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112B1 -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112B1
KR100638112B1 KR1020030081396A KR20030081396A KR100638112B1 KR 100638112 B1 KR100638112 B1 KR 100638112B1 KR 1020030081396 A KR1020030081396 A KR 1020030081396A KR 20030081396 A KR20030081396 A KR 20030081396A KR 100638112 B1 KR100638112 B1 KR 10063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ocket
coupling
rocket engine
combustion
baff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649A (ko
Inventor
류철성
설우석
정용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1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42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liquid or gaseous propellants
    • F02K9/6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K9/62Combustion or thrust chambers
    • F02K9/64Combustion or thrust chambers having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로써, 주벽(周壁)에 각기 복수 개의 결합공 및 점화 화염 유도공이 형성된 허브 부재와; 상기 결합공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공에 각기 대응된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복수 개의 리브 부재와; 상부에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홈에 각기 대응된 상기 리브 부재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에는 실제 비행용으로 개발된 복합 내열재 타입이나 내부 냉각 방식의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실제 연소 시험에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최적 설계된 연소 안정화 장치의 성능 검증용으로 배플 장치를 대용함으로써 이를 해소하며, 짧은 시간과 저비용으로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체 로켓 엔진의 개발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임시 배플

Description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TEMPORARY DEVICE FOR TEST OF BAFFLE FOR LIQUID ROCKET ENG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허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 - 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허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 리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은 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허브 부재 112 : 결합공
114 : 점화 화염 유도공 116, 126, 132 : 요홈
120 : 리브 부재 122, 124 : 돌기부
130 : 링 부재
본 발명은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로켓 엔진이 산화제와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성을 제어하는 배플을 대용하여 최적 설계된 연소 안정화 장치의 성능 검증에 필요한 연소 시험을 범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로켓 엔진은 산화제와 연료를 연소실 내로 분사시켜 연소시킨 후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를 노즐을 통해 대량 방출시킴으로써 추력을 얻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 로켓 엔진은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임의의 특정한 음향 모드(acoustic mode)를 갖는 연소 불안정성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연소 불안정성의 발생과 이의 증폭은 엔진이 파손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하여 액체 로켓 엔진의 신뢰성을 저해한다.
최근에 들어, 액체 로켓 엔진의 연소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은 음향공(acoustic absorber) 또는 배플(baffle)을 활용하는 것이다.
먼저, 음향공은 엔진 상부의 헤드부 또는 연소실부에 일정한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여 연소실의 공진 주파수를 감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배플은 분사기가 위치한 면에 칸막이 형태의 구조물을 장착하여 연소 가스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감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연소 불안정성의 해소 방안은 배플을 활용한 기술이나 구조물이 연소실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에 노출되어 용융 또는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연소 안정화 장치가 파손되면, 연소 불안정성이 발생하여 엔진뿐만 아니라 엔진과 연결된 연소 시험 장치 및 설비 또는 발사체를 파손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용융 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채택될 수 있는 일 방안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구조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연소 안정화 장치의 내부에 냉각 유로를 만들어 추진제를 내부 유로를 따라 분사시켜 냉각하는 방식이나 선 출원된 방식인 복합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전술된 경우 저압 엔진을 사용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충분한 냉각을 위해서는 별도의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추진제를 분사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엔진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부차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연료 또는 산화제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채택될 수 있는 일 방안은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탱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지만, 탱크의 중량비를 증가시켜 전체적인 발사체의 구조 중량비가 증가됨으로써 발사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복합재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작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2003년 11월 12일자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03-79743호, 발명의 명칭: 액체 로켓 엔진용 연소 안정화장치) (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한다)를 출원하였으며, 선출원 발명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출원 발명은 허브 부재(10)와, 허브 부재(1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링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허브 부재(10)의 원주면에는 복수 개의 점화 화염 유도공(14)과, 링 부재(20)의 리브(22) 단부가 각기 대응되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허브 부재(10)는 내열재(13)에 금속 코어(11)가 내장되어 있다.
링 부재(20)는 6 균등 분할된 분할편(2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할편(25)은 6 균등 분할된 연결 부재(24)와, 연결 부재(24)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 (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링 부재(20)의 리브(22)는 전술된 허브 부재(10)와 동일하게 내열재(23)에 금속 코어(21)가 내장된 복합 내열재 구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선출원 발명은 종래의 내부 냉각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금속 코어와 내열재를 활용한 복합 내열재 구조를 이용한 흡열 냉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구조물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구조 중량비를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액체 로켓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선출원 발명은 액체 로켓 엔진에 실제적으로 장착되어 반복적인 연소 시험을 수행하여 최적화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선출원 발명은 최적화 제작될 때까지 장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막대한 제작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선출원 발명은 액체 로켓 엔진의 단순한 성능 검증 시험이나 연소 시험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고가의 자재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로켓 엔진이 산화제와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성을 제어하는 배플을 대용하여 필요한 연소 시험을 범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로써, 주벽(周壁)에 각기 복수 개의 결합공 및 점화 화염 유도공이 형성된 허브 부재와; 상기 결합공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공에 각기 대응된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복수 개의 리브 부재와; 상부에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홈에 각기 대응된 상기 리브 부재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결합공은 상기 허브 부재에 일측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허브 부재의 하측부에는 복수 개의 제 1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리브 부재의 하측부는 사면 가공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2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리브 부재의 타단 하측부에는 상기 링 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링 부재의 하측부에는 주면을 따라 제 3 요홈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허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는 허브 부재(110)와, 허브 부재(110)의 주벽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복수 개의 리브 부재(120)와, 상기 허브 부재(120)의 타단부가 삽입된 링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허브 부재(1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로써, 주벽(周壁)에 복수 개의 결합공(112) 및 점화 화염 유도공(1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공(112)은 허브 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좀 더 상 세하게는 일측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따라서, 이 관통된 결합공 (112)에 리브 부재(1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점화 화염 유도공(114)은 주벽의 동일한 원주 상에 형성된 것으로, 허브 부재(110)의 폭 방향 지름이 원주 방향 지름 보다 큰 장방 형상의 관통공이다. 점화 화염 유도공(114)는 액체 로켓 엔진(도시 안됨)의 초기 점화시 발생하는 점화 화염 연소실(도시 안됨) 내부에 잘 분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허브 부재(110)의 하측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사면 가공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1 요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요홈(116)은 액체 로켓 엔진의 분사기(도시 안됨) 배열 및 분사된 추진제가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분사기가 위치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 부재(120)는 판재 형상으로 일단부가 전술된 바와 같이 허브 부재(110)의 결합공(112)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결합공(112)에 선별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링 부재(130)의 상측부에 형성된 결합홈(132)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결합홈(1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리브 부재(120)는 액체 로켓 엔진의 구조 또는 원하는 연소 시험의 목적에 따라 허브 부재(110) 및 링 부재(12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복수 개가 삽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허브 부재(110), 리브 부재(120) 및 링 부재(130)는 내열이 양호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블레이드 리브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리브 부재(120)는 판재 형상으로써, 허브 부재(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에 제 1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 하측부에 링 부재(130)의 결합홈(132)에 삽입되도록 제 2 돌기부 (1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 부재(120)의 하측부는 양측 방향으로 사면 가공이 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2 요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요홈(126)은 액체 로켓 엔진의 분사기 배열을 피하고 추진제가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사기가 배치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은 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링 부재(130)는 리브 부재(120)의 제 2 돌기부(124)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부재(130)의 하측부에는 엔진 헤브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끼워 맞춤되도록 원주를 따라 제 3 요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는 실제 조립에 있어서, 리브 부재(120)를 각기 대응된 허브 부재(110)의 결합공(112) 및 결합홈(13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일체로 조립된 임시 배플장치는 액체 로켓 엔진의 헤드부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런 다음, 액체 로켓 엔진의 연소 시험이 완료된 다음 용융되고 남은 임시 배플장치가 탈거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액체 로켓 엔진의 연소 불안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엔진 연소 시험시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대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제 비행용으로 개발된 복합 내열재 타입의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실제 연소 시험에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대용함으로써 이를 해소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짧은 시간과 저비용으로 최적화된 배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체 로켓 엔진의 개발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로써, 주벽(周壁)에 각기 복수 개의 결합공 및 점화 화염 유도공이 형성된 허브 부재와;
    상기 결합공 중에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공에 각기 대응된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복수 개의 리브 부재와;
    상부에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 중에 임의로 선택된 각각의 상기 결합홈에 각기 대응된 상기 리브 부재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부재의 하측부에는 복수 개의 제 1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허브 부재에 일측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의 하측부는 사면 가공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제 2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의 타단 하측부에는 상기 링 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하측부에는 주면을 따라 제 3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KR1020030081396A 2003-11-18 2003-11-18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KR10063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96A KR100638112B1 (ko) 2003-11-18 2003-11-18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96A KR100638112B1 (ko) 2003-11-18 2003-11-18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49A KR20050047649A (ko) 2005-05-23
KR100638112B1 true KR100638112B1 (ko) 2006-10-24

