 열의 키가 동시에 입력되었다면 이들 또한 로우의 값을 입력으로 수신하게 될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문제된 동일한 행에 서로 다른 키가 2개 이상 입력되거나 또는 빠른 속도로 연이어 입력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만일 G-11의 포트의 키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다시 가정하며, 이때 숫자 키 1과 숫자 키 2가 동시에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숫자 키 1에 해당하는 스위치(121)와 숫자 키 2에 해당하는 스위치(122)가 모두 연결된 상태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숫자 키 2에 대응하는 열인 G-12의 포트가 입력 포트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G-12의 포트로는 아무런 값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G-11의 포트로는 접지의 값인 '0'가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부(111)는 숫자 1이 입력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입력된 숫자 1의 값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해당하는 열의 키 입력을 검사한 후 308단계로 진행하여 검사에 선택된 열을 다시 입력 포트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행으로 다수의 열로부터 서로 다른 값이 출력되어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다음에 키 스캔을 수행할 열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다음 키 스캔을 수행할 열을 선택하는 동작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인 방법 또는 그 밖의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음 열을 선택한 이후에 제어부(111)는 302단계 이하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키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에서 하드웨어의 로직을 변경하지 않고도 오류 없이 키 입력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의 행들과 다수의 열들과 상기 행들 중 하나와 상기 열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각 행마다 입력 값을 하이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들과,
    상기 각 열들과 각 행들을 대응되는 포트들과 연결하고, 상기 각 열들과 연결되는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하며, 상기 각 행들과 연결되는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한 후 상기 열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키 스캔을 수행하며,
    상기 키 스캔 동작 시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한 후 로우 값을 출력하여 상기 다수의 행들 중 상기 선택된 열과 연결된 행의 값을 검출함으로써 입력 키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열의 키 스캔 동작이 완료될 시 해당 열을 다시 입력 포트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다수의 행들과 다수의 열들과 상기 행들 중 하나와 상기 열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 매트릭 구조의 각 행마다 입력 값을 하이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들을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행들과 상기 열들이 연결되는 모든 포트들을 입력 포트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열을 출력 포트로 전환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키 입력을 검사하는 키 스캔 과정과,
    상기 키 스캔 후 선택된 열을 다시 입력 포트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스캔 과정은,
    상기 다수의 행들 중 상기 선택된 열과 연결된 행의 값을 검출하여 입력 키를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83210A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64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10A KR100640372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219,190 US20060082473A1 (en) 2004-10-18 2005-09-0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key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05022524A EP1647877A1 (en) 2004-10-18 2005-10-1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key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A2005101128342A CN1763700A (zh) 2004-10-18 2005-10-14 在移动通信终端中检测键信号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10A KR100640372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077A KR20060034077A (ko) 2006-04-21
KR100640372B1 true KR100640372B1 (ko) 2006-10-30

Family

ID=3573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210A KR100640372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82473A1 (ko)
EP (1) EP1647877A1 (ko)
KR (1) KR100640372B1 (ko)
CN (1) CN17637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3197A1 (en) * 2007-09-29 2009-04-09 Zora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of scanning an input device having multiple key switches
US8884910B2 (en) * 2010-08-30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Resistive matrix with optimized input scanning
CN102722120B (zh) * 2012-06-05 2014-11-1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超低功耗的仪器用键盘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4130B1 (en) * 1982-05-07 1987-01-21 Philips Electronics Uk Limited Data entry keyboard apparatus
JPS5969828A (ja) * 1982-10-13 1984-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マトリクス入力装置
JPS59105131A (ja) * 1982-12-08 1984-06-18 Toshiba Corp 入出力回路装置
US4673933A (en) * 1983-11-14 1987-06-16 American Microsystems, Inc. Switch matrix encoding interface using common input/output parts
JPS62143118A (ja) * 1985-12-17 1987-06-26 Seiko Epson Corp キ−スキヤン方法
US4906993A (en) * 1988-04-04 1990-03-06 John Fluke Mfg. Co., Inc. Keyboard scanner apparatus and method
US4918445A (en) * 1988-07-20 1990-04-17 Hewlett-Packard Company Scanning, row-column type keyboard
US5266950A (en) * 1990-08-08 1993-11-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keypad monitor
US5274371A (en) * 1991-01-29 1993-12-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xtended time-shared scanning keyboard interface
US7030858B1 (en) * 1999-10-28 2006-04-18 Lucent Technologies Inc. Bi-directional scan switch matrix method and apparatus
US7151432B2 (en) * 2001-09-19 2006-12-19 Immersion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a switch matrix and switch sensing
US7158056B2 (en) * 2004-07-08 2007-01-0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 key or button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7877A1 (en) 2006-04-19
CN1763700A (zh) 2006-04-26
KR20060034077A (ko) 2006-04-21
US20060082473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9390B2 (en) Compact alphanumeric keyboard
US7388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a key press
CN107577358A (zh) 虚拟键盘输入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425535B1 (en) Mobile phone with improved keyboard scanning and component reduction and method
KR1006403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1430605B (zh) 字符输入方法
US20100185797A1 (en) Keyboard-mouse switch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0640482B1 (ko) 이동 단말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2423282B (zh) 一种扫描枪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6126086B (zh) 终端设备及虚拟按键布局的调整方法
US8780049B2 (en) Alphabetic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6460091B1 (en) Address decoding circuit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dividual addresses and selecting a desired one of a plurality of peripheral macros
US20080238729A1 (en) Key oper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101336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50068303A1 (en) Key inputting circuit of electronic device
CN101470651B (zh) 用于检测一电子装置的键盘控制功能的系统
US9239356B2 (en) Test board
KR100594081B1 (ko)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_
US8564460B2 (en) Keyboard device and method of identifying a key operation
JP454601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KR1011538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키를 인식하기 위한 키 입력 장치
KR100229869B1 (ko) 키폰 전화기에서 입력 시간에 따른 기능키 확장방법
KR201100845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버터 회로를 사용하여 키 스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920001437B1 (ko)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KR2009004703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 정보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