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82B1 - Case - Google Patents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82B1
KR100639382B1 KR1020050060528A KR20050060528A KR100639382B1 KR 100639382 B1 KR100639382 B1 KR 100639382B1 KR 1020050060528 A KR1020050060528 A KR 1020050060528A KR 20050060528 A KR20050060528 A KR 20050060528A KR 100639382 B1 KR100639382 B1 KR 10063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support protrusion
hook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석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82B1/en
Priority to CNA2006100729074A priority patent/CN1893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A case is provided to prohibit transformation that ribs of a lower case enter an inner side of an upper case by external power, in an end section of the case, thereby preventing a stepped pulley from being generated on a coupled surface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 case comprises as follows. At least more than one supporting projection(116) is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end portions(114). Ribs(214) are equipped with at least more than one support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216)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rojections(116). The supporting projections(116)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216) in order to support a lower case(200).

Description

케이스{case}Case {case}

도 1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lder case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도 1의 폴더부 케이스의 결합 상태에서 A-A선을 따른 절단면의 a 방향에서 바라 본 부분단면도이며,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a direction of the cutting plane along the line A-A in the engaged state of the folder part of FIG. 1,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lder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폴더부 케이스의 결합 상태에서 B-B선을 따른 절단면의 b 방향에서 바라 본 단면도 중 도 3의 C부분의 부분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 of FIG. 3 of the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b direction along the line B-B in the engaged state of the folder part case of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 100 : 상부케이스10, 100: upper case

11, 111 : 제 1 상부후크 12 : 제 2 상부후크11, 111: first upper hook 12: second upper hook

13, 113 : 제 3 상부후크 14, 114 : 단턱부13, 113: third upper hook 14, 114: stepped portion

15, 115 : 고정돌기 116 : 지지돌기15, 115: fixing protrusion 116: support protrusion

17, 117 : 단턱이격부17, 117: stepped spacer

20, 200 : 하부케이스20, 200: lower case

21, 211 : 제 1 하부후크 22, 212 : 제 2 하부후크21, 211: first lower hook 22, 212: second lower hook

23, 213 : 제 3 하부후크 24, 214 : 리브(rib)23, 213: third lower hook 24, 214: rib

216 : 지지돌기삽입홈 27, 217 : 리브이격부216: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7, 217: rib separation portion

25, 225 : 고정돌기삽입홈 28, 227 : 폴더힌지부25, 225: fixed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8, 227: folder hinge

본원 발명은 케이스(cas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발생되는 케이스의 종단부에서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어긋남에 의해 발생되는 단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and more particularly, a step caused by the misalignment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t the end of the case generated by deformation by an external force in a combined stat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t is about a case that can be minimized.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케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폴더부케이스의 결합상태에서의 A-A선을 따른 절단면의 a방향에서 바라 본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lder part cas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and FIG. 2 is viewed from the a direction of the cut along the line AA in the combined state of the folder part case of FIG. 1.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is partial cross section fig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는, 보조엘시디(sub LCD)가 장착되는 상부케이스(10)와 주엘시디(main LCD), 스피커(speaker), 진동자(vibrator) 등이 장착되는 하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folder unit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upper case 10 in which a sub LCD is mounted, a main LCD, a speaker, a vibrator, and the like. It is composed of a lower case 20 to be mounted.

상부케이스(10)에는 상부케이스(10)의 테두리의 내측벽을 따라 테두리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가지는 단턱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0)의 좌우측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단턱부(14)의 단턱이격부(17)에는 각각 제 1 상부후크(11)와, 제 2 상부후크(12)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0)의 고정돌기(15)가 형성된 위치와 대향되는 종단부에 또한 제 3 상부후크(13)가 형성 된다.The upper case 10 is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1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urfac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edge of the upper case 10. In addition, a first upper hook 11 and a second upper hook 1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tepped spaces 17 of the stepped portions 14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case 10. A third upper hook 13 is also formed at the end por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protrusion 15 of the case 10 is formed.

