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736B1 -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736B1
KR100637736B1 KR1020050072072A KR20050072072A KR100637736B1 KR 100637736 B1 KR100637736 B1 KR 100637736B1 KR 1020050072072 A KR1020050072072 A KR 1020050072072A KR 20050072072 A KR20050072072 A KR 20050072072A KR 100637736 B1 KR100637736 B1 KR 10063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obbin
raisin
raisins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Priority to KR102005007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736B1/en
Priority to PCT/KR2006/003086 priority patent/WO20070183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25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12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drive and pinch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ppliance having a pushing member, a sensing member, and a display, thereby displaying a condition of which the dry towel roll and bobbins are push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ward the exterior. A pushing member(20) pushes a dry towel roll(1) and bobbins(2,2') from an initial position by applying a specified elastic force to the dry towel roll and bobbins when a dry towel of the dry towel roll is completely used. A sensing member(30)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to operate the pushing member when the dry towel roll and bobbins are deviated apart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the pushing member. A display(50) indicates a condition of which the dry towel roll and bobbins are push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exterior.

Description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DEEP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that can be confirm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s raisin roll display device for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Figures 4a and 4b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부재와 푸싱부재를 갖는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rrant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having a sensing member and a pushing member to confirm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rrant roll;

도 7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ing member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건포롤 1' : 건포1: raisins roll 1 ': raisins

2, 2' : 보빈(bobbin) 3 : 프레임2, 2 ': bobbin 3: frame

3' : 지지돌기 4 : 건포롤 캐비티(cavity)3 ': support protrusion 4: raisin roll cavity (cavity)

6 : 제 1 보빈 지지홈 8 : 제 2 보빈 지지홈6: 1st bobbin support groove 8: 2nd bobbin support groove

10 :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 20 : 푸싱부재10: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20: Pushing member

22, 22', 22" : 푸싱바 23, 23' : 마그네틱22, 22 ', 22 ": Pushing Bar 23, 23': Magnetic

24 : 스프링 25, 25' : 걸림턱24: spring 25, 25 ': locking jaw

26 : 힌지축 28 : 푸싱바 회동축26: hinge axis 28: pushing bar pivot shaft

30 : 센싱부재 32, 32' : 검출센서30: sensing member 32, 32 ': detection sensor

34, 34' : 센서 작동자 50 : 디스플레이34, 34 ': Sensor operator 50: display

100 : 건포 이송 유니트100: raisins transfer unit

본 발명은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포롤에 감긴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건포에 물을 흡수시켜 여러 겹으로 접거나 말아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을 즉석해서 제공하는 물수건 제조장치에서 사용자가 건포롤을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sins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cut a certain length while transporting the raisins wound on the raisins roll, and to absorb the water in the cut raisins and folded in multiple lay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check a roll roll in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provides instant roll towels that can be used for single use.

위생이 강조된 일회용 물수건이 보급되면서 필요시 물수건을 바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식당, 페스트푸 드점, 사무실 등에서 편리하게 물수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hygienic disposable towels are spreading,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propos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towel can be formed and used immediately if necessary, so that the towel can be conveniently used in restaurants, fast food stores, and offices.

본 발명자는 롤 형태로 감긴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물을 분사하여 함습시키고 일정한 형상으로 물수건을 형성하여 제공하므로써 물수건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13478호 "물수건 공급장치 및 그를 위한 벨트", 제10-2005-0020532호 "물수건 공급장치의 물 분사노즐 및 그 제조방법" 및 제10-2005-0013799호 "물수건 공급장치" 등의 물수건 제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물수건 제조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종래 물수건 제조장치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The present inventors cut into a length suitable for use while transporting the raisin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by moisturizing by spraying water while transporting the cut raisins to form a wet towel in a certain shape to provide a convenient use of the wet towel Weihai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13478 "Water towel supply device and belt for it", 10-2005-0020532 "Water spray nozzle of the water suppl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10-2005-0013799 " It has been proposed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wet towel supply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related to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improves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65771 "물수건 자동 공급장치의 건포수건 유무 감지장치"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의 건포수납실로부터 건포수건을 클램핑가이드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로 압지하여 구동모우터와 연결기어로 연결된 로딩로울러로서 송급하여 커터로 소정길이만큼 커팅하는 커팅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건포수납실에는 건포수건이 롤상태로 권취하는 롤러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저면에 상기 롤러의 유무가 센싱되는 감지수단이 착설된 제1요구와, 상기 제1요구의 커팅유니트 측으로 연설되어 제1요구로부터 롤러가 위치이동 가능하게된 제2요구로 구성되며, 상기 건포수건의 최후단은 롤러에 접착되어 로딩로울러의 회동력으로 롤러가 제1요구에서 제2요구측으로 강제 이동되게 하므로서 건포수건의 유무가 감지되도록 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65771 "Dry towel detection device of automatic wet towel supply device" presses the dry towel between the clamping guide and the guide plate from the dry storage box of the automatic wet towel supply device and connects it to the driving motor. In a cutting unit that is fed as a loading roller connected to the gear and cut by a cutter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roller in which the dry towel is wound in a roll state is seated rotatably in the dry cloth storage chamber and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oll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ting unit. And a second request in which the means is installed and a second request in which the roller is moved from the first request to the cutting unit side of the first request. The last end of the dry towel is adhered to the roller and is loaded into the loading roller. The rollers are forced to move from the first demand to the second demand by the turning force of It proposes a mechanism geonpo roll status.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60609호 "물수건제조기의 타월유무신호장치"는 타월실의 양벽면에는 낮은안치홈과 높은안치홈을 형성하여 낮은안치홈의 외측에는 자석감지센서를 고정하고, 타월가이드바의 외측에는 영구자석을 고정하여 타월이 소모될시에는 타월가이드바가 높은안치홈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자석감지센서가 오프되도록 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0609 "Towel presence signal device of the water towel mak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wel chamber to form a low settling groove and a high settling groove to fix the magnetic sensor on the outside of the low settling groove In addition, a permanent magnet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owel guide bar, and when the towel is consumed, it is proposed a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to turn off the magnetic sensor by moving the towel guide bar to a high settling groov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건포가 소모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표시하므로써 편리하게 건포롤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aisins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the proposed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a technique proposed to be able to exchange the raisins rolls conveniently by displaying them when the raisins are consumed.

