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92B1 -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92B1
KR100638492B1 KR1020040044778A KR20040044778A KR100638492B1 KR 100638492 B1 KR100638492 B1 KR 100638492B1 KR 1020040044778 A KR1020040044778 A KR 1020040044778A KR 20040044778 A KR20040044778 A KR 20040044778A KR 100638492 B1 KR100638492 B1 KR 10063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broadcasting
broadcast
contro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712A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호 filed Critical 최창호
Priority to KR102004004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66Message disposing or creating aspects
    • H04M3/53375Message 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번호 인식 원격 전화 방송 제어시스템 및 그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자체나, 읍면동, 방송관리자(이장, 통장)등이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지역의 안내방송 시스템을 전화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해온 사용자를 인증하여 지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를 선택한 후 전화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전화에 의해 방송을 제어하게 하고, 방송장치는 미리 발신자 번호를 등록하여 두고 등록된 발신자번호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방송 앰프를 작동시켜 전화의 음성을 방송앰프로 출력시켜 전호를 이용해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방송, 전화, 발신자번호, 인터넷, 원격, 재난, 비상, 안내

Description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 시스템 및 방송 장치{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using a telephone of detecting sending number}
도 1은 종래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페이징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번호 인식 원격 전화 방송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의한 방송 서버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번호 인식 원격 전화 방송 제어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번호 인식 원격 전화 방송 제어시스템의 방송장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원격 방송제어 단말기 100 : 방송 서버 시스템
200 :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장치 110 : 웹서비스부
120 : 인증처리부 130 : 인터넷 전화제어부
140 : 일반 전화제어부 150 : 음성자동안내부
160 : 원격 방송제어부 170 : 데이터베이스
210 : 발신자번호 감지부 220 : 회선제어부
230 : 제어부 231 : 마이컴
232 : 메모리 233 : 앰프제어부
234 : 음성출력부 235 : 톤디텍터
240 : LCD 표시부 250 : 방송장비
251 : 앰프 252 : 마이크
253 : 스피커 254 : 라디오 수신기
255 : 싸이렌 발생기 260 : 입력수단
261 : 키패드 262 : 리모콘 수신부
263 : 리모콘 264 : 통신포트
본 발명은 비상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에서 전화를 걸어 전화로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특정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발신자 번호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원격 방송제어모드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사항전달 및 마을 방송으로 주로 이용되는 안내 방송 시스템은 단순한 방송 장비로서 주로 농, 어촌의 마을 방송으로서 마을 공지사항 안내나 긴급을 요하는 방송등에 이용되고, 그 밖에 아파트 단지 내등에서 방송을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그 밖에 일을 보고 있을 때 원활한 방송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내 방송을 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그 밖에 일을 보고 있을 때 안내방송을 보다 편안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전화를 이용한 안내방송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7211호 "전화를 이용한 자동안내방송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79006호 "전화를 이용한 안내방송 시스템"등등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특허 1999-79006호에 의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방송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전화기(10), 전화 페이징 시스템(11), 증폭기(12), 전원 분산 시스템(13) 및 스피커(14)로 이루어진다.
전화 페이징 시스템(11)은 전화에 의한 원격제어 역할을 하는 페이징 시스템으로 상세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전화 페이징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로서,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걸려오 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 검출부(21)와 상기 링신호에 의해 전화통화상태를 유지하는 통화유지부(22)와 통화유지부(22)로부터 통화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처리하기 전에 차임신호를 발생하는 차임신호 발생부(23)와 담당자 이외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담당자에게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링신호를 검출한후 통화상태를 유지하기 전에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 검출하는 비밀번호 검출부(24)로 이루어진다.
증폭기(12)는 전화 페이징 시스템(11)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사용되는 증폭기(12)는 입력레벨 조정기능으로 -12dB에서 0dB(1V)까지 입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 분산 시스템(13)은 전화 페이징 시스템(11)와 증폭기(12) 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곳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교류 전원 공급 실패시 비상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전화 페이징 시스템(11)와 증폭기(12)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분산 시스템(13)은 랙 시스템(Rack system)의 전원제어가 가능하고, 랙 시스템(Rack system) 본체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도 원격 조정기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다. 스피커(14)는 증폭기(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의 응용예를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각 면에서 공지사항 전달시 전화를 걸면 각 마을 안내 방송 시스템에 연결된 전화기(10)에 링신호가 발생하면 링신호검출부(21)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통화유지부(22)로 전송한다. 통화유지부(22)는 입력된 링신호에 의해 전화상태 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화통화상태가 유지되면 각 면에서 공지사항 및 기타 안내 사항을 음성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음성신호는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14)를 통해 마을 사람들에게 직접 공지 사항을 전달하므로 신속 정확하게 의사 전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텔레폰 페이징 시스템(11)은 차임신호 발생부(23)를 더 구비하여 음성신호가 출력되기 전에 차임벨을 출력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관계자 외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없게 비밀번호 검출부(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임벨 신호와 비밀번호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다.
