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176B1 -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176B1
KR100639176B1 KR1019990066654A KR19990066654A KR100639176B1 KR 100639176 B1 KR100639176 B1 KR 100639176B1 KR 1019990066654 A KR1019990066654 A KR 1019990066654A KR 19990066654 A KR19990066654 A KR 19990066654A KR 100639176 B1 KR100639176 B1 KR 10063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eat exchanger
evaporator
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59263A (en
Inventor
김인갑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176B1/en
Publication of KR2001005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5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6Radiators for spa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로서, 일체형 열교환기가 내장됨으로써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고 경량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having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by which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is built not only can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but also can form a compact and lightweight air conditioner,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 and improve productivity It aims at improving air-conditioning performanc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L자 형상의 두 플레이트(23,23)가 접합된 다수의 플랫 튜브(21)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와 일체로 설치되고 전열핀(4)을 공유하는 히터 코어(3)를 가지는 일체형 열교환기(1)가, 상기 증발기가 송풍기(8)쪽을 향하도록 공기조화케이스(5)의 풍로에 내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조화케이스는 히터 코어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의 굴곡부 전후에 설치되는 두 온도조절도어(51,52)를 가지며; 상기 공기조화케이스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하부 위치에 설치되는 드레인 홀(56)을 가지며; 상기 공기조화케이스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공기 토출측의 믹싱 챔버(57)의 둘레를 따라 하부 벤트 도어(54), 상부 벤트 도어(53) 및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55)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evaporator (2) formed by a plurality of flat tubes (21) to which two L-shaped plates (23, 23) are joined, and an integral part of the evaporator and a heat transfer fin ( An integral heat exchanger (1) having a heater core (3) sharing 4) is built in the air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5) such that the evaporator faces the blower (8); The air conditioning case has two temperature regulating doors 51 and 52 which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The air conditioning case has a drain hole 56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wer vent door 54, an upper vent door 53, and a defrost vent door 5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ixing chamber 57 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공기조화장치, 일체형열교환기Air Conditioning Unit, Integrated Heat Exchanger

Description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Automotive air conditioner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요부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증발기의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전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증발기의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후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half partitioned by the central plate of the evaporator, Figure 2c is shown by the central plate of the evaporator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artitioned latter part.

도 3은 일체형 열교환기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한 냉방 사이클 및 난방 사이클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oling cycle and a heating cycle by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냉각수 조절 밸브의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cooling water control valve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heat exchanger.

도 7은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7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heat exchanger.

도 8은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heat exchanger.

도 9는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 conventional integrated heat exchanger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일체형 열교환기, 2 : 증발기, 1: integral heat exchanger, 2: evaporator,

3 : 히터 코어, 4 : 전열핀, 3: heater core, 4: heating fin,

5 : 공기조화케이스, 21 : 증발기의 플랫 튜브, 5: air conditioning case, 21: flat tube of evaporator,

23 : 증발기 플레이트, 31 : 히터 코어의 플랫 튜브, 23: evaporator plate, 31: flat tube of the heater core,

33 : 히터 코어 플레이트, 51, 52 : 온도조절도어, 33: heater core plate, 51, 52: temperature control door,

53, 54, 55 : 벤트 도어, 56 : 드레인 홀, 53, 54, 55: vent door, 56: drain hole,

57 : 믹싱 챔버, 61 : 냉각수 공급라인, 57: mixing chamber, 61: cooling water supply line,

62 : 냉각수 배출라인, 63 : 냉각수 조절 밸브, 62: coolant discharge line, 63: coolant control valve,

631 : 밸브 케이스, 633 : 밸브 플레이트, 631: valve case, 633: valve plate,

231, 232, 233 : 유로공, 235 : 구획비드, 231, 232, 233: euro ball, 235: block beads,

237 : L턴 유로, 245 : 연결돌기, 237: L turn euro, 245: connecting projection,

247 : 노치부 247: notch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열교환기가 내장됨으로써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고 경량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and in particular, an integral heat exchanger having an integrated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can be incorporated to improv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and to configure a compact and lightweight air conditio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apable of reducing cost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improving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되며, 한편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 코어로 유입하여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cooling system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a vehicle by heat exchange by an evaporator while the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circulated back to the compressor via a condenser, a receiver dri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The coolant is configured to heat the room by introducing heat exchange into the heater core.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공기조화케이스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증발기 및 히터 코어의 각각의 구성 부품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도로 조립함에 따라 증발기 및 히터에 대한 제조라인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증대되며, 조립공수 및 조립인원이 많이 소요되어 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공기조화케이스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도로 내장하여야 함에 따라 온도조절도어의 추가적인 설치가 요구되어 공기조화케이스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케이스의 크기도 증대되어 자동차에 대한 장착성도 악화된다. 또한, 이와 같이 냉난방 시스템이 복잡해지면 송풍기로부터 공기조화케이스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에 있어서 저항이 커져 시스템 풍량의 감소, 노이즈 증대 및 냉난방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In a general air conditioner,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re separately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er case. In this case, mold development cost is high because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increases, and as the assembly line for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is separately installed, the production line for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thereby increasing the equipment cost. The cost of assembly and labor is high, resulting in higher costs and lower productivity. In addition, since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is required, which not only complicates the air conditioning case but also increases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reby deteriorating the mountability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complicated, the resistance increases in the flow of air blown from the blowe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resulting in a decrease in system air volume, an increase in noise, and a decrease in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체로 이루어진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일본 공개특허 평9-39553호에 개시된 것이 대표적이 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 heat exchanger and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are integrated have been proposed,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39553.

