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871B1 -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871B1
KR100637871B1 KR1020050095354A KR20050095354A KR100637871B1 KR 100637871 B1 KR100637871 B1 KR 100637871B1 KR 1020050095354 A KR1020050095354 A KR 1020050095354A KR 20050095354 A KR20050095354 A KR 20050095354A KR 100637871 B1 KR100637871 B1 KR 10063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reel
ballot
record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조원형
김경호
정진복
Original Assignee
(주)나노스토리지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스토리지,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나노스토리지
Priority to PCT/KR2006/0023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3768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은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투표자가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후보자 중 한 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투표데크; 및 상기 투표데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자의 선택 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기록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투표의 결과를 전자기록매체 뿐만 아니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여 기록함으로써 투표결과의 변조 및 데이터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투표. 기록방법. 카트리지. 인쇄수단.

Description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Electronic voting system and recording metho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데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데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릴 모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이다.
**도면의 간단한 부호의 설명**
100: 투표데크 110: 모니터
120: 입력수단 200: 기록데크
210: 본체 211: 윈도우창
212: 개폐도어 213: 카트리지 장착부
220: 카트리지 221: 케이스
222: 공급릴 223: 권취릴
224: 투표기록지 225: 윈도우창
226: 작동홈 227: 투명창
230: 릴모터 어셈블리 231: 롤러
232: 릴 모터 233: 솔레노이드
234: 전달부 235: 브레이크 패드
240: 인쇄수단 241: 프린트헤드
242: 가압부 243: 핀치롤러
244: 캠부
본 발명은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투표의 결과의 변조 및 데이터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의회민주주의국가는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또는 특정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일상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종래의 투표방식으로는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가 인쇄된 투표용지에 선택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기표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투표함으로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투표방식은 특정 투표소에서 선거인명부를 확인하여야 투표가 가능한 것으로서, 지정된 투표소 이외에는 투표할 수 없다는 점과 개표시간이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전자투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 행되었으며, 그 중에는 많은 성과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전자투표는 투표결과의 변조와 데이터의 손실에 대한 보완책이 부족하여 실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투표의 결과의 변조 및 데이터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투표자에 의한 투표결과를 하나의 투표기록지에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목적은 투표자가 자신의 선택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은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투표자가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후보자 중 한 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투표데크; 및 상기 투표데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자의 선택 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기록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다수의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가 연속적으로 인쇄되되, 상기 선택결과는 문자 또는 바코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인 쇄되며, 이와 병행하여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및 CD-ROM 등의 전자기록매체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데크는, 본체; 상기 투표기록지를 롤타입으로 권취하는 공급릴과 권취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 상기 공급릴과 권취릴을 회동시키는 릴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투표자의 선택 결과를 상기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와 본체 각각에는 상기 투표자가 인쇄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윈도우창이 구비되며, 특히 상기 본체는 상기 윈도우창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표결과의 조작 방지 및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부재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콘트롤 코드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콘트롤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투표기록지의 사용량 및 잔량을 확인하는 콘트롤센서가 더 부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에 의해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인쇄하는 전자투표 기록방법은 1) 상기 투표자가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2) 상기 투표자가 특정 후보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3) 입력된 선택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다수의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가 문자 또는 바코 드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인쇄되되, 각 투표자의 선택결과들 사이에는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코드가 더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투표자가 선택한 사항을 인쇄하기 전 또는 인쇄한 후에 확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 및 기록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시스템은 투표데크(100)와 기록데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표데크(100)는 투표자가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110)가 형성되며, 투표자가 상기 모니터(110)에 표시된 후보자 중 한 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수단은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모니터의 일측에 