다음으로 하부케이스(20)에는 하부케이스(2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는 리브(rib)(2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24)의 높이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두리면에서 단턱부(14)의 상부면까지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0)의 좌우측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리브(24)의 리브이격부(27)에는 각각 제 1 하부후크(21)와, 제 2 하부후크(22)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0)의 고정돌기삽입홈(25)이 형성된 폴더힌지부(28)와 대향되는 종단부에는 상기 제 3 상부후크(13)와 맞물리어 후크 결합되는 제 3 하부후크(23)가 형성된다.Next, ribs 2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on the lower case 20 along the edge of the lower case 20. Here, the height of the rib 24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the depth from the edge surface of the upper case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4. In addition, a first lower hook 21 and a second lower hook 22 are formed on the rib spaced portions 27 of the ribs 24 that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case 20. A third lower hook 23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ase 20 opposite to the folder hinge portion 28 o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5 is formed and engaged with the third upper hook 13. .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는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 1 상부후크(11), 제 2 상부후크(12), 제 3 상부후크(13) 각각이 하부케이스(20)의 제 1 하부후크(21), 제 2 하부후크(22), 제 3 하부후크(23) 각각과 후크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0)의 리브(24)들은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밀착되어 상부케이스(10)에서 하부케이스(20)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When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upper hook 11, the second upper hook 12, and the third upper hook 13 is a lower case 20. The first lower hook 21, the second lower hook 22, and the third lower hook 23 are hooked and fixed to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ure 2 ribs 24 of the lower case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14 of the upper case 10 is coupled to support the lower case 20 in the upper case 10. .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경우, 케이스의 좌우측의 변형력에 대하여는 저항성이 커 변형이 작으나, 케이스의 길이방향(A-A의 방향)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는 저항성이 약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eformation is small because the resistance is large against the deformation for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but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A direction) of the case is small. It may be weak and deformation may occur.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 (20)에 상하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종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변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하부케이스(20)의 리브(24)가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테두리면의 결합면을 어긋나게 하여 단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extern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20 as shown in Figure 2, the deforma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is, the rib 24 of the lower case 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tepped portion 14 of the upper case 10. This causes a step difference by shifting the engagement surfaces of the edges of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20.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면의 어긋남에 의해 발생되는 단차는 사용자에게 걸림감 등을 주어 사용상의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tep caused by the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that gives the user a feeling of discomfort and the lik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단차에 다른 물질이 걸리면 케이스가 벌어지는 것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In addition, if another step is caught in the ste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amaged by opening the case.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후크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는 테두리 부분에서 상부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부에 하부케이스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리브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종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리브가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변형을 방지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면에서의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fixed to the hook coupled, the upper end and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lower case abuts In a case in which the ribs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lower cas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ibs of the lower case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ase by external force at the end of the cas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capable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tep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는 테두리 부분에서 상부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부에 하부케이스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리브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ase where the rib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lower cas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but, 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epped portion, and 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at the rib,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upport.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단턱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이격부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리브의 사이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단턱이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이격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크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as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tepped gap between the stepped portion, the stepped gap is formed with a hook, the lower case is at leas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upper case between the ribs At least one rib spaced portion is formed, and the rib spac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hooked to the hook of the upper case is formed.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돌기의 상단부면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테두리의 면과 동일평면이 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ly of the upper case such that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lush with the surface of the edge of the upper case.

상기 하부케이스의 리브는,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테두리의 면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b of the lower case,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has a depth to the surface of the edge of the lower case.

상술한 본원 발명의 케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 수화부 케이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ll unit, a receiver unit case, and the lik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원 발명의 케이스의 일 실시 예로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로서,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부의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of the folder portion in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보조엘시디(sub LCD)가 장착되는 상부케이스(100)와 주엘시디(main LCD), 스피커, 진동자(vibrator) 등이 장착되는 하부케이스(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100, a main LCD, a speaker, a vibrator, etc., on which a sub LCD is mounted. It is composed of a lower case 200 is mounted.

상부케이스(100)에는 상부케이스(100)의 테두리의 내측벽을 따라 일정 깊이를 가지는 다수의 단턱부(114)가 다수의 단턱이격부(117)에 의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00)의 좌우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단턱부(114)의 단턱이격부(117)에는 각각 제 1 상부후크(111)와, 제 2 상부후크(112)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00)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소정 위치(종단부)에 또한 제 3 상부후크(113)가 형성된다.The upper case 100 has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11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wall of the edge of the upper case 10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tepped spacers 117 at intervals. The first upper hook 111 and the second upper hook 112 are formed on the stepped spaces 117 of the stepped portions 114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upper case 100. The third upper hook 113 is also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end) at which the speaker of () is mounted.