이 열교환기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냉각매체가 유통하는 제1열교환기(101)와, 상기 L자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가열매체가 유통하는 제2열교환기(111)와,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기(101)와 제2열교환기(111)가 공유하는 전열핀(121)들을 구비한다. 상기 두 열교환기(101,111)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노치부(미도시)가 설치되며 공기의 토출측은 상기 제1열교환기(101)의 토출측 일부와 상기 제2열교환기(111)의 토출측 전부(全部)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공기조화케이스(131)의 공기가 유통하는 풍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101)가 냉방사이클의 증발기로 사용되며, 제2열교환기(111)가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온수회로에 설치되어 히터코어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101)의 상기 공기의 토출측에 그 제1열교환기(101)를 통과한 공기를 제어하는 도어(133)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111)의 배관에 그 제2열교환기(111) 내를 유통하는 온수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13)가 설치된다. The heat exchanger, as shown in Figs. 6 to 9, is formed in an L shape,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through which the cooling medium flows, and is formed in the space of the L-shape to form a generally planar quadrangular shape. And a second heat exchanger 111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s, and heat transfer fins 121 shared by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A notch part (not shown) is installed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two heat exchangers 101 and 111,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air is part of the discharge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all of the discharge side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 It is comprised by the whole part.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 air path through which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31 flows, so that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s used as an evaporator of a cooling cycle,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circulates engine coolant. Installed in and used as a heater core. In such an air conditioner, a door 133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air of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to contro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is provided. ), A flow rate control valve 113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ot water flowing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is provid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기능을 하는 제1열교환기(101)가 냉방시스템과 연결되고 히터 코어 기능을 하는 제2열교환기(111)가 난방시스템과 연결되면, 도어(133)가 폐쇄된 상태에서 송풍기(135)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제1열교환기(101)를 흐르고 있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이 냉각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111)를 통과할 때 제2열교환기(111)를 흐르고 있는 온수와 열교환되어 가열되어 냉풍은 공기조화케이스(131)의 상부 벤트(137)를 통하여, 그리고 온풍은 공기조화케이스(131)의 하부 벤트(139)를 통하여 차실내의 승객의 상반신쪽으로 토출되어 차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된다. 또한, 도어(13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열교환기(101)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중 일부(즉, 제1열교환기(101)를 거쳐 도어(133)쪽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그대로 상부 벤트(137)를 통하여 차실내로 배출되고, 제1열교환기(101)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의 나머지 부분은 제2열교환기(111)와 열교환되어 하부 벤트(139)를 통하여 차실내의 승객의 하반신쪽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열교환기(111)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고 제1열교환기(101)만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는 저온이고 제1열교환기(101) 및 제2열교환기(111)를 거친 공기는 위 공기보다 고온이므로 온도차가 커져 바이 레벨(bi-lebel) 상태가 되므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serving as the evaporator is connected to the cooling system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serving as the heater core is connected to the heating system, the door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35 in the closed state 133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cooled, and the cooled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When the heat exchanged with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is heated to the cold air through the upper vent 137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31, and the warm air to the lower vent 139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31 Through the discharge to the upper body of the passenger in the interior of the cabin is cooled or heated. In addition, when the door 133 is opened, a part of the air cooled by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that is,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door 133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s intac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via the 137 and cooled by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s heat-exchanged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to lower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lower vent 139. Discharged to the side. Therefore,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d through only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without being heated by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is a low temperature and the air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Since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ir above,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increased, so that the bi-lebel state makes the user feel comfortabl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제1열교환기(101)와 제2열교환기(111)와의 사이에 이들 상호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1열교환기(101)와 제2열교환기(111) 상호간의 열전달현상을 완전히 막을 수 없고 제1열교환기(101) 내부로 유입된 냉각매체의 경우 유동경로가 L턴(L-turn)을 한 다음 그대로 제1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열교환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제1열교환기(101)의 일부만을 거친 공기와 제1열교환기(101) 및 제2열교환기(111)를 거친 공기와의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양호한 바이 레벨상태를 얻을 수 없어 특히 냉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공기조 화장치에 있어서는 제1열교환기(101)를 통과한 공기를 제어하는 도어(133)가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인 제1열교환기(101)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어(133)가 닫힌 경우에도 공기가 제1열교환기(101)를 거쳐 제2열교환기(111) 쪽으로 유동함으로써 온도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heat exchanger as described above and an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a notch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to minimize heat transfer between them. Even if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cannot be completely prevented, and the cooling medium flowed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the flow path is L-turn. Since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s it i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poor. Therefore, the air,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that have passed through only a part of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are separated. The difference with rough air is not big. Therefore, a good bi-level state cannot be obtain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is particularly low. 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door 133 for controll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Even when the air is closed, the air flow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01 toward the second heat exchanger 111, so that temperature control cannot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열교환기가 내장됨으로써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고 경량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tegrating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s well as to improve the heating and cooling performance as well as to form a compact and lightweight air conditioner, It aim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costs, improve productivity, and improv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자 형상의 두 플레이트가 접합된 다수의 플랫 튜브들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냉각매체가 유통하는 증발기와, 상기 L자의 공간부에 상기 증발기와 일체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냉각수가 유통하는 히터 코어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히터 코어의 각 플랫튜브 사이에 공유된 전열핀을 구비하여서 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증발기가 송풍기쪽을 향하도록 공기조화케이스의 풍로에 내장되고, 상기 공기조화케이스는 히터 코어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의 굴곡부 전후에 유입공기 및 토출공기를 제어하는 제1온도조절도어 및 제2온도조절도어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의 하부에 드레인 홀을 가지며; 또한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의 공기 토출측 의 믹싱 챔버의 둘레를 따라 하부 벤트 도어, 상부 벤트 도어 및 상부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or is passed through the cooling medium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tubes are bonded to the two L-shaped plate, the L-shaped space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evaporator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heater core in which a coolant flows, and a heat transfer fin shar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each flat tube of the heater core, which are generally rectangular in planar shape, the heat exchanger having the evaporator directed toward the blower. A first temperature regulating door and a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door for controlling the inflow air and the discharge air before and after the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the air conditioning case being embedded in the air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 drain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It is also characterized by having a lower vent door, an upper vent door and an upper defrost vent doo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ixing chamber 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를 구성하는 각 플레이트가 차례로 통하도록 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제1유로공, 제2유로공 및 제3유로공이 차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의 제2유로공으로부터 상단부의 굴곡부 일부까지 구획비드가 형성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L턴 유로가 형성되고, 제1유로공이 막혀있는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되며, 상기 전반부 끝단의 제1엔드 플레이트는 제3유로공이 막혀 있고, 상기 후반부 끝단의 제2엔드 플레이트는 모든 유로공이 막혀 있어, 상기 전반부의 각 플레이트에 있는 제1유로공 및 제3유로공에 의해 제1, 2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후반부의 각 플레이트에 있는 제 1유로공 및 제3유로공에 의해 제3, 4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반부의 제1유로로 유입된 냉매가 L턴 유로를 통해 제2유로로 유동되고, 이 유동 냉매가 중앙 플레이트의 제3유로공을 통해 후반부의 제4유로로 유동된 후, L턴 유로를 통해 제3유로로 유동되며, 상기 전반부와 후반부에서 모두 연통된 제2유로공에 의해 형성되어 제2엔드 플레이트 쪽에서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5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uro hole, the second euro hole and the third euro hole are sequenti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plate so that each plate constituting the evaporator passes in tur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end from the second euro hole in the center. By forming a partial bead up to a part, an L-turn flow path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plate, and is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by a central plate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is blocked, and the first end plate at the end of the first flow path has a third flow hole. The second end plate of the second half end is blocked, and all the flow path holes are block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by the first and third flow holes in each plate of the first half, and each plate of the second half plate. The third and fourth flow paths are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and the third flow path i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in the first half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through the L-turn flow path. Flows, and this flow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of the central plate to the fourth flow path in the second half, and then flows through the L-turn flow path to the third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hole communicates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parts. It is formed by the second en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fifth channel connected to the third chan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터 코어의 냉각수 공급라인 및 냉각수 배출라인에 걸쳐 냉각수 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이 냉각수 조절 밸브는 냉각수 공급라인 및 냉각수 배출라인과 통하는 유로를 가진 밸브 케이스와; 상기 유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동량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플레이트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water control valve is installed over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of the heater core, and the cooling water control valve includes: a valve case having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has a valve plate for controlling or blocking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ot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증발기는 냉방시스템과 연결됨과 아울러 히터 코어는 난방시스템과 연결된다.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vaporator is connected to the cooling system and the heater core is connected to the heating system.