장착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상기 기록데크(200)는 상기 투표데크(100)와 USB로 연결되어 전기적/기구적으로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120)을 통해 입력된 선택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전자투표시스템은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투표결과를 기록데크 이외에 전자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록데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록데크(200)는 본체(210)와, 카트리지(220)와, 릴모터 어셈블리(230)와, 인쇄수단(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0)는 전면에 카트리지 장착부(213)가 구비된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213)는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의 신호에 의하여만 탈거되게 하는 록킹부재(미도시)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상면에는 윈도우창(211) 및 개폐도어(2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창(211)은 투표자가 자신의 선택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자신의 투표내용 이외에 다른 투표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도어(212)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도어(212)는 자신의 투표결과를 확인하는 시간 이외에는 폐쇄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개폐도어(212)는 모터 또는 에어실린더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카트리지(220)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213)에 장착되는 케이스(221)와, 상기 케이스(221) 내부에 상기 투표기록지(224)가 공급릴(222)과 권취릴(223)에 의해 권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21)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윈도우창(211)과 동일선상에 윈도우창(2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21)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투표기록지(224)가 프린트 헤드(241)와 접하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투표기록지(224)의 하부에는 작동홈(226)이 'V'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하나의 카트리지(투표기록지)에는 다수 투표자의 선택결과가 연속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20)가 상기 본체(210)에 장착되면, 상기 공급릴(222)과 권취릴(223)은 각각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롤러(231)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공급릴(222) 및 권취릴(223)을 회동시켜 상기 투표기록지를 이송하는 상기 롤러(231)을 포함하는 릴 모터 어셈블리(23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213)에 의해 장착된 카트리지(220)는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되는데, 릴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상기 공급릴(222)과 권취릴(223)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홈(226)에 가압부(242)가 삽입되어 인쇄 준비가 완료되며, 투표자가 선택결과를 입력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캠부(244)의 회동으로 프린트 헤드(241)가 상기 투표기록지(224)에 접하면서 선택결과를 인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린트 헤드(241)는 열전사 헤드이고, 투표기록지(224)는 열전사용지를 적용하였다. 핀치롤러는 연속적 인쇄를 위해 투표기록지를 이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릴 모터 어셈블리(230)는 상기 공급릴(222)과 권취릴(223)에 접하여 회동시키는 한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릴 모터(2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릴 모터 어셈블리(230)에는 상기 릴 모터(232)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233)와, 전달부(234)와, 브레이크 패드(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235)는 전원의 인가 또는 차단에 따라 신축되는 공지의 수단으로서, 이러한 전원의 제어로 상기 솔레노이드(235)를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235)의 작동상태에 따라 전달부(234)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2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2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릴 모터(2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투표시스템에 의해 투표자가 투표데크(100)의 입력수단(120)을 통해 입력한 선택결과를 카트리지의 공급릴(222)과 권취릴(223)에 의해 롤타입으로 권취되는 투표기록지(224)에 인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트리지(220)에 권취된 투표기록지(224)는 공급상태에서 콘트롤코드(224a)가 상면 또는 저면에 인쇄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 코드(224a)는 기록데크(200)의 본체(210)에 구비된 콘트롤센서(미도시)에 의해 인식된다. 투표시작부터 상기 콘트롤 코드(224a)를 카운트함으로써 투표기록지(224)의 사용량 및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투표데크(100)의 입력수단(120)을 통해 선택결과가 입력되면 상기 프린트 헤드(241)는 투표기록지(224)에 선택결과의 정보를 담은 문자 및 이를 암호화한 바코드를 인쇄한다. 상기 문자 및 바코드에는 선택된 후보자의 소속, 기호, 이름 뿐만 아니라 선거에 대한 제반 정보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이 문자 및 바코드가 인쇄된 구간을 기록부(224b)라고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전자투표시스템은 하나의 카트리지(투표기록지)에 다수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연속적으로 인쇄하기 때문에 그들간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기록부(224b)와 기록부 사이에 경계코드(224c)를 인쇄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투표시스템의 작용 및 그에 의한 전자투표기록방법을 설명하면, 투표자는 모니터(110)에 표시되는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하고, 후보자 중 한 명을 선택하여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120)을 통해 입력한다. 투표자의 선택결과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기록데크(200)로 전송되는데, 기록데 크(200)에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선택결과를 문자 및 바코드 형태로 인쇄한다. 인쇄가 끝나면, 상기 릴 모터 어셈블리(230)를 회동하여 인쇄된 구간을 윈도우창(211, 225)의 하부로 이송하면서, 폐쇄되어 있던 개폐도어(212)가 개방된다. 상기 윈도우창(211, 225) 및 개폐도어(212)를 통해 투표자는 자신의 선택결과를 확인하고, 투표를 종료한다. 상기 개폐도어(212)는 투표가 끝나고 다른 투표자가 입실하기 전에 다시 폐쇄되어 투표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투표의 결과를 전자기록매체 뿐만 아니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여 기록함으로써 투표결과의 변조 및 데이터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 투표자에 의한 투표결과를 카트리지에 롤 형태로 수용된 투표기록지에 기록함으로써 투표기록지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관, 저장 및 운송에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더욱이, 투표자는 자신의 선택결과를 확인할 수 있지만, 타인의 투표내용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투표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더불어 보안성도 탁월하다.

