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86B1 -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686B1
KR100637686B1 KR1020040066142A KR20040066142A KR100637686B1 KR 100637686 B1 KR100637686 B1 KR 100637686B1 KR 1020040066142 A KR1020040066142 A KR 1020040066142A KR 20040066142 A KR20040066142 A KR 20040066142A KR 100637686 B1 KR100637686 B1 KR 10063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izer
tertiary
produce
secondary intermedi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688A (ko
Inventor
안천우
Original Assignee
안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천우 filed Critical 안천우
Priority to KR102004006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6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은 식물성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반고체상의 비누베이스를 용해시켜 액상의 1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중간물을 냉각시켜 반고체상의 2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2차중간물을 미네랄이온수에 침지한 상태로 분쇄시켜 상기 2차중간물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흡수된 2차중간물을 건조시켜 크림상의 3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중간물에 보습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피부표면 및 내부에 있는 불순물과 각질층을 제거하는 능력이 향상된 무자극성 피부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피부, 세정제, 팜오일물, 보습제, 미네랄이온수

Description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Skin Cleans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표면 및 내부의 불순물과 각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종 공해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인간의 피부에는 각 종 유해 불순물이 부착하거나 침투하게 된다. 그리고 피부표면에는 죽은 세포로 구성되는 각질층이 덮고 있다.
피부에 부착되거나 내부로 침투한 불순물은 세균의 영양분으로 제공되거나 피부의 원활한 세포활동을 방해하여 피부염 등의 피부트러블을 일으키고, 땀샘을 막아 땀의 배출을 통한 체온조절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를 자주 세정해 줄 필요가 있다.
종래 피부를 세정하기 위하여 비누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비누는 피부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피부내로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피부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비누는 물과 함께 사용하여야 하고 물과 비누의 배합량을 사용자가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합량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세정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부세정제는 직접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피부자극을 가능한 줄이면서 세정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공내의 피지나 분비물은 피지분비선과 모공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바, 각질이나 불순물에 의해 피지나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해를 받게 되면 모공이 확장되고 표피의 신진대사가 저하되기 때문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종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물리적 각질제거는 스크럽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마찰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연마제적 효과(노화된 각질과 각질층에 흡착 또는 침적되어 있는 대사산물을 함께 분리됨)에 의해 피부에 침적되어 있는 오염물을 이탈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물리적 각질제거방법에 따르면, 연마입자들에 의해 피부에 상처를 입힐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화학적 각질제거는 필링젤방법 즉, AHA, BHA, 시치콜린산 등의 화학물 질을 사용하여 피부표면의 각질이나 오염물질을 녹여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학적 각질제거방법에 따르면, 각질제거를 위한 화학물질들에 의해 정상세포가 손상을 받을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있는 불순물과 각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향상된 무자극성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식물성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반고체상의 비누베이스를 용해시켜 액상의 1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중간물을 냉각시켜 반고체상의 2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2차중간물을 미네랄이온수에 침지한 상태로 분쇄시켜 상기 2차중간물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흡수된 2차중간물을 건조시켜 크림상의 3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중간물에 보습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형을 갖는 피부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2차중간물을 미네랄이온수에 침지한 상태로 분쇄시키는 단계는, 1(2차중간물) : 3 내지 5(미네랄이온수)의 부피비율로 실시하고; 상기 수분이 흡수된 2차중간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2차중간물에 포함된 잔여 수분량이 40 내지 65%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습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피부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3차중간물에 보습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70 내지 90%(3차중간물) : 10 내지 30%(보습제)의 부피비율로 상기 3차중간물과 보습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3차중간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공정 : 비누베이스의 용해(S10)
팜오일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상의 비누베이스를 중탕방식으로 녹인다 즉, 용해시킨다(S10).
여기서 고체상의 비누베이스는 팜오일성분만 갖도록 하거나 부피기준으로 팜코넬오일성분을 20 내지 30%정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상의 비누베이스는 시판중인 팜오일물칩을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종래 널리 알려진 비누화 염석법(정제된 팜오일을 수산화나륨 수용액과 함께 가열하여 충분히 비누화한 후 식염을 가하는 염석공정을 반복함)이나 중화법(팜오일을 고급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가수분해하고, 가수 분해된 지방산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킴)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중탕공정에는 비누베이스 부피 1에 대하여 3의 증류수(또는 정제수)를 사용되고, 중탕공정이 완료되면 점성이 큰(일반적인 기름이 갖는 정도) 액상의 1차중간물이 생성된다.
