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543B1 -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543B1
KR100637543B1 KR1019980057216A KR19980057216A KR100637543B1 KR 100637543 B1 KR100637543 B1 KR 100637543B1 KR 1019980057216 A KR1019980057216 A KR 1019980057216A KR 19980057216 A KR19980057216 A KR 19980057216A KR 100637543 B1 KR100637543 B1 KR 10063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doug
bracket
senso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1357A (en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중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543B1/en
Publication of KR2000004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5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04H6/424Positioning devices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건물의 신축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주차실의 각기 다른 레벨에 대해서 리프트가 목적층의 주차실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의 입고와 출고에 따른 리프트의 처짐양을 고려하여 주차실과 리프트의 단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리프트 정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ft to stop accurately in the parking space of the target floor for different levels of the parking space inevitably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also the amount of sag of the lift due to the receipt and release of the vehicle. In view of the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minim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king space and the lift.

구성 : 리프트 프레임(18)에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이 형성되는 다수의 더그 브라켓(34)이 설치되고, 더그 브라켓(34)과 대응하여 리프트(4)를 정밀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층감지센서(26)와 2개 이상의 정위치센서(28a~28c)로 구성되는 센서부(30)가 리프트(4)에 장착되는 구조를 제안한다.Structure: A plurality of doug brackets 34 are provided in the lift frame 18, in which a plurality of doug holes 36a to 36f are formed, and in order to stop the lift 4 precise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ug bracket 34. The sensor unit 30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floor sensor 26 and two or more position sensors 28a to 28c is proposed to be mounted on the lift 4.

효과 : 건물의 주차실 높이 편차가 다르다 하더라도 리프트가 정해진 단계로 정지하여 로봇에 의한 차량의 이동이 원활하고, 또한 리프트 상에 로봇과 차량 각각 탑재된 상태의 처짐량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차량의 입출고시 로봇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Effect: Even if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parking space of the building is different, the lift stops at the predetermined stage, and the vehicle moves smoothly by the robot. The robot could be prevented from breaking.

Description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입출고할 때 리프트의 정지위치를 조절하여 목적층에서 리프트와 주차실을 오가는 로봇과 차량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act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lift for parking facilities,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stop position of the lift when the vehicle is in and out of the vehicle, the impact and noise can be reduced by the robot and the vehicle moving between the lift and the parking space at the target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 lift for a parking facility.

최근 들어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한가구당 한 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게 되고, 나날이 늘어가는 차량은 도심 곳곳에서 심각한 주차 난을 발생시킨다. 이는 무단주차나 불법주차를 야기시켜 차량의 흐름이나 도시 생활 환경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In recent years, as life has improved, more than one vehicle per household has been created,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cause severe parking problems in various parts of the city. This has resulted in unauthorized parking and illegal parking, causing a bad flow of vehicles and urban living environment.

이런 주차 난을 타개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형태의 주차설비를 갖춘 주차장이나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는데, 특히 스태커를 이용한 주차설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2)에 설치된 리프트(4)로 차량(6)을 탑재한 다음 정해진 주차실(8)로 스태커(2)가 이동함과 동시에 리프트(4)가 승하강하여 게이트(10)로 차량(6)을 입출고시키는 주차설비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arking space, parking lots or buildings with various types of parking facilities are entering. Especially, parking facilities using a stacker include a vehicle 6 as a lift 4 installed in the stacker 2 as shown in FIG. After the mounting, the stacker 2 moves to the predetermined parking room 8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 4 moves up and down, and the parking facility allows the vehicle 6 to enter and exit the gate 10.