난방 모드에서는 두 온도조절도어는 닫히고, 따라서 송풍기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히터 코어와 겹친 증발기 부분 및 히터 코어를 통하여 믹싱 챔버로 토출된다. 한편, 엔진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라인을 통하여 히터 코어 내부로 유통함으로써 이 냉각수와 믹싱 챔버로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되어 고온으로 바뀜으로써 실내로 온풍이 공급된다. 온도 조절은 컨트롤 유니트의 온도조절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밸브 플레이트의 회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heating mode, both thermostat doors are closed, so that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er is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through the heater core and the evaporator portion overlapping the heater core. On the other hand, the engine coolant is distributed to the inside of the heater core through the coolant supply line, so that the air discharged to the coolant and the mixing chamber is heat-exchanged and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thereby supplying warm air to the room. Temperature control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mount of a valve plate by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of a control unit.

냉방 모드에서는 두 온도조절도어가 개방된다. 따라서, 송풍기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의 전체 면적과 히터 코어를 거쳐 믹싱 챔버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믹싱 챔버로 토출되는 공기는 증발기 내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바뀜으로써 실내로 냉풍이 공급된다. 이 냉방 모드에서는 밸브 플레이트에 의하여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 배출라인의 유로가 차단되어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 조절 밸브에서 엔진쪽으로 바이패스됨으로써 히터 코어에는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는다. In the cooling mode, both temperature control doors are opened. Therefore,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er is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via the entire area of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In this way, the air discharged into the mixing chamber is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to be converted to low temperature so that col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In this cooling mode, the flow path of the coolant supply line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is blocked by the valve plate, and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engine is bypassed from the coolant control valve to the engine so that no coolant flows to the heater core.

한편, 믹싱 모드에서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두 온도조절도어가 적당한 각도로 개방되고, 또한 냉각수 조절 밸브의 유로도 적당하게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는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두 온도조절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 증발기의 굴곡된 상단부의 적절한 영역 및 그 하부 전체를 거치고 히터 코어와 겹친 증발기 영역을 거친 공기는 히터 코어도 거쳐 믹싱 챔버로 토출된다. 따라서, 믹싱 챔버의 상부 영역에는 저온의 공기가, 그리고 믹싱 챔버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공기보다 높은 적절한 온도의 공기가 토출되어 믹싱 챔버에서 믹싱된 후 각 벤트 도어들을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실내의 상부는 저온의 공기가 공급되고 실내의 하부는 상기 공기보다 온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되므로 온도차가 발생하여 바이 레벨 상태(bi-lebel)를 이루므로 실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ixing mode, the two temperature control doors are opened at an appropriate angl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flow path of the coolant control valve is also appropriately adjusted. In this state,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appropriate area of the curved upper end of the evaporator and the entire lower part thereof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two temperature control doors,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rea overlapped with the heater core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er core to the mixing chamber do. Therefore, low temperature air is discharged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mixing chamber, and ai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lower region of the mixing chamber and mixed through the vent door after mixing in the mixing chamber.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part of the room is supplied with low-temperature air and the lower part of the room is supplied with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ir,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to form a bi-lebel, thereby making the room comfortab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 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일체형 열교환기로서 L자 형상을 하고 있는 증발기(2)와, 상기 L자 형상의 공간부에 증발기(2)와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히터 코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evaporator 2 having an L shape as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vaporator in the space of the L shape. It comprises the heater core 3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tegrally connected with (2), and has the substantially square planar shape as a whole.

증발기(2)는 L자 형상의 두 플레이트(23,23)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랫 튜브(21)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히터 코어(3)는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있는 두 플레이트(33,33)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랫 튜브(31)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발기(2)의 플랫 튜브(21)들과 히터 코어(3)의 플랫 튜브(31)들은 서로 대응하여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단일체의 코르게이트형 전열핀(4)들이 차례로 적층된다. 따라서, 증발기(2)와 히터 코어(3)는 전열핀(4)들을 공유하게 된다. The evaporator 2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tubes 21 which are formed by joining two L-shaped plates 23 and 23 to each other, and the heater core 3 is formed by two plate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 A plurality of flat tubes 31 formed by joining 33 and 33 are laminated one by one. Then, the flat tubes 21 of the evaporator 2 and the flat tubes 31 of the heater core 3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single corgate type heat transfer fin 4 is stacked therebetween. Thus,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share the heat transfer fins 4.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2)의 플랫 튜브(2)를 형성하는 L자 형상의 플레이트(23)를 도면과 같이 역으로 세워놓았을 때 각 플레이트(23)의 하단부에는 제1유로공(231), 제2유로공(232) 및 제3유로공(233)이 차례로 형성된다. 도면과 같이 제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은 배치높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가운데의 제2유로공(232)의 배치높이는 제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의 배치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공(232)의 상단으로부터 상단의 굴곡부 일부까지 구획비드(235)가 역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획비드(235)의 굴곡부는 냉매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만곡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shaped plate 23 forming the flat tube 2 of the evaporator 2 is invert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flow path 23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plate 23. ), The second flow hole 232 and the third flow hole 233 are formed in sequence.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heights of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are the same, and the placement height of the second flow path 232 in the center is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all 233. In addition, the partition bead 235 is formed in an inverted L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ssage hole 232 to a portion of the upper ben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compartment bead 235 is curved in consideration of the fluidity of the refrigerant. Do.

상기 구획비드(235)에 의하여 플레이트(23)에는 L턴 유로(237)가 형성되며, 이 L턴 유로(237)와 제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은 서로 통하지만 L턴 유로(237)와 제2유로공(232)은 서로 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turn flow path 237 is formed on the plate 23 by the partition bead 235, and the L-turn flow path 237,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turn flow passage 237 and the second flow passage 232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플레이트(23)의 내면에는 냉매의 전열면적을 넓힘과 아울러 냉매의 난류를 도모하고 또한 두 플레이트(23,23)의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L턴 유로(237)에는 소정의 배열로 다수의 엠보싱 비드(239)가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즉, 두 플레이트(23,23)의 엠보싱 비드(239,239)들은 서로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브레이징시 서로 대응하는 엠보싱 비드(239)들끼리 서로 접합된다. 이 엠보싱 비드(239)들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엠보싱 비드(239)들이 혼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refrigera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23, to promote turbulence of the refrigerant, and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two plates 23 and 23, a plurality of embossings are arranged on the L-turn flow path 237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Bead 239 is formed entirely. That is, the embossed beads 239 and 239 of the two plates 23 and 23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embossed beads 239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brazing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embossing beads 239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and square, and the embossing beads 239 of various shapes may be formed to be mixed.