그러나 이와 같이 제안된 종래 기술들은 모두 보빈(bobbin; 롤러, 타월가이드바)이 이동(롤러가 제1요구에서 제2요구로 이동, 타월가이드바가 낮은안치홈에서 높은안치홈으로 이동)되었을 때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고 있어, 그 정밀도가 낮아 오작동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 물수건 제조장치는 건포롤에 감긴 건포를 건포 이송 유니트를 사용해서 당기므로써 건포를 이송시키게 되는데, 건포 이송 유니트의 작동시작시 건포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ll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proposed in this way are used when the bobbin (roller, towel guide bar) is moved (the roller moves from the first demand to the second demand, and the towel guide bar moves from the lower settling groove to the higher settling groove). Is to operate, the accuracy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lfunction rate is high. That is, in general,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ransfers the raisins by pulling the raisins wound on the raisins using the raisins convey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raisins roll is frequently changed at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raisins conveying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건포롤이 초기 위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경우에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new type in which the sensor is operated when the roll roll is completely out of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종래 제안된 기술들은 건포롤이 소진된 것을 알리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포롤의 잔량을 알기 위해서는 육안으로 건포롤을 직접 확인해야 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are a method of informing that the raisins are exhausted. Therefore, the user may need to check the currant rolls with the naked eye in order to know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rrant rolls.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건포롤의 잔량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new type that can improve the prior art so that a user can know the remaining amount of raisin rolls from the outs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형성되는 건포롤 캐비티에 보빈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건포롤에 감긴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건포에 물을 흡수시켜 여러 겹으로 접거나 말아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을 즉석해서 제공하는 물수건 제조장치에서 사용자가 건포롤을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건포롤 및 보빈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포롤과 보빈 방향으로 정해진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건포롤의 건포가 소진되었을 때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가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했을 때 상기 푸싱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센싱부재 및; 상기 센싱부재의 전기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로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남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a certain length while conveying a raisin wound in a currant roll coupled to the bobbin to a cured roll cavity formed in the frame,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dry roll in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provides water towels that can be used for single use by folding or rolling multiple layers by absorbing water, one side of the state of the roll roll display apparatus for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e currant roll and bobbin are installed to contact any one of the currant roll and bobbin, and the curbroll roll and the bobbin are moved at an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currant of the currant roll is exhausted by allowing the elastic force determ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ant roll and the bobbin to act. A pushing member to deviate; A sensing member operated by the pushing member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ushing member causes the dry roll and bobbin to be out of an initial position; And a display for indicating that the dry roll and bobbin are out of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sensing member is genera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서 상기 푸싱부재는 푸싱바 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건포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상기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므로써 상기 건포롤의 건포가 소모될 때 연속적으로 상기 건포롤의 외측에 접촉되는 푸싱바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푸싱바 회동축에 접속되어 상기 푸싱바와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회동되는 센서 작동자 및, 상기 센서 작동자의 연속적인 변위를 정해진 간격으로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건포롤의 사용량 또는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ushing member extends from the pushing bar pivot shaf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roll, when the raisins of the raisins roll are consumed. And a pushing bar continuously contacting the outer side of the raisin roll, wherein the sen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pushing bar rotational shaft to determine a sensor operator continuously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ushing bar, and a continuous displacement of the sensor operator. It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at intervals, so that the amount or residual amount of the dry roll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isplay.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서 상기 푸싱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에 마그네틱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상기 보빈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는 푸싱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푸싱바의 마그네틱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상기 마그네틱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일 수 있다. In the raisin roll display device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magnetic, the circumference of the bobbin in the middle The sensing member is fixed to the frame so that the sensing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magnetic of the pushing bar when the bobbin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the magnetic. It may be a sensor.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서 상기 푸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빈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고, 타단에 마그네틱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과 마그네틱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푸싱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푸싱바의 마그네틱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상기 마그네틱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일 수 있다. In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push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the other end of the magnetic is installed, the hinge shaft fixed to the frame in the middle And a pushing bar that is elastically applied by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hinge axis and the magnetic, and the sensing member is positioned in line with the magnetic of the pushing bar when the bobbin is out of an initial position. It may be a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the magnetic by being fixed to the.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서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센서 작동자와 검출센서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가변저항 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변저항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전자 표시기일 수 있다. In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ember is a variable resistor in which the sensor operator and the detection sensor are continuously variable, and the display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variable resistor. It may be an electronic indicator for continuously displaying.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서 상기 센싱부재의 센서 작동자는 단차를 갖는 캠이고,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캠의 단차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표시하는 전자 표시기일 수 있다. In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operator of the sensing member is a cam having a step, the detection sensor is a limit switch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ep of the cam, and the display May be an electronic indicator display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limit switch.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건포롤의 건포가 거의 소진된 경우에 보빈(및 건포롤)이 초기 위치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하면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종래 보빈이 센서로부터 움직였을 때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법에 비해 명확한 검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물수건 형성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건포롤의 잔량 또는 건포의 소진량을 연속적 또는 정해진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푸싱바를 건포롤의 외주면상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므로, 물수건을 제조할 때 건포 이송 유니트의 작동과 정지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건포롤이 관성에 의해 바로 정지되지 않고 회전되므로써 건포가 건포롤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거나, 건포롤과 건포 이송 유니트 사이에서 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to operate the sensor while leaving the bobbin (and raisins roll) completely out of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raisins of the raisins are almost exhausted Do it. Therefore, the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form the user of a clear detection result compared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ensor when the bobbin is moved from the sensor,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terruption of the wet towel formation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have.