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64B1 -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64B1
KR100638464B1 KR1020050017850A KR20050017850A KR100638464B1 KR 100638464 B1 KR100638464 B1 KR 100638464B1 KR 1020050017850 A KR1020050017850 A KR 1020050017850A KR 20050017850 A KR20050017850 A KR 20050017850A KR 100638464 B1 KR100638464 B1 KR 10063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arc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631A (ko
Inventor
김지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서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1 서칭 스케줄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2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와,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보다 많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며,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서칭 스케줄에 따라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는 서칭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3G, 2G, Inter-RAT, 노서비스, 풀밴드 서칭, 스케줄, 우선서칭, 서칭

Description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FOR PRIOR SEARCHING 3-GENERATION NETWORK AND MOBILE TERMIAN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 123 : 서칭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본 발명은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의 연동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있던 이동 통신 단말이 노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났을 때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는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고정 무선(fixed wireless) 및 셀룰러 타입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계속해서 진보되어 왔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범 유럽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GSM), 개량된 이동 전화 시스템(AMPS) 및 디지털 AMPS(D-AMPS)(IS-135 TDMA)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여러 이용 가능한 기술이 존재한다.
이들 네트워크는 전세계에서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많은 장비 공급자들은 현재 각종 시스템을 제작하고 통상적으로 표준 그룹을 통해서 작업하여 다양한 네트워크의 공유성 및 상호 동작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21 세기로 접어듦에 따라서, 제 3 세대(3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또는 광대역 패킷 코드 분할 다중 접속(WPCDMA) 공지된 새로운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가 개발중에 있다. 이들 3 세대 무선 시스템은 장래의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FPLMN: Future Public Land Mobile Networks)에 대해서 천천히 실현되고 있다.
3G 네트워크가 구현될 때, 서비스 유효범위는 예를 들어 2G에서 3G로 천천히 이동함으로써 점진적으로 구현된다. 초기에, 어떤 지리적 위치에서 유효범위의 부족으로 인한 드롭-아웃(drop-out) 가능성으로 인해, 3G 유효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모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2G 및 3G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3G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할 수 없거나 이동(mobile)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 지능적으로 핸드 오버하여 로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중 모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상태에서 서비스 상태로 통신 환경이 전환되었을 경우, 해당 이중 모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는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잡아서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2G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지 않은 3G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속한 이중 모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가 로밍을 통해 2G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면, 3G 네트워크 사업자는 해당 2G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로밍 서비스 사용에 대한 로얄티를 지급해야 한다.
따라서, 3G 네트워크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네트워크 운영비용의 절감 측면에 있어서 2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통신 환경에서는 가능하면 이중 모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상태에서 서비스 상태로 통신환경이 전환되 었을 때, 3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있던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났을 때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는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있을 때 3G 네트워크를 우선 서칭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노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1 서칭 스케줄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2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와,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보다 많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며,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서칭 스케줄에 따라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는 서칭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이 아닌 상태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고, 상기 2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에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칭 처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N:1의 비율로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서칭 횟수를 1:1의 비율로 하여 번갈아 서칭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칭 처리부는, 상기 N:1의 비율로 서칭을 수행하는 경우,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서칭 횟수 N회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경과 시간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종료하고, 2G에 대한 1회 서칭을 수행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 있을 때 3G 네트워크를 우선 서칭하는 방법으로, 노서비스 영역에 있으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제 1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보다 많게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칭 횟수가 동일하게 서칭을 수행하고, b)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서칭 스케줄에 따라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가 동일하게 서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칭 단계를 통해 상기 3G 네트워크와 제 2G 네트워크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잡은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이 아닌 상태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고, 상기 2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에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서칭 단계는,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N:1의 비율로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서칭 횟수를 1:1의 비율로 하여 번갈아 서칭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N:1의 비율로 서칭을 수행하는 단계는,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서칭 횟수 N회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경과 시간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종료하고, 2G에 대한 1회 서칭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정보와 3G 및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스케줄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0)와, 노서비스 상태에서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서칭할 때 3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서칭하게 하기 위한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여 서칭을 수행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3G 네트워크 또는 2G 네트워크에 연동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3G 우선 서칭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RF부(130)와, 음성 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와,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70)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1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EEPROM으로 구성되 며,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OS(Operating System) 호처리 소프트웨어 등은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 프로그램들의 변수 및 상태는 램에 불러와서 동작시킨다.
