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092B1 -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092B1
KR100637092B1 KR1020017014742A KR20017014742A KR100637092B1 KR 100637092 B1 KR100637092 B1 KR 100637092B1 KR 1020017014742 A KR1020017014742 A KR 1020017014742A KR 20017014742 A KR20017014742 A KR 20017014742A KR 100637092 B1 KR100637092 B1 KR 10063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distal end
club shaft
longitudinal axi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198A (ko
Inventor
리차드 엠. 웨이스
버틀러조셉에이취
드위그마이클제이
Original Assignee
리차드 엠. 웨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엠. 웨이스 filed Critical 리차드 엠. 웨이스
Publication of KR2002001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1Quantitative measuring or gauging
    • Y10T29/49774Quantitative measuring or gauging by vibratory or oscillatory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 Y10T29/4978Assisting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olf Club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골프 클럽 샤프트(10)의 양호한 방위 혹은 2차원 요동면은, 수평의 임펄스가 가해질 때 샤프트의 요동을 측정하고, 이 측정치로부터 요동이 실질적으로 평면(143)이 되는 방위를 결정함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호한 방위로 수렴되도록 반복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양호한 위치 결정 방위는 샤프트에 마킹될 수 있으며, 2차원의 요동면이 예정된 방위로 있게 한 상태에서 골프 클럽을 조립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골프 클럽의 조립은 수선시에는 수동으로 행할 수 있고, 새 클럽의 제작시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LIGNING GOLF CLUB SHAFT SPINE}
본 발명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를 자동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파악하여 소정의 방위로 스파인을 정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의 샤프트는 골퍼가 골프 클럽을 스윙할 때, 특히 다운스윙 중에 휘거나 혹은 비틀리게 된다. 샤프트의 휨 혹은 비틀림의 방향은 골퍼가 클럽에 힘을 가하거나 가속시키는 방법에 따라 결정되지만, 휠 혹은 비틀림의 방향 및 크기는 샤프트의 강성(剛性)에도 좌우된다. 샤프트가 연질인 경우에, 샤프트는 소정의 다운스윙 중에 강성이 큰 샤프트에 비해 더욱 휘거나 비틀리게 될 것이다. 또한, 샤프트가 상이한 평면에서 상이한 횡방향 강성을 나타낼 경우에, 즉 샤프트의 강성, 진원도(roundness) 및 직진성이 대칭이 아닐 경우, 샤프트는 하중이 가해지는 평면(방향)에 의존하여 휘거나 비틀릴 것이다.
골프 클럽의 헤드가 골프 공에 임팩트하기 직전에, 골프 클럽의 샤프트는 토우 업/다운(toe up/down) 방향(타격 방향에 수직인 평면)과 리드/래그(lead/lag) 방향(타격 방향과 평행인 평면) 모두에서 심각한 진동 운동을 겪게 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골프 클럽의 샤프트는 골프 공에 임팩트하기 직전에 토우 업/다운 방향으로 상하로 진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하 운동은 "수직 편향" 혹은 "드루프(droop)"로 알려져 있으며, ±1.5in(±3.8cm) 정도일 수 있다. 임팩트 직전의 샤프트의 비대칭 거동으로 인한 일관성 없는 휨 혹은 비틀림으로 인하여, 골퍼가 그들의 스윙을 교정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팩트 직전의 수직 편향 혹은 드루프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이 골퍼들의 임팩트 반복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는 실제로 모든 실력의 골퍼들에게 해당된다. 일관성 없는 휨 혹은 비틀림으로 인하여 골퍼가 클럽마다 다운스윙 샤프트의 휨 혹은 비틀림을 재현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며, 그 결과 클럽 세트에 있어서의 임팩트 반복성이 더욱 일관성 없게 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은 임팩트 직전에 타격 방향 전방으로 튀어 오른다. 이는 통상 샤프트의 "킥(kick)"으로 칭한다. 진동의 킥 방향을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샤프트를 분석 및 정향시킬 수 있다면, 이러한 샤프트 위치는 공에 대한 임팩트 위치를 재현하는 골퍼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샤프트는 임팩트 직전에 상하로 가볍게 움직이는 경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임팩트 반복성을 향상시킨다.
일관성 없는 휨 또는 비틀림은, 샤프트가 완전하게 대칭일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 클럽 헤드의 운동의 원인으로 된다. 골프 클럽 샤프트의 제조업자들은 스윙 도중의 일관성 없는 휨 혹은 비틀림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대칭적인 강성을 갖는 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제조상의 제한으로 인하여 완전한 대칭의 골프 클럽 샤프트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구체적으로, 재료 혹은 제조 공정의 불규칙성 혹은 변동의 결과로, 골프 클럽 샤프트는 유리한 각도 방위(angular orientation) 혹은 "스파인(spine)" 이 생기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958,834호 및 제5,040,279호 참조). 따라서, 실질적으로 모든 골프 클럽 샤프트는 어느 정도의 비대칭을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스윙 중에 일관성 없는 어느 정도의 휨 혹은 비틀림을 초래하게 된다.
골프 클럽 샤프트의 비대칭적 강성은, 비대칭적인 샤프트 단면(즉, 샤프트의 단면이 원형이 아니고 벽 두께가 균일하지 않음), 직선이 아닌 샤프트, 그리고 샤프트 단면의 외주 둘레를 따라 재료 특성이 변하는 샤프트에 그 원인이 있을 수도 있다. 완전히 대칭인 골프 클럽 샤프트를 제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한 세트의 골프 클럽에서 각각의 클럽끼리, 그리고 동일 브랜드에서 각 세트끼리의 불일치성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샤프트의 비대칭적인 휨 혹은 비틀림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 세트의 골프 클럽 내의 각각의 골프 클럽 샤프트를 분석하고, 한 세트의 골프 클럽 내의 각 클럽끼리 그리고 동일 브랜드에서 각 세트끼리의 일치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골프 클럽을 세트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미국 특허 제5,040,279호에는, 실질적으로 전체의 골프 클럽 샤프트가 약간의 비대칭성을 나타내고,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골프 클럽 샤프트가 적어도 하나의 방위를 나타내지만, 그러한 방위에 있어서 샤프트가 기단부 혹은 핸들 단부에서 클램핑되어 팁이 이동할 때에, 결과적인 샤프트의 진동은 실질적으로 2차원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샤프트는 실질적으로 단일 평면에 유지될 것이며, 샤프트의 팁은 실질적으로 소정의 라인을 따라 전후방으로 진동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미국 특허 제4,958,834호에는, 각각의 2차원 요동면(planar oscillation planes: "POP")이 각각의 클럽 페이스에 대해 동일한 각도 방향으로 정향되어 있는 세트 내의 모든 골프 클럽의 구조가, 요동면이 일정치 않은 또는 무작위로 구성된 골프 클럽 세트보다 다운스윙 중에 샤프트 휨 혹은 비틀림의 일관성 없음이 줄어든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한 세트의 골프 클럽은 통상 각 골프 클럽 샤프트의 각각의 유리한 각도 방위가 "타격 방향", 즉 각 골프 클럽 페이스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될 경우 최상의 기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편리하고 자동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골프 클럽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각 골프 클럽 샤프트를 대응하는 클럽 페이스에 대해 일관성 있게 정렬한 상태로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데에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골프 클럽 샤프트를 대응하는 클럽 페이스에 대해 일관성 있게 정렬한 상태로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해 유리한 각도 방위(즉, 2차원 요동면)를 결정하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골프 클럽 샤프트는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말단부를 구비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기단부가 고정되고, 골프 클럽 샤프트의 말단부의 진동 운동이 상기 종축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시작한다. 이 진동 운동을 분석하고, 분석한 진동 운동으로부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한다. 그 다음, 골프 클럽 샤프트에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는 마킹을 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는 샤프트 상의 마크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에 대해 예정된 정렬 상태로 하여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고 골프 클럽을 조립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은, 동일 도면 부호가 동일 부분을 지칭하고 있는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가요성 골프 샤프트를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로서 모델링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임펄스를 전달하여 샤프트를 요동시킨 후의 2회의 요동 사이클에 있어서, 정면에서 본 도 1의 샤프트의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시간 함수로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운동을 위상 선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14회의 요동 사이클 후에, 샤프트의 운동을 위상 선도로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운동을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양호한 방위를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치의 샤프트 시험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장치의 샤프트 유지 및 회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장치의 