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raisins rol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or the exhausted amount of raisins at a continuous or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ose the push bar receiving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so that the raisins roll does not stop immediately due to inertia in the process of repeating operation and stop of the raisins transfer unit when manufacturing the wet towe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aisins are w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aisins roll, or struck between the raisins roll and the raisins conveying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a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푸싱부재(20), 센싱부재(30) 및 디스플레이(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푸싱부재(20)는 일측이 건포롤(1) 및 보빈(2) 중 어느 하나{여기서는 보빈(2)}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건포롤(1)과 보빈(2) 방향으로 정해진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므로써 건포롤(1)의 건포가 소진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 건포롤(1)과 보빈(2)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센싱부재(30)는 푸싱부재(20)가 건포롤(1)과 보빈(2)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했을 때 푸싱부재(20)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디스플레이(50)는 센싱부재(30)의 전기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로 건포롤(1)과 보빈(2)이 초기 위치를 벗어남을 표시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건포롤(1)의 소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ushing member 20, the sensing member 30 and the display 50. The pushing member 20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currant roll 1 and the bobbin 2 (here, the bobbin 2), and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currant roll 1 and the bobbin 2. By doing so, when the raisin of the raisin roll 1 is exhausted, the raisin roll 1 and the bobbin 2 are released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sensing member 30 is operated by the pushing member 20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ushing member 20 causes the dry roll 1 and the bobbin 2 to be out of the initial position,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When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ing member 30 is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dry roll 1 and the bobbin (2)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user from the outside to know the exhaustion of the roll roll (1).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통상적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물수건 제조장치는 프레임(3)내에 형성되는 건포롤 캐비티(4)에 보빈(2)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건포롤(1)에 감긴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건포에 물을 흡수시켜 여러 겹으로 접거나 말아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을 즉석해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건포롤 캐비티(4)에는 보빈(2)을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제 1 보빈 지지홈(6)과 제 2 보빈 지지홈(8)이 형성되는데, 제 1 보빈 지지홈(6)은 건포롤(1)이 처음에 위치되는 초기 위치이고, 제 2 보빈 지지홈(8)은 건포롤(1)의 건포가 거의 소진되었을 때 이 동된 건포롤(1, 실제는 건포를 롤 형태로 지지하는 심체가 된다)과 보빈(2')이 놓이는 위치이다. 물론 이와 같은 물수건 제조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바 있는 다양한 기술과 다른 종류의 종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a conventiona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n general,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cut to a certain length while conveying the raisins wound on the cured roll (1) coupled to the bobbin (2) to the curb roll cavity (4) formed in the frame (3), this cut raisin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water towels that can be used for single use by absorbing water and folding or rolling it in several layers. At this time, the first bobbin support groove 6 and the second bobbin support groove 8 for supporting the bobbin 2 at both sides are formed in the gun roll cavity 4, and the first bobbin support groove 6 is a gun roll. (1) is the initial position where it is initially located, and the second bobbin support groove (8) is a core that supports the roll of the currant roll (1, in fact, the roll in the form of a roll) when the currant of the currant roll is almost exhausted. And bobbin 2 'is placed. Of course, the basic configuration of such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readily understood from various techniques and other kinds of conventional technique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rough a prior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와 센싱부재(3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푸싱부재(20)는 기본적으로 푸싱바(22)와 스프링(24)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아래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raisin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member 20 and the sensing member 3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particular, the pushing member 20 is basically composed of the pushing bar 22 and the spring 24, but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in more various forms below.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스프링(24)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푸싱바(22)가 보빈(2) 또는 건포롤(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건포롤(1)에 의해 눌려 있다가 건포롤(1)의 건포가 어느 정도 소진되어 작용되는 탄성력보다 건포롤(1)의 하중이 적어지는 경우 건포롤(1)과 보빈(2)은 푸싱(22)에 의해 초기 위치인 제 1 보빈 지지홈(6)에서 제 2 보빈 지지홈(8)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2 보빈 지지홈(8)으로 건포롤(1)과 보빈(2')이 이동된 후 푸싱바(22)는 스프링(24)의 최대 탄성범위까지 이동되고, 이 위치(22')에서 센싱부재(3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센싱부재(30)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디스플레이(50)는 센싱부재(30)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push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ba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bbin 2 or the gun roll roll 1 by the elastic force acting by the spring 24, When the load of the currant roll 1 is less than the elastic force acted by being pressed by the currant roll 1 and the currant of the currant roll 1 is exhausted to some extent, the currant roll 1 and the bobbin 2 are pushed ( 22 is moved from the first bobbin support groove 6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econd bobbin support groove 8. Then, after the raisin roll 1 and the bobbin 2 'are moved to the second bobbin support groove 8, the pushing bar 22 is moved to the maximum elastic range of the spring 24, and at this position 22'. The sensing member 30 is operated. Then, the sensing member 3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display 50 allows the user to know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mber 30.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센싱부재(30)는 기본적으로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50)는 적용되는 센서에 따라 알람 모듈, 소형전구, LED 또는 LED 모듈, LCD 모듈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aisin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ember 30 may basically use a limit switch, but may be applied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sensor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display 50 may be applied to an alarm module, a small bulb, an LED or an LED module, an LCD modul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pplied sens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that can be confirm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state of the raisins roll display device for manufacturing apparatus wet w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건포롤(1)의 건포가 거의 소진된 경우에 건포롤(1) 및 보빈(2)이 초기 위치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하면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건포의 잔량 또는 소진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비교적 간단히 건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raisins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basically starts the raisins roll 1 and the bobbin 2 when the raisins of the raisins roll 1 are almost exhausted. While leaving the position completely, the sensor is operated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50 and at the same tim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r exhaust amount of the raisins. In particular, the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elatively simply.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는 푸싱바 회동축(28)으로부터 연장되어 건포롤(1)의 원둘레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므로써 건포롤(1)의 건포(1')가 소모될 때 연속적으로 건포롤(1)의 외측에 접촉되는 푸싱바(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센싱부재(30)는 푸싱바 회동축(28)에 접속되어 푸싱바(22)와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회동되는 센서 작동자(34, 34'; 도 6 및 도 7 참조)와 이 센서 작동자(34, 34')의 연속적인 변위를 정해진 간격으로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32, 32'; 도 6 및 도 7 참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는 건포롤(1)의 사용량 또는 잔량 이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50)가 사용된다. 푸싱바(22)는 건포롤(1)이 처음상태(만포)에서 초기 위치에 놓였을 때 건포롤(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건포(1')가 소진됨에 따라 점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보빈(2) 즉 건포롤(1)의 심체에 닿았을 때(22'의 상태) 건포롤(1)의 무게는 푸싱바(22')에 작용되는 탄성력보다 작게 되므로 건포롤(1)은 푸싱바(22')에 밀려서 제 1 보빈 지지홈(6)으로부터 제 2 보빈 지지홈(8)으로 이동되게 되고, 푸싱바(22')는 스프링(24)의 확장 한계까지 이동(22"의 상태)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푸싱바(22)의 이동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센싱부재(30)의 선택에 따라 건포의 잔량을 연속 또는 정해진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In such a dry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the pushing member 20 extends from the pushing bar pivot shaft 28 and adheres by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roll 1 so that the dry roll 1 of the dry roll 1 is dried. ') Is provided with a pushing bar 22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aisins roll (1). And the sens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pushing bar pivot shaft 28 and the sensor actuators 34, 34 '(see Figs. 6 and 7) continuously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ushing bar 22 and the sensor operator And detecting sensors 32, 32 '(see Figs. 6 and 7) for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by detecting continuous displacements of the 34 and 3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such a case, the display 50 is used in the currant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mount or remaining amount of the currant roll 1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ushing bar 22 is gradually inclined inwardly as the raisins 1 'are exhaus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when the raisins roll 1 is placed in its initial position in the initial state (manpo). do. When the bobbin 2, ie, the core of the raisin roll 1 is in contact with the core (22 'state), the weight of the raisin roll 1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pushing bar 22 ′. It is pushed by the pushing bar 22 'and is moved from the first bobbin support groove 6 to the second bobbin support groove 8, and the pushing bar 22' is moved to the expansion limit of the spring 24 by 22 ". Of course, the movement of the pushing bar 22 is continuously performed, bu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is displayed at continuous or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nsing member 30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Do it.