상기의 스태커를 이용한 주차설비는 차량이 주차되는 다수의 주차실(8)이 주차로(12)를 따라 마주보게 형성되며, 주차로(12)에는 레일(14)이 설치되어 스태커(2)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태커(2)에 장착된 리프트(4)는 도시 생략된 권상기의 동력과 균형추로 승하강하며 정해진 주차실(8)에 이동한 다음, 로봇(16)에 의해 차량(6)을 주차시키거나 주차실(8)에 주차된 차량(6)을 출고시키는 구조이다.In the parking facility using the stacker, a plurality of parking rooms 8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are formed to face along the parking path 12, and the rails 14 are installed on the parking path 12 so that the stacker 2 is provided. The lift 4, which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mounted on the stacker 2, moves up and down with the power and counterweight of the hoist not shown, moves to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8, and then the vehicle 6 is moved by the robot 16. ) Is parked or the vehicle 6 parked in the parking room (8).

이러한 입출고과정에서 리프트(4)는 정해진 목적층의 주차실(8)에 정확히 정지하여야만 차량의 원활한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상 리프트(4)와 지하 각 목적층에 대응되는 리프트 프레임(18)의 일단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더그 브라켓(20)을 설치하고, 리프트(4)의 측면에는 더그 브라켓(20)에 대응되는 다수의 층감지센서(22)를 장착한 센서 브라켓(24)이 설치되어 상호 근접했을 때 발생되는 신호로 리프트(4)가 목적층에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In the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lift, the lift 4 must be stopped exactly in the parking space 8 of the predetermined target floor to smoothly transport the vehicle. Therefore, the lift 4 and the lift frame 18 corresponding to each target floor in the basement are normally used.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doug brackets 20 are installed at one end, and a plurality of layer sensing sensors 22 corresponding to the doug brackets 20 are mounted on the side of the lift 4. ) Is a signal generated when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ift 4 is controlled to stop exactly on the target floor.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주차설비의 차량 입출고 과정은 우선, 차량(6)이 지상에 마련된 게이트(10)를 통해 진입하여 리프트(4)에 탑재되고, 이 리프트(4)는 좌우로 이동하는 스태커(2) 내부에서 리프트 프레임(18)에 지지되어 승하강하다가 층감지센서(22)와 더그 브라켓(20)에 의해 정해진 목적층의 주차실(8)에 정지하게 된다.The vehicle loading / unloading process of the parking facility having such a structure firstly enters the vehicle 6 through the gate 10 provided on the ground and is mounted on the lift 4, and the lift 4 moves to the left and right stackers ( 2) While being lifted up and down supported by the lift frame 18,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parking space 8 of the target floor defined by the floor sensor 22 and the doug bracket 20.

이어서 리프트(4)가 정확히 목적층의 주차실(8)에 멈춰서면, 리프트(4)에 장착된 로봇(16)이 차량(6)을 정해진 주차실(8)로 주차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lift 4 stops exactly in the parking space 8 of the target floor, the robot 16 mounted on the lift 4 parks the vehicle 6 in the designated parking space 8.

이렇게 주차된 차량(6)의 출고과정은 입고과정의 역순으로 리프트(4)의 로봇(16)에 의해 리프트(4)로 탑재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스태커(2)와 승하강하는 리프트(4)에 의해 게이트(10)로 이동하고, 게이트(10)에 도달하여 층감지센서(22)와 더그 브라켓(20)에 의해 정지된 다음 지상의 게이트(10)를 통해 외부로 견출되어진다.The delivery process of the parked vehicle 6 is mounted as the lift 4 by the robot 16 of the lift 4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tocking process, the stacker 2 moving left and right, and the lift 4 descending. It moves to the gate 10 by, and reaches the gate 10 is stopped by the layer sensor 22 and the doug bracket 20, and then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te 10 of the ground.

그러나, 리프트가 상술한 바와 같은 층감지센서와 더그 브라켓에 의해 정지할 수 있는 위치는 1개로 제한되어지고, 이는 현실적으로 건물의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 주차실의 레벨이 여러개로 나뉘어지는 것에 대응할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lift can be stopped by the above-described floor sensor and the doug bracket is limited to one, so that the level of each parking space cannot be divided into several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do.