상부케이스(100)의 단턱부(114)에는 케이스의 종단부(스피커 장착 부분)에서 상부케이스(100)의 테두리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부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16)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도 3에서 상기 지지돌기(116)는 종단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하여 각각 좌우측에 두 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stepped portion 114 of the upper case 100,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100 so as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edge surface of the upper case 100 at the end portion (speaker mounting portion) of the case ( 116 is at least one formed. In FIG. 3, the support protrusions 116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end portion, but two are form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하부케이스(200)에는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면을 따라 일정 높 이를 가지는 다수의 리브(214)가 다수의 리브이격부(217)에 의해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214)의 하부케이스의 테두리면에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테두리면과 단턱부(114)의 상부면이 이루는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00)의 좌우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리브(214)의 절단부에는 각각 제 1 하부후크(211)와, 제 2 하부후크(212)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삽입홈(225)이 형성된 폴더힌지부(227)와 대향되는 종단부(스피커 장착 부분)에는 상기 제 3 상부후크(113)와 맞물리는 제 3 하부후크(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214)에는 상부케이스(100)의 지지돌기(116)와 면하는 위치에서 지지돌기(116)가 삽입되는 지지돌기고정홈(21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기 고정홈(216)들은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면과 같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면이 지지돌기(116)의 상부면에 의해 직접 지지되도록 구성된다.Next, in the lower case 200, a plurality of ribs 21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are protruded at intervals by a plurality of rib spacers 217.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from the edge of the lower case of the rib 214 is preferably equal to the depth formed by the edge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14. In addition, a first lower hook 211 and a second lower hook 212 are formed at the cut portions of the ribs 214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case 200, respectively, an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lower case 200 is inserted. A third lower hook 213 that is engaged with the third upper hook 113 is formed at an end portion (speaker mounting portion) opposite to the folder hinge portion 227 in which the groove 225 is formed. In addition, the ribs 214 are formed with support protrusion fixing grooves 216 in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s 116 are inserted at positions facing the support protrusions 116 of the upper case 100, respectively. Here, the support protrusion fixing grooves 216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epth as the edge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so that the edge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is direct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116.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부케이스(100)의 고정돌기(115)가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삽입홈(225)에 끼워진다. 상부케이스(100)의 제 1 상부후크(111), 제 2 상부후크(112), 제 3 상부후크(113) 각각이 하부케이스(200)의 제 1 하부후크(211), 제 2 하부후크(212), 제 3 하부후크(213) 각각과 후크 결합되어 고정된다. 하부케이스(200)의 리브(214)들의 상단면은 상부케이스(100)의 단턱부(114)와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고정돌기(116)들은 하부케이스(200)의 리브(214)에 형성된 고정돌기삽입홈(216)으로 삽입되어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면 및 리브(214)들을 직접 지지하게 된다.When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xing protrusion 115 of the upper case 100 is fit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25 of the lower case 200. Each of the first upper hook 111, the second upper hook 112, and the third upper hook 113 of the upper case 100 includes a first lower hook 211 and a second lower hook (2) of the lower case 200. 212), each of the third lower hooks 213 is hooked and fixed. The top surfaces of the ribs 214 of the lower case 200 ar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114 of the upper case 100.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s 116 of the upper case 10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s 216 formed in the ribs 214 of the lower case 200, so that the edge surface and the ribs 214 of the lower case 200. They directly support them.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결합상태에서 B-B선을 따른 절단면의 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중 C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 of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the coupl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e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00)의 리브(214)들은 상부케이스(100)의 단턱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00)의 지지돌기(116)들은 하부케이스(200)의 리브(214)들에 형성된 지지돌기삽입홈(216)으로 삽입된다.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면은 직접 지지돌기(116)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are coupled, the ribs 214 of the lower case 200 are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114 of the upper case 100. do. The support protrusions 116 of the upper case 10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s 216 formed in the ribs 214 of the lower case 200. The edge surface of the lower case 200 is direct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116.