이와 같이 건포롤(1)의 사용량 또는 잔량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부가적으로 물수건을 제조할 때 건포롤(1)의 과회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상 물수전 제조장치는 물수건을 제조할 때 건포 이송 유니트(100)의 작동과 정지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건포롤(1)이 관성에 의해 바로 정지되지 않고 회전되므로써 건포(1')가 건포롤(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거나, 건포롤(1)과 건포 이송 유니트(100) 사이에서 쳐지게 되어, 차후 물수건 제조공정이 진행될 때 건포롤(1)이 제 1 보빈 지지홈(6)에서 들리거나 건포(1')가 꼬여 불량된 물수건을 형성하거나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면, 탄성력을 받는 푸싱바(22)가 건포롤(1)의 외주면상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관성에 의해 건포롤(1)이 과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know the usage amount or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1, the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display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And such a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can additionally eliminate the problems caused by over-rotation of the roll rolls 1 when manufacturing the wet towel. That is, in general, the faucet manufacturing apparatus produces a raisin roll 1 'by rotating the raisins roll 1 without being stopped immediately by inertia in the process of repeating operation and stop of the raisins transfer unit 100 when manufacturing a wet towel. Wi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1) or struck between the raisins roll 1 and the raisins conveying unit 100, the raisins roll 1 is the first bobbin support groove ( 6) or when the raisins 1 'are twisted to form or stop a bad wet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bar 22 subjected to elastic force adheres close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1.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made, it can prevent effectively that the roll roll 1 is over-rotated by inerti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a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물수건 제조장치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조립부분 또는 연결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약간 차이나 보이거나 다른 도면과의 치수차이는 단지 도시상 차이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7,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FIGS. 1 to 7. Meanwhile,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general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in each drawing are briefly omitted or omitted, since the par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easi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assembled portion or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drawings of the drawings may be slightly different or the dimensional difference from the other drawings are merely urban differences and do not limit or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such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푸싱바(22)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보빈(2)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센싱부재의 검출센서(32)로 마그네틱 센서를 적용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효과적인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3A and 3B, the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spring, and the pushing bar 22 itself has an elastic force and is provided on the bobbin 2. It is configur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magnetic sensor is applied to the detection sensor 32 of the sensing member so that effective detection is performed at various positions.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프레임(3)에 고정되고, 타단에 마그네틱(23)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보빈(2)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는 푸싱바(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싱부재는 보빈(2)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푸싱바(22')의 마그네틱(23')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3)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마그네틱(23')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32)로 이루어진다. In such a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the pushing member 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one end is fixed to the frame 3, the magnetic 23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the bobbin (2) in the middle It consists of a pushing bar 22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n, the sensing member is fixed to the frame 3 so that the bobbin 2 is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magnetic 23 'of the pushing bar 22' when the bobbin 2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It consists of a detection sensor 32 for generating a signal.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만포의 건포롤(1)이 놓이는 경우 푸싱바(22)가 보빈(2)의 원둘레 방향에 밀착된 상태로 있다가, 건포롤(1)의 건포가 거의 소진되어 그 무게가 푸싱바(22)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푸싱바(22)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푸싱바(22)는 위로 움직여(22'와 같은 상태) 끝단에 결합된 마그네틱(23)이 검출센서(32)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23'와 같은 상태)되도록 하고, 검출센서(32)는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도시 않음)에 표시되도록 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raisin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ba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2 when the raisin roll 1 of the gun cloth is placed. When the raisins of the raisins roll 1 are almost exhausted and their weight is less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bar 22, they are separ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the pushing bar 22. Then, the pushing bar 22 moves upward (the same state as the 22 ') so that the magnetic 23 coupled to the end moves to the same position as the detection sensor 32 (the same state as the 23'), and the detection sensor 32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not shown).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such a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힌지축(26)을 기준으로 양측이 지렛대 운동하도록 하여 보빈(2)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검출센서(32)로 마그네틱 센서를 적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운동으로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4A and 4B, the roll roll stat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arts elastic force to the bobbin 2 by allowing both sides to move relative to the hinge axis 26. In addition, the magnetic sensor is applied to the detection sensor 32 so that the detection is performed by a different type of motion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는 일단이 보빈(2)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고, 타단에 마그네틱(23)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프레임(3)에 고정된 힌지축(26)에 결합되고, 이 힌지축(26)과 마그네틱(23)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24)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푸싱바(22)로 이루어지고, 센싱부재는 보빈(2)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푸싱바(22')의 마그네틱(23')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3)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마그네틱(23')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32)로 이루어진다. In such a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the pushing member 20 is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2), the magnetic end 23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the hinge fixed to the frame (3) in the middle It is coupled to the shaft 26, consisting of a pushing bar 22, which is elastically exerted by a spring 24 coupled between the hinge shaft 26 and the magnetic 23, the sensing member is a bobbin (2) The detection sensor 32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by the magnetic 23 'by being fixedly installed to the frame 3 so as to be located in the same line as the magnetic 23' of the pushing bar 22 'when it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Is made of.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만포의 건포롤(1)이 놓이는 경우 푸싱바(22)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25)이 보빈(2)의 원둘레 방향에 밀착된 상태로 있다가, 건포롤(1)의 건포가 거의 소진되어 그 무게가 스프링(24)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푸싱바(22)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푸싱바(22)는 힌지축(26)을 중심으로 걸림턱(25)은 위로 움직(25'와 같은 상태)이고, 끝단에 결합된 마그네틱(23)이 검출센서(32)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23'와 같은 상태)되므로써 그 위치가 변동(22'과 같은 상태)되며, 검출센서(32)는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도시 않음)에 표시되도록 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laced, the catching jaw 25 formed at one end of the pushing bar 22 has a circumference of the bobbin 2 when the raisin roll 1 of all cloths is plac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irection, when the raisins of the raisins roll 1 are almost exhausted and their weight is less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 they are separ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the pushing bar 22. And the pushing bar 22 is a locking jaw 25 is moved around the hinge axis 26 (the same state as 25 '), the magnetic 23 coupled to the end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etection sensor 32 By moving (state like 23 ') its position changes (state like 22'), and the detection sensor 32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not shown).