EEPROM은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등이 저장되며 상대적으로 속도는 매우 느리나 비휘발성의 특성을 갖는다.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이므로 단말기 주요 소프트웨어가 이부분에 저장되며, 공장 출시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도 가능하게 된다.
전세계에 사용되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합의된 규칙에 따라 번호 및 분류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단말기를 분류하는 주요한 요소로는 크게 MIN(Mobile In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SCM(Station Class Mark)부분으로 나뉜다.
MIN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며 국제로밍을 위하여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라는 번호체계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ESN은 전세계 모든 단말기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번호이며 교환기와 호처리시 주요하게 사용된다.
ESN은 32비트로 구성되며 MFR(Manufacture)코드에는 FCC에서 할당하는 제조업체 고유 번호가 할당된다.
SCM은 단말기의 성질을 규정하는 부분으로서 단말기의 출력별 분류, 듀얼모드 지원여부, 슬롯모드 여부, 수신 대역폭 등을 정의하고 있는 중요한 파라미터이 며 단말기에서 호설정시나 위치 등록시 자동으로 교환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이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EEPROM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아울러 발신자 이름 정보도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3G 네트워크 또는 2G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호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함과 동시에 2G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2G 네트워크인 GSM과 3G 네트워크인 UMTS과 연동하기 위한 각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 및 2G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통신 환경에서 3G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와, 대기상태에서 3G에서 2G로 옮겨가는 Inter-RAT 셀 재선정(Cell Reselection)을 수행하는 경우와, 통화상태에서 3G에서 2G로 옮겨가는 Inter-RAT 핸드 오버(Hand Over)를 수행하는 경우와, 2G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서 각각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 및 2G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통신 환경에서는 가능하면 3G 네트워크에 연동하여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기본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상태에 있다가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 우선적으로 3G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서칭작업을 수 행하고, 3G 네트워크가 서칭되지 않은 경우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도록 함으로써,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동일한 통신 조건에 있는 경우에는 3G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
아울러,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와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를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3G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
다만, 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2G네트워크에 대한 서칭횟수보다 많이 할당했는데도 불구하고 3G 네트워크에도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없고 2G 네트워크에도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횟수를 동일하게 분배하여 그중 좀더 나은 통신 환경에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편성된 네트워크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서청하기 위한 절차와, 2G 네트워크를 서칭하기 위한 절차를 돌아가면서 수행하게 된다.
RF부(130)는 3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2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3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과 2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편의상 하나의 모듈로 도시하였으나, 도면의 RF부(130)는 3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3G RF 모듈과 2G 네트워크 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2G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7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즉, 키입력부(17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입력부(17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11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 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와의 연결상태를 관리하고 그에 따른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와,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에 의해 생성된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서칭 처리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주기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지 판단한다.
Inter-RAT 셀 재선정중 상태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의 성공 여부에 따라 Inter-RAT 셀 재선정에 성공한 경우에는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을 수행하여 완료한다. 한편, Inter-RAT 셀 재선정에 성공하지 않고 진행중이거나 실패한 경우라면 CR(Cell Reselection)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또한, Inter-RAT 핸드 오버중인 경우에는 Inter-RAT 핸드 오버의 성공 여부에 따라 Inter-RAT 핸드오버를 진행중이거나 실패한 경우라면 HO(Hand Over) 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Inter-RAT 핸드 오버에 성공한 경우에는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완료한다.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도 아니고 Inter-RAT 핸드오버 중도 아닌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임에 따라 CR플래그 또는 HO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노서비스 영역에 있지 않다면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 일정주기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지 판단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노서비스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설정값을 확인하여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설정값이 어느 것도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3G 풀밴드 서칭(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값)을 수행한후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고 1회의 3G 풀밴드 서칭과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서칭 스케줄을 생성한다.
한편,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설정값중에 어느 하나라도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3G 풀밴드 서칭(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값)을 수행한 후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1회의 3G 풀밴드 서칭과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번갈아가면서 수행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서칭 스케줄을 생성한다.
서칭 처리부(123)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된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한다.
서칭 처리부(123)에 수행하는 서칭 과정은 크게 2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서칭 처리부(123)에 의해 첫번째 서칭 형태는 3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서칭하기 위해 3G 네트워크 또는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할 때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 또는 시간을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 또는 시간보다 더 많이 배분하는 형태이다.
두번째 서칭 형태는 3G 네트워크 또는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할 때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 또는 시간을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 또는 시간과 균등하게 배분하는 형태이다.