그리고, 플레이트(23)의 내면 모서리부에는 냉매의 흐름이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L턴 유로(237)를 따라 잘 유도될 수 있도록 사선방향의 슬로트형 비드(2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플레이트(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두 플레이트(23,23)를 브레이징 접합하기 위한 플랜지(243)가 형성됨과 아울러 히터 코어(3)와 연결되는 쪽 플랜지(243) 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연결돌기(245)가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겠지만 증발기(2)와 히터 코어(3) 상호간의 연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돌기(245)들 사이에는 노치부(24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lotted bead 241 in an oblique direction is formed at an inner edge portion of the plate 23 so that the flow of the coolant is guided well along the L-turn flow path 237 without biasing to one side. In addition, a flange 243 for brazing the two plates 23 and 23 is formed along the edge of each plate 23, and a portion of the flange 243 connected to the heater core 3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plurality of connecting protrusions 245 are formed, notches 247 ar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s 245 in order to minimize the transfer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증발기(2)의 플레이트(23) 2개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플랫 튜브(21)를 이루고, 이 플랫 튜브(21)들이 차례로 적층되어 증발기(2)가 구성됨으로써 증발기(2)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통하는 소정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가 증발기(2) 내부를 유통하면서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증발기(2)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3)들중 양쪽 최외측의 한 쪽 끝에 배치되는 제1엔드 플레이트(편의상 참조부호 211'로 나타냄)(도 2 참조)의 유로공들중 제3유로공(233)은 막혀 있다. 또 증발기(2)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3)들중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편의상 참조부호 213으로 나타냄)(도 2 참조)의 제1유로공(231)은 막혀 있어 중앙 플레이트(213)는 블랭크 플레이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증발기(2)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23)중 양쪽 최외측의 다른 쪽 끝에 배치되는 제2엔드 플레이트(편의상 참조부호 212'로 나타냄)(도 2 참조)의 모든 유로공(231, 232, 233)은 막혀 있고, 이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제1유로공(231) 및 제2유로공(232)은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유로공(231)이 막혀있는 중앙 플레이트(213)에 의해 전반부(211)와 후반부(212)로 구획되는데, 상기 전반부(211) 끝단의 제1엔드 플레이트(211')는 제3유로공(233)이 막혀 있고, 상기 후반부(212) 끝단의 제2엔드 플레이트(212')는 모든 유로공(231, 232, 233)이 막혀 있다.
상기 전반부(211)의 각 플레이트(23)에 있는 제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에 의해 제1, 2유로(231a, 233a)가 형성되고, 상기 후반부(212)의 각 플레이트(23)에 있는 제 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에 의해 제3, 4유로(231b, 23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1유로공(231)에는 냉매유입관(미도시)이 연결되고,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2유로공(232)에는 냉매배출관(미도시)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두 엔드 플레이트(211', 212') 및 중앙 플레이트(213)가 채용된 증발기(2)에 있어서는,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1유로공(231)을 통하여 중앙 플레이트(213)의 제1유로공(231)까지 각각의 플레이트(23)와 연결된 제1유로(231a)를 통해 냉매가 유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1유로공(231)으로부터 각 플랫 튜브(21) 내부의 L턴 유로(237)를 거쳐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3유로공(233)에 위치되는 제2유로(233a)를 통해 중앙 플레이트(213)의 제3유로공(233)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213)의 제3유로공(233)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4유로(233b)를 통해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제3유로공(233) 위치까지 유동하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213)에서 제2엔드 플레이트(212') 사이의 각 플랫 튜브(21) 내부의 L턴 유로(237)를 거쳐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제1유로공(231)에 위치되는 제3유로(231b)로 유동한다.
상기 제3유로(231b)로 유동하는 냉매는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제2유로공(232)에 위치되는 제5유로(232a)를 거쳐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2유로공(232)과 연결된 냉매배출관을 통하여 증발기(2)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L턴을 하면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제2유로공(232)들을 지나는 제5유로(232a)를 통해 증발기(2) 전체를 거쳐 배출되기 때문에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므로 냉방성능을 높일 수 있다.
The two plates 23 of the evaporator 2 made as described above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flat tube 21, and the flat tubes 21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the evaporator 2, thereby forming the inside of the evaporator 2. A predetermine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d plate disposed at one end of both outermost sides of the plates 23 constituting the evaporator 2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evaporator 2 and exhibits an opt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For convenience, the third flow hole 233 of the flow path hol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11 '(see FIG. 2) is blocked. In addition,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center plate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13 for convenience) (see FIG. 2)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lates 23 constituting the evaporator 2 is blocked, so that the center plate 213 is closed. It functions as a blank plate. Also, all of the flow path holes 231, 232, of the second end plate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12 ′ for convenience) (see FIG. 2) disposed at the other ends of both outermost sides of the plates 23 constituting the evaporator 2. 233 is blocked, and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second flow path 232 of the second end plate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flow path 231 is partitioned into a first half portion 211 and a second half portion 212 by the central plate 213 is blocked, the first end plate 211 ′ at the end of the first half portion 211 is The third flow path 233 is blocked, and all of the flow path holes 231, 232, and 233 are blocked in the second end plate 212 ′ at the end of the second half 212.
First and second flow paths 231a and 233a are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in each plate 23 of the first half 211, and the second half 212 of the second half hole 212 is formed. The third and fourth flow paths 231b and 233b are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in each plate 23.
A refrigerant inlet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first end plate 211 ', and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hole 232 of the first end plate 211'. (Not shown) are connected.
Therefore, in the evaporator 2 employing the two end plates 211 'and 212' and the center plate 213, the center plate (1) through the first flow hole 231 of the first end plate 211 '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31a connected to each plate 23 to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213, and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first end plate 211 ′. Center plate 213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33a located in the third flow path 233 of the first end plate 211 'via the L-turn flow path 237 inside each flat tube 21). Flow toward the third flow path 233.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hannel hole 233 of the center plate 213 flows to the third channel hole 233 of the second end plate 212 'through the fourth channel 233b.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second end plate 212 'is passed through the L-turn flow passage 237 inside each of the flat tubes 21 between the center plate 213 and the second end plate 212'. Flows to the third flow path 231b located a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flow path 231b passes through the fifth flow path 232a located in the second flow path hole 232 of the second end plate 212 ', and thus, the second flow path of the first end plate 211'. It is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flow path hole 232.
Therefore, since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evaporator 2 flows while turning L, and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entire evaporator 2 through the fifth channel 232a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nnel holes 232, heat exchange efficiency. This improves the cooling perform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코어(3)의 각 플랫 튜브(31)를 형성하는 플레이트(33)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히터 코어(3)의 각 플레이트(33)는 이와 대응하는 증발기(2)의 각 플레이트(23)의 L자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증발기(2)의 각 플레이트(23)와 연결된다. 즉, 히터 코어(3)의 플레이트(33)의 가장자리에는 두 플레이트(33,33)를 브레이징 접합하기 위한 플랜지(3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히터 코어 플레이트(33)의 플랜지(343)중 증발기 플레이트(23)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증발기 플레이트(23)의 연결돌기(245)들과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돌기(345)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증발기 플레이트(23)의 연결돌기(245)와 히터 코어 플레이트(33)의 연결돌기(345)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증발기 플레이트(23)와 히터 코어 플레이트(33)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증발기 플레이트(23)와 히터 코어 플레이트(3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증발기(2)와 히터 코어(3) 사이에는 상호간의 연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247)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들(245,345)의 크기 및 간격은 실험에 의하여 열전달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lates 33 forming each flat tube 31 of the heater core 3 are substantially rectangular, and each plate 33 of the heater core 3 is formed. Is connected to each plate 23 of the evaporator 2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shaped space of each plate 23 of the evaporator 2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a flange 343 for brazing the two plates 33 and 33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late 33 of the heater core 3, and the evaporator in the flange 343 of the heater core plate 33 is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ate 23, a plurality of connecting protrusions 345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rotrusions 245 of the evaporator plate 2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fore, the connection protrusion 245 of the evaporator plate 23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345 of the heater core plate 33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vaporator plate 23 and the heater core plate 3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ince the evaporator plate 23 and the heater core plate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notches 247 may be formed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to prevent mutual transfer. The size and spacing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45 and 345 may be set to minimize the heat transfer rate by experiment.