따라서, 재난상황이나 기타긴급상황이 발생할 시 각 면에서는 각 마을 이장님에게 긴급사항을 알리지 않고 곧바로 안내 방송 시스템에 전화를 걸어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므로써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시스템은, 전화를 걸었을때 소정횟수의 링신호가 울리는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방송장비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독립된 전화 회선(전화번호)이 필요하게 된다는 가장 큰 단점이 있다.
독립된 전화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전화와 병렬 연결하여 일정횟수 링이 울릴때까지 일반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 방송장비를 작동시켜 전화를 이용해 방송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방송 시스템도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반전화와 병용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전화를 받아게되면 방송할 수 없고, 전화를 받지않고 방송 모드로 들어가면 방송을 위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방송 선택을 하는 방법을 채용하기도 하나, 역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즉시 방송연결이 어려운 점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화를 이용한 안내방송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리등록시킨 전화번호에서 전화를 걸게되면 발신자 번호 확인을 이용해 자동으로 방송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화 회선이 필요치 않고 일반 전화기와 병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 번호 확인에 의한 전화를 이용한 방송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시스템을 제공하여 지자체의 본청, 읍, 면, 동, 사업소에서 지역 기업체 및 주민들에게 시정홍보, 공지사항, 재난 사항 등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주민의 편익과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함은 물론, 신속한 정보의 전달로 주민의 소득증대 및 방범 활동등에 기여함을 목적에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자체나, 읍면동, 방송관리자(이장, 통장)등이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지역의 안내방송 시스템을 전화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각 지역의 방송장치에 방송허용을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해온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방송을 하고자 하는 안내방송 지역 또는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그룹 또는 지역의 방송장치에 전화를 거는 단계; 상기 각 지역의 방송장치가 미리 등록된 전화 방송허용을 위한 발신자 전화번호인지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방송앰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방송서버시스템에 인터넷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 장치로 전송하고, 그 방송장치가 음성을 검출하여 방송앰프를 통해서 음성 방송을 실행하게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전화종료 또는 인터넷 접속에 의한 방송 종료시에 전화연결을 종료하여 방송장치를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화 국선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는 발신자 번호 감지부와; 미리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발신자 번호 감지부에서 검출한 발신자번호가 저장시켜둔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국선의 전화로부터 음성을 검출한후 방송장비로 출력하여 전화에 의한 방송을 연결하거나, 일반 전화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 회선제어 및 방송 장비의 구동제어를 하는 제어부와; 그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국선과 일반전화를 연결하거나, 상기 국선과 방송장비 사이를 연결하는 회선제어부와; 마이크와, 앰프와, 스피커를 기본구성으로 구비하여 스피커를 통해서 옥외 방송을 하는 방송장비와; 상기 제어부의 전화번호 저장과, 기능설정 및 상기 방송장비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수 단과;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는 발신자번호와, 마이컴의 동작 상태와, 입력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방송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미리저장하여 두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기 위한 메모리부와, 그 메모리부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방송장비의 앰프를 제어하기 위한 앰프 제어부와, 제어부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발신자번호 감지에 의해 전화로 방송을 제어하게 하고 전화종료시 방송장비를 오프시켜 제어하며 상기 회선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톤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입력하는 톤 디렉트와, 그 톤 디렉트에서 검출한 톤신호를 상이 마이컴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신호로서 상기 앰프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메모리부에 미리 방송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시켜 저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그 키입력부와 동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콘 및 리모콘 수신부와, 그 제어부의 프로그램 세팅이나 전화번호 입력저장등을 외부 세팅장비(예; 컴퓨터)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한 원격 방송 제어시스템의 구성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헌 원격 방송 제어시스템의 방송 서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자체의 본청이나, 읍면동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또는 이장,통장들의 휴대전화기등의 원격방송 제어를 위한 단말기(101)와, 상기 본청이나 