도 5 및 도 6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부재와 푸싱부재를 갖는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ry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having a sensing member and a pushing member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oll roll.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센싱부재(30)로 가변저항기를 사용하고, 가변저항기로부터 입력되는 연속적인 전기신호에 따라 연속적인 표시를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0)로 LED 또는 LDC 모듈 등의 전자표시기를 사용하여, 건포의 잔량 또는 소진량이 연속적인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한다. 5 and 6, the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ariable resistor as the sensing member 30, and continuous according to a continuous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variable resistor In order to display the display 50, an electronic indicator such as an LED or an LDC module is used as the display 50,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r exhaust amount of the raisins is displayed to the user in a continuous form.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는 푸싱바 회동축(28)으로부터 연장되어 건포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므로써 건포롤의 건포가 소모될 때 연속적으로 건포롤의 외측에 접촉되는 푸싱바(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센싱부재(30)는 푸싱바 회동축(28)에 접속되어 푸싱바(22)와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회동되는 센서 작동자(34)와 이 센서 작동자(34)의 연속적인 변위를 정해진 간격으로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32)를 갖는다. 이때 센서 작동자(34)와 검출센서(32)는 통상의 가변저항기의 구성요소로 대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such a roll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the pushing member 20 extends from the pushing bar pivot shaft 28 and is closely adhered by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roll so that the rolls of the roll roll are continuously consumed when the rolls of the roll roll are consumed. It is provided with a pushing bar 22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In addition, the sens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pushing bar pivot shaft 28 so that the sensor operator 34 and the continuous displacement of the sensor operator 34 are continuously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ushing bar 22. It has a detection sensor 32 for detecting the electric signal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this case, the sensor operator 34 and the detection sensor 32 may be replaced by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variable resistor.