제2공정 : 1차중간물의 냉각(S20)
액상의 1차중간물을 냉각시킨다(S20). 이 때 냉각은 자연냉각방식 또는 강제냉각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냉각공정이 완료되면 반고체상의 2차중간물이 생성된다.
제3공정 : 2차중간물의 분쇄(S30)
2차중간물을 미네랄이온수에 부피비율 1(2차중간물) : 3 내지 5(미네랄이온수)으로 침지시킨 상태에서 2차중간물을 분쇄시킨다.
여기서 미네랄이온수의 부피비는 미네랄수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미네랄이온수의 미네랄수치가 낮은 경우 미네랄 이온수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미네랄이온수의 미네랄수치가 낮은 경우 농축과정을 거쳐 부피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2차중간물의 분쇄공정에는 RPM 1000 내지 2000정도를 갖는 5마력모터를 장착한 고속교반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네랄이온수는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염소이온 등 영양미네랄이온(즉,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이온)을 포함한다.
미네랄이온수에 포함된 미네랄이온들은 표피의 분화촉진, 피부의 보습, 세포활성증가에 기여하게 된다.
미네랄이온수로는 인공 미네랄이온수는 물론, 식염천, 천연광천수, 심해 암반수 등 천연 미네랄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천연 미네랄이온수를 사용할 때는 PH 6 ~ 7정도가 되도록 증류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공정이 완료되면 65 내지 80%의 수분함량을 갖는 2차중간물이 생성된다.
제3공정 : 분쇄된 2차중간물의 건조(S40)
분쇄된 2차중간물을 건조시킨다.
본 건조공정 중 열원이 2차중간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열원이 2차중간물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2차중간물이 용해되어 수득율이 저하된다.
이 때 건조방법으로는 자연건조, 자연침출법, 원적외선 건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연건조는 태양열을 직접 이용하거나 비닐하우스이나 유리하우스의 내부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침출법은 광목천 정도의 메쉬를 가진 걸름망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2차중간물의 건조시 송풍을 병행함으로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건조공정은 잔여수분량이 40 내지 65%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여수분량이 40%보다 작으면 제형이 거칠어 사용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잔여수분량이 65%보다 많아지면 수분량이 과도하게 되어 제형이 분리된다.
본 건조공정이 완료되면 걸죽한 크림상의 3차중간물이 생성된다.
제4공정 : 보습제의 첨가(S50 및 S60)
부피기준으로 3차중간물 70 내지 90%(바람직하게는 80%)와 보습제 10 내지 30%(바람직하게는 20%)을 혼합한(S50) 다음, 3차중간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교반 기에서 교반한다(S60). 여기서 보습제가 10%로 미만이 되면 보습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고, 보습제가 30%보다 많아지면 끈적끈적해져 사용하기에 불편해 진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첨가공정은 토코페롤 등 피부에 유익한 첨가제를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첨가공정이 완료되면 크림상의 피부세정제를 얻을 수 있다.
제5공정 : 포장공정(S70)
마지막으로 크림상의 피부세정제를 용기에 담은 후, 포장한다(S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세정제(이하 "본원피부세정제"라고 함)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피부세정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는 동작을 반복하면, 에멀젼상태(수분과 팜오일유지방이 계면활성제에 의해 거대하게 상분리되어 있지 않고 마이크론 단위의 작은 크기로 상분리되어 있는 것을 말함)의 본원피부세정제는 피부표면과 모공에 침투한다.
피부표면과 모공 즉, 피부내부에 침투한 본원피부세정제는 문지르는 동작과 피부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온도상승에 따라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피부세정제의 침투영역에 존재하는 물분자의 운동에너지도 증가한다.
이와 같이 운동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본원피부세정제는 피부표면과 모공에 잡혀 있는 불순물에 흡착함으로써 조성상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본원피부세정제의 상태가 불안정해 지면 미네랄이온과 팜오일유지방(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을 함)사이에 이온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본원피부세정제는 에멀젼 상태를 유지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과 팜오일유지방사이에 상분리가 일어난다.
미네랄이온과 팜오일유지방사이에 이온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피부내의 불순물은 미네랄이온에 부착하게 된다. 이 미네랄에 부착된 불순물은 삼투압작용에 의해 피부표면과 모공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과 팜오일유지방사이에 상분리가 일어남에 따라 팜오일유지방과 물사이의 수소결합이 해체되어 친수성이 상실된다.