읍면동의 단말기들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전화기이 전화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고, 접속자들의 인증처리를 거쳐 선택된 지역의 방송 장비측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여 전호를 이용해 원격지에서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방송 서버시스템(100)을 구비하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100)에서 전화망을 통해 전화를 걸거나, 직접 사용자가 전화를 걸게 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제어가 허용된 전화번호인지를 발신자번호 인식에 의해 판단한후 허용된 발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자동으로 방송앰프를 구동시켜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해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전화기와 병렬연결되어 일반전화와 전화를 이용한 방송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방송 서버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및 회원등록등을 하기 위한 웹서비스부(110)와, 인터넷 등 통해 접속된 상기 원격방송 제어 단말기(101)들의 인터넷 전화 접속을 제어하는 인터넷 전화 제어부(130)와, 상기 원격 방송 제어단말기(101)중 휴대전화나 일반 전화등 전화기를 이용해 접속한 단말기들의 전화 접속과 각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등과 전화 접속을 연결하기 위한 일반 전화제어부(140)와, 미리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의 전화번 호들을 등록해두고, 원격 방송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들을 저장관리하는 지역방송장치 전화번호 DB(170)와, 그 DB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인터넷 또는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의 원격 방송 제어를 허용할지를 인증처리하는 인증 처리부(120)와, 상기 접속되어온 사용자들에게 자동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방송 제어를 위한 인증처리와 안내등을 처리하는 음성자동 안내부(150)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인터넷 및 전화망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을 인증처리한후 선택된 지역별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를 동시에 전화 호출로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방송 제어를 하게 하는 원격방송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번호 인식 원격 전화 방송 제어 흐름도이다.
전화의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지자체나, 읍면동, 방송관리자(이장, 통장)등이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지역의 안내방송 시스템을 전화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해온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방송을 하고자 하는 안내방송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해당 안내방송 지역의 방송 장치로 전화를 걸어 방송 장치을 구동시키는 단계; 방송 장치에서 발신자전화번호 인식에 의해 방송장치가 구동되면, 상기 방송서버시스템에 인터넷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방송정보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 장치로 전송하여 음성 방송을 실행하게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전화종료 또는 인터넷 접속에 의한 방송 종료시에 전화연결을 종료하는 단 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자체나 민방위 본부 또는 재난 본부등의 본청이나 읍면동 사무소 또는 이장, 통장등 방송 관리를 하는 사용자들이 원격방송 제어 단말기(101)를 통해서 방송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하면, 인증처리부(120)는 원격방송이 허용된 사용자인지를 인증처리한다. 고정된 IP를 가진 인터넷 접속 단말기들은 고정아이피와 방송 허용 비밀번호등을 통해서 원격 방송을 허용하도록 인증하며, 일반 전화기나 휴대전화기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은 미리 사용자 정보들 등록하여두고 인증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제어부(130)와 일반 전화 제어부(140)에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안내 메시지 도는 웹 페이지를 통해서 방송하고자 하는 지역별 즉,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를 선택하게 한다. 이는 그룹별 선택도 가능하고, 개별 선택도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방송할 방송장치가 선택되면 원격방송 제어부(160)는 DB(170)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된 방송장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해당번호로 동시에 전화를 연결하게 된다. 복수의 전화연결은 전화국의 지능망 서비스등을 이용해 동시에 다수의 전화와 병렬연결하도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버 시스템(100)에서 전화를 걸어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를 호출하게 되면 그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서 전화가 걸려온경우 증시 방송장치를 구동시켜 전화에 의해 방송이 가능하게 하고, 발신자번호로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는 일반전화기로 연결하여 일반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송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전화 국선(201)에 연결되어 발신자 전화번호를 감지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감지부(210)와, 그 발신자번호감지부(210)에서 검출한 발신자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제어를 허용하는 전화번호인 경우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해 방송을 할수 있도록 제어하고, 미리 등록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일반 전화기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그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국선(201)의 