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푸싱바(22)가 건포롤이 처음상태(만포)에서 초기 위치(A의 상태)에 놓였을 때 건포롤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건포가 소진됨에 따라 점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건포롤의 심체에 닿았을 때(B의 상태) 건포롤의 무게는 푸싱바(22)에 작용되는 탄성력보다 작게 되므로 건포롤은 푸싱바(22)에 밀려서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푸싱바(22)는 스프링(24)의 확장 한계까지 이동(C의 상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싱바(22)가 작동되면, 센서 작동자(34)도 동일한 각도로 검출센서(32)상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 전기신호의 변화는 디스플레이(50)로 전달되어 연속적인 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raisins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aisins in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ba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when the raisins roll is placed in the initial position (state of A) from the initial state (manpo). As the is exhausted, it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And when it touches the core of the raisin roll (state of B), the weight of the raisin roll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pushing bar 22, the raisin roll is pushed by the pushing bar 22 is separ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pushing bar 22 is moved to the expansion limit of the spring 24 (state of C). When the pushing bar 22 is operated in this way, the sensor operator 34 also rotates on the detection sensor 32 at the same angle, and the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50 so that the continuous display can be made. do.

도 7은 건포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ing member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센싱부재(30)로 캠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작동자(34')와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검출센서(32')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센싱부재(30)의 센서 작동자(34')는 단차를 갖는 캠이고, 검출센서(32')는 캠의 단차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표시하는 LED 또는 LDC 모듈 등의 전자표시기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7, a dry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operator 32 'consisting of a cam as a sensing member 30 and a detection sensor 32' consisting of a limit switch. ) To achieve the display.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operator 34 'of the sensing member 30 is a cam having a step, and the detection sensor 32' is a limit switch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cam. At this time, the display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indicator such as an LED or an LDC module displaying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from each limit switch.