측정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의 장치의 선단 질량부 및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골프 클럽 샤프트가 본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도 7과 유사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부 정면도로서, 골프 클럽 샤프트가 본 발명에 따른 요동 준비 상태로 편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13은 마킹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도 6 내지 도 10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양호한 방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방법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되는 부하 테스트(load test)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방법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라 행해진 "로고 업(logo up)" 비교 테스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방법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라 행해진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 테스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8은 골프 클럽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장치의 조립 스테이션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골프 클럽 샤프트가 핸들 단부에서 고정되고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위된 후에, 변위 방향이 샤프트의 2차원 요동면에 있을 경우에, 샤프트는 요동면에서 진동하고, 정면에서 볼 때 샤프트의 말단 팁은 소정의 라인을 따라 전후로 요동하게 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 선을 x 축으로 칭할 수 있다. 그러나, 변위 방향이 2차원 요동면이 아닌 다른 평면에 있을 경우, 샤프트의 말단 팁은 x축 뿐만 아니라 x축에 직각인 축, 즉 편의상 y축으로 칭하는 축을 따른 성분을 갖는 운동으로 진동할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단일 타원 혹은 다른 폐곡선을 따르는 운동보다는 "궤도" 운동으로 설명될 수 있고, 이 운동이 감쇠되지 않을 경우(실제로는 감쇠가 일어남) 그 팁은 궁극적으로 포락선 내의 모는 점을 통과하여 이동하게 될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의 팁의 진동을 관찰함으로써 2차원 요동면(들)의 방위를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2차원 요동면을 위치 결정한 후에, 2차원 요동면을 "타격 방향"을 따라, 즉 클럽 헤드의 타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도록 샤프트를 클럽 헤드에 대해 정향시키게 골프 클럽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골프 클럽 샤프트의 2차원 요동면을 위치 결정한 후에, 타격 방향을 따르지 않고 다른 예정된 방향으로 2차원 요동면을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정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특정의 골퍼가 훅 또는 슬라이스를 교정하거나 유도하도록 샤프트를 정렬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골프 클럽 샤프트는 임의의 2차원 요동면을 따른 한 방향의 강성이 2차원 요동면을 따른 반대 방향의 강성보다 크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이는 샤프트의 2차원 요동면의 강성이 큰 측부에 대응하며, 이를 2차원 요동면의 "하드(hard)" 또는 "전방(forward)" 측으로 칭하는 반면, 이 "하드"측과 180°반대인 강성이 작은 측을 2차원 요동면의 "소프트" 혹은 "후방(rear)" 측으로 칭한다. 또한, 2차원의 요동면을 클럽 헤드 페이스에 직각으로 정향시키는 것은 일정하지 않은 또는 무작위의 정렬에 대하여 확실하고 효과적인 개선을 얻지만, 2차원의 요동면의 하드측이 클럽 헤드 페이스에 면하는 상태로 2차원의 요동면을 클럽 헤드에 직각으로 정렬하는 것은 2차원의 요동면의 소프트측이 클럽 헤드 페이스에 면하는 상태에서 2차원의 요동면을 클럽 헤드에 직각으로 정렬하는 것에 비해 더욱 양호한 개선을 얻는 것으로 또한 밝혀졌다. 더욱이, 한 세트의 골프 클럽에 있어서 모든 골프 클럽이 유사하게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 이 클럽의 사용자는 골프 클럽 세트의 모든 골프 클럽으로부터 더욱 균일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추가로, 골프 클럽 샤프트는 여러 개의 2차원 요동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에 대응하는 균일한 반복성("PURE")의 평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주요 2차원 요동면("PPOP")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요 2차원 요동면을 기초로 정렬된 골프 클럽이 최상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2차원 요동면의 바람직한 방향(즉, 주요 2차원 요동면의 경우에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하드"측)을 단순히 샤프트 팁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는 수학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 클럽 샤프트의 핸들 단부를 고정하고, 샤프트의 팁을 종축에 직각으로 변위시켜, 복원력(즉, 팁을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샤프트가 핸들 단부로부터 적어도 약 360°회전하는 동안 측정한다. 복원력이 가장 크게 되는 각도가 샤프트의 스파인의 하드측을 표시한다. 이 각도가 통상 주요 2차원 요동면의 방위와 정확하게 정렬되지는 않지만, 이 각도는 주요 2차원 요동면의 2개의 가능한 방위가 주요 2차원 요동면의 하드측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더욱이, 최대 부하의 각도에서 분석을 시작하면, 샤프트의 다른 2차원 요동면 중 하나가 아닌 주요 2차원 요동면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샤프트 팁을 변위시켜 샤프트를 진동시킴으로써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한 수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요동면의 방위를 정확하게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반복 기법(iterative technique)에 의해 요동면의 방위를 유추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이러한 방법에서, 시작 방위(starting orientation)는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지만, 이 시작 방위는 발견되는 2차원 요동면이 주요 2차원 요동면으로 되는 가능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최대 복원력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골프 클럽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가 결정되면,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는 마크를 샤프트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크는 주요 2차원 요동면의 위치에 또는 2차원 요동면에 대해 예정된 상대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크는 잉크나 페인트를 사용하여 마련할 수도 있고, 기계적, 정전 혹은 레이저 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샤프트의 표면에 에칭 가공을 행함으로써 마련할 수도 있다. 일단 마크가 마련되면,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이 클럽 헤드 페이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일부 다른 소정의 방위로 있도록 골프 클럽을 조립할 때 샤프트를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정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클럽 헤드에 대한 샤프트의 정렬을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정렬은 호젤 근처의 클럽 헤드 상에 마킹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되는데, 샤프트 상의 마킹은 적절하게 "스파인 정렬된(spine-aligned)" 골프 클럽을 형성하도록 클럽 헤드상의 마킹과 정렬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장치는 골프 클럽 헤드와 골프 클럽 샤프트를 맞물리게 하여, 공정 중에 위치 정렬 마킹의 정합을 양호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는 샤프트가 스파인 위치 결정 스테이션의 척에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한 직후에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이 경우에, 식별 가능한 마크를 외부에서 샤프트에 부착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지만, 이 마크는 클럽을 분해할 때의 추후의 수리 작업에 유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샤프트는 스파인 위치 결정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되어 클럽 조립 스테이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스파인 위치 결정 공정과 클럽 조립 공정 사이의 임의의 속도차에 대해 더욱 양호하게 대처하게 된다. 스파인 위치 결정 공정이 클럽 조립 공정 보다 더 빠른 경우에는, 스파인 위치 결정 스테이션보다 더 많은 클럽 조립 스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스파인 정렬 샤프트를 유지하기 위한 호퍼 혹은 다른 중간 스테이션을 스파인 위치 결정 스테이션과 클럽 조립 스테이션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적은 수의 샤프트가 호퍼내에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어떠한 이유로든 클럽 조립 스테이션에 혹은 그 하류에서 고장 혹은 다른 장해가 있을 경우에, 호퍼는 가득 찰 때까지 스파인 위치 결정 스테이션으로부터 샤프트를 수용하는 저장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샤프트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소정의 클램프에 골프 클럽 샤프트의 핸들 단부를 클램핑시킨 후에, 샤프트의 말단의 팁을 보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의 강성을 모델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는, 샤프트를 2개의 상이한 표면(11, 12)에 두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이한 스프링 상수(k1, k2)를 갖는 2개의 스프링을 갖는 질량체(m)로서 간주될 수 있다. 샤프트(10)의 대칭적인 경우에, 스프링 상수(k1, k2)는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통상 스프링 상수(k1, k2)는 동일하지 않다. 실제로, 샤프트를 여러 개의 상이한 방위로 클램핑한 후에 매시간마다 수평 및 수직 복원력을 측정할 경우, 상이한 세트의 스프링 상수(k1, k2) 값을 얻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힘 F는 클램핑된 샤프트(10)의 팁을 변위시켜 그 팁을 요동시키는 힘이다.