전화 회선을 일반전화기(300)에 연결하거나,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를 하도록 경로를 스위칭하는 회전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30)의 초기 발신자번호 등록등의 제어를 위한 입력수단(16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동작에 따른 상태 및 입력등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4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자동제어에 의해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한 방송이 가능하게 하고, 수동제어에 의해 자체에서 마이크를 사용한 방송이 가능하게 하는 방송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장치(250)는, 통상의 방송장비로서, 앰프(251)와 마이크(252) 및 스피커(253)가 설치되는 기본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라디오, 오디오플레이어(254) 및 기타 비상방송장치(예; 비상 사이렌 장치)(255)등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앰프를 통해서 스피커로 방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30)에는 입력수단(260)과 LCD표시부(240)가 설치되어 구성되 며, 입력수단(260)으로는 키패드(261)와, 리모콘수신부(262) 및 리모콘(263)과, 세팅장치(예;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세팅을 위한 별도의 세팅장비)등과 통신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264)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미리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발신자 번호 감지부에서 검출한 발신자번호가 저장시켜둔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전화로 방송을 할수 있도록 하거나, 일반 전화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회선제어 및 방송 장비의 구동제어를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방송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미리저장하여 두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기 위한 메모리부(232)와, 그 메모리부(232)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방송장비의 앰프(251)를 제어하기 위한 앰프 제어부(233)와, 제어부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발신자번호 감지에 의해 전화로 방송을 제어하게 하고 전화종료시 방송장비를 오프시켜 제어하며 상기 회선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231)과, 상기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톤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231)에 입력하는 톤 디렉트(235)와, 그 톤 디렉트(235)에서 검출한 톤신호를 상이 마이컴(231)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신호로서 상기 앰프(251)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5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키패드(261)나, 리모콘(263)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기능에서 방송제어를 허용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입력된 전화번호는 마이컴(231)의 제어에 의해서 메모리부(232)에 저장되고, 마이컴(231)은, 발신자번호 감지부(210)를 통해서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번호를 검출하여 비교하게 된다.
방송장치(250)가 설치된 장소가 아닌 외부에나가 있으면서 긴급히 방송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전화를 걸게된다. 전화번호는 일반전화기(300)의 전화번호로서 방송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전화번호를 가질 필요는 없다.(즉, 방송용 전화회선이 필요치 않다.)
전화를 걸어 방송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화를 걸게되면, 발신자번호 감지부(210)가 송신되어오는 발신자번호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컴(231)에 입력하게되고, 마이컴(231)은 메모리부(232)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제어를 허용하는 전화번호인지를 비교한다. 만약, 미리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마이컴(231)은 회선제어부(220)를 제어하여 국선(201)과 일반전화기(300)의 전화선 연결을 유지시키고, 방송장비의 제어는 하지 않는다.
한편, 발신자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마이컴(231)은, 앰프제어부(233)를 통해서 방송 앰프(251)를 제어하여 턴온시키고, 회선제어부(220)를 제어하여 국선(201)의 통화경로를 톤 디렉트(235)로 연결하여 톤신호를 검출하고, 그 톤신호에 의해 검출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출력부(234)를 통해서 방송장비의 앰프(251)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회선제어부(220)를 제어하여 일반전화기(300)측은 차단하여 일반전화기(300)에 벨이 울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국선(201) 및 회선제어부(220)를 통해서 톤 디렉트(235)에 입력된 신호는 톤신호 검출에 의해 음성출력부(234)에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앰프로 출력되고 앰프에서 스피커(253)를 통해 출력되므로, 전화를 걸어 직접 방송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이컴(231)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안내방송 멘트를 저장하여 둔 경우 해당되는 안내방송멘트를 음성출력부(234)를 통해서 방송장비(250)로 출력하여 자동 안내방송을 하고, 이때 국선(201)을 통해서 해당 안내방송도 전화를 건 사람에게 송출되므로 전화를 걸어 방송을 하는 사람도 해당 안내방송 멘트를 듣고 적절히 직접방송을 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231)에는 발신자번호를 감지하여 기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에, 전화를 건 발신자가 특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방송모드를 제어하지 않고, 일반전화기 모드로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을 저장하여둔다. 