그리고, 도 3의 D부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지지돌기(116)가 도 3의 D부분의 리브(214)의 지지돌기삽입홈(216)에 끼워지게 되면 지지돌기(116)가 리브(214)의 지지돌기삽입홈(216)의 측벽을 지지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력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하부케이스(220)가 외력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방향(A-A 또는 B-B 절단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어긋나는 것이 더욱 방지한다.As shown in part D of FIG. 3,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16 is fit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16 of the rib 214 of part D of FIG. 3, the support protrusion 116 is rib 214. Since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16 of the lower case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external force even when the deformation force as shown in Figure 2 acts o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BB cutting line direction) to prevent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from being shifted further.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와 같이 지지돌기(116)와 지지돌기삽입홈(216)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어긋남이 최소가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eviation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by the interac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16 and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216 as described above in FIGS. 3 and 4. Becomes

상술한 도 3 및 도 4에서 지지돌기(116)가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이루는 내측면과 동일한 돌출 길이를 가짐으로써 지지돌기(116) 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3 and 4, the support protrusion 116 is shown as protruding into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otherwise,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By having the same protruding length as the inner side, the support protrusion 116 may be configured not to protrude into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본원 발명은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등의 케이스에서 상부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하부케이스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삽입홈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케이스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어긋남을 방지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접촉면에서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case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case and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lower case in a cas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e formed by assembli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n this case, the shift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prevented to prevent a step from occurring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이에 따라,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케이스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발생되는 단차에 의해 케이스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면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어긋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단차에서 걸림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case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tep generated by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and also the upper case and the upper case i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By minimizing the step formed by the misalignment of the lower cas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by the locking in the step.

Claims (5)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는 테두리 부분에서 상부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단턱부에 하부케이스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리브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In the case where the rib projecting from the edge of the lower cas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but, 상기 단턱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와;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epped portion; 상기 리브는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삽입홈을 구비하여,The rib has at least on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And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to support the low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단턱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이격부에는 후크가 형성되며,The upper case has at least one stepp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 the stepped gap is formed with a hook,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리브의 상기 단턱이격부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이격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크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The lower case is a cas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ib spaced portion is form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spaced portion of the rib, the rib spac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hooked with the hook of the upp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지지돌기의 상단부면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테두리의 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so as to be flush with the surface of the edge of the upp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삽입홈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rojectio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ib, 상기 하부케이스의 테두리의 상부면까지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Case having a depth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lower cas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ase,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부 또는 수화부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of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60528A 2005-07-06 2005-07-06 Case KR100639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528A KR100639382B1 (en) 2005-07-06 2005-07-06 Case
CNA2006100729074A CN1893451A (en) 2005-07-06 2006-04-05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528A KR100639382B1 (en) 2005-07-06 2005-07-06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382B1 true KR100639382B1 (en) 2006-10-27

Family

ID=3759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528A KR100639382B1 (en) 2005-07-06 2005-07-06 Ca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382B1 (en)
CN (1) CN189345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887A (en) * 2011-12-13 2013-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KR101738412B1 (en) * 2016-01-28 2017-05-23 코아글림 주식회사 Sensor fusion complex underwater navigation device for scuba divers
KR101839146B1 (en) 2011-06-03 2018-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Cover member bind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battery cover bin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41177B1 (en) * 2011-05-19 2018-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77B1 (en) * 2011-05-19 2018-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839146B1 (en) 2011-06-03 2018-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Cover member bind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battery cover bin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30066887A (en) * 2011-12-13 2013-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KR101738412B1 (en) * 2016-01-28 2017-05-23 코아글림 주식회사 Sensor fusion complex underwater navigation device for scuba divers
WO2017131323A1 (en) * 2016-01-28 2017-08-03 코아글림 주식회사 Sensor fusion underwater navig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451A (en)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6543B2 (en) Hous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ssembling the same
JP4521487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quipment case
KR100639382B1 (en) Case
JP6871292B2 (en) Resin structure
KR20040097571A (en) Case assembl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US5839907A (en) Structure of card
JP2001015224A (en) United connector
JP6978459B2 (en) Resin structure
JP2009044041A (en) Structure of housing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04134311A (en) Connector
JP4854500B2 (e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box
KR200341882Y1 (en) a sandwich panel
JP3162455U (en) Stud fixing runner
JPH05275868A (en) Housing for electric device
KR200250488Y1 (en) Corner Connector of Window Screen Frame
US7341494B2 (en) Low profile connector
KR100675183B1 (en)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of a mobile phone
KR0138940Y1 (en) Handset gradle for facsimile
JP4219255B2 (en) Shared space structure
KR100582360B1 (en)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foreign subtances
JP6338497B2 (en) Switch terminal structure
KR100790142B1 (en) Upper/lower case fixing device of terminal
JP2006066472A (en) Remote controller
JP4947597B2 (en) Gate
JP2006180630A (en) Rainproof inlet wir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