보통, 스프링 상수(k1, k2)는 서로에 대해 약 5% 이내에 있다. 도 2는 샤프트(10)의 요동하는 팁의 표준화된 수평 및 수직 변위를 2회의 요동 사이클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나타낸 그래프로서, 수평 변위(x)는 실선(20)으로 도시되고 수직 변위(y)는 점선(21)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초기의 변위력은 수평에 대해 θ=40°의 각도로 가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x 및 y에 있어서 두 사이클에 걸쳐 샤프트(10)의 팁의 동일한 변위를 샤프트(10)의 위상 선도(phase plot)(30)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관찰자가 샤프트(10)의 종축을 따라서 핸들 단부를 향해 팁을 보았을 때 그 팁이 따르는 경로의 두 사이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14회의 사이클 후에 위상 선도(40)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관찰한 운동을 분석함으로써 2차원 요동면의 위치, 즉 샤프트(10)의 각도 방위를 산출하게 되는데, 즉 초기 변위력(F)이 그 방위를 따라 가해지면, 샤프트(10)는 실질적으로 그 방위를 따라서만 요동하며, 그 팁은 실질적으로 소정의 라인을 따라 전후방으로 궤적을 그린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수의 사이클 후에 팁 운동의 위상 선도(4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 된다. 2차원 요동면의 방위는 그 직사각형의 2개의 직교축 중 하나의 방위인데, 직사각형의 각각의 축은 직사각형의 대응 쌍의 변에 평행한 그들 사이의 중간선으로서 정의된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방금 설명한 정의에 따라 변 및 축의 방위가 동일하기 때문에 직사각형의 변의 방위를 충분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골프 샤프트의 팁 운동의 위상 선도(40)는 무한 회수의 사이클을 관찰하지 않는 한은 정사각형이 아닐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무한 회수의 사이클을 관찰하는 것은 비실용적인데, 그 첫 번째 이유는 상업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고, 두 번째 이유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요동이 통상적으로 정사각형이 관찰되기 이전에 감쇠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축의 각각의 방위는 위상 선도의 준-직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을 통하여 그려지는 선이 직사각형의 대각선으로 된다고 가정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직사각형의 2개의 축을 발견한 후에, 어느 축이 주축(즉, 주요 2차원의 요동면과 대응하는 축)이고 부축(즉, 하나 또는 이상의 불안정한 2차원 요동면 중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축을 따라 요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편향된 샤프트 상에 가해진 부하를 각도의 함수로서 측정하고 최대 부하의 각도를 샤프트를 진동시키는 방향으로서 선택함으로써 결정된 방향을 따라 샤프트를 진동시킬 경우에, 상기 주축은 주요 2차원 요동면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부하 테스트(load test)"는 샤프트의 팁이나 말단, 또는 핸들이나 기단 중 어느 하나를 클램핑하고, 비클램핑 단부가 편향된 상태에서 부하를 각도의 함수로서 측정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2차원 요동면을 위치 결정하는 후속 단계는 클램핑된 단부 또는 클램핑되지 않은 단부의 편향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2차원 요동면을 위치 결정하는 후속 단계는 핸들 혹은 기단부가 클램핑된 상태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부하 테스트도 그러한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하 테스트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2차원 요동면을 찾을 수 있지만, 이 2차원 요동면은 주요 2차원 요동면이 아닐 것이다.
도 5는 팁 요동의 선도(50)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하며, 수평 축(x)을 따라 측정한 요동의 트레이스(51)와 수직 축(y)을 따라 측정한 요동의 트레이스(52)를 포함한다. 이들 트레이스로부터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로 교점을 카운팅함으로써 주파수를 그래프로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수평 및 수직 축(x, y)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각도만큼 2차원 요동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이 각도를 θ로 표시할 경우, 도 5의 선도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이 이들 축(x, y)을 따른 주파수는 안정된 2차원 요동면과 하나 이상의 불안정한 2차원 요동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축(x', y')을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좌표계로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f1 은 x축으로부터의 각도 θ에서의 주파수, 즉 x' 축을 따른 주파수이며, f2 은 y축(x축으로부터 θ+90°)으로부터의 각도 θ에서의 주파수, 즉 y' 축을 따른 주파수이다.