그리고, 히터 코어 플레이트(33)의 하단부에는 냉각수, 즉 엔진 냉객수를 순 환시키기 위한 냉각수유입라인(61)과 연결되는 제4유로공(334) 및 냉각수배출라인(62)과 연결되는 제5유로공(335)이 형성된다. 이 두 개의 유로공(334,335) 사이로부터 상단부의 소정의 높이까지 구획리브(336)가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U턴 유로(337)가 형성되며, 이 U턴 유로(337)는 상기 두 유로공(334,335)과 서로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히터 코어 플레이트(33)의 내면에는 다수의 엠보싱 비드(339)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며, 이 엠보싱 비드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엠보싱 비드(339)들이 서로 혼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히터 코어 플레이트(33)의 상단부 양쪽 모서리에는 냉각수가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사선방향의 슬로트형 비드가 형성되어도 좋다. The lower end of the heater core plate 33 has a fourth flow path 334 connected to a coolant inlet line 61 for circulating coolant, that is, an engine coolant, and a fifth connected to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The flow path hole 335 is formed. The partition ribs 336 are formed between the two flow path holes 334 and 335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upper end, thereby forming a U-turn flow path 337 as a whole, and the U-turn flow path 337 includes the two flow path holes 334 and 335. It is prefer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embossing beads 339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er core plate 33, and the embossing bead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or square, and such various types of embossing beads 339. )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diagonal slot-shaped beads may b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heater core plate 33 so that the coolant may flow smoothly without biasing to one side.

따라서, 엔진(7)(도 4 참조)으로부터 냉각수유입라인(61)을 통하여 제4유로공(334)을 통하여 히터 코어(3)의 한 쪽 끝의 제3엔드 플랫 튜브(31)의 냉매가 유입되면 U턴 유로(337)를 통하여 제3엔드 플랫 튜브(31)의 제5유로공(335)쪽으로 냉매가 U턴 유동함과 아울러 서로 대응하는 제4유로공(334)들을 통하여 히터 코어(3)의 다른 쪽 끝의 제4엔드 플랫 튜브(31)의 제4유로공(334)쪽으로 냉매가 흘러 다시 제3엔드 플랫 튜브(31) 및 제4엔드 플랫 튜브(31) 사이의 각 플랫 튜브(31)의 제4유로공(334)으로부터 U턴 유로(337)들을 통하여 제5유로공(335)쪽으로 냉매가 U턴 유동한다. 이와 같이 제3엔드 플랫 튜브(31) 및 제4엔드 플랫 튜브(31) 사이의 각 플랫 튜브(31)의 제5유로공(335)쪽으로 유동한 냉매는 다시 제3엔드 플랫 튜브(31)의 제5유로공(335)쪽으로 흘러 최종적으로 냉각수배출라인(62)을 통하여 배출되어 엔진(7)으로 복귀된다. Accordingly, the refrigerant of the third end flat tube 31 at one end of the heater core 3 from the engine 7 (see FIG. 4) through the coolant inflow line 61, and through the fourth flow path 334. When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U-turn flow passage 337 toward the fifth flow hole 335 of the third end flat tube 31,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U-turn and the fourth flow holes 334 corresponding to each other. Refrigerant flows toward the fourth flow path 334 of the fourth end flat tube 31 at the other end of 3), and then each flat tube between the third end flat tube 31 and the fourth end flat tube 31 again. The U-flow flows through the U-turn flow paths 337 from the fourth flow path 334 of the 31 direction toward the fifth flow path hole 335. As such,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fifth flow path 335 of each flat tube 31 between the third end flat tube 31 and the fourth end flat tube 31 is again transferred to the third end flat tube 31. Flow toward the fifth flow path 335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nd returned to the engine (7).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조화케이스로서, 입구측은 송풍기(8)와 연결됨으로써 송풍기(8)에 의하여 내부 풍로로 공기가 송풍될 수 있다. 이 공기조화케이스(5)에는 증발기(2)가 송풍기(8)쪽을 향하도록 상기한 일체형 열교환기(1)가 내장되며, 따라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일체형 열교환기(1)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일체형 열교환기(1)의 후측으로 토출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reference numeral 5 is an air conditioning case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ide is connected to the blower 8, the air is blown into the internal air path by the blower (8) Can be. The air conditioning case 5 includes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so that the evaporator 2 faces the blower 8, so that the air blown by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It heat-exchanges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에 의한 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케이스(5)는 히터 코어(3)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3)의 상단 굴곡부 전후에 설치되는 제1온도절도어(51) 및 제2온도조절도어(52)를 가진다. 즉, 상기 온도조절도어들(51,52)은 상단이 공기조화케이스(5)에 핀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증발기(2)의 상단 굴곡부에 대한 개방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일체형 열교환기(1)와 대응하는 공기조화케이스(5)의 하부는 아래로 요입되어 있고, 이 요입부의 최하단에 드레인 홀(56)이 설치된다. 따라서 증발기(2)의 표면에 맺혀 아래로 흘러내리는 수분은 드레인 홀(5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by heat exchange, the air conditioning case (5) is the first temperature door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3)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3) And a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door 52.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doors (51, 52) is the upp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5) to adjust the opening angle to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2).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and the corresponding air conditioner case 5 are recessed downward, and the drain hole 56 is provided in the lowest end of this recessed part. Therefore, the water that flows down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56.