이는 방송을 허용하는 전화번호로 등록한 발신자 번호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방송을 하기 위한 경우가 아닌 일반 전화인 경우, 즉시 회선제어부(220)를 제어하여 일반전화기로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일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송 서버 시스템(100)에서 전화를 걸게 되면, 이는 발신자 전화번호로 미리 등록시켜두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버 시스템(100)에서 전화연결하는 경우는 즉시 원격 방송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활용하게 되면, 방송을 통한 대민행정서비스 신속 제공, 재해, 재난시 신속한 상황 전파로 인명과 재산보호, 각종 공지사항 신속히 전달 및 공평한 정보 제공, 출장 감소로 직원들의 업무 효율 증대 및 경비 절감, 병충해 피해, 방제 홍보, 본청, 읍, 면, 동사무소에서도 자연 부락에 원격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다수를 위한 통신체제를 갖추어 행정 정보 및 공지사항을 신속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으며, 행정기관에서 직접방송을 하므로 이, 통장 들의 업무부담을 줄여준다. 이, 통장들이 장소에 구애없이 원격방송을 할 수 있어 자유로운 일에 종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서버시스템을 이용해 원격지에서 그룹단위로 선택하여 전화를 이용해 방송할 수 있어서 행정기관등에서 한번의 방송으로 원하는 지역의 방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전화로 방송을 제어하는 경우에, 발신자번호 감지에 의해서 자동으로 방송제어모드를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화회선이 필요치 않고 일반 전화기와 병행해서 사용할 수 이쑈는 효과가 있게된다. 또한, 일반전화기와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에 전화벨이 소정횟수동안 울릴동안 전화를 받지 않아야 방송모드로서 인식하여 비밀번호등을 입력한 경우에만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식에 비해 내부적 프로그램이 간단하고, 전화를 걸어 즉시 방송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화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지자체나, 읍면동, 방송관리자(이장, 통장)등이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지역의 안내방송 시스템을 전화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버 시스템을 설치하고, 각 지역의 방송장치에 방송허용을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해온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방송을 하고자 하는 안내방송 지역 또는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그룹 또는 지역의 방송장치에 전화를 거는 단계;
    상기 각 지역의 방송장치가 미리 등록된 전화 방송허용을 위한 발신자 전화번호인지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방송앰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방송서버시스템에 인터넷과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 장치로 전송하고, 그 방송장치가 음성을 검출하여 방송앰프를 통해서 음성 방송을 실행하게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전화종료 또는 인터넷 접속에 의한 방송 종료시에 전화연결을 종료하여 방송장치를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
  2. 지자체의 본청이나, 읍면동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또는 이장,통장들의 휴대전화기등의 원격방송 제어를 위한 단말기(101)와, 상기 본청이나 읍면동의 단말기들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전화기이 전화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고, 접속자들의 인증처리를 거쳐 선택된 지역의 방송 장비측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여 전호를 이용해 원격지에서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방송 서버시스템(100)을 구비하고, 그 방송 서버시스템(100)에서 전화망을 통해 전화를 걸거나, 직접 사용자가 전화를 걸게 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 제어가 허용된 전화번호인지를 발신자번호 인식에 의해 판단한후 허용된 발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자동으로 방송앰프를 구동시켜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해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일반전화기와 병렬연결되어 일반전화와 전화를 이용한 방송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시스템(100은,
    인터넷 접속 및 회원등록등을 하기 위한 웹서비스부(110)와, 인터넷 등 통해 접속된 상기 원격방송 제어 단말기(101)들의 인터넷 전화 접속을 제어하는 인터넷 전화 제어부(130)와, 상기 원격 방송 제어단말기(101)중 휴대전화나 일반 전화등 전화기를 이용해 접속한 단말기들의 전화 접속과 각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등과 전화 접속을 연결하기 위한 일반 전화제어부(140)와, 미리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의 전화번호들을 등록해두고, 원격 방송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들을 저장관리하는 지역방송장치 전화번호 DB(170)와, 그 DB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인터넷 또는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의 원격 방송 제어를 허용할지를 인증처리하는 인증 처리부(120)와, 상기 접속되어온 사용자들에게 자동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방송 제어를 위한 인증처리와 안내등을 처리하는 음성자동 안내부(150)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인터넷 및 전화망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을 인증처리한후 선택된 지역별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장치(200)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를 동시에 전화 호출로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방송 제어를 하게 하는 원격방송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시스템.