서칭 처리부(123)는 제 1 서칭 모드를 수행할때, 우선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의 값으로 수행한다.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 이후에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2G 풀밴드 서칭을 1회 수행한다.
즉, 서칭 처리부(123)는 제 1 서칭 모드를 수행할때 N : 1의 비율로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하여 3G 네트워크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인다.
한편, 서칭 처리부(123)는 제 2 서칭 모드를 수행할 때 1:1의 비율로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하여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균등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칭 처리부(123)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에 의해 생성된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다(S1).
이때, 이루어지는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은 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의 값으로 수행한다. 여기에서 최소의 값으로 수행한다는 것은 서칭횟수 또는 타이머의 경과시간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먼저 해당되면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10회, 30초의 타이머로 설정한 경우에,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7회 수행했는데 이미 30초가 경과되었다면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마치도록 한다.
서칭 처리부(123)는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 후에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에 따른 판단 결과, 사용 가능한 3G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3G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도면에서는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 이후에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1회 수행할 때마다 사용가능한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변형예를 생각할 수 도 있다.
한편, 3G 네트워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 이후의 판단 결과, 사용 가능한 3G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1회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다(S3). 서칭 처리부(123)는 2G 네트워크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다. 2G 네트워크에 대한 1회의 풀밴드 서칭을 수행한 이후에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2G 네트워크에 등록을 수행한다.
한편 2G 네트워크에 대한 1회의 풀밴드 서칭을 수행했는데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풀밴드 서칭을 1회 수행하여(S5), 사용가능한 3G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3G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2G 네트워크에 대한 1회의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여(S7)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2G 네트워크에 등록을 수행한다(S9). 그러나, 사용가능한 2G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1회의 풀밴드 서칭과 2G 네트워크에 대한 풀밴드 서칭을 1회씩 반복하여 사용가능한 네트워크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3G 네트워크의 등록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기중이거나 통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1).
제어부(120)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지 판단한다(S12).
여기서의 Inter-RAT 셀 재선정 및 Inter-RAT 핸드 오버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본 연결상태가 3G 네트워크의 등록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 이전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판단 결과, Inter-RAT 셀 재선정중 상태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 Inter-RAT 셀 재선정을 수행하는데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판단 결과 Inter-RAT 셀 재선정에 성공한 경우에는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을 수행하여 완료한다(S14).
한편, 판단 결과, Inter-RAT 셀 재선정에 성공하지 않고 진행중이거나 실패한 경우라면 CR(Cell Reselection)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S15).
또한, Inter-RAT 핸드 오버중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데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판단 결과, Inter-RAT 핸드오버를 진행중이거나 실패한 경우라면 HO(Hand Over)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S15). 한편, 판단 결과 Inter-RAT 핸드 오버에 성공한 경우에는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완료한다(S18).
제어부(120)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12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지 판단한 결과(S12), Inter-RAT 셀 재선정중도 아니고 Inter-RAT 핸드오버 중도 아닌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임에 따라 CR플래그 또는 HO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판단 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노서비스 영역에 있지 않다면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S20) 일정주기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상태가 Inter-RAT 셀 재선정중인지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지 판단하는 절차(S12)를 수행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 서비스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S19) 노서비스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설정값을 확인하여 CR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거나 HO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판단 결과, CR 플래그 또는 HO 플래그의 설정값중에서 어느 하나도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에 잠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간 것이 아니고, 3G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서비스를 수행하다가 잠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간 것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잡게 하기 위하여 3G 풀밴드 서칭(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값)을 수행한후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고 1회의 3G 풀밴드 서칭과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는 절차(S1 - S9)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CR 플래그 및 HO 플래그의 설정값중에 어느 하나라도 1로 설정되어 있 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에 잠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이었다는 것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환경이 3G 네트워크의 전파가 약해지고 2G 네트워크의 전파가 강해지고 있는 영역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의 통신 환경이 2G 네트워크의 통신환경보다 좋지 못하거나 대등한 정도이므로 3G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잡게 하는 것보다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의 선택확률을 대등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3G 풀밴드 서칭(N회 또는 T초 타이머중 최소값)을 수행한 후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수행하는 과정(S1 - S4)을 수행하지 않고, 1회의 3G 풀밴드 서칭과 1회의 2G 풀밴드 서칭을 번갈아가면서 수행하는 절차(S5 - S9)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많은 구체적인 변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서 노서비스 영역에 있던 이동 통신 단말이 노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나서 3G 네트워크 또는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할 