그리고,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일체형 열교환기(1)의 후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케이스(5)의 내부공간은 믹싱 챔버(57)로 작용한다. 믹싱 챔버(57)를 형성하는 공기조화케이스(5)의 외벽중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승객의 하반신 쪽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하부 벤트 도어(54)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한, 믹싱 챔버(57)를 형성하는 외벽중 상단 끝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경사진 부분에 승객의 상반신 쪽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부 벤트 도어(53)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믹싱 챔버(57)를 형성하는 외벽중 천정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55)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5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through which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serves as the mixing chamber 57. A bottom vent door 54 for supplying heat-exchanged air toward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5 forming the mixing chamber 57. In addi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wall forming the mixing chamber 57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inclined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with an upper vent door 53 for supplying heat-exchanged air toward the upper body of the passenger. In addition, a defrost vent door 55 is rotatably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outer wall forming the mixing chamber 57 to form a ceiling.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7)과 히터 코어(3)를 연결함으로써 엔진 냉각수를 히터 코어(3)에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라인(61)과, 히터 코어(3)로부터 엔진 냉각수를 엔진(7)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냉각수 배출라인(62)에 걸쳐 냉각수 조절 밸브(63)가 설치된다. 냉각수 조절 밸브(63)는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과 서로 통하는 유로(632)를 가진 밸브 케이스(631)와, 상기 밸브 케이스(631)의 유로(6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동량에 따라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의 유로(632)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밸브 플레이트(633)를 가진다. 즉, 밸브 플레이트(633)가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의 유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는 엔진(7)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라인(61), 밸브 케이스(631)의 유로(632)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을 거쳐 엔진(7)으로 바이패스되어 히터 코어(3)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고, 밸브 플레이트(633)가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의 유로를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는 엔진(7)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라인(61), 밸브 케이스(631)의 유로(632), 냉각수 공급라인(61), 히터 코어(3), 냉각수 배출라인(62), 밸브 케이스(631)의 유로(632), 냉각수 배출라인(62)을 차례로 거쳐 엔진(7)으로 복귀된다. 이 경우 냉 각수 유동량은 밸브 플레이트(633)의 회동량에 따른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의 개도에 따라 결정되고 이 밸브 플레이트(633)의 회동량은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컨트롤부(미도시)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and 5, by connecting the engine 7 and the heater core 3,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61 for supplying the engine coolant to the heater core 3, and the heater core 3 The coolant control valve 63 is installed over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for returning the engine coolant to the engine 7. The coolant control valve 63 rotates in a valve case 631 having a flow path 632 communicating with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nd a flow path 632 of the valve case 631. It is possible to have a valve plate 633 installed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path 632 of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61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62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That is, when the valve plate 633 is rotated to a position that blocks the flow path of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the coolant discharged from the engine 7 is the coolant supply line 61, the valve case. By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632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of the 631 to the engine 7, the coolant is not supplied to the heater core 3, and the valve plate 633 is provided with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When rotating to a position where the flow path of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is not blocked, the coolant discharged from the engine 7 is supplied to the coolant supply line 61, the flow path 632 of the valve case 631, and the coolant supply line 61. ), The heater core 3,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the flow path 632 of the valve case 63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re sequentially returned to the engine 7. In this case, the amount of coolant flow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valve plate 633,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valve plate 633 is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interior. It can be adjust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installed in.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공기조화케이스(5)에 내장되는 일체형 열교환기(1)에 있어서 증발기(2)는 냉방 사이클을 구성하며 송풍기(8)쪽을 향하고, 히터 코어(3)는 난방 사이클을 구성하며 엔진(7)측과 연결된다. In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embed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5, the evaporator 2 constitutes a cooling cycle and faces the blower 8, and the heater core 3 constitutes a heating cycle and the engine 7 Is connected to the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 모드에서는 공기조화케이스(5)의 제1온도조절도어(51) 및 제2온도조절도어(52)는 선회되어 히터 코어(3)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2)의 상단 굴곡부 전후에 밀착됨으로써 증발기(2)의 상단 굴곡부 전후를 공기조화케이스(5)의 송풍기(8)쪽 풍로 및 믹싱 챔버(57)와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기(8)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의 상단 굴곡부를 거치지 않고 히터 코어(3)와 겹친 증발기 부분(2) 및 히터 코어(3)를 차례로 거쳐 믹싱 챔버(57)로 토출된다. 한편, 난방 모드에서는 냉방 사이클의 가동은 중단되고 엔진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라인(61)을 통하여 히터 코어(3) 내부로 공급되며, 이와 같이 히터 코어(3)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히터 코어(3) 내부를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수와 히터 코어(3)를 거치는 공기가 서로 열교환된다. 열교환된 냉각수는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엔진(7)으로 복귀하여 엔진(7)을 다시 냉각하고 열교환된 공기는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믹싱 챔버(57)로 토출되어 벤트 도어들(53,54,55)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공기의 온도 조절은 차량 실내의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하여 냉각수 조절 밸브(63)에 내장된 밸브 플레이트(633)의 회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밸브 플레이트(633)가 냉각수 공급라인(61)과 냉각수 배출라인(62) 사이에서 이들과 나란한 상태로 회동한 경우에는 히터 코어(3)로의 냉각수 공급량이 최대가 되어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가 가장 높다.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633)가 냉각수 공급라인(61)과 냉각수 배출라인(62) 사이에서 경사진 상태로 회동함으로써 냉각수 공급라인(61)과 냉각수 배출라인(62)의 유로를 일부 막고 있을 경우에는 위의 경우보다 히터 코어(3)로의 냉각수 공급량이 적어져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는 낮다. 이 때의 공기의 온도는 상기 라인들(61,62)들의 유로의 개방 정도에 따른 히터 코어(3)로의 냉각수 유동량의 차이에 의하여 증감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ting mode, the first bent temperature control door 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5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5 are pivoted so that the upper bent part of the evaporator 2 does not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3.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2 are blocked off from the air passage 8 side of the air conditioner 5 and the mixing chamber 57. Therefore,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er 8 is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57 through the evaporator portion 2 and the heater core 3 which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3 in sequen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2. . Meanwhile, in the heating mode,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cycle is stopped and the engine coolant is supplied into the heater core 3 through the coolant supply line 61. Thus, the coolant flows into the heater core 3 so that the heater core 3 is he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the coolant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The heat-exchanged coolant returns to the engine 7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cool the engine 7 again, and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57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o vent valves 53, 54, and 55. It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air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valve plate 633 incorporated in the coolant control valve 63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in the vehicle interior. That is, when the valve plate 633 is rotated in parallel with them between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61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62, the cooling water supply amount to the heater core 3 is maximiz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xchanged air is increased. The highest. When the valve plate 633 is obliquely rotated between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the valve plate 633 blocks the flow path between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Sinc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eater core 3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xchanged air is low.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is time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ooling water flow to the heater core 3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of the lines (61, 62).

한편, 냉방 모드에서는 공기조화케이스(5)의 두 온도조절도어(51,52)가 개방된다. 따라서, 송풍기(8)를 통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의 두 온도조절도어(51,52)쪽 영역도 거치므로 증발기(2)의 전체 면적과 히터 코어(3)를 거쳐 믹싱 챔버(57)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증발기(2)의 전체 영역을 거쳐 믹싱 챔버(57)로 토출되는 공기는 증발기(2) 내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바뀌어 믹싱 챔버(57)로 토출됨으로써 상부 벤트 도어(53), 하부 벤트 도어(54) 및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55)를 통하여 실내로 냉풍이 공급된다. 이 냉방 모드에서는 밸브 플레이트(633)에 의하여 냉각수 공급라인(61)과 냉각수 배출라인(62)의 유로가 차단되어 엔진(7)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 조절 밸브(63)에서 엔진(7)쪽으로 바이패스됨으로써 히터 코어(3)에는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고, 냉풍의 온도는 벤트 도어들(53,54,55)의 개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oling mode, the two temperature regulating doors 51 and 52 of the air conditioner case 5 are opened. Therefore, the air blown through the blower 8 also passes through the two temperature control doors 51 and 52 side areas of the evaporator 2, so that the mixing chamber 57 passe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To be discharged. As su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evaporator 2 to the mixing chamber 57 is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2 to be converted to a low temperature and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57 so that the upper vent door 53 may be discharged. The col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lower vent door 54 and the defrost vent door 55. In this cooling mode, the flow paths of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re blocked by the valve plate 633 so that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engine 7 moves from the coolant control valve 63 to the engine 7. By-pass, no coolant flows to the heater core 3,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ind can be determined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vent doors 53, 54, 55.