  4. 전화 국선(201)에 연결되어 발신자 전화번호를 감지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감지부(210)와, 그 발신자번호감지부(210)에서 검출한 발신자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제어를 허용하는 전화번호인 경우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해 방송을 할수 있도록 제어하고, 미리 등록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일반 전화기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그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국선(201)의 전화 회선을 일반전화기(300)에 연결하거나,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를 하도록 경로를 스위칭하는 회전제어부(220)와, 상기 제어부(230)의 초기 발신자번호 등록등의 제어를 위한 입력수단(16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동작에 따른 상태 및 입력등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4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자동제어에 의해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한 방송이 가능하게 하고, 수동제어에 의해 자체에서 마이크를 사용한 방송이 가능하게 하는 방송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번호 인식 방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치(250)는,
    통상의 방송장비로서, 앰프(251)와 마이크(252) 및 스피커(253)가 설치되는 기본 구성으로 구성되고,
    라디오 수신기 및 오디오플레이어(254)와, 비상 사이렌 장치(255)등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앰프를 통해서 스피커로 방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
    미리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발신자 번호 감지부에서 검출한 발신자번호가 저장시켜둔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전화로 방송을 할수 있도록 하거나, 일반 전화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회선제어 및 방송 장비의 구동제어 를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방송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미리저장하여 두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기 위한 메모리부(232)와, 그 메모리부(232)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방송장비의 앰프(251)를 제어하기 위한 앰프 제어부(233)와, 제어부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발신자번호 감지에 의해 전화로 방송을 제어하게 하고 전화종료시 방송장비를 오프시켜 제어하며 상기 회선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231)과, 상기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톤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231)에 입력하는 톤 디렉트(235)와, 그 톤 디렉트(235)에서 검출한 톤신호를 상이 마이컴(231)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신호로서 상기 앰프(251)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번호 인식 방송 장치.
KR1020040044778A 2004-06-17 2004-06-17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KR10063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78A KR100638492B1 (ko) 2004-06-17 2004-06-17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78A KR100638492B1 (ko) 2004-06-17 2004-06-17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712A KR20050119712A (ko) 2005-12-22
KR100638492B1 true KR100638492B1 (ko) 2006-10-25

Family

ID=3729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78A KR100638492B1 (ko) 2004-06-17 2004-06-17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307B1 (ko) * 2005-04-29 2007-03-14 최점분 전화를 이용한 재난 경보용 앰프 방송시스템
KR100769341B1 (ko) * 2007-02-15 2007-10-24 (주)화진티엔아이 대용량 재해재난 메시지의 동시 다중전송이 가능한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963626B1 (ko) * 2008-07-04 2010-06-15 권영현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390891B1 (ko) * 2012-06-20 2014-04-30 (유)해양전자장비 어플리케이션 서버, 마을 방송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마을 방송 방법
KR101534305B1 (ko) * 2013-04-30 2015-07-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안내 메시지 전송 중계 서버, 안내 메시지 제공 단말 및 그 시스템
KR102519479B1 (ko) * 2020-12-30 2023-04-06 왕옥섭 PSTN 망 또는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VoIP 동보 시스템
KR102534770B1 (ko) * 2022-10-25 2023-05-26 (주) 우리텍 구내 방송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11Y1 (ko) 2002-04-02 2002-12-11 손영필 전화를 이용한 자동방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11Y1 (ko) 2002-04-02 2002-12-11 손영필 전화를 이용한 자동방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712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195B2 (en) Telephone network messaging
US8233602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010029585A1 (en) Integrated security and communications system with secure communications link
CN1937663A (zh) 实现变声通话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KR100638492B1 (ko) 발신자번호 인식 전화를 이용한 방송 제어 방법과 그시스템 및 방송 장치
KR100723932B1 (ko)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KR100462560B1 (ko) 전화망을 이용한 안내방송의 동보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100408814B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원격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254219Y1 (ko) 전화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장치
KR19990079006A (ko)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100371021B1 (ko) 수신자 보호 통화 제어방법
KR200262507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원격 출력장치
KR20070018591A (ko) 선택적 통화를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JP2001119483A (ja) アナログ回線における契約番号通知方式
KR20060131149A (ko) 광고 전화 차단장치 및 방법
KR200256986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시간 보정 장치
KR101152184B1 (ko) 전화방송시스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30056051A (ko) 발신자번호표시를 이용한 특정 번호 선택적 거부 방법 및그 방법을 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JPH05176024A (ja) 電話端末装置
KR101090756B1 (ko)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255558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시큐리티 장치
JPH02243045A (ja) 電話装置
KR20050034823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 전환 자동 신청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 전환 자동 신청 방법
KR20000050681A (ko) 가입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비상 전화 연결기능을 갖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비상 전화 연결방법
JP2000278421A (ja) 集合住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