따라서, 1개의 정지위치로 다수의 주차실 레벨에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 차량을 리프트에서 주차실로 혹은 주차실에서 리프트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로봇에 많은 충격이 전달되고 기계의 수면도 단축된다.Therefore, as a result of failing to cope with a plurality of parking space levels in one stop position, a lot of shock is transmitted to the robo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ehicle from the lift to the parking space or from the parking space to the lift, and the surface of the machine is reduced.

또한, 상술한 층감지센서와 더그는 차량의 입고와 출고시 리프트에 차량이 탑재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리프트의 처짐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loor sensor and the doug are unable to control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lift when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lift and when the vehicle is not in and out of the vehicle, thereby causing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출된 본 발명은 리프트의 정지 위치를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잇도록 설정함으로써 건물의 신축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주차실의 각기 다른 레벨에 대해서 리프트가 목적층의 주차실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ts up the stop position of the lift in several stages so that the lift can be parked on different levels of the parking space inevitably generated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The purpose is to allow the thread to stop accurately.

또한, 차량의 입고와 출고에 따른 리프트의 처짐양을 고려하여 주차실과 리프트의 단차가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리프트와 주차실에서 오가도록 하는 로봇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lift according to the incoming and outgoing of the vehicle is another object to prevent damage to the robot to move the vehicle from the lift and the parking space by minimizing the step between the parking and the lift.

이를 위하여, 리프트 프레임에 다수의 더그구멍이 형성되는 다수의 더그 브라켓이 설치되고, 더그 브라켓과 대응하여 리프트를 정밀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층감지센서와 2개 이상의 정위치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리프트에 장착되는 구조를 제안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doug brackets are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doug holes are formed in the lift frame, and a sensor unit comprising one or more layer sensing sensors and two or more in-position sensors to precisely stop the lift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ug bracket. We propose a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lift

여기서, 센서부가 리프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더그 브라켓이 리프트에 장착될 수도 있다.Here,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lift frame and the doug bracket may be mounted in the lift.

상기 센서부는 센서 브라켓에 설치되며, 층감지센서는 센서 브라켓에 종렬 방향으로 정위치 센서는 횡렬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sensor bracket, and the floor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nsor bracket.

상기 더그 브라켓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 것이고, 여기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그구멍은 정위치 센서에 대해 종렬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더그구멍의 일부는 더그 브라켓의 장변에서 인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oug bracket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doug holes formed therein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itu sensor, and a part of the doug holes may be formed by pulling in the long side of the doug bracket.

이에 따라, 정위치 센서가 더그 브라켓과 근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면 on신호를, 더그구멍에 대응되어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off신호로 하면, 리프트의 정지위치를 여러단계로 나눌 수 있게 되어 목적층에 따라 달리 정지되는 리프트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position sensor generates a signal in close proximity to the doug bracket, the on signal is divided into the off signal when the on signal is not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doug hole. Depending on the floor,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lift which is stopp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larity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rawings cited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스태커형 주차설비의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지상에 차량(6)이 입출고 할 수 있는 게이트(10)가 마련되고, 이 게이트(10)의 안쪽으로 주차로(12)가 형성되며 주차로(12)에는 레일(14)이 설치되어져 리프트(4)를 탑재한 스태커(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Looking 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acker-type parking facilities prior to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gate 10 is provided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 to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6, the gate 10 The parking path 12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arking path 12, the rail 14 is installed to allow the stacker 2 mounted with the lift (4)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상기 스태커(2)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리프트 프레임(18)이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리프트(4)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stacker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vertical lift frames 18 to support the lift 4 to move up and down.

이 리프트(4)에는 로봇(16)이 장착되어 리프트(4)와 주차실(8)을 오가며 차량(6)을 주차시키거나 견인한다.The lift 4 is equipped with a robot 16 to park or tow the vehicle 6 between the lift 4 and the parking space 8.

이러한 구조에서 지하 각 층으로 이동한 리프트(4)는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 1a과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4)의 측면에 복수의 층감지센서(26)와 다수의 정위치 센서(28a)(28b)(28c)로 되는 센서부(30)를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으로 된 금속 판상의 센서 브라켓(32)에 설치된다.In this structure, the lift 4 moved to each basement floor stops at the correc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1B and 2. (26) and the sensor part 30 which consists of many in-situ sensor 28a, 28b, 28c are provided, Preferably, it is provided in the sensor bracket 32 of the rectangular metal plate shape.

