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255B1 -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255B1
KR100639255B1 KR1020050050395A KR20050050395A KR100639255B1 KR 100639255 B1 KR100639255 B1 KR 100639255B1 KR 1020050050395 A KR1020050050395 A KR 1020050050395A KR 20050050395 A KR20050050395 A KR 20050050395A KR 100639255 B1 KR100639255 B1 KR 10063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shear resistance
duct
resistance duct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운
김영진
진병무
김인규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5005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6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the elemen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 연결에 사용되는 전단키(shear key)를 대신할 뿐만 아니라 긴장재용 덕트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전단저항덕트와,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긴장재(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조립되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단부면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의 입구에 형성된 설치부(11, 21)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며 접합부에서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저항덕트와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프리캐스트, 전단, 전단키, 덕트, 연결

Description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Shear Resistance Duct and Co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member using Shear Resistance 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저항덕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전단저항덕트가 설치되기 전의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저항덕트가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단저항덕트를 이용하여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접합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저항덕트와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긴장재 설치공에 긴장재가 배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의 실시예로서, 전단저항덕트의 단부 외면이 테이퍼져 있는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 또다른 실시예로서, 전단저항덕트의 단부 외면에 일방향 쐐기부를 형성하고, 이 쐐기부가 삽입되는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 내에도 대응되는 쐐기부를 형성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 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단저항덕트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에 삽입 설치할 때, 설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부에는 보호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단저항덕트 10, 2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11, 21 : 설치부 12, 22 : 긴장재 설치공
본 발명은 전단키 기능의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 연결에 사용되는 전단키(shear key)를 대신할 뿐만 아니라 긴장재용 덕트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전단저항덕트와,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은 주로 긴장재의 긴장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와, 연결부에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전단키의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를 소정 길이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공장 제작하여 이를 현장에서 연결시공하게 되는데, 각 세그먼트의 일체화된 구조적 거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긴장재를 배치하고 긴장재를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휨응력에 저항하게 되며, 전단응력에 대해서는 세그먼트의 접합면에 요철형태로 형성된 전단키의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한 전단저항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세그먼트의 접합면에서 상기 전단키가 형성되는 위치는 긴장재의 덕트공 사이가 되며, 기계적인 맞물림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단키의 각도와 형상 등에 대하여 세심한 설계가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단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제작할 때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요철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거푸집의 탈형시에 부러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다. 특히 양측의 세그먼트를 서로 마주대어 연결할 때, 무거운 중량체인 세그먼트의 충돌에 의하여 전단키가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단키가 세그먼트와 일체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손상된 전단키를 복구시킬 수도 없으며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도 없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손상된 전단키를 가진 채로 양측 세그먼트를 연결할 수밖에 없게 되고, 이는 결국 그만큼 세그먼트의 연결부가 가지는 전단강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이웃하는 세그먼트에 연속적으로 긴장재를 배치함에 있어서, 세그먼트 간의 접합면을 따라 불연속면이 존재하게 되고,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세그먼트간의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긴장재 설치공에서의 누수는 긴장재의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긴장재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어 구조물의 붕괴 등과 같 은 구조물 전체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전단키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재의 접합면 존재에 의한 긴장재 덕트로의 누수 현상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전단키의 설계가 필요 없으며, 양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할 때 충돌에 의한 파손에 위험이 낮은 새로운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키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에서 긴장재 설치공에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긴장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조립되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면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긴장재 설치공의 입구에 형성된 설치부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며 접합부에서의 긴장재 설치공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저항덕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에 있어서, 상기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에 삽입되는 전단저항덕트의 단부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외면이 테이퍼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전단저항덕트의 실시예로서,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 내에 형성된 쐐기부에 대응하는 일방향 쐐기부가, 전단저항덕트의 단부 외면에 형성되어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쐐기부 간의 쐐기작용으로 인발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을 더 구비하는 전단저항덕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전단저항덕트를 이용하여 양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하여 연결하는 연결구조로서, 서로 조립되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면에서 상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내에 형성된 긴장재 설치공의 입구에 형성된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며 접합부에서의 긴장재 설치공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설치부에는, 긴장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전단저항덕트의 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된 상태로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면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에서, 상기 전단저항덕트가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에 삽입 설치될 때 설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단저항덕트를 감싸는 보호부재가 상기 설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단저항덕트가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쐐기부 간의 맞물림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인발저항이 발생하도록 상기 전단저항덕트의 단부 외면에 일방향 쐐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부가 삽입되는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부 내에도 대응되는 쐐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므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전단저항덕트(1)를 설치하는 과정 및 구조를 보여주는 각 단계별 개략적인 단면도인데, 도 2 및 도 3은 