Figure 112001030011673-pct00001
Figure 112001030011673-pct00002
f1 이 f2 보다 클 경우에, 골프 클럽 샤프트의 안정된 2차원 요동면의 하나는 x축에 대해 각도 θ로 있게 된다. f1 이 f2 보다 작을 경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안정된 2차원 요동면의 하나는 y축에 대하여 각도 θ로, 즉 x축에 대해 θ+90°로 있게 된다. 부하 테스트를 행하고 사용하여 초기 진동 각도를 결정할 경우, 그와 같이 위치 결정된 안정한 2차원 요동면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이 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미 확인된 2차원 요동면 중 어느 것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전술한 수학적 기법은 정밀하고 정확하지만, 이는 본질적 관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계산이 철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의 위치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휨 혹은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가장 큰 방향의 방위를 결정함으로써 제1 차수의 근사값, 즉 적어도 정확한 사분면 내에 위치 결정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의 "전방" 방향을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발휘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60)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수학 계산을 실시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지만, 저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는 후술하는 간단한 반복 프로세스를 통해 실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장치(60)는 더 간단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60)는 샤프트 검사 조립체(70) 및 처리 유닛(61)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61)은 샤프트 검사 조립체(70)의 센서(77, 74)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전술한 정확한 수학 계산 혹은 후술하는 간단한 반복 계산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는 일반적인 용도의 컴퓨터,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이 바람직하며, 이 컴퓨터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크라라 소재의 인텔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PENTIUM(등록상표)와, 워신턴주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WINDOWS(등록상표) 버전의 운영 체계를 사용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로세서(61)는 또한 하드 와이어드(hard-wired) 회로 혹은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을 위치 결정하는 데 필요로 하는 함수가 제공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일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프로세서(61)는 메모리(63)와 대용량 저장 장치(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 검사 조립체(70)는 적어도 골프 클럽 샤프트와 같은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베이스(7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71)의 일단부에는 디플렉터 장치(73) 및 만곡 로드 센서(74)를 구비하는 측정 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71)의 타단부에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 척(76)을 포함하는 샤프트 유지 및 회전 장치(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60)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테스트 중에 골프 클럽 샤프트의 말단에 장착되어 디플렉터 장치(73)와 협동하는 팁 질량(tip mass) 및 센서 조립체(77)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유지 및 회전 장치(75)는 통상적인 형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샤프트의 외주 둘레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골프 클럽 샤프트를 유지하는 형태의 회전 척(76)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척(76)은 베어링(81)에 저널된 액슬(80)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81)은, 검사할 골프 클럽 샤프트와 상기 척(76)의 축의 연장에 의해 액슬(80)의 회전축이 베이스(71) 위에서 예정된 높이에 있도록 지지부(8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척(76)에서 멀리 떨어진 액슬(80)의 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위치 센서로서 사용되는 전위차계(84)에 유니버설 조인트(83)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83)는 액슬(80)의 축과 전위차계(84)의 샤프트 사이의 임의의 오정렬에 의해 전위차계(8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가동 너트(85)는 액슬(80)에 마련되어 액슬(80)의 회전을 한정하기 위한 회전 정지부로서 작동하여, 전위차계(84)의 과회전에 의해 초래되는 손상을 방지한다. 수동으로 척(76)을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모터(86)를 옵션으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척(76)이 회전할 때 그것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램프(87)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87)는 척(76)의 회전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소정의 마찰식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88)는 클램프(87)의 턱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장치(72)는 베이스(71)에 장착된 베이스판(90)을 포함한다. 코네티컷주 스탬포드 소재의 오메가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모델 LCAE-2KG 등의 로드 셀(91)이 베이스판(90)에 장착되며, 샤프트의 팁 구속용 아암(92)이 후술하는 용도에 따라 베이스판(90)의 반대인 로드 셀(91)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측정 장치(72)는 베이스판(90)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디플렉터 아암(9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디플렉터 아암(93)은, 최소한 일측면(30)이 베이스판(90)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되고, 베이스판(9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94)을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디플렉터 아암(93)은 양호하게는 그것의 측면(930)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931)를 구비한다. 돌출부(931)는, 후술하는 이유에 따라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의 측면(100)과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의 측면(101)와의 각도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관계를 측면(930)에 대해 유지하는 축(9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면하는 표면(9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말단에서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약 190 내지 약 220그램 사이의 질량, 양호하게는 약 200그램의 질량을 갖는 본체(1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질량을 갖는 상이한 타입의 클럽 헤드를 보다 면밀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상이한 질량이 변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자체의 변환기 세트를 필요로 하고 또 이 데이터에 기초로 하여 상이한 계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샤프트가 편향되어 검사 중에 요동할 때, 골프 클럽 샤프트의 단부 상에 전술한 본체(102)를 마련함으로써, 스윙 중의 클럽 헤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샤프트의 요동이 감쇠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반작용 질량(reaction mass)"을 제공하게 된다. 변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변환기는 2개의 상이한 축을 따라 정렬된 가속도계(103, 104), 예컨대 뉴욕주 암허스트 소재의 Kistler Instrument Corporation에서 시판하는 모델명 8303A 등의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2개의 축이 서로에 대해 직교하지만 이들 축 사이의 각도 관계를 알고 있는 한은 반드시 직교할 필요는 없으며, 가속도계(103, 104)에 의해 기록된 운동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2개의 수직 성분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2개의 축은 베이스(71)에 대해 평행하고 수직하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팁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고정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이 고정 구조체는 본체(102)에 평균 골프 클럽 샤프트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그 속에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보어(105)와, 본체(102)를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세트 스크류(106)를 포함한다. 변형예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소정의 형태의 퀵-릴리스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의 측면(100, 101)의 방위 사이의 상호 관계는 디플렉터 아암(93)의 표면(930, 932)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100, 101)을 표면(930, 932)에 맞닿게 위치시킴으로써 매 테스트마다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가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정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골프 클럽 샤프트를 테스트하기 위해, 샤프트(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76)에 장착되어 있다. 그 다음, 샤프트(110)의 팁 혹은 말단을 편향시켜 도 11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팁 구속용 아암(92)의 립(lip: 120) 아래에 구속시킴으로써, 샤프트(110)를 일직선으로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복원력을 로드 셀(91)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복원력을 컴퓨터(61)에 의해 각도의 함수로서 기록하면서 척(76)을 수동으로 혹은 프로세서(61)의 제어하에서 모터(86)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복원력을 기지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위차계(84)에 의해 결정한다. 공지의 분압기(voltage divider) 기법에 의해, 저항 변화는 전압 변화로 변환되어 각도로 전환될 수 있다.
상향 복원력이 최대가 될 때, 주요 2차원 요동면의 "하드"측을 나타내는 샤프트의 최대 비대칭 지점은 상향으로 면하게 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즉 "하드"측은 최대 복원력을 측정할 때 상향으로 면하는 사분면 내에 있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최대 복원력의 각도는 테스트의 이러한 정적인 부분에서 기록되고, 동적인 테스트의 나머지가 실행된다.
테스트의 동적인 부분에서, 골프 샤프트(110)의 팁 혹은 말단은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와 함께 정위치에서 요동한다. 테스트의 정적인 부분에서는 수직으로 편향되고, 테스트의 동적인 부분에서는 대개 수평으로 편향되지만, 테스트의 정적인 부분 혹은 동적인 부분중 어느 하나에 임의의 방향을 사용할 수도 있다. 테스트의 동적인 부분에서 수평 편향이 선호되는 이유는, 첫째 팁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효과가 최소화되고, 둘째 샤프트를 베이스(71)에 부딪히지 않고 요동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테스트의 동적인 부분이 개시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척(76)이 약 90° 회전되어, 수직으로 있었던 스파인 혹은 주요 2차원 요동면의 방위가 이제 수평으로 된다.