여기서, 복수의 층감지센서(26)는 센서 브라켓(32)에 종렬 방향으로 설치되어 리프트(4)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목적층에 멈춰서도록 하고 특히 목적층에서 각기 다른 단차의 주차실(8)이 형성되더라도 어느 하나의 층감지센서(26)에 의해 속도를 감소시키며 멈춰서는 것이다.Here, the plurality of floor detection sensors 26 are installed in the sensor bracket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ift 4 stops on the target floor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parking spaces 8 of different steps on the target floor are different. ) Is formed, but stops by reducing the speed by any one of the layer sensor 26.

그리고, 다수의 정위치 센서(28a)(28b)(28c)는 센서 브라켓(32)에 횡렬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본 발명에서는 제1~3정위치 센서(28a)(28b)(28c)인 3개의 정위치 센서가 설치되어져 리프트(4)를 정밀하게 정지시키도록 한다.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28a, 28b, 28c are installed in the sensor bracket 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to third position sensors 28a, 28b, 28c Three in-position sensors are installed to precisely stop the lift (4).

한편, 리프트 프레임(18)에는 센서 브라켓(32)에 대응되는 더그 브라켓(34)이 설치된다. 이 더그 브라켓(34)은 각 목적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리프트 프레임(18) 상에 설치되며 금속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센서부(30)가 근접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doug bracket 34 corresponding to the sensor bracket 32 is installed on the lift frame 18. The doug bracket 34 is installed on the lift frame 18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each target layer, and becomes a metal plate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sensor unit 30 is in close proximity.

상기 더그 브라켓(34)에는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이 형성되는 바, 제1더그구멍은 제1정위치 센서(28a)에 제2더그구멍(36b)과 제3더그구멍(36c)은 제2정위치 센서(28b)에 대해 종렬 방향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 제3~6더그구멍(36d~36f)은 제3정위치 센서(28c)와 일치되는 일직선 상에 종렬로 형성된다. 특히, 제1더그구멍(36a)과 제2더그구멍(36b)는 더그 브라켓(34)의 일측 장변에서 내부로 인입되어진다.A plurality of doug holes 36a to 36f are formed in the doug bracket 34, and the first doug hole has a second doug hole 36b and a third doug hole 36c at the first position sensor 28a. Is formed at a position coinc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b, and the remaining third to sixth doug holes 36d to 36f are arranged in a line on a straight line coinciding with the third position sensor 28c. Is formed. In particular, the first doug hole 36a and the second doug hole 36b a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t one long side of the doug bracket 34.

이 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그 브라켓(34)은 단변 방향으로 7단계로 나누어지고, 각 단계는 상기 제1~3정위치 센서(28a)(28b)(28c)가 감지하는 신호에 의해 구분되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doug bracket 34 is divided into seven steps in the short-side direction, and each step is made by a signal sensed by the first to third exact position sensors 28a, 28b, and 28c. It is to be distinguished.

즉, 제1~3정위치 센서(28a)(28b)(28c)는 더그 브라켓(34)의 표면을 감지하면 on신호로 인식하고,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와 대응되면 off신호로 인식하게 되어져 다음 표와 같은 단계별 신호치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 third exact position sensors 28a, 28b, and 28c recognize the on signal when the surface of the doug bracket 34 is detected, and off signals when the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doug holes 36a to 36f. Recognition can be made to form the signal level in the following table.

표 1Table 1

(단, on; 1, off; 0)(On; 1, off; 0)

이와 같이, 제1~3정위치 센서(28a~28c)의 2진법 인식 체계에 따라 여러 단계로 리프트(4)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센서 브라켓(32)에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와 더그 브라켓(34)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의 개수에 따라 단계의 개수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 4 may be stopped in various steps according to the binary recognition system of the first to third exact position sensors 28a to 28c, and the number of sensors installed on the sensor bracket 32 and the doug bracket (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steps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ug holes 36a-36f formed in 34.