각각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되기 전의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에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단저항덕트(1)를 이용하여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가 접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전단저항덕트(1)와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긴장재 설치공(12, 22)에 긴장재(30)가 배치된 형상 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전단저항덕트(1)는 원통형 강관 형태로 이루어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이 형성되는 위치에 삽입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면 단부에는 상기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되는 설치부(11, 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저항덕트(1)의 내경은 긴장재 설치공(12, 22)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게 되므로, 상기 설치부는 전단저항덕트(1)의 두께를 고려하여 긴장재 설치공(12, 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그 형상은 상기 전단저항덕트(1)의 외형에 대응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를 접합하기 전에,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의 설치부(11)에 상기 전단저항덕트(1)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후속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를 접근시켜 상기 전단저항덕트(1)의 나머지 부분이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단저항덕트(1)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서 양측에 걸쳐져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되면 전단저항덕트(1)와 긴장재 설치공(12, 22)에 긴장재(30)를 관통하도록 배치하여 긴장정착하게 된다(도 6).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서 양측에 걸쳐져 위치하게 되므로, 마치 전단키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 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는 양측 설치부(11, 21)에 삽입 장착하는 것만으로 그 설치가 완료되므로, 전단저항덕트(1)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 사이의 접합면으로 인하여 긴장재 설치공(12, 22) 간에 불연속면이 생기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장재 설치공(12, 22) 간의 불연속면에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되어 연속되므로, 접합면으로 인한 긴장재 설치공(12, 22) 사이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단저항덕트(1)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설치부(11, 21)에 삽입 장착함에 있어서, 전단저항덕트(1)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전단저항덕트(1)의 설치가 더욱 견고하게 되고 누수방지 효과도 더욱 배가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저항덕트(1)가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가 서로 접근할 때, 상기 설치부(11, 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를 제작할 때 미리 전단저항덕트(1)가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에 미리 전단저항덕트(1)를 설치한 상태에서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를 접근할 때 충돌에 의하여 전단저항덕트(1)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단저항덕트(1)를 손쉽게 빼내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단저항덕트(1)를 손상된 채로 남겨둠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불안전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의 다양한 실시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 연결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 사이, 그리고 전단저항덕트(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 사이에 틈이 있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부재의 설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고, 실제로는 틈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7 및 도 8에는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부(12, 22)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또한 견고하게 설치될 수도 있도록 그 단부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되는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외면이 테이퍼져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그 테이퍼진 형태가 더욱 완만하게 되어 있다. 전단저항덕트(1)를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의 설치부(11)에 삽입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의 설치부(11) 방면의 전단저항덕트(1) 단부는 그 테이퍼진 정도가 비교적 급하게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특히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의 설치부에 미리 전단저항덕트(1)를 설치해놓는 경우에는 부착력의 증대를 위하여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를 거칠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 외면에 일방향 쐐기부 (2)를 형성하고, 이 쐐기부(24)가 삽입되는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 내에도 대응되는 쐐기부(24)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전단저항덕트(1)가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쐐기부(2, 24) 간의 쐐기작용으로 인발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단저항덕트(1)가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와 견고하게 결합되고, 그에 따라 전단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저항덕트(1)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설치부(12, 22)에 삽입 설치할 때, 설치부(12, 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부(12, 22)에는 보호부재(13, 2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부(12, 22)의 내측에 상기 전단저항덕트(1)를 감싸는 보호부재(13, 23)를 미리 매립해둠으로써, 상기 설치부(12, 22)에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될 때, 설치부(12, 22)가 손상되어 전단저항덕트(1)가 빠져나가거나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일측의 보호부재(13)는 타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타측 보호부재(2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부(12, 22)의 보호기능을 배가함과 동시에 전단저항력을 더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이 형성된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긴장재 설치공(12, 22) 내에 쉬스관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단저항덕트(1)의 내경과 쉬스관의 내경은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일예로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각 세그먼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물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서 양측에 걸쳐져 위치하게 되므로, 마치 전단키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는 양측 설치부(11, 21)에 삽입 장착하는 것만으로 그 설치가 완료되므로, 전단저항덕트(1)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장재 설치공(12, 22) 간의 불연속면에 전단저항덕트(1)가 설치되어 연속되므로, 접합면으로 인한 긴장재 설치공(12, 22) 사이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저항덕트(1)를 이용하여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하는 경우, 전단저항덕트(1)를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 직전에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삽입 장착할 수 있으므로,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근할 때 충돌에 의하여 전단저항덕트(1)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만일 전단저항덕트(1)가 손상되더라도 전단저항덕트(1)를 손쉽 게 빼내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전단저항덕트(1)를 손상된 채로 남겨둠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불안전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긴장재(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조립되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단부면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의 입구에 형성된 설치부(11, 21)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며 접합부에서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저항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되는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는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외면이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저항덕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 내에 형성된 쐐기부(24)에 대응하는 일방향 쐐기부(2)가,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 외면에 형성되어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쐐기부 (2, 24) 간의 쐐기작용으로 인발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저항덕트.
