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18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185B1
KR100637185B1 KR1020040093502A KR20040093502A KR100637185B1 KR 100637185 B1 KR100637185 B1 KR 100637185B1 KR 1020040093502 A KR1020040093502 A KR 1020040093502A KR 20040093502 A KR20040093502 A KR 20040093502A KR 100637185 B1 KR100637185 B1 KR 10063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electrodes
panel
light emitting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457A (ko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1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01J2211/26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발광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각각 일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형성된 기저부 및 기저부에서 각 발광셀들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방전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들, 제1 방전전극들과 함께 상측기판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제1 방전전극들의 기저부와 교차하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되, 기저부와 상하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들, 제1 방전전극들 및 제2 방전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유전체층, 발광셀들 내부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한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형광체층의 열화가 방지되어 휘도 레벨이 향상되고, 그 제조방법이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of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2에 도시된 상측패널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하측패널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측패널 111 : 상측기판
112 : 제1 방전전극 112a : 제1 방전전극의 기저부
112b : 제1 방전전극의 방전부 113 : 제2 방전전극
114 : 유전체층 115 : 보호층
120 : 하측패널 121 : 하측기판
124 : 격벽 125 : 형광체층
130 : 발광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체층의 열화가 방지되면서도 구조가 단순화된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패널로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박형이면서,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CRT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표시패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2전극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측패널(10) 및 하측패널(20)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패널(10)은 상측기판(11), 상기 상측기판(11)의 하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측 방전전극(16)들, 상기 상측 방전전극(16)들을 매립하는 상측 유전체층(14), 및 상기 상측 유전체층(14)을 덮는 상측 보호층(15)을 구비한다. 상기 하측패널(20)은 하측기판(21), 상기 하측기판(21)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하측 방전전극(22)들, 상기 하측 방전전극(22)들을 매립하는 하측 유전체 층(23), 상기 하측 유전체층(23) 상에 형성되는 격벽(24), 상기 하측 유전체층(23) 상에서 격벽(24)에 걸쳐 도포되는 형광체층(25), 및 상기 형광체층(25) 상에 형성된 하측 보호층(26)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 방전전극(16)과 하측 방전전극(22)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소정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이들(16,22) 사이에서 방전이 실행되고, 방전의 결과로 발생된 진공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25)이 여기되어 가시광이 발광됨으로서, 원하는 화상이 구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2 전극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방전이 실행되는 방전전극(16,22)이 상측패널(10)과 하측패널(20)에 분산 형성되는 결과, 방전에 참여하는 하전입자들이 방전전극들(16,22) 사이에 배치된 형광체층(25)을 직접적으로 충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형광체층(25)이 열화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저하되고, 형광체층(25)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형광체층(25)의 열화를 완화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층(25) 상에 하측 보호층(26)을 형성하고 있으나, 열화를 방지하기에 미흡하며, 형광체층(25)을 덮는 하측 보호층(26)으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측패널(10) 및 하측패널(20)에 모두 방전전극(16,22)이 형성되어, 양 패널(10,20)에 방전전극(16,22)을 보호하는 유전체층(14,23)이 모두 형성되어야 하는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가 단순화되지 못하여 패널의 제조공수 및 재료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체층의 열화가 방지되는 개선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공수 및 재료비가 절감되는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상기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발광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각각 일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형성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각 발광셀들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방전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들;
상기 제1 방전전극들과 함께 상측기판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기저부와 교차하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기저부와 상하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들;
상기 제1 방전전극들 및 제2 방전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유전체층;
상기 발광셀들 내부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기저부는 상측기판 하면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전전극들은 상기 기저부 하측에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방전부는 상기 제2 방전전극들 사이로 돌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패널 제조방법은,
(a) 상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상측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방전부를 포함하는 제1 방전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방전전극들 상에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상기 제1 방전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전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패널 제조방법은,
