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38B1 -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38B1
KR100639338B1 KR1020040075181A KR20040075181A KR100639338B1 KR 100639338 B1 KR100639338 B1 KR 100639338B1 KR 1020040075181 A KR1020040075181 A KR 1020040075181A KR 20040075181 A KR20040075181 A KR 20040075181A KR 100639338 B1 KR100639338 B1 KR 10063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charging
charger
mobile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305A (ko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의 고정부에 관한 것으로 충전중에 직류잭과 연결되는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함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 내부에 직류충전기와 결합시키는 직류접촉 절곡부를 구비하고, 직류충전기의 직류충전핀에는 직류접촉 절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직류충전핀홀을 만들어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충전기간에 결합이 잘되도록 하여 충전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직류충전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류충전핀홀은 직류잭과의 결합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홀과 직직류접촉 절곡부가 결합되어 직류충전핀쪽으로 나갈 수 있는 또 하나의 홀을 구비하여 직류잭과 직류충전단자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Apparatus of DC jack and DC charging terminal for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잭에 연결되는 직류충전기의 내부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가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가 완전히 결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50 : 직류잭(DC jack) 22, 52 : 직류충전기(DC charger)
24, 54 : 직류충전핀 26, 56 : 직류충전핀홀
28, 60 : 직류접촉부 30, 64 : 분리버튼
58 : 접지커버(ground cover) 62 : 직류접촉 절곡부
66 : 분리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의 고정부에 관한 것으로 충전중에 직류잭과 연결되는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함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moblie phone)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이동체에 설치하는 송수신 설비를 가진 자에 대하여 이동 전화 교환 설비를 이용하여 주로 음성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동단말기는 일반 전화와는 달리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전파에 의해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와도 양호한 품질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한편, 현재의 이동단말기는 이동 통신이라는 고유의 목적 이외에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접목시킨 새로운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잭에 연결되는 직류충전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잭에 연결되는 직류충전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도 1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잭에 연결되는 직류충전기의 내부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DC Jack)(20)과 직류 접촉부(DC contact)(28)를 나타내고, 이동단말기의 직류잭(DC Jack)(20)과 연결되는 직류충전기(22)와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26)과 직류충전핀(26) 내부에 구멍이 뚫린 직류충전핀 홀(26)을 나타낸다.
이동단말기의 직류잭(20)의 내부에 구비된 직류 접촉부(28)에 직류충전기(22)의 직류충전핀 홀(26)이 결합되어 이동단말기를 충전하거나 전원을 공급한다.
이동단말기의 직류잭(2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땜납(Solding)되며 삽입부가 노출되어 있는 직류잭(DC Jack)(20)의 홀(hole)에 직류충전기(22)의 직류충전핀홀(DC Charger Pin)(26)이 연결된다.
그러나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24)에는 이어폰핀(Ear phone Pin)과는 다르게 굴곡없는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고. 이동단말기의 직류잭(20)에는 이어잭과 같이 조임 클립이 없기 때문에 충전을 위한 직류잭(20)과 직류충전기(22)를 연결 후에 직류충전기(22)의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24)을 강한 힘으로 움직일 경우, 이동단말기의 직류잭(DC Jack)(20)의 삽입구가 협소하면 직류잭(20) 전체가 땜납(Solding)된 메인보드의 PCB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단말기의 PCB를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직류잭(20)의 삽입구가 넓은 경우에는 직류충전핀(DC Charger Pin)(26)과 직류잭(DC Jack)(20)의 결합력이 이동단말기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게 되어 작은 힘이 가해지거나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쉽게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경우에는 비전도성 유전체를 이용한 언더필(Underfill) 작업을 하여 메인보드 PCB와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나 광대한 경우에는 이를 적절히 연결시키기 위한 안정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있는 직류잭과 분리핀(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20)에 직류충전기(22)가 결합된 후에 분리핀(Detachment Pin)(30)을 이용하여 직류충전기(22)를 직류잭(20)과 분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에는 이어잭에 구비되는 조임클립이 없기 때문에 충전이나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된 후에 연결부위에 힘이 가해지거나 하면 이동단말기의 메인보드 PCB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직류잭의 삽입구가 넓은 경우에는 적정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의 직류잭 내부에 직류충전기와 결합시키는 직류접촉 절곡부를 구비하고, 직류충전기의 직류충전핀에는 직류접촉 절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직류충전핀홀을 만들어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충전기간에 결합이 잘되도록 하여 충전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직류충전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류충전핀홀은 직류잭과의 결합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홀과 직류접촉 절곡부가 결합되어 직류충전핀쪽으로 직류접촉 절곡부가 나갈 수 있는 또 하나의 홀을 구비하여 직류잭과 직류충전단자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충전기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일정형상으로 홀을 형성한 직류충전핀홀을 포함하는 직류충전핀과: 상기 직류충전핀홀에 탄성을 가지고 삽입되는 직류접촉절곡부와, 상기 직류접촉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직류충전핀과 결합하여 충전전류를 처리하는 직류접촉부와, 상기 직류충전핀홀에 결합된 직류접촉절곡부를 직류충전기로부터 결합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직류잭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직류충전핀홀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연결되는 결합면에 하나의 홀을 구비하고, 직류접촉 절곡부가 결합되어 직류충전핀쪽으로 직류접촉 절곡부가 나갈 수 있는 또 하나의 홀을 구비하여 직류잭과 직류충전단자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직류접촉부는 도체이고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비되는 직류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가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이동단말기의 직류 잭과 직류 충전단자가 완전히 결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 3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시킬 수 있는 직류잭(50)의 내부 구성과 직류잭(50) 삽입부와 연결되는 직류충전기(52)의 세부구성을 나타낸다.
