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22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229B1
KR100637229B1 KR1020050075251A KR20050075251A KR100637229B1 KR 100637229 B1 KR100637229 B1 KR 100637229B1 KR 1020050075251 A KR1020050075251 A KR 1020050075251A KR 20050075251 A KR20050075251 A KR 20050075251A KR 100637229 B1 KR100637229 B1 KR 100637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disposed
display panel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수직 얼룩 현상에 따른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명실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전전극들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방전전극들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전전극들 및 상기 제2방전전극들과 함께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착색 유전체와,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과,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전면기판
111: 제1방전전극 112: 제2방전전극
113: 버스전극 114: 제1유전체층
115: 보호층 120: 배면기판
121: 어드레스전극 122: 제2유전체층
130: 격벽 131: 착색 유전체
140: 형광체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격벽의 상부에 착색 유전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은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을 갖는 고화질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된 두 개의 기판과 상기 두 개의 기판의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방전전극 및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방전전극 및 격벽은 방전셀을 한정하며, 상기 방전셀에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색을 가지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기판이 봉착된 뒤에는 네온(Ne)이나 크세논(Xe) 등의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전극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이 일어나는데, 방전이 일어나면 방전가스에서 자외선이 발생하고, 그 자외선은 상기 방전셀에 도포된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방출함으로써 화상이 구현된다.
그런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종종 격벽의 형상이 불량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격벽 형상의 불량으로 인해 형광체가 제대로 도포되지 않아 방전이 불균일해짐으로써, 구현하는 화상에 수직 얼룩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레이저 노광법 중의 DI 노광을 사용하는 경우 과노광 부분에 의해 격벽이 불량으로 형성되어 수직 얼룩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화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시광이 다시 배면기판 및 격벽 등에 반사된 후, 다시 전면기판을 통해 방 출되어 반사휘도가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실 콘트라스트(contrast)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화상의 수직 얼룩 현상에 따른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명실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포함하여 그 밖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전전극들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방전전극들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전전극들 및 상기 제2방전전극들과 함께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착색 유전체와,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과,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방전전극들은 상기 제1방전전극과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 및 제2방전전극들은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제2방전전극과 교차하도록 어드레스전극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형광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 사이에는 제2유전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색 유전체는 흑도가 높은 색상으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흑도가 높은 색상은 검은 색일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한 전면기판(110)과, 전면기판(110)에 대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기판(120)을 구비한다.
전면기판(110)에는 스트립 형상의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 및 버스전극(113)이 형성된다.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 중의 어느 하나는 주사전극의 기능을 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공통전극의 기능을 하는데, 보통 ITO(Indium Tin Oxide)로 된 투명한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버스전극(113)은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의 하면에 설치되는데, 라인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제1방전전극(111), 제2방전전극(112) 및 버스전극(113)의 위에는 제1유전체층(114)이 형성된다.
제1유전체층(114)은 유지방전시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이 직접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전 입자가 상기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에 직접 충돌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하전 입자를 유도하여 벽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사용된다.
제1유전체층(114)의 위에는 보호층(115)이 형성되는데, 보호층(115)은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호층(115)은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배면기판(120)에는 어드레스전극(121)이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121)은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 중 주사전극의 역할을 하는 방전전극과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한다.
어드레스전극(121)의 위에는 제2유전체층(122)이 형성되는데, 제2유전체층(122)은 제1유전체층(114)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어드레스전극(12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2유전체층(122)의 위에는 격벽(130)이 형성되는데, 격벽(130)은 방전거리를 유지하고, 방전셀 사이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격벽(130)은 상기 제1방전전극(111), 제2방전전극(112) 및 어드레스전극(121)과 함께 하나의 방전공간을 형성하는데, 이를 단위 방전셀(cell)이라 하고, 상기 단위 방전셀들은 화소를 형성한다.
격벽(130)의 상부에는 유전체로 이루어진 착색 유전체(131)가 형성된다.
착색 유전체(131)는 가시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흑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착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검은색으로 착색한다.
착색 유전체(131)의 폭(b1)은 격벽(130)의 상단부의 폭(b2)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격벽(130)이 DI 노광 등을 거치면서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구현하는 화상에 수직 얼룩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러한 수직 얼룩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층(140) 중 격벽(130)에 직접 부착된 형광체층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의 상당 부분은 착색 유전체(131)에 흡수되어 차단되는데,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격벽(130)의 형상이 불량으로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수직얼룩을 보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방전셀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유전체층(122)의 상면과 상기 격벽(130)의 양 측면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체층(140)이 형성된다.
상기 형광체층(140)들은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을 발생하는 성분을 가지는데, 적색 발광 방전셀에 형성된 적색 형광체층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 발광 방전셀에 형성된 녹색 형광체층은 Zn2SiO4:Mn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 발광 방전셀에 형성된 청색 형광체층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전면기판(110)과 배면기판(120)을 봉착한 후에는, 조립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부의 공간이 공기로 가득 차 있으므로, 상기 조립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내의 공기를 완전히 배기하여, 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적정의 방전 가스로 공기를 대체한다. 방전가스로는 흔히 Ne-Xe, He-Xe, He-Ne-Xe 등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기판(110)에 상기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배면기판(120)에는 어드레스전극(121)이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어드레스전극(121)이 없이도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한데, 그 경우에는 제1방전전극과 제2방전전극이 교차되게 배치되어 그 중의 하나가 어드레싱 작용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벽(130)이 줄무늬형 패턴(stripe pattern)으로 형성되어 개방형 격벽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의 폐쇄형 격벽의 형상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나의 예시적인 방전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어드레스전극(121)과 제1방전전극(111)의 사이에 소정의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되면,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 과로 유지방전이 일어날 방전셀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의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의 사이에 방전유지전압이 인가되면, 제1방전전극(111)과 제2방전전극(112)에 쌓여 있던 벽전하들의 이동으로 유지방전을 일으키고, 이 유지방전 시에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방전셀 내에 도포된 형광체층(140)의 형광체를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방출된 가시광이 전면기판(110)을 투사하여 출사되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방전셀에서 발광된 가시광 중, 격벽(130)에 도포된 형광체층(140)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의 많은 부분들은 착색 유전체(131)에 의하여 차단된다. 그렇게 되면, 격벽(130)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수직얼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수직얼룩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전면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시광이 착색 유전체(131)로 흡수됨으로써, 반사휘도가 저감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격벽(130)의 상단부의 폭(b2)보다 더 넓은 폭(b1)을 구비한 착색 유전체(131)를 격벽(130)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화상의 수직얼룩을 방지하고,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의 상부에 착색 유전체를 구비함으로써, 격벽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구현하는 화상에 수직 얼룩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수직 얼룩을 보기 어렵게 되므로 화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시광이 착색 유전체로 흡수됨으로써, 반사휘도가 저감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전전극들;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방전전극들;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전전극들 및 상기 제2방전전극들과 함께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의 상단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착색 유전체;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방전전극들은 상기 제1방전전극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 및 제2방전전극들은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제2방전전극과 교차하도록 어드레스전극들을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형광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 사이에는 제2유전체층이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유전체는 흑도가 높은 색상으로 착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흑도가 높은 색상은 검은 색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75251A 2005-08-17 2005-08-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51A KR100637229B1 (ko) 2005-08-17 2005-08-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51A KR100637229B1 (ko) 2005-08-17 2005-08-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229B1 true KR100637229B1 (ko) 2006-10-20

Family

ID=3762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251A KR100637229B1 (ko) 2005-08-17 2005-08-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22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4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384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962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판
KR100637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22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94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8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57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08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