(a) 하측패널 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측패널 원소재를 소정의 깊이로 패터닝하여 하측기판 및 상기 하측기판 상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하측기판 상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Ⅲ-Ⅲ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측패널(110), 및 상기 상측패널(110)과 대향되게 접합되는 하측패널(120)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패널(110)은 상측기판(111), 상기 상측기판(111)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복수 개 형성된 제1 방전전극(112)들 및 제2 방전전극(113)들, 상기 방전전극(112,113)들 사이에 개재된 유전체층(114), 및 상기 유전체층(114)을 덮는 보호층(115)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기판(111)은 유리를 주재료로 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측기판(111) 상측에는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전전극(112)들, 및 제2 방전전극(113)들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방전전극(112)들은 일 방향(x 방향)으로, 상기 제2 방전전극(113)들은 이와 교차는 다른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전전극(112)과 제2 방전전극(113)은 서로 전기적인 단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유전체층(114)이 이들 방전전극들(112,113)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 방전전극(112)은 상측기판(111) 상에 일 방향(x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저부(112a), 및 상기 기저부(112a)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측을 향해 돌출된 방전부(112b)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저부(112a)는 기저부(112a)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방전부(112b)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전부(112b)들은 제2 방전전극(113)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방전전극(113)과 함께 방전을 실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전부(112b)의 방전면(112ba)은 제2 방전전극(113)의 방전면(113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방전효율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므로, 방전부(112b)의 돌출길이(h)는 이에 적합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방전전극(112) 및 제2 방전전극(113)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등의 단일 금속층 또는 크롬-구리-크롬의 3중 금속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전전극(112) 및 제2 방전전극(113)은 가시광이 투과되는 상측패널(110)에 형성되는바, 제1 방전전극(112) 및/또는 제2 방전전극(113)은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도전체이면서 형광체층(125)으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재의 전기전도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술한 금속 도전재를 투명 도전재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방전전극(112) 및 제2 방전전극(113)을 덮도록 상측기판(111) 하측에는 유전체층(114)이 형성된다. 상기 유전체층(114)은 제1 방전전극(112)과 제2 방전전극(113) 사이에 개재되어 방전전극들(112,113)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고, 방전전극들(112,113) 사이에서 직접적인 통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전체층은 PbO, B2O3, SiO2 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15)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호층(115)은 방전시 양이온과 전자가 충돌하여 방전전극들(112,113) 및 유전체층(1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전자가 많이 방출되도록 한다. 보호층(115)으로는, 통상적으로는 MgO 막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하측패널(120)은 하측기판(121), 하측기판(121)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발광셀(130)들을 구획하는 격벽(124), 상기 하측기판(121) 상에서 격벽(124)에 걸쳐 형성된 형광체층(125)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기판(121)은 상측기판(111)과 같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기판(121) 상에는 격벽(124)이 형성되는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매트릭스(matrix)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격벽(124)은 일 방향(x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폐쇄형 격벽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격벽(124)은 상측기판(111)과 하측기판(121) 사이의 방전공간을 복수 개의 발광셀(130)들로 구획함으로서, 발광셀(130)들 사이의 광학적 및 전기적인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한다. 상기 격벽(124)은 하측기판(121)과 같은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측기판(121)과 일체로 형성되면, 제조공수의 단축을 통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격벽(124)에 둘러싸인 하측기판 상에서 격벽(124)의 측면에 걸쳐 형광체층 (125)이 배치된다. 각 발광셀(130)들은 배치된 형광체층(125)의 종류에 따라 적색발광 서브픽셀, 녹색발광 서브픽셀, 청색발광 서브픽셀로 구분된다. 형광체층(125)은 방전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에서 방사되는 진공자외선을 받아 이를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성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적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125)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125)은 Zn2SiO4:Mn, YBO3:Tb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125)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광셀(130) 내부에는 Ne, Xe 등 및 이들의 혼합기체와 같은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도 3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1 방전전극(112)과 제2 방전전극(113) 사이에 소정의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이들(112,113)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수행된다. 어드레스 방전은 화상을 구현하는 유지방전이 보다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방전전극들(112,113)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보조방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제1 방전전극(112)에는 주사펄스가 인가되고, 제2 방전전극(113)에는 해당 발광셀(130)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전압이, 해당 발광셀(130)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지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선택된 발광셀(130)들에서는 어드레스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발광셀(130)들 내에 벽전하가 축적되고, 다시, 방전전극들(112,113) 사이에 소정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선택된 발광셀(130)들에서 유지방전이 실행된다. 유지방전 결과로 발생된 진공자외선은 형광 체층(125)을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형광체층(125)에서 발하는 가시광에 의해 화상이 구현된다.