전술한 장치에 있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가 골프 클럽 샤프트(110)에 적용되고, 그 샤프트에 수평 임펄스가 부여된다.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핸들 혹은 기단부(111)가 척(76)에 유지되고, 디플렉터 아암(93)이 직립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의 본체(102)에 형성된 보어(105)는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 혹은 말단(112)에 위에 배치된다. 그 다음,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는 본체(102)의 표면(100, 101)이 디플렉터 아암(93)의 표면(930, 932)에 맞닿게 견고하게 안착될 때까지 조작되어, 가속도계(103, 104)를 예정된 소망의 방위로 둔다. 가속도계(103)가 점유하지 않은 표면(100)의 일부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가속도계(103)는 본체(102)의 안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속도계(103, 104)가 와이어(62)에 의해 프로세서(61)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연결(도시 생략)도 가능하다.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112)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930)에 대향하는 디플렉터 아암(93)의 측면(120)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에 양호하고 실질적으로 수평의 임펄스가 공급되며, 그 후 양호하게는 갑작스런 이동 시에, 디플렉터 아암(93)이 직립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피벗되고, 편향된 골프 클럽 샤프트(110)에서의 복원력은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이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와 함께 진동하기 시작하도록 수평 임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팁(112)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디플렉터 아암(93)의 피벗뿐만 아니라 디플렉터 아암(93) 뒤의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초기 편향을 수동으로 달성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운동의 필요한 수평 및 수직 성분을 제공하는 적절한 기어 장치 혹은 링크 기구(124)를 통하여 모터(123)에 의해 구동되며 핑거(122)를 지지하는 아암(121)을 사용하여,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112)을 중립 위치(1200)로부터 디플렉터 아암(93) 뒤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핑거(122)에 의해 팁(110)의 수직 및 수평 운동 모두를 수반할 수도 있고, 모터(125)가 디플렉터 아암(93)을 경로로부터 일시적으로 피벗시킨 다음에, 디플렉터 아암(93)을 직립 위치로 복원시키는 중에 핑거(122)를 단독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요동을 개시시키는 디플렉터 아암(93)의 피벗 이동은 수동 행하는 대신에 모터(12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샤프트(110)를 디플렉터 아암(93)의 뒤로 편향시킨 후에 아암(93)을 해제하여 임펄스를 가하는 대신에, 수평 플런저 혹은 램(ram : 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를 신속하게 단시간 동안 타격할 수 있다.
각각의 가속도계(103, 104)는 2개의 각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의 가속도를 기록하며, 이들 가속도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수평 및 수직이다. 그러나, 알고 있는 한은 임의의 2개의 방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평 및 수직 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가속도를 시간에 대해 적분하여 수평 및 수직 변위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가속도계(103, 104)를 사용하는 대신에, 예컨대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의 단부 상에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종축 방향을 따라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혹은 발광 다이오드(도시 생략) 등의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변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감광 검출기 어레이(도시 생략)가 검출기 어레이 상에서 팁(112)의 이동을 추적하여 그 변위를 직접 기록하는 발산된 광 빔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하고 변위 및 주파수 데이터를 유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요동면이 놓이는 유리한 각도 방위를 수학적으로 결정하도록 사용한다. 로드 셀(91)에 의해 결정된 예상 방위에 더 근접하는 2차원 요동면의 방향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의 "하드"측 또는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스파인으로 간주되며, 이는 클럽 헤드 페이스에 대해 수직이거나, 그 헤드 페이스에 마주하거나, 또는 헤드 페이스에 대하여 임의의 다른 예정된 방위로 정렬되어야 한다. 그러나, 2차원 요동면의 하드측이 클럽 헤드 페이스를 향하는지 반대로 향하는지에 상관없이 골프 클럽 샤프트(110)를 클럽 헤드 페이스에 대해 소망의 방위로 있는 2차 요동면과 정렬시키는 것이 2차원 요동면이 클럽 헤드 페이스에 대해 무작위의 방위로 있는 것보다 유리한 경우에, 또한 임의의 2차원 요동면이 주요 2차원 요동면이 아닐 경우에도 그 요동면을 클럽 헤드 페이스와 정렬시키는 것이 무작위의 방위보다 유리한 경우에는, 로드 셀 테스트를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주요 2차원 요동면이 아닌 무작위의 2차원 요동면이 골프 클럽 세트의 각 클럽 샤프트에 대해 발견되면, 그와 같이 각 샤프트에 대해 반견된 2차원 요동면이 대응하는 클럽 헤드에 대해 유사하게 정향되어 있을 경우에도 그 클럽 세트가 균일하게 정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없다.
스파인의 위치가 정해지면, 샤프트(110)는 스파인의 방위 또는 적어도 2차원 요동면을 표시하기 위해 마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킹은 안료(즉, 페인트 혹은 잉크)를 샤프트(1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마킹 팁(131)을 구비한 잉크 마커(13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양호한 방위가 결정된 후에, 샤프트(110)는 양호한 방위를 마킹 팁(131)과 정렬시킨 다음 마킹을 샤프트(110)에 도포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면 부호 130은 페인트 저장조를 표시하고, 도면 부호 131은 페인트 브러쉬를 표시한다. 변형예에 따르면, 샤프트(110)의 마킹은, 지향성 에너지 빔 또는 입자 빔을 사용하여 샤프트(110)의 표면에 마킹을 에칭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도면 부호 130이 고에너지 레이저를 나타낼 경우에 도면 부호 131은 레이저 빔을 표시하며, 130이 전자 건(gun)을 나타낼 경우 도면 부호 131은 전자 빔을 표시하게 된다. 대안으로, 샤프트(110) 또는 마킹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샤프트의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상의 마킹은 점 대신에 선으로 되어 그 식별력이 증대된다.
바람직한 방위(즉, 임의의 2차원 요동면 혹은 주요 2차원 요동면 혹은 "스파인")의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60)를 사용하는 양호한 방법(140)이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140)은 전술한 로드 테스트 141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테스트는 로드 셀(91)을 사용하여 주요 2차원 요동면의 방위를 예측하고, 적어도 주요 2차원 요동면의 두 측면 중 어느 면이 2차원 요동면의 "하드"측인지를 식별한다. 특히 주요 2차원 요동면이 아닌 임의의 2차원 요동면을 찾고자 할 경우에만 로드 테스트(141)를 생략할 수 있다. 로드 테스트(141)를 실행할 경우에, 그 결과가 이하의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단계(143)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사용된다. 대안으로, 로드 테스트(141)는 샤프트의 대칭성을 측정하기 위해 직립형 베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로드 테스트(141)를 실행한 후에, 선택 사항인 "로고 업(logo up)" 테스트(142)를 실행한다. 통상의 골프 클럽들에는 일반적으로 샤프트 상에 인쇄되는 제작자의 로고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로고는 클럽 헤드 페이스를 향하고 있어 이를 "로고 업" 배치라고 칭한다(일부 제작자들은 로고를 클럽 헤드 페이스로부터 180°멀어지게 정렬시키기도 하는데, 이를 "로고 다운" 배치라 칭하며, 그 외의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로고가 샤프트 외주의 임의의 위치에 인쇄되기 때문에, "로고 업" 정렬은 순전히 무작위적이다. 로고 업 테스트(142)는 단지 공장에서 제작한 골프 클럽 샤프트의 방위에서 그 샤프트의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 절차(143)를 후속 단계로 실행한다. 이 절차(143)를 완료된 후에, 이미 원하는 방위가 발견된 골프 샤프트에 관한 여러 변수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인쇄하는 옵션의 리포트 인쇄 단계(144)를 실행한다. 끝으로, 옵션의 저장 단계(145)에서 상기 단계 141 내지 144에서 얻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즉, 대용량 기억 장치(64)에 저장〕.