때,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하는 횟수를 2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횟수보다 많도록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고,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한 이후에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를 잡을수 있는 확률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 중인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환경이 3G 네트워크의 전파가 약해지고 2G 네트워크의 전파가 강해지고 있는 영역에 있음에 따라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의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서칭 스케줄을 생성함으로써, 3G 네트워크의 통신 환경이 2G 네트워크의 통신환경보다 좋지 못하거나 대등한 경우에는 굳이 강제적으로 3G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신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있을 때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노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1 서칭 스케줄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행하기 위한 제 2 서칭 스케줄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부와,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보다 많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며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서칭 스케줄에 따라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동일하게 하여 서칭을 수행하는 서칭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이 아닌 상태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고,
    상기 2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에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인 이동 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칭 처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N:1의 비율로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 및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서칭 횟수를 1:1의 비율로 하여 번갈아 서칭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칭 처리부는,
    상기 N:1의 비율로 서칭을 수행하는 경우,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서칭 횟수 N회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경과 시간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종료하고, 2G에 대한 1회 서칭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삭제
  6.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노서비스 영역에 있을 때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방법으로,
    노서비스 영역에 있으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a)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1 상태에 있는 경우 제 1 서칭 스케줄에 따라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보다 많게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칭 횟수가 동일하게 서칭을 수행하고
    b)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 2 상태에 있는 경우 제 2 서칭 스케줄에 따라 상기 3G 네트워크 및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가 동일하게 서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칭 단계를 통해 상기 3G 네트워크와 제 2G 네트워크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잡은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이 아닌 상태에서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이고,
    상기 2 상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2G 네트워크로의 Inter-RAT 셀 재선정중 또는 Inter-RAT 핸드오버중에 노서비스 영역에 들어온 경우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서칭 단계는,
    3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 횟수를 N:1의 비율로 하여 서칭을 수행하고, 상기 서칭에 의해 임의의 네트워크를 잡지 못한 경우 상기 3G 네트워크와 2G 네트워크를 잡을 확률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서칭 횟수를 1:1의 비율로 하여 번갈아 서칭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N:1의 비율로 서칭을 수행하는 단계는
    3G 네트워크를 서칭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서칭 횟수 N회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의 경과 시간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3G 네트워크에 대한 서칭을 종료하고, 2G 네트워크에 대한 1회 서칭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KR1020050017850A 2005-03-03 2005-03-03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3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50A KR100638464B1 (ko) 2005-03-03 2005-03-03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50A KR100638464B1 (ko) 2005-03-03 2005-03-03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31A KR20060098631A (ko) 2006-09-19
KR100638464B1 true KR100638464B1 (ko) 2006-10-24

Family

ID=3763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850A KR100638464B1 (ko) 2005-03-03 2005-03-03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31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740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resources and terminal
US87444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lerated network selection using a weighted network list
CN104918300B (zh) 用于移动通信的设备及方法
EP1872614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viding for rapid network selection in a multimode device
EP2725848B1 (en) Method for shortening CSFB performance tim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JP5434916B2 (ja) マルチ・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plmnの選択
JP5584081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局制御方法
US9392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by improving system information reading procedure
CA2589961C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lerated network selection using a weighted network list
JP5935558B2 (ja) 移動体装置およびセル選択方法
US1039024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ell measurments
TW200537947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y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CN101940033A (zh) 无线电信网络中用于控制用户设备的漫游导向的方法
CN106664619A (zh) 用于在连接模式下提高无线通信设备上的同频小区重选的系统和方法
US9351212B2 (en) PLMN sel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BSC and core network device
KR20120085762A (ko) 이동국의 무선 액세스 기술 능력에 관한 정보의 수신
CN105611583A (zh) 一种缩短多模用户终端搜网选网时延的方法
CN103874167A (zh) 一种lte多模移动终端的模式选择方法
CN114040458A (zh) 运营商网络切换方法、装置、通信模组、终端和存储介质
KR101382043B1 (ko) 음성 호 지연을 줄이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
US11356837B2 (en) Station and method for LTE only attach optimization
CN103731895B (zh) 通信设备及其自动快速返回优选无线电接入技术的方法
CN102196487A (zh) 多卡多模移动终端对3g系统邻区测量的方法
CN112702777A (zh) 在nsa模式下执行移动过程的方法和通信装置
KR100638464B1 (ko) 3g 네트워크 우선 서칭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