따라서, 차량(6)의 입고시에는 리프트(4)를 주차실보다 약간 낮은 단계를 정지 위치로 하고, 차량(6)의 출고시에는 리프트(4)와 주차실(8)이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리프트(4)의 정지 위치와 각 주차실(8)이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리프트(4)의 정지 위치와 각 주차실(8)의 바닥 높이 사이에 차이가 나더라도 센서부(30)와 더그 브라켓(34)에 의해 주차실(8)의 바닥면과 리프트(4)의 바닥면의 차이가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정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6 is received, the lift 4 is slightly lower than the parking space as the stop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 6 is released, the lift 4 and the parking chamber 8 are at the same height. Can be. That is, the stop position of the set lift 4 and each parking space 8 can be made the same height. That is,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op position of the set lift 4 and the floor height of each parking compartment 8, the bottom surface and the lift of the parking compartment 8 are separated by the sensor unit 30 and the doug bracket 34. The difference in the bottom surface of 4) can be stopped while remaining within the error range.

또한, 차량(6)과 로봇(16)에 하중으로 인한 리프트(4)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리프트(4)와 주차실(8) 사이의 정위치가 제2단계의 높이일 경우에는 차량(6)을 탑재한 리프트(4)가 목적한 주차실(8)에서 제3단계의 높이로 정지를 하고, 리프트(4)의 로봇(16)이 차량(6)을 주차실(8)로 견인하면 차량무게와 로봇무게만큼 리프트(4)는 제2단계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며, 로봇(16)이 리프트(4)로 복귀할 때 단차가 최소로 된다.In addition, the deflection of the lift 4 due to the load on the vehicle 6 and the robot 16 can be controlled as follows. If the correct position between the lift 4 and the parking space 8 is the height of the second stage, the lift 4 equipped with the vehicle 6 stops at the height of the third stage in the intended parking space 8. When the robot 16 of the lift 4 tow the vehicle 6 to the parking space 8, the lift 4 is raised to the height of the second stage by the vehicle weight and the robot weight, and the robot 16 Step is minimized when is returned to the lift (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s.

즉, 각 목적층의 높이에 해당하는 리프트 프레임 위치에 다수의 더그구멍이 형성된 더그 브라켓을 설치하고 리프트에는 센서를 장착한 상태에서, 센서의 개수에 따라 리프트가 여러 단계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주차실 높이 편차가 다르다 하더라도 리프트가 정해진 단계로 정지하여 로봇에 의한 차량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That is, by installing a doug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doug hole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lift fram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each target floor, and mounting the sensor to the lift, the lift can be stopped in various stag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ors. Even if the parking room height difference is different, the lift stops at the predetermined stag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the robot is smooth.

또한, 리프트 상에 로봇과 차량이 동시에 얹혀진 상태와, 차량이 리프트에서 빠져 나간 상태 그리고 리프트에 로봇만 있는 상태의 처짐량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차량의 입출고시 로봇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robot and the vehicle on the lift at the same time, the state of the vehicle exiting the lift and only the robot in the lift step by step to prevent the robot from being damaged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가 설치되는 주차설비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1A and 1B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a parking facility in which an exact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 parking facility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각 목적층에 장착되는 더그 브라켓을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oug bracket mounted on each target layer;

도 3은 종래 공지된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a lift,

도 4는 일반적인 주차설비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parking facilit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 : 리프트 18 : 리프트 프레임4: lift 18: lift frame

26 : 층감지센서 28a, 28b, 28c : 정위치 센서26: floor sensor 28a, 28b, 28c: position sensor

30 : 센서부 32 : 센서 브라켓30: sensor unit 32: sensor bracket

34 : 더그 브라켓 36a~36f : 더그구멍34: Doug Bracket 36a ~ 36f: Doug Hole

Claims (7)