Claims (16)

  1. 후보자의 신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투표자가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후보자 중 한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투표데크; 및
    상기 투표데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기록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록데크는,
    본체;
    상기 투표기록지를 롤타입으로 권취하는 공급릴과 권취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
    상기 공급릴과 권취릴을 회동시키는 릴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상기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다수의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가 연속적으로 인쇄되되, 상기 선택결과는 문자 또는 바코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시스템은,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전자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본체 각각에는 상기 투표자가 인쇄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윈도우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윈도우창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콘트롤 코드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콘트롤 코드를 인식하는 콘트롤센서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부재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투표자의 선택결과를 상기 투표기록지에 인쇄하는 프린트헤드;
    상기 프린트헤드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투표기록지를 지지하는 가압부; 및
    상기 투표기록지를 이송하는 피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열전사헤드이고, 상기 투표기록지는 열전사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공급릴과 권취릴을 회동시키는 한쌍의 롤러;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릴 모터;
    상기 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50095354A 2005-06-21 2005-10-11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 KR10063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2376 WO2006137681A1 (en) 2005-06-21 2006-06-21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3557 2005-06-21
KR1020050053557 2005-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871B1 true KR100637871B1 (ko) 2006-10-24

Family

ID=37621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57A KR100637872B1 (ko) 2005-06-21 2005-10-11 전자투표용 개, 검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50095354A KR100637871B1 (ko) 2005-06-21 2005-10-11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57A KR100637872B1 (ko) 2005-06-21 2005-10-11 전자투표용 개, 검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637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62B1 (ko) 2011-08-09 2013-04-1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별도의 공유형 보관유닛을 가지는 전자투표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13B1 (ko) 2009-05-15 2010-04-13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전자투표방법 및 장치
ES2594606T3 (es) * 2013-03-01 2016-12-21 Aps Trading Ood Dispositivo de impresión térmica para aparato de votación electrónica
CN109977939B (zh) * 2019-04-16 2023-11-10 武汉科技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票据图像自动获取装置及其获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62B1 (ko) 2011-08-09 2013-04-1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별도의 공유형 보관유닛을 가지는 전자투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872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701B2 (en) Integrated voting system and method for accommodating paper ballots and audio ballots
US8191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curity features on paper ballots
JP2001005917A (ja) カードを発行及び処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37871B1 (ko) 전자투표시스템 및 전자투표기록방법
US20090166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Auditing a Paper Record of Votes Cast on a Voting Machine
JP3854803B2 (ja) 電子投票用投票端末及び投票結果記録装置
US9235944B1 (en) Thermal printing device for electronic voting apparatus
KR20090118223A (ko) 전자투표장치
WO2006137681A1 (en)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KR100728832B1 (ko) 종이 절감 및 비밀투표 보장이 가능한 전자투표기록방법
JP2002279126A (ja) 電子投票装置
KR100788843B1 (ko) 전자투표장치
EP1842682B1 (en) Printer for a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EP1403073B1 (en) Thermal printer and portable-type terminal equipment
FR2610124A1 (fr) Methode et appareil pour traiter des cartes imprimees en relief
KR100871808B1 (ko) 투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표장치의 제어방법
KR20020081566A (ko) 카드 프린터의 인쇄방법
JP6700075B2 (ja) 物品管理装置および物品管理システム
JPS633395A (ja) カセツト式タイムレコ−ダ
KR100438152B1 (ko) 전자투표기용 투표용지보관함
JPH035167A (ja) 券発行装置
JPH1019091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1163882A (ja) 自動取引装置
JPH1181799A (ja) 認証カード管理機における認証カードの搬送装置
JPH0512563A (ja) クレジツト取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