이와 같은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에서 푸싱부재(20)는 도 5에서 보인 실시예의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센서 작동자(34')인 캠은 푸싱바 회동축(28)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검출센서(32')인 리미트 스위치는 캠의 단차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In such a dry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the pushing member 2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ry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the cam as the sensor operator 34 'is the pushing bar pivot shaft 28. As shown in FIG. The limit switch, which is coupled to and rotated and is a detection sensor 32 ',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cam.

본 실시예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10)는 푸싱바(22)가 건포롤이 처음상태(만포)에서 초기 위치(A의 상태)에 놓였을 때 건포롤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건포가 소진됨에 따라 점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건포롤의 심체에 닿았을 때(B의 상태), 캠의 단차에 의해 첫번째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고, 건포롤의 무게는 푸싱바(22)에 작용되는 탄성력보다 작게 되므로 건포롤은 푸싱바(22)에 밀려서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푸싱바(22)는 스프링(24, 도 5 참조)의 확장 한계까지 이동(C의 상태)되게 되고, 캠의 단차에 의해 두 번째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된다. The raisins roll state displa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aisins in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ba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when the raisins roll is placed in the initial position (state of A) from the initial state (manpo). As the is exhausted, it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When the core of the roll is in contact with the core (the state of B), the first limit switch is operated by the step of the cam, and the weight of the roll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pushing bar 22. It is pushed by (22) and is separ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the pushing bar 22 is moved to the expansion limit of the spring 24 (see FIG. 5) (state of C), and the second limit switch is operated by the step of the ca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 의하면, 건포롤의 건포가 거의 소진된 경우에 보빈(및 건포롤)이 초기 위치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하면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종래 보빈이 센서로부터 움직였을 때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법에 비해 명확한 검출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물수건 형성의 중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건포롤의 잔량 또는 건포의 소진량을 연속적 또는 정해진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푸싱바를 건포롤의 외주면상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므로, 물수건을 제조할 때 건포 이송 유니트의 작동과 정지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건포롤이 관성에 의해 바로 정지되지 않고 회전되므로써 건포가 건포롤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거나, 건포롤과 건포 이송 유니트 사이에서 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 다.According to the raisin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isin of the raisin roll is almost exhausted, the sensor is operated while leaving the bobbin (and the raisin roll) completely out of the initial position, and then through the display. To be displayed. Therefore, the roll roll status displa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form the user of a clear detection result compared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ensor when the bobbin is moved from the sensor,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terruption of the wet towel formation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have.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raisins rol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aisins roll or the exhausted amount of raisins at a continuous or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ose the push bar receiving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ins roll, so that the raisins roll does not stop immediately due to inertia in the process of repeating operation and stop of the raisins transfer unit when manufacturing the wet towe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aisins are w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aisins roll, or struck between the raisins roll and the raisins conveying unit.

Claims (6)