한편, 믹싱 모드에서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두 온도조절도어(51,52)가 적당한 각도로 개방되고, 또한 냉각수 조절 밸브(63)의 밸브 플레이트(633)의 회동에 따른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의 개도도 적당하게 조절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송풍기(8)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두 온도조절도어(51,52)의 개방각도에 따라 증발기(2)의 굴곡된 상단부의 적절한 영역도 거쳐 열교환된다. 그리고, 히터 코어(3)와 겹친 증발기(2) 영역을 거치는 공기는 히터 코어(3)도 거쳐 믹싱 챔버(57)로 토출된다. 따라서, 믹싱 챔버(57)의 상부 영역에는 저온의 공기가 토출되고, 믹싱 챔버(57)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공기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가 토출되어 믹싱 챔버(57)에서 믹싱된 후 각 벤트 도어들(53,54,55)을 통하여 배출된다. 믹싱 챔버(57)에서 저온의 공기와 이보다 온도가 높은 고온의 공기가 믹싱된다 하더라도 저온의 공기가 상부 벤트 도어(53)에 가까운 믹싱 챔버(57)의 상부 영역으로 토출되고 온도가 높은 공기는 하부 벤트 도어(54)에 가까운 믹싱 챔버의 하부 영역으로 토출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는 실내의 상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기보다 온도가 높은 공기는 실내의 하부로 공급되므로 실내의 상하부는 현저한 온도차가 발생하여 바이 레벨 상태(bi-lebel)를 이루며, 따라서 대류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ixing mode, the two temperature regulating doors 51 and 52 are opened at appropriate angles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61 and the cooling w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plate 633 of the cooling water regulating valve 63.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line 62 is also adjusted appropriately. That is, in this state,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8 is heat-exchanged through the appropriate area of the curved upper end part of the evaporator 2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two temperature control doors 51 and 52.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rea | region of the evaporator 2 which overlapped with the heater core 3 is discharged to the mixing chamber 57 via the heater core 3 also. Accordingly, low temperature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ixing chamber 57, and air of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ixing chamber 57 and mixed in the mixing chamber 57. Through 53,54,55. Although low temperature air and hot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are mixed in the mixing chamber 57, the low temperature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ixing chamber 57 close to the upper vent door 53, and the high temperature air is lowered. Since it is discharged to the lower area of the mixing chamber near the vent door 54,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om, and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ir is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om. It achieves a bi-lebel, so convection can be effectively induced to make the room comforta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되는 일체형 열교환기(1)에 있어서 팽창밸브(91)를 거쳐 증발기(2)로 유입되어 압축기(92)로 배출되는 냉매유동경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Meanwhile, in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1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flow path flowing into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expansion valve 91 and discharged to the compressor 92 is performed as follows.

즉, 팽창밸브(91)로부터 상기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1유로공(231)을 통하여 증발기(2)의 제1엔드 플랫 튜브(21)로 냉매가 유입되면, 이 유입된 냉매는 각 플레이트(23)의 제1유로공(231)에 의해 형성된 제1유로(231a)를 통하여 중앙의 블랭크 플레이트(213)까지 유동함과 동시에, 각 플랫 튜브(21) 내부의 L턴 유로(237)를 L턴 유동하여 각 플레이트(23)의 제3유로공(233)에 의해 형성된 제2유로(233a) 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제1엔드 플레이트(211')로부터 블랭크 플레이트(213)까지의 제2유로(233a) 쪽으로 유동한 냉매는 다시 제3유로공(233)들을 통하여 블랭크 플레이트(213)로부터 제2엔드 플레이트(212')들 사이의 제3유로공(233)에 의해 형성된 제4유로(233b) 쪽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이 플레이트(23)들의 각 L턴 유로(237)를 L턴 유동하여 블랭크 플레이트(213)로부터 제2엔드 플레이트(212')들 사이의 각 제1유로공(231)에 의해 형성된 제3유로(231b) 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냉매는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막혀 있는 제1유로공(231) 위치에 형성된 제3유로(231b)와, 제2엔드 플레이트(212')의 막혀 있는 제2유로공(232) 위치에 형성되어 제3유로(231b)와 연결되는 제5유로(232a)를 통하여 유동한다. 이어서 제1엔드 플레이트(211')의 제2유로공(232)과 연결된 냉매배출관을 통하여 증발기(2)로부터 배출되어 압축기(92)로 공급된다. 따라서, 증발기(2)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두 번의 L턴 유동을 한 다음 제2유로공(232)들을 통하여 증발기(2) 전체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열교환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압축기(92)로의 액냉매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xpansion valve 91 to the first end flat tube 21 of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31 of the first end plate 211 ′, the introduced refrigerant The L flow path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31a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231 of each plate 23 to the blank plate 213 in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L-turn flow path inside the flat tube 21 ( 237 flows L turns to flow toward the second flow path 233a formed by the third flow hole 233 of each plate 23. In this wa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first end plate 211 ′ to the second flow path 233a from the blank plate 213 again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hole 233 from the blank plate 213 to the second end plate ( 2 L 'flows toward the fourth flow path 233b formed by the third flow path 233 between the two flow paths 233b, and each L-turn flow path 237 of the plates 23 flows L-turns to the blank plate 213. ) Flows toward the third flow path 231b formed by each of the first flow path holes 231 between the second end plates 212 '.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is way includes a third flow path 231b formed at a position of the closed first flow path 231 of the second end plate 212 ', and a blocked second flow hole of the second end plate 212'. It is formed at the position 232 and flows through the fifth channel 232a connected to the third channel 231b. Subsequently,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232 of the first end plate 211 ′ and supplied to the compressor 92. Therefore, since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2 is discharged through the entire evaporator 2 through the second flow holes 232 after the second L-turn flow, not on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but also the compressor ( 92 can be prevent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히터 코어(3)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2) 영역의 전후에 제1온 도조절도어(51) 및 제2온도조절도어(52)가 설치됨으로써 증발기(2)와 히터 코어(3) 상호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증발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된 제1유로공(231), 제2유로공(232) 및 제3유로공(233)들에 의하여 증발기(2)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두 번의 L턴 유동을 하여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교환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2)만을 거쳐 토출되는 저온 공기와 증발기(2) 및 히터 코어(3)를 모두 거친 고온의 공기와의 온도차가 종래보다 커져 바이 레벨(bi-lebel) 상태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실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의 콤팩트화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콤팩트화,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되어 압축기(92)로의 액냉매 유입현상이 방지되므로 압축기(92)를 보호할 수 있다. In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before and after the region of the evaporator 2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3. Since the door 52 is installed, not only can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be minimized, but also the temperature control can be finely adjusted, thereby improving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Furthermore, two L-turn flows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evaporator 2 by the first flow path 231, the second flow path 232, and the third flow paths 233 formed in the evaporator plate 23. Sinc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ow temperature air discharged only through the evaporator 2 and the high temperature air passing through both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increases. The bi-lebel state can be obtained effectively, making the room comfortable. In addition, the compa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compactness of the heat exchanger,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is improved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liquid refrigerant into the compressor 92, thereby preventing the compressor 92. Can protect.