도 15에는 로드 테스트 단계(141)가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단계 150에서, 골프 클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골프 클럽 샤프트(110)를 임의의 개시 각도로 척(76)에 배치한다.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112)은 편향되어 샤프트 팁 구속용 아암(92) 아래에서 구속되기 때문에, 편향된 샤프트(110)에서의 복원력이 로드 셀(91)에 의해 측정된다. 샤프트는 수동으로 편향 및 고정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편향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한 운동의 수평 및 수직 성분을 제공하는 적절한 기어 혹은 링크(129)를 통해 모터(128)에 의해 구동되는 핑거(127)를 지지하는 아암(126)은 골프 클럽 샤프트(110)의 팁(112)을 중립 위치(1200)로부터 구속용 아암(92) 아래의 위치(1201)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팁(112)이 샤프트 팁 구속용 아암(92)의 아래에 있으면, 단계 151에서 척(76)은 (음의 회전 방향으로 지시될 수 있는) 일방향으로 약 200°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 152에서, 로드 셀(91)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각도의 함수로 기록하면서 척(76)을 (양의 회전 방향으로 지시될 수 있는) 반대 방향으로 적어도 360°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152에서, 척(76)을 약 400°회전시키고, 40°(양호하게는 처음 20° 및 마지막 20°)가 줄어든다. 그러나, 대안으로, 데이터가 적어도 360°에 걸쳐 기록되는 한은 단계 151의 역회전을 생략할 수 있고, 데이터가 360°이상에 걸쳐 기록될 경우에, 360°이상의 임의의 회전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부분(초기에 모두, 말기에 모두, 또는 초기 및 말기의 임의의 조합)은 360°가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줄어들 수도 있다.
단계 153에서는, 단계 152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검사하며, 로드 셀(91)에 의해 측정된 최대 로드와 일치하는 각도 A를 결정한다. 필요에 따라, 각도의 함수인 상기 로드를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154에서,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 테스트(143)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시 각도(S)를 A-90°로 설정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부터 수평으로 방위의 변화를 로드 테스트(141)와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테스트(143) 사이로서 간주한다.
로드 테스트(141)를 완료한 후에, 도 16에 상세히 도시한 "로고 업" 테스트(142)를 행할 수 있다. "로고 업" 테스트의 목적은 주로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 테스트(143)를 행한 후 얻어지는 "후(after)" 결과와 "전(before)"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로고 업" 테스트(142)는 옵션이다. 특히, "로고 업" 테스트(142)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재정렬함으로써 얻어지는 개선점을 나타내기 위해 수리용 부품 시장에서, 즉 골프 클럽 수선자에 의한 판매 촉진 수단으로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로고 업" 테스트는 "스파인 정렬된" 골프 클럽을 제조하는 골프 클럽 제조업자에 의해서는 아마도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이는 비교 데이터를 보여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로고 업" 테스트(142)는 단계 160에서 시작하며, 이 단계에서 골프 클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었던 골프 클럽 샤프트(110)를 척(76)에 배치한다. 골프 클럽 샤프트가 이미 완전한 골프 클럽의 일부였다면, 샤프트(110)는, 스윙의 개시 전에 클럽이 골퍼에 의해 볼 근처에 위치 결정되는 것과 동일하게, 그 샤프트가 골프 클럽에서 지향되는 방위로 척(76)에 배치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는 제작자의 로고가 위를 향하는 상태로, 종종 로고가 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또는 무작위 방위로 있는 상태에서 실행될 것이다. 골프 클럽의 일부가 아니었던 골프 클럽 샤프트 상에서 테스트(142)를 행할 경우에, 그 샤프트는 "로고 업" 상태에서 테스트된다. 그 다음,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를 샤프트(110)의 팁(112) 상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단계 161에서,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에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임펄스를 가하고, 직교하는(양호하게는 수평 및 수직의) 가속도 데이터를 바람직하게는 약 4초 동안 수집한다. 이들 데이터를 단계 162에서 적분하여 시간 함수로서 직교하는(양호하게는 수평 및 수직의) 변위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 데이터는 샤프트의 스파인 정렬 후의 결과와 나중에 비교하기 위해 단계 163에서 저장될 수도 있고, 이 샤프트(110)를 부품으로 하는 골프 클럽의 오너에게 표시하도록 단계 163에서 그래픽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최대의 평면 이탈 변위, 즉 양호하게는 최대 수직 변위는 골프 클럽의 오너에게 표시되도록 단계 163에서 저장되어도 좋다. 이제 테스트(142)가 완료되었다.
그 다음, 시스템은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 테스트(143)를 진행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143)는 단계 170에서 시작하며, 이 단계에서 카운터(J)는 영으로 초기화 된다. 그 다음, 단계 171에서, 여전히 샤프트(110)를 유지하고 있는 척(76)이 이미 계산된 개시 각도(S)로 회전한다. 개시 각도가 계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테스트(143)를 임의의 각도에서 시작한다.
단계 172에서,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가 팁(112)에 미리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이들을 팁에 부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팁 질량 및 센서 조립체(77)에 직교하는(양호하게는 수평 및 수직의) 임펄스를 가하고, 가속도 데이터를 양호하게는 약 4초 동안 수집한다. 이들 데이터는 단계 173에서 적분되어 직교(양호하게는 수평 및 수직)하는 변위 데이터를 시간의 함수로서 산출한다. 단계 174에서, 카운터(J)는 1씩 증가된다. 테스트 175에서 시스템은 J=1 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해 테스트한다. 제1의 시도 시에, J=1 이면, 시스템은 단계 177로 직접 넘어간다.
단계 177에서, 상기 시스템은 변수 YMAX(J)를 단계 173으로부터의 최대 평면 이탈 편차값에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그 다음, 시스템은 J=1 인지를 결정하는 테스트 178을 진행하며, 이는 루프의 제1 패스(pass)를 의미한다. 루프의 적어도 3개의 패스가 항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178에서 J=1 이면, 단계 179에서 각도 S는 10°씩 증가된다. 단계 1700에서, S를 +180°와 -180°사이에 유지하기 위해, 만약 S>180°이면 S를 S-360°로 설정한다. 그 다음, 단계 1701에서, 수평 및 수직 요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데, 이는 단계 173으로부터의 변위 대 시간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 데이터는 보통 골프 클럽 샤프트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들 데이터는 비교에 유용하다.