프레임내에 형성되는 건포롤 캐비티에 보빈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건포롤에 감긴 건포를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건포에 물을 흡수시켜 여러 겹으로 접거나 말아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을 즉석해서 제공하는 물수건 제조장치에서 사용자가 건포롤을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에 있어서, The currant roll cavity formed in the frame is cut to a certain length while conveying the currant wound on the currant roll, which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absorbs water into the cut currant so that it can be folded or rolled up several times to use disposable towels. In the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raisins roll in the instant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일측이 상기 건포롤 및 보빈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포롤과 보빈 방향으로 정해진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건포롤의 건포가 소진되었을 때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푸싱부재와;One side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raisin roll and bobbin, and the raisin roll and bobbin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raisin of the raisin roll is exhausted by acting so that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raisin roll and bobbin direction A pushing member to deviate from; 상기 푸싱부재가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했을 때 상기 푸싱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센싱부재 및;A sensing member operated by the pushing member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ushing member causes the dry roll and bobbin to be out of an initial position; 상기 센싱부재의 전기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외부로 상기 건포롤과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남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 wet roll roll and a bobbin out of an initial position when an electric signal of the sensing member is genera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푸싱부재는 푸싱바 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건포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상기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므로써 상기 건포롤의 건포가 소모될 때 연속적 으로 상기 건포롤의 외측에 접촉되는 푸싱바를 구비하고, The push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ushing bar extending from the pushing bar rotational shaf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aisin roll to continuously contact the outside of the raisin roll when the raisin of the raisin roll is consumed,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푸싱바 회동축에 접속되어 상기 푸싱바와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회동되는 센서 작동자 및, The sen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pushing bar pivot shaft, the sensor operator to be continuously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ushing bar, 상기 센서 작동자의 연속적인 변위를 정해진 간격으로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건포롤의 사용량 또는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And a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the continuous displacement of the sensor operat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uch that the amount or residual amount of the dry roll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isplay. Raisin roll status indicator mechanism for manufacturing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푸싱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에 마그네틱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상기 보빈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는 푸싱바로 이루어지고, The push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one end is fixed to the frame, the magnetic end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and consists of a pushing bar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in the middle,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푸싱바의 마그네틱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상기 마그네틱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The sensing member is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the magnetic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frame so that the bobbin is located in the same line as the magnetic of the pushing bar when the bobbin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Raisin roll status indicator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푸싱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빈의 원둘레 방향으로 밀착되고, 타단에 마그네틱이 설치되며, 중간상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힌 지축과 마그네틱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 푸싱바로 이루어지고, The pushing member is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bbin, the magnetic end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inge axis fixed to the frame in the middle, and imparts elastic force by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hinge axis and the magnetic Receiving push bar,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보빈이 초기 위치를 벗어났을 때 상기 푸싱바의 마그네틱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써 상기 마그네틱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를 위한 건포롤 상태표시 기구.The sensing member is a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the magnetic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frame so that the bobbin is located in the same line as the magnetic of the pushing bar when the bobbin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Raisin roll status indicator mechanism.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싱부재는 상기 센서 작동자와 검출센서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가변저항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변저항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전자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And the sensing member is a variable resistor in which the sensor operator and the detection sensor are continuously variable, and the display is an electronic indicator which continuously displays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from the variable resisto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싱부재의 센서 작동자는 단차를 갖는 캠이고,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캠의 단차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표시하는 전자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조장치.The sensor operator of the sensing member is a cam having a step, the detection sensor is a limit switch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ep of the cam, the display is an electronic indicator for display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limit switch Wipes making apparatus.
KR1020050072072A 2005-08-08 2005-08-08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637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72A KR100637736B1 (en) 2005-08-08 2005-08-08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PCT/KR2006/003086 WO2007018387A1 (en) 2005-08-08 2006-08-05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o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72A KR100637736B1 (en) 2005-08-08 2005-08-08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736B1 true KR100637736B1 (en) 2006-10-25

Family

ID=3762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072A KR100637736B1 (en) 2005-08-08 2005-08-08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7736B1 (en)
WO (1) WO200701838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6B1 (en) 2009-02-11 2009-07-21 황홍석 Dried meat sensing device and bobbin for dried meat of wet towel auto supply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619A (en) * 1989-09-13 1991-04-24 Hoshizaki Electric Co Ltd Operating method for rolled wet hand towel-producing apparatus
JPH07178002A (en) * 1993-12-24 1995-07-18 Shinmeiwa Ribitetsuku Kk Automatic roll-winder for towel
JP3081592B2 (en) * 1998-11-10 2000-08-28 環境システム株式会社 Roll towel manufacturing equipment
KR200269829Y1 (en) * 2001-12-28 2002-03-23 서건산업주식회사 Device for manufacturing a wet tow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6B1 (en) 2009-02-11 2009-07-21 황홍석 Dried meat sensing device and bobbin for dried meat of wet towel auto suppl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8387A1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116B2 (en) Automatic towel dispenser
CN100359282C (en) Tape measure with automatic blade extension mechanism
US4378912A (en)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CA2383206A1 (en) Dual roll transfer dispenser
CA2358059A1 (en) Dispenser apparatus with transfer mechanism
US11529028B2 (en) Sheet product dispensers with reduced sheet product accumulation and related methods
CN1183032A (en) Indented coreless rol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20110052511A (en) Methods for resetting stalled pumps i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spensing systems
JPH065047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lexible sheet material
WO2010062327A1 (en) Paper toweling dispenser apparatus
US20090066199A1 (en) Cassette for a towel dispenser and towel dispenser for use of such a cassette
WO2009150197A1 (en) Web change mechanism for a paper towel dispenser
KR100637736B1 (en) Device for display condition of dry nonwaven fabric roll for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CA2875005C (en) Sheet product dispenser with load inducement portion
US7814595B2 (en) Towel presenting and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me
US6007168A (en) Dispenser of hand-drying strips of material
WO2013169438A1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KR100700146B1 (en) Wet towel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160609Y1 (en) Towel loading or not signal device for water towel making machine
CN211225667U (en) Tension control system with fault self-checking mechanism
RU2174489C1 (en) Cloth roll
CN110167409A (en) Dispenser for sheet products and operating method
JP2009073026A (en) Automated wallpaper pasting machine
US1287786A (en) Towel-cabinet.
US1229475A (en) Towel-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