이동단말기에 구비되는 직류잭(50)에는 분리버튼(64)과 분리핀(66), 그리고 직류충전기(52)와 연결시키는 직류접촉부(60)와 직류접촉 절곡부(62)로 구성된다.
직류충전기(52)에는 직류충전핀(54), 직류충전핀홀(56), 접지커버(ground cover)(58)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직류충전핀홀(56)은 직류잭(50)과의 결합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홀과 직류접촉 절곡부(62)와 결합되어 직류충전핀(54) 쪽으로 직류접촉 절곡부(62)가 나갈 수 있도록 또 하나의 홀을 구비하여 직류잭과 직류충전단자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류충전기(52)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50)의 직류접촉 절곡부(62)와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된 한 방향으로만 삽입된다.
본 발명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의 주요내용은 직류잭(50)의 직류접촉 절곡부(62)가 도체이면서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비되고, 직류충전기(52)의 직류충전핀홀(56)과 결합되면서 연결되어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단말기 직류잭(50) 내부 중앙에 형성된 직류접촉 절곡부(62)가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직류충전기(52)의 직류충전핀홀(56)에 결합된다음 그 단부가 접지커버(Ground Cover)(58)를 가로질러 U자 형태로 휘어져서 최종적으로 직류잭(50)의 분리핀(66)과 닺는 위치에 이르면 직류잭과 직류충전기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입니다.
한편, 이동단말기의 직류잭(50)의 상부에 구비된 분리버튼(64)을 밀면 당해 버튼 하단의 분리핀(66)이 직류접촉부(60)와 직류접촉 절곡부(62)를 밀어서 직류잭(50)과 직류 충전기(DC Charger)(52)가 이격되어 직류 충전기(DC Charger)(52)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50)과 직류 충전단자가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직류충전기(52)의 직류충전핀홀(56)과 직류잭(50)에 구비되는 단단하고 탄성을 지닌 소재의 직류접촉절곡부(62)가 결합되어, 직류충전핀(54)의 외부의 직류충전핀홀(56)로 직류접촉 절곡부(62)가 나오는 것을 보여준다.
직류충전기(52)를 직류잭(50)으로 더 밀면 도 5와 같이 이동단말기의 직류잭 (50)과 직류충전기(52)가 완전히 결합된다.
직류잭(50)과 직류충전기(52)가 완전히 결합하여 충전이나 전원공급을 마친 후에 이를 분리시에는 분리버튼(64)을 밀면 분리핀(62)이 직류접촉부(60)의 직류절곡부(62)를 밀어내어 서로 분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에 전원공급이나 충전을 위한 직류충전기를 연결시에 안전하고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에 직류충전기를 삽입함으로서 직류잭 내부의 직류접촉부에 단단하고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비되는 고리형의 직류접촉 절곡부가 직류충전기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불측의 직류충전기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직류잭의 삽입부가 크거나 작게 제조되어도 여러 가지 후속작업을 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충전기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일정형상으로 홀을 형성한 직류충전핀홀을 포함하는 직류충전핀과:
    상기 직류충전핀홀에 탄성을 가지고 삽입되는 직류접촉절곡부와, 상기 직류접촉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직류충전핀과 결합하여 충전전류를 처리하는 직류접촉부와, 상기 직류충전핀홀에 결합된 직류접촉절곡부를 직류충전기로부터 결합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직류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충전핀홀은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연결되는 결합면에 하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직류잭의 외부에 구비되는 분리버튼과 상기 직류잭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리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접촉 절곡부는 도체이면서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KR1020040075181A 2004-09-20 2004-09-20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KR10063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81A KR100639338B1 (ko) 2004-09-20 2004-09-20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81A KR100639338B1 (ko) 2004-09-20 2004-09-20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05A KR20060026305A (ko) 2006-03-23
KR100639338B1 true KR100639338B1 (ko) 2006-10-30

Family

ID=3713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181A KR100639338B1 (ko) 2004-09-20 2004-09-20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108B1 (ko) * 2018-02-02 2019-04-11 이준성 휴대용 단말의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05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775B1 (ko) 일체형 행-업 및 배터리 충전 장치
US7396238B2 (en)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60085100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CN113891590A (zh) 中框和移动终端
JP4638414B2 (ja) 内部の電子機器と補助接続機器との間に弾力性のある接続部を備える携帯用電子機器
US6923688B1 (en) Charging interface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KR100639338B1 (ko) 이동단말기의 직류잭과 직류 충전단자 장치
US20020195991A1 (en)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KR200382247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US5889859A (en) Modular housing system
EP1119160A3 (en) Universal hands-free kit for cellular phone
KR1009460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113395080B (zh) 一种无线传输扩充装置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8010446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N1242650A (zh) 便携电子器件,其壳体和电池隔间
KR200268984Y1 (ko) 스프링 커넥터 핀
JP3970795B2 (ja) 充電装置
JP2001351751A (ja) プラグ結合構造、アンテナプローブ及び接続プラグ
KR200374898Y1 (ko) 외부 충격에 강한 플러그 연결 소자
KR200293930Y1 (ko) 체결부재를 구비한 전화기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