팜오일유지방과 물사이의 수소결합이 해체됨에 따라 즉, 물이 본원피부세정제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본원피부세정제는 딱딱하게 굳어진다.
이와 같이 본원피부세정제가 딱딱하게 굳어짐으로써 불순물이 부착된 본원피부세정제는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피부세정제에 포함된 미네랄의 세포재생능력에 의해 죽은 세포를 밀어내고 새로운 세포형성을 촉진시켜주기 때문에 죽은 세포인 각질이 제거된다.
나아가 미네랄의 살균력에 의해 여드름이나 피부의 트러블을 치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피부세정제로부터 분리된 물은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원피부세정제에 포함된 보습제는 피부에 막을 형성하여 피부로부터 수분( 본원피부세정제가 친수성을 상실함에 따라 분리된 물 포함)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가제 등을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된 피부세정제를 닦아 낸다.
한편 상술한 실시에에서는 팜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누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올리브유, 코코넛 등 다른 식물성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누베이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있는 불순물과 각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향상된 무자극성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삭제
  2. 식물성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상의 비누베이스를 용해시켜 액상의 1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중간물을 냉각시켜 반고체상의 2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2차중간물을 미네랄이온수에 1(2차중간물) : 3 내지 5(미네랄이온수)의 부피비율로 침지한 상태로 분쇄시켜 상기 2차중간물에 수분을 흡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흡수된 2차중간물을 잔여 수분량이 40 내지 65%가 되도록 건조시켜 크림상의 3차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중간물에 보습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중간물에 보습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70 내지 90%(3차중간물) : 10 내지 30%(보습제)의 부피비율로 상기 3차중간물과 보습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3차중간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정제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정제.
KR1020040066142A 2004-08-21 2004-08-21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42A KR100637686B1 (ko) 2004-08-21 2004-08-21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42A KR100637686B1 (ko) 2004-08-21 2004-08-21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88A KR20060017688A (ko) 2006-02-27
KR100637686B1 true KR100637686B1 (ko) 2006-10-25

Family

ID=3712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42A KR100637686B1 (ko) 2004-08-21 2004-08-21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02B1 (ko) 1998-08-13 2003-07-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비누 조성물
KR100444900B1 (ko) 2002-02-05 2004-08-2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7901B1 (ko) 2002-06-28 2005-08-11 황만선 아미노산 게르마늄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02B1 (ko) 1998-08-13 2003-07-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비누 조성물
KR100444900B1 (ko) 2002-02-05 2004-08-2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7901B1 (ko) 2002-06-28 2005-08-11 황만선 아미노산 게르마늄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88A (ko) 200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9474C2 (ru) Нано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е тиксотропные неорганические гели для пилинга
KR101614803B1 (ko) 자가 발포 기능을 갖는 클렌징용 마스크시트형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9998972A (zh) 一种泡沫丰富洁面泥及其制备方法
KR101802741B1 (ko) 버블 마사지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적용된 시트 마스크팩 또는 티슈
KR100637686B1 (ko)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1026318A (ja) 強アルカリ性天然水・ホホバオイルのエマルションの製造法及び該製造法によって設けた強アルカリ性天然水・ホホバオイルのエマルション
CN110711154A (zh) 一种海盐颗粒磨砂洁面乳及其制备方法
WO2000004867A2 (en) Body polish, moisturizing salt body scrub
Draelos Astringents, masks, and ancillary skin care products
US20150202124A1 (en) Exfoliating Body Soap
CN103845256A (zh) 肌肉治疗矿物浴盐
RU2680970C1 (ru) Обновляющий кислотный пилинг для лица с золотой пудрой
KR101802143B1 (ko) 클레이 버블 워시 오프 클렌징 팩
JPH01186814A (ja) 洗顔,洗髪及び入浴剤
US20060210519A1 (en) Exfoliat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645437B1 (ko)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필링 겸용 클렌징용 조성물
CN1188110C (zh) 含有活性炭、透明质酸、肝素的洁肤化妆品
US20100040654A1 (en) Exfoliat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0488683B1 (ko) 클렌징 스크럽 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100628658B1 (ko) 때 타월 대용 크림 비누의 제조방법
JP3938381B2 (ja) 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19846A (ja) 皮膚用保護剤
KR19980019915A (ko) 건강 미용 비누
TWI792052B (zh) 可清潔、保濕和修護的花萃載體胺基酸胜肽養顏皂及其化妝品與保養品
KR101144645B1 (ko) 건강 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