종래 2 전극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전전극들이 상측패널 및 하측패널에 분산 형성됨으로 인하여, 방전전극들 사이를 이동하는 하전입자들이 형광체층을 직접적으로 충격하게 되고, 그 결과 형광체층의 열화, 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저하, 및 형광체층의 수명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방전전극(112), 및 제2 방전전극(113)이 함께 상측패널(110)에 형성됨으로서, 어드레스 방전이나 유지방전이 모두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태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하전입자의 충격을 완화 내지 제거하여 형광체층(125)의 열화 및 이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점들이 구조적으로 해소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상측패널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기판(111)을 준비한다. 상측기판(111)으로는 유리재질의 글라스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b에서 볼 수 있듯이, 상측기판(111) 상에 제1 방전전극(112)을 형성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측기판(111)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112a)들, 및 기저부(112a)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된 방전부(112b)들을 형성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단차구조의 제1 방전전극(112)을 얻기 위해, 상측기판(111) 상에 원소재층을 형성한 후, 상기 원소재층 상에 감광성 수지층을 도포하고, 광투광율이 서로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완전투과영역, 반투과영역, 광차단영역이 설계된 마스크로 노광, 현상함으로서, 단차를 구비한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제1 방전전극(112) 상에 제1 유전체층(114a)을 형성한다(도 4c). 이 때, 제1 유전체층(114a)은 방전부(112b)들 사이의 인입영역(212, 도 4b 참조)에만 도포되도록 하며, 방전부(112b)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전체층(114a) 상에 제2 방전전극(113)을 형성하는데, 제1 방전전극(11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여기서, 제2 방전전극(113)의 방전면(113a)이 제1 방전전극(112)의 방전면(112ba)과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방전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층(114a) 상에 제2 유전체층(114b)을 형성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방전전극(112)의 방전부(112b)와 제2 방전전극(113)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깊이(214, 도 4d 참조)를 채우도록 제2 유전체층(114b)을 형성한다. 이로서, 제1 방전전극(112)과 제2 방전전극(113)은 서로에 대해 절연된다. 상기 제2 유전체층(114b)도 제1 유전체층(114a)과 같이, PbO, B2O3 , SiO2 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과정으로 형성된 적층체의 상면을 덮도록, 보호층(115)을 형성한다(도 4f). 상기 보호층(115)은 통상 MgO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은 적어도 제1 방전전극(112)과 제2 방전전극(113)의 방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에는 하측패널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측패널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유리소재의 하측패널 원소재(120`)를 준비한다. 다음에, 하측패널 원소재(120`) 상에 감광성 수지층(141), 예를 들어, DFR(Dry Film Resist)을 적층하고, 마스크(142)를 통해 조사광(150)을 조사한다. 여기서, DFR은 조사광(150)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감광성 물질의 일종이다. 다음에,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을 거치는데,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DFR이 적층된 하측패널 원소재(120`) 상에 고압의 공기에 편승된 샌드 입자(P)를 분사하여 충돌시킴으로서, 경화되지 않은 감광성 수지층(141) 및 그 하측의 원소재(120`)가 식각되도록 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패턴이 형성된 후, 잔존하는 감광성 수지층(141)을 제거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측기판(121) 및 하측기판(121)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격벽(124)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격벽(124)에 둘러싸인 하측기판(121) 및 격벽(124)의 측면 상에 형광체층(125)을 형성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측패널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래 2 전극구조와 비교하여 하측패널 제조공정이 상당히 단순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2 전극구조에 있어서는, 방전전극들이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에 분산되어 형성되므로, 하측패널에서도 방전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유전체층이 요구되고, 방전에 참여하는 하전입자가 형광체층에 직접적으로 충돌함으로서, 형광체층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층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 하측패널이 복잡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전전극들이 상측패널에 함께 형성됨으로 인하여, 하측패널에서 별도의 유전체층이나 보호층이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기판 및 격벽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하측패널과 상측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전전극들이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에 분산 형성되지 않고, 상측패널에 함께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들 방전전극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 및 유지방전에 있어서, 방전에 참여하는 하전입자들이 형광체층을 직접적으로 충격하는 현상을 감소 내지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형광체층의 열화로 인하여 유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저하 및 형광체층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종래 2 전극구조에서 형광체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광체층 상에 형성되는 하측 보호층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형광체층을 덮는 하측 보호층이 제거됨으로서, 종래 2 전극 구조에 비해 발광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전전극들이 상측패널에 형성됨으로서, 종래 2 전극 구조에서 방전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패널에 형성되는 유전체층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하측패널의 구조가 상당히 단순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공수 및 재료비가 절감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하 측기판 및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 회의 패터닝을 통하여 하측기판과 격벽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상기 상측기판 및 하측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발광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각각 일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형성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각 발광셀들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방전부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들;
    상기 제1 방전전극들과 함께 상측기판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기저부와 교차하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기저부와 상하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들;
    상기 제1 방전전극들 및 제2 방전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유전체층;
    상기 발광셀들 내부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기저부는 상측기판 하면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전전극들은 상기 기저부 하측에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전전극들의 방전부는 상기 제2 방전전극들 사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측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과 하측기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a) 상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상측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방전부들을 포함하는 제1 방전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방전전극들 상에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상기 제1 방전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전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패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제1 유전체층은 제1 방전전극들에 구비된 방전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e) 단계의 제2 유전체층은 노출된 방전부와 제2 방전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패널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제1 방전전극에 구비된 방전부의 상면 및 제2 방전전극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e) 단계 이후에, 적어도 상기 방전부의 상면 및 제2 방전전극의 상면을 덮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패널 제조방법.
  7. (a) 하측패널 원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측패널 원소재를 소정의 깊이로 패터닝하여 하측기판 및 상기 하측기판 상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하측기판 상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패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하측패널 원소재는 샌드블라스팅에 의해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패널 제조방법.
KR1020040093502A 2004-11-16 2004-11-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KR10063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02A KR100637185B1 (ko) 2004-11-16 2004-11-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02A KR100637185B1 (ko) 2004-11-16 2004-11-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57A KR20060053457A (ko) 2006-05-22
KR100637185B1 true KR100637185B1 (ko) 2006-10-23

Family

ID=3715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02A KR100637185B1 (ko) 2004-11-16 2004-11-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1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57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1112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819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상측패널과 하측패널의제조방법
KR1009276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1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74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24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7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평면 표시 장치
KR1006476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0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58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0138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786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