단계 1701 이후에, 본 시스템은 단계 172로 돌아가 단계 172 내지 단계 174를 다시 반복한다. 이 때, 테스트 175에서, J≠1 이면, 단계 176에서, 단계 17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각도 S와 함께 저장하며, 시스템은 단계 177을 진행한다. 다시, 단계 177에서, 변수 YMAX(J)를 단계 173으로부터의 최대 평면 이탈 편차값과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이 때, 테스트 178에서, J≠1 이면, 시스템은 J=2 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 1702를 진행한다. 이러한 제2 패스에서, J=2 이고, 본 시스템은 YMAX(J)>YMAX(J-1) 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 1703을 진행한다. YMAX(J)>YMAX(J-1)이 아니면, 이것은 이러한 반복 루프에서 평면 이탈 편차가 더 작아지고, 각도 S는 양호한 방위, 즉 2차원 요동면에 더 가까워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 1704에서, 변수 SIGN은 +1로 설정되고, 변수 AMP는 1.0으로 설정되며 시스템은 단계 1706을 진행하게 된다. 이 테스트에서, YMAX(J)>YMAX(J-1)이면, 이것은 이러한 반복 루프에서 평면 이탈 편차가 더 커지고, 각도 S는 2차원 요동면에서 더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 1705에서, 변수 SIGN은 -1로 설정되고, 변수 S(J)S(J-1)로 설정되며, 변수 YMAX(J)는 변수 YMAX(J-1)의 값으로 설정되고, 그 다음 변수 YYMAX(J)로 설정되며, 변수 AMP는 다시 1.0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시스템은 단계 1706을 진행하게 된다. 단계 1704 혹은 단계 1705 중 어느 하나에서, AMP는 더 빨리 수렴하지만 덜 정확한 결과를 유도하도록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정확도의 증가는 덜하지만 수렴하기 전의 반복 회수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속도와 정확도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게 된다.
단계 1706에서, 상기 시스템은 변수 POP=SIGN(45-(90/π)cos-1(Y/AMP))를 계산하고, 단계 1707에서 S의 값을 S+POP로 설정한다. 단계 1708에서, S를 +180°내지 -180°사이에 유지하기 위해, 만약 S>180°이면 S를 S-360°로 설정한다. 이와 유사하게, 단계 1709에서, 각도 S를 +180°내지 -180°사이에 유지하기 위해, 만약 S<-180°이면 S를 S+360°로 설정한다. 그 다음, 시스템은 주파수를 계산하기 위해 단계 1701로 돌아가 단계 172를 한번 더 반복한다. 이 때, 테스트 178에서 J≠1이고 테스트 1702에서 J≠2인 제3의 패스에서, 시스템은 YMAX(J)>YMAX(J-1) 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 1701로 진행한다. YMAX(J)>YMAX(J-1)이면, 그 값을 수렴시키고 시스템은 "로고 업" 테스트(142) 중에 최종 반복 YMAX(J-1)에서의 평면 이탈 편차가 최대 평면 이탈 편차보다 더 작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 1711로 진행한다. 그 등식을 만족한다면, 현재의 방위가 양호한 방위로 되고, 단계 1712에서 양호한 방위를 나타내는 변수 POP를 현재의 방위를 나타내는 변수 S의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1713에서, 샤프트 주파수를 단계 1701에서와 같이 계산하고, 테스트 143을 단계 1714에서 종료한다.
만약 테스트 1711에서, 최종 반복 YMAX(J-1)에서의 평면 이탈 편차가 "로고 업" 테스트(142) 중의 최대 평면 이탈 편차 이상이면, 단계 1715에서 양호한 방위를 나타내는 변수 POP를 "로고 업" 각도로 설정한다. 단계 1713에서, 샤프트 주파수를 단계 1701과 마찬가지로 다시 계산하고 테스트 143을 단계 1714에서 종료한다.
테스트 1710에서, YMAX(J)>YMAX(J-1)이면, 그 값은 수렴하지 않으며, 단계 1716에서 Y를 YMAX(J)의 값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시스템은 단계 1706에서 POP를 다시 계산하고 그 곳에서부터 적어도 1회의 루프를 반복한다.
옵션의 "로고 업" 테스트(142)가 실행되지 않고, 테스트 1710이 수렴을 나타낼 경우에, 테스트 1711은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은 직접 테스트 1710에서부터 단계 1712를 진행한다.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테스트(143)를 완료한 후, 시스템은 리포트 인쇄 단계(144)를 진행하며, 이 단계에서 다음의 데이터 값이 인쇄된다(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즉, 각도의 함수로서의 로드(로드 테스트 141에서 결정); 샤프트의 강성 변동성의 측정치인 로드 대칭 지수(LSI)(LSI=100(1-((Pmax-Pmin)/Pmax))(여기서, Pmax 와 Pmin은 단계 152에서 각각 측정한 최대 및 최소 로드임); "로고 업" 각도에서의 변위 플롯; POP 각도에서의 변위 플로트; "로고 업" 각도, "하드" 및 "소프트" POP 각도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변위(후자의 2개는 정확히 180°떨어져 있어야 함); "로고 업" 및 POP 각도에서의 수평 및 수직 주파수와, 최대 평면 이탈 편차; 그리고 "로그 업" 각도에서의 수평 주파수에 대한 POP 각도에서의 수평 주파수의 비와 동등한 주파수 지수로서, 이 지수는 골프 클럽 고유의 "로고 업" 배치와 스파인 정렬식 배치 사이에 있는 것과 같이 타격 방향으로 강성의 백분율 향상의 형식으로 나타낸 비교 측정치이다.
그 다음, 단계 145에서 데이터를 세이브한다. 풀 세이브(full save)의 경우에, 모든 데이터를 세이브한다. 양호하게는, 완전한 로드 대 각도 데이터와 "로고 업" 및 POP 각도에서의 완전한 변위 데이터를 제외하고, 단계 144에서 인쇄한 데이터 전부가 세이브되는 "퀵 세이브(quick save)"가 또한 있다. 세이브 단계 145에 후속하여 프로세스(140)가 단계 146에서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스파인 정렬식" 골프 클럽을 생산하기 위한 골프 클럽 조립용 대형 프로세스 혹은 장치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인의 위치, 양호하게는 방위 혹은 2차원 요동면("하드"측을 표시하기 위해 마크가 새겨져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 있음)에 대한 예정된 위치에 참조 마크가 새겨져 있는 골프 클럽 샤프트(110) 각각은, 샤프트 상의 마킹을 식별하고, 그 마킹을 이용하여 스파인 혹은 양호하게는 2차원 요동면을 골프 클럽 페이스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골프 클럽을 조립하는 골프 클럽 조립 스테이션으로 통과할 수 있다. 골프 클럽 조립 스테이션과 비교되는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장치(60)의 상대 속도에 따라서,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스테이션 또는 조립 스테이션이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2차원 요동면 위치 결정 스테이션(60)이 단일의 골프 클럽 조립 스테이션을 이송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조립 스테이션이 감속하거나 정지할 경우, 혹은 샤프트가 도달하는 순간 새로운 골프 클럽 샤프트(110)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버퍼 역할을 하도록 골프 클럽 조립 스테이션에 호퍼를 설치할 수 있다.
골프 클럽 조립 스테이션에는, 2차원 요동면의 위치 결정을 표시하는 골프 클럽 샤프트(110) 상의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스캐너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크를 식별하면, 샤프트(110)에 고정된 골프 클럽 헤드의 종류에 적합한 예정된 방위에 상기 마크가 있게 되도록 샤프트(110)를 회전시키고, 샤프트(110)가 골프 클럽 헤드에 조립될 때 골프 클럽 헤드는 예정된 방위로 유지된다.