Claims (3)

L자 형상의 두 플레이트(23, 23)가 접합된 다수의 플랫 튜브(21)들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냉각매체가 유통하는 증발기(2)와, 상기 L자의 공간부에 상기 증발기(2)와 일체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냉각수가 유통하는 히터 코어(3)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 코어(3)의 각 플랫 튜브 (21)사이에 공유된 전열핀(4)을 구비하여서 된 열교환기에 있어서,An evaporator 2 through which a cooling medium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tubes 21 joined together with two L-shaped plates 23 and 23 is sequentially stacked, and integrated with the evaporator 2 in the space of the L-shape. Heated fins (4) shared between the heater core (3)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nd the flat fins (21) of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which are installed to form a rectangular planar shape as a whole. In the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는 그 증발기(2)가 송풍기(8)쪽을 향하도록 공기조화케이스(5)의 풍로에 내장되고,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is embedded in the air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5 so that the evaporator 2 faces the blower 8, 상기 공기조화케이스(5)는 히터 코어(3)와 겹치지 않는 증발기(2)의 굴곡부 전후에 유입공기 및 토출공기를 제어하는 제1온도조절도어(51) 및 제2온도조절도어(52)를 가지며;The air conditioning case 5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regulating door 51 and a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door 52 for controlling inlet and outlet air before and after the bent portion of the evaporator 2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heater core 3. Has; 또한 상기 공기조화케이스(5)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하부 위치에 설치되는 드레인 홀(56)을 가지며;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case (5) has a drain hole 56 which is install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integral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공기조화케이스(5)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공기 토출측의 믹싱 챔버(57)의 둘레를 따라 하부 벤트 도어(54), 상부 벤트 도어(53) 및 상부 디프로스트 벤트 도어(5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The air conditioning case 5 also has a lower vent door 54, an upper vent door 53, and an upper defrost vent door 53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ixing chamber 57 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증발기(2)를 구성하는 각 플레이트(23)가 차례로 통하도록 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제1유로공(231), 제2유로공(232) 및 제3유로공(233)이 차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앙의 제2유로공(232)으로부터 상단부의 굴곡부 일부까지 구획비드가 형성됨으로써, 각 플레이트(23)의 내면에는 L턴 유로(237)가 형성되고, 제1유로공(231)이 막혀있는 중앙 플레이트(213)에 의해 전반부(211)와 후반부(212)로 구획되며,The first euro hole 231, the second euro hole 232, and the third euro hole 233 are sequenti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plate so that each plate 23 constituting the evaporator 2 passes in turn. The partition bead is formed from the central second flow hole 232 to a part of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end, whereby an L-turn flow path 23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plate 23, and the first flow hole 231 is blocked. It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half portion 211 and the second half portion 212 by the central plate 213, 상기 전반부(211) 끝단의 제1엔드 플레이트(211')는 제3유로공(233)이 막혀 있고, 상기 후반부(212) 끝단의 제2엔드 플레이트(212')는 모든 유로공(231, 232, 233)이 막혀 있어,The first end plate 211 ′ at the end of the first half 211 is blocked by a third flow path 233, and the second end plate 212 ′ at the end of the second half 212 is formed at all flow paths 231 and 232. , 233) 상기 전반부(211)의 각 플레이트(23)에 있는 제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에 의해 제1, 2유로(231a, 233a)가 형성되고, 상기 후반부(212)의 각 플레이트(23)에 있는 제 1유로공(231) 및 제3유로공(233)에 의해 제3, 4유로(231b, 233b)가 형성되며,First and second flow paths 231a and 233a are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in each plate 23 of the first half 211, and the second half 212 of the second half hole 212 is formed. Third and fourth flow paths 231b and 233b are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231 and the third flow path 233 in each plate 23. 상기 전반부(211)의 제1유로(231a)로 유입된 냉매가 L턴 유로(237)를 통해 제2유로(233a)로 유동되고, 이 유동 냉매가 중앙 플레이트(213)의 제3유로공(233)을 통해 후반부(212)의 제4유로(233b)로 유동된 후, L턴 유로(237)를 통해 제3유로(231b)로 유동되며, 상기 전반부(211)와 후반부(212)에서 모두 연통된 제2유로공(232)에 의해 형성되어 제2엔드 플레이트(212') 쪽에서 제3유로(231b)와 연결되는 제5유로(232a)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231a of the first half portion 211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233a through the L-turn flow path 237, and the flow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of the central plate 213 ( 233 is flowed into the fourth flow path 233b of the second half portion 212, and then flows into the third flow path 231b through the L-turn flow passage 237, and both in the first half portion 211 and the second half portion 212. It is formed by the second passage hole 232 communicated with the integrated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fifth passage 232a connected to the third passage 231b from the second end plate 212 'side Automotive air conditio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히터 코어(3)의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에 걸쳐 냉각수 조절 밸브(63)가 설치되고, Cooling water control valve 63 is installed across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61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62 of the heater core (3), 상기 냉각수 조절 밸브(63)는 냉각수 공급라인(61) 및 냉각수 배출라인(62)과 통하는 유로(632)를 가진 밸브 케이스(631)와, 상기 유로(6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동량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플레이트(6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The coolant control valve 63 is a valve case 631 having a flow path 632 communicating with the coolant supply line 6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62,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632. The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with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plate (633) for controlling or blocking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KR1019990066654A 1999-12-30 1999-12-30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KR100639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54A KR100639176B1 (en) 1999-12-30 1999-12-30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54A KR100639176B1 (en) 1999-12-30 1999-12-30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263A KR20010059263A (en) 2001-07-06
KR100639176B1 true KR100639176B1 (en) 2006-10-27

Family

ID=1963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654A KR100639176B1 (en) 1999-12-30 1999-12-30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1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564B1 (en) * 2001-10-05 2008-04-16 한라공조주식회사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herewith
KR20160147342A (en) * 2015-06-15 2016-1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68B1 (en) * 2000-05-31 2006-10-31 한라공조주식회사 Integrated plate type heat exchanger
CN110843525B (en) * 2019-12-18 2024-04-30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Vehicle central contr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564B1 (en) * 2001-10-05 2008-04-16 한라공조주식회사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herewith
KR20160147342A (en) * 2015-06-15 2016-1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161475B1 (en) 2015-06-15 2020-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263A (en)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841B1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with passenger-operated inside/outside air double flow mode
US609259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60223431A1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639176B1 (en)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KR100639175B1 (en)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KR100603806B1 (en)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s
KR100822564B1 (en)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herewith
KR100688236B1 (en) Integrated plate type heat exchanger
KR101527892B1 (en) A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cold reserving
KR100640068B1 (en) Integrated plate type heat exchanger
JP3136534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s
KR101186044B1 (en) Case Rib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06360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with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for vehicle
JP387651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H1128926A (en) Air conditioner for electric vehicle
KR20080006993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KR10122096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0350952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by the same
KR100596012B1 (en) Plate for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and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using it
KR20030084403A (en) Air conditioner for supplying two layer air flowing
KR101137321B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00833485B1 (en) Integral heat exchanger
US5778974A (en)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having small flow resistance
JP3556929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074448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