  4. 양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를 접합하여 연결하는 연결구조로서,
    서로 조립되는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단부면에서 상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 내에 형성된 긴장재 설치공(12, 22)의 입구에 형성된 설치부(11, 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며 접합부에서의 긴장재 설치공(12, 22)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설치부(11, 21)에는, 긴장재(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된 상태로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단부면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저항덕트(1)가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 20)의 설치부(12, 22)에 삽입 설치될 때 설치부(12, 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단 저항덕트(1)를 감싸는 보호부재(13, 23)가 상기 설치부(12, 22)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저항덕트(1)가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쐐기부(2, 24) 간의 맞물림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인발저항이 발생하도록 상기 전단저항덕트(1)의 단부 외면에 일방향 쐐기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부(24)가 삽입되는 타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20)의 설치부(21) 내에도 대응되는 쐐기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구조.
KR1020050050395A 2005-06-13 2005-06-13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KR10063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95A KR100639255B1 (ko) 2005-06-13 2005-06-13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95A KR100639255B1 (ko) 2005-06-13 2005-06-13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352U Division KR200397200Y1 (ko) 2005-06-24 2005-06-24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255B1 true KR100639255B1 (ko) 2006-10-30

Family

ID=3762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395A KR100639255B1 (ko) 2005-06-13 2005-06-13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8141A (ja) * 2018-02-28 2019-09-05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シアーキー機能付きシース継手、pc部材、pc床版、pc部材連結方法、及びpc床版連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8141A (ja) * 2018-02-28 2019-09-05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シアーキー機能付きシース継手、pc部材、pc床版、pc部材連結方法、及びpc床版連結方法
JP7027197B2 (ja) 2018-02-28 2022-03-01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シアーキー機能付きシース継手、pc床版、及びpc床版連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635B1 (ko) 프리 캐스트 박스 암거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0639255B1 (ko)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KR200397200Y1 (ko)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KR100704609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 구조
KR100418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피씨강선 연속화를 통한접합력 증대방법
JP2004285823A (ja) 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090002157U (ko) 건설용 사각 파이프 접속기구
JP404452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器具
KR20200053842A (ko) 연결 대나무 소일네일링 구조
KR101716675B1 (ko) 이음부가 보강된 강관 연결 구조체 및 이러한 강관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교량
JP6238154B2 (ja) 管路施設のケーブル敷設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耐震用固定具
CN109797888A (zh) 一种用于预应力张拉施工建筑的墙/柱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9064054A (ja) 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シース接続口の成形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設置方法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JP5502433B2 (ja) コンクリート製の水路用材の止水用接合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の水路用材の接合方法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149486B1 (ko) 절점부 좌굴 방지 트러스
JP5525884B2 (ja) 補強材の継手構造及びその継手構造の構築方法
JP200436039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
JP201811933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接合部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接合構造体
JP5150354B2 (ja) 充填材の充填状態の確認方法、定着金物を鉄筋に固定する方法、定着金物、pc部材
KR20060032268A (ko)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봉강 및 그 이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