Family

ID=3724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96A KR100638112B1 (ko) 2003-11-18 2003-11-18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842B1 (ko) * 2021-09-24 2022-07-12 주식회사 제이더블유테크 터보차저용 컴프레셔 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6595B1 (ko) 2022-09-16 2023-09-11 주식회사 골드테크 경량화 소재로 형성되는 유체 분사 구조체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49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987B1 (ko) 연료 노즐, 이것을 구비한 가스 터빈 연소기 및 이것을 구비한 가스 터빈
US7197877B2 (en) Support system for a pilot nozzle of a turbine engine
JP6175193B2 (ja) 燃焼器用筒体、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5112926B2 (ja) 燃焼器ダイナミクス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033111B2 (en) Damping of vibration of a combustion chamber by resonators
JP392413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6862888B2 (en) Pilot nozzle for a gas turbine combustor and supply path converter
JP6423760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ノズル構造
CA2533040C (en) Heat shield for a fuel manifold and method
WO2012132898A1 (ja)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KR102386375B1 (ko) 가스 터빈
JP2014238253A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器に点火するためのイグナイタを有する燃料噴射器
KR102655031B1 (ko) 연소기 부품, 이 연소기 부품을 구비하는 연소기, 및 이 연소기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WO2018041647A1 (en) A burner with fuel and air supply incorporated in a wall of the burner
CN102853451B (zh) 用于冷却过渡喷嘴的方法和系统
KR100638112B1 (ko) 액체 로켓 엔진 연소 안정화장치 개발용 임시 배플장치
JP4065446B2 (ja) 液体ロケットエンジンの推力チャンバー用の燃焼安定化装置
US3757522A (en) Devices for pre-vaporising liquid fuel
JP5455411B2 (ja) ロケット用噴射器
KR102019091B1 (ko) 연료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JP2007218487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0666161B1 (ko) 액체로켓 연소기의 분사기형 배플
JP4015560B2 (ja) デュアル焚きガスタービンの運転方法
RU2766382C9 (ru)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JP2015090073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