다수의 목적층으로 된 주차설비의 각 주차실로 차량을 이동시키는 리프트가 스태커의 리프트 프레임에 지지되어 차량을 정위치에 주차시키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In the lift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lift is supported by a lift frame of the stacker to move the vehicle to each parking room of the parking facility of a plurality of object floors, 상기 리프트 프레임(18)에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이 형성되는 다수의 더그 브라켓(34)이 설치되고, 상기 더그 브라켓(34)과 대응하여 리프트(4)를 정밀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층감지센서(26)와 2개 이상의 정위치센서(28a~28c)로 구성되는 센서부(30)가 리프트(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A plurality of doug brackets 34 having a plurality of doug holes 36a to 36f are formed in the lift frame 18, and one for precisely stopping the lift 4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ug bracket 34. The sensor unit 30 consisting of the above-described floor sensor 26 and two or more position sensors 28a to 28c are mounted on the lift 4,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 parking facility li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가 리프트 프레임(18)에 설치되고, 상기 더그 브라켓(34)이 리프트(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on the lift frame (18) and the doug bracket (34) is mounted on the lift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는 센서 브라켓(3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sensor unit 30 is a fixed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 parking facility lif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sensor bracket (3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감지센서(26a)(26b)는 종렬 방향으로 정위치 센서(28a~28d)는 횡렬 방향으로 늘어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oor sensor (26a, 26b)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sensor 28a ~ 28d in the row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position of the parking facility lift device.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그 브라켓(34)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3.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lift for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oug bracket (34)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그구멍(36a~36f)은 상기 정위치 센서(28a~28c)에 대해 종렬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doug holes 36a to 36f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act position sensors 28a to 28c.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더구구멍의 일부(36a)(36b)는 상기 더그 브라켓(34)의 장변에서 인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용 리프트의 정위치 감지장치.6.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lift for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art (36a) (36b) of the dove hole is formed by drawing in the long side of the doug bracket (34).
KR1019980057216A 1998-12-22 1998-12-22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KR100637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216A KR100637543B1 (en) 1998-12-22 1998-12-22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216A KR100637543B1 (en) 1998-12-22 1998-12-22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357A KR20000041357A (en) 2000-07-15
KR100637543B1 true KR100637543B1 (en) 2007-07-12

Family

ID=1956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216A KR100637543B1 (en) 1998-12-22 1998-12-22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5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694B (en) * 2016-09-24 2018-04-03 广东明和智能设备有限公司 A kind of elevating mechanism flat bed location structure and its localization method
CN112282445B (en) * 2020-10-16 2022-02-22 安徽鸿杰威尔停车设备有限公司 Hanging basket type parking equipment
CN113706926A (en) * 2021-09-07 2021-11-26 上海艾吉微电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implement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357A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KR20190052807A (en)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US20190301191A1 (en) Parking System
KR100637543B1 (en) Device for sensing regular position of lift used in parking equipment
WO2011122992A2 (en) Two-dimensional, two-storey car park with engagement of an automobile tray by a lateral surface thereof
CN1264349A (en) Elevator device
KR101564543B1 (en) Safety guide system and wafer box horizontal and vertical transfer system with the same
JP2005200892A (en) Monitoring system inside multistory parking garage
JP2601841Y2 (en) Elevator parking
JP2013231342A (en) Guide rails of entranceway
CN105384017A (en) Elevator device
KR20000024856A (en) Method for controlling stop position for lift of parking equipment
JPH09302976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JP7358268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KR100259500B1 (en) Lif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JP4329099B2 (en) Parking equipment
JP3869096B2 (en) Pallet stop control device for parking equipment
JP2564819Y2 (en) Elevator type multi-story parking device
JPH06200656A (en) Drive in and out to pallet in multistory parking space
JPH07100980B2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for car height in multi-storey car park
JPH0387473A (en) Elevator slide type parking device
JP3345658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 leaving vehicl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4318406B2 (en) Vertical type parking system with front open space
JPH05106365A (en) Accident preventing device against half-door state of vehicle in multistory parking garage
KR100271348B1 (en) Operation speed control method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