대안으로, 각각의 골프 클럽 헤드에 골프 클럽 샤프트(110) 상의 마킹과 정렬되어야 할 정렬 마킹이 제공되어도 좋다. 스캐너는 샤프트(110)와 골프 클럽 헤드 모두의 정렬 마크를 검사하고 이 2개의 마크가 정렬될 때까지 샤프트(110)를 회전시킨다. 이는 마킹된 샤프트와의 정렬을 위해 상이한 종류의 골프 클럽 헤드 각각에 유지되어 있는 특정의 방위를 알기 위한 골프 클럽 헤드 유지용 메카니즘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그 대신, 각각의 골프클럽 헤드는 동일한 방위로 유지할 수 있고, 샤프트(110)의 조립을 위해 가까워짐에 따라, 샤프트(110)가 골프 클럽 헤드에 결합되기 전에 샤프트(110) 상의 마킹과 골프 클럽 헤드 상의 마킹이 정렬될 때까지 샤프트(110)는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골프 클럽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180)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80)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6)(하나만 도시)와, 완성된 샤프트(110)를 장치(60)로부터 이동시켜 호퍼(182)에 적재하기 위한 컨베이어(181)와, 각각의 샤프트(110)를 호퍼(182)로부터 조립 스테이션(184)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183)와, 그리고 조립 스테이션(184) 자체를 포함한다.
조립 스테이션(184)에서, 모터(도시 생략)에 연결된 아암(185)을 포함하는 공급 장치(183)는 샤프트(110)의 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척(76)과 유사한 척(190)으로 샤프트(110)를 이송한다. 그리퍼(191: gripper)가 정렬 마킹(193)이 새겨져 있을 수도 있지 새겨지지 않을 수도 있는 골프 클럽 헤드(192)를 유지하며, 정렬 마킹(193)이 없을 경우 골프 클럽 헤드(192)는 이것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공지의 위치에서 그리퍼(191)에 의해 유지된다. 스캐너(194)는 척(190)이 회전할 때 샤프트(110)의 마킹(195)을 스캔한다. 스캐너(194)가 마킹(195)을 식별할 때, 프로세서(61)는 마킹(195)을 스캐너(196)에 의해 배치된 정렬 마킹(193)과 혹은 골프 클럽 헤드(192)를 위한 예정된 방위와 정렬시키도록 척(190)에게 명령을 내린다. 그 다음, 척(190)과 그리퍼(191)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함께 이동하고, 접착제, 페룰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다른 종래의 방법에 따라 샤프트(110)를 골프 클럽 헤드(192)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골프 클럽 샤프트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결정하고, 또 각각의 해당 골프 클럽 샤프트를 대응하는 클럽의 페이스에 대해 일관성 있게 정렬시킨 상태로 골프 클럽을 자동적으로 조립시키기 위해 유리한 각도 방위의 결정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주목하기 바란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한 양호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변형예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26)

  1.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angular orientation)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운동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는 상기 기단부이며,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는 상기 말단부인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 개시 단계 이전에 상기 말단부 상에 반작용 질량(reaction mass)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 개시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임펄스를 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 개시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임펄스를 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종축에 대해 직각인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시간에 대해 측정된 변위를 기초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를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를 재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의 후속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개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및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후속 진동 운동을 기초로 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해제 단계와,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재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및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계산이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각각의 후속 진동 운동을 기초로 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하드측(hard side) 방위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말단부를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중에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측정된 최대의 힘과 연관된 각도 변위를 상기 하드측 방위로서 특정하는 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계산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고정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의 개시 방향은 상기 하드측 방위인 것인 방법.
  18.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하드측 방위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를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 단부를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중에 상기 변위된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측정한 최대의 힘과 연관된 각도 변위를 상기 하드측 방위로서 특정하는 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운동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예정된 각도 방위가 종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각위치로 있도록 상기 고정된 골프 클럽 샤프트를 정렬하는 단계와,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의 제2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선택된 방향으로의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가 종축에 대해 상기 미리 선택된 각위치로 있도록 상기 고정된 골프 클럽 샤프트를 재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의 제3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향으로의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의 상기 주파수에 대한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의 상기 주파수의 비율로서 주파수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3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상기 단계와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2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상기 단계와 제2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제3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상기 단계와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2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상기 단계와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택된 각위치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것인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것인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각도 방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 상의 제작자 로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25.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진동 발생기와,
    상기 진동 운동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측정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프로세서
    를 구비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에 의한 상기 진동 발생 개시 이전에 상기 말단부 상에 장착되는 반작용 질량을 더 구비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반작용 질량에 장착되는 것인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것인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되는 구속부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로부터 해제시키는 릴리스(release)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 내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것인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되는 구속부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로부터 해제시키는 릴리스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 내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장치.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2개의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인 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에 대해 측정한 상기 변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것인 장치.
  3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속부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힘 변환기와,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메모리
    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측정 중에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한 최대의 힘과 관련된 각도 변위를 하드측 방위로 특정하는 것인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중에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한 이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기 이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하드측 방위로 상기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4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도록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마련하기 위한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만들기 위해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안료를 도포하는 것인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에칭하는 것인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기계적으로 에칭하는 것인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만들기 위해 지향성 에너지 빔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에너지 빔 발생기는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5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예정된 각도 방위가 상기 종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각위치로 있도록 상기 고정된 골프 클럽 샤프트가 정렬될 때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의 제2의 진동 운동을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개시하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가 상기 종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각위치로 있도록 상기 고정된 골프 클럽 샤프트가 정렬될 때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의 제3의 진동 운동을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개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제2 및 제3의 진동 운동의 주파수를 선택된 방향으로 측정하기 위한 주파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의 상기 주파수에 대한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의 상기 주파수의 비율로서 주파수 지수를 계산하는 것인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을 개시한 후에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3의 진동 운동을 개시한 후에 상기 제2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택된 각위치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것인 장치.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것인 장치.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각도 방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 상의 제작자 로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장치.
  57. 골프 클럽 샤프트와 골프 클럽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유리한 각도 방위를 갖는 골프 클럽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 결정 단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운동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예정된 관계로 있는 상태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를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1의 단부는 상기 기단부이며,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는 상기 말단부인 것인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단계 이전에 상기 말단부 상에 반작용 질량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를 가하는 단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5. 제64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인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시간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변위를 기초로 하는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7. 제57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를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를 재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의 후속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및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후속 진동 운동을 기초로 하는 것인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재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및 상기 계산 단계는, 상기 계산이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로 수렴할 때까지 상기 각각의 후속 진동 운동을 기초로 하는 것인 방법.
  6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도록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0. 제57항에 있어서, 하드측 방위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말단부를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중에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측정한 최대의 힘과 연관된 각도 변위를 상기 하드측 방위로서 특정하는 단계에 의해 실행되는 것인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계산 단계 이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고정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의 개시 방향은 상기 하드측 방위 것인 방법.
  7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예정된 관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와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 사이의 예정된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는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인 방법.
  76. 골프 클럽 샤프트와 골프 클럽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유리한 각도 방위를 갖는 것인 골프 클럽을 조립하는 조립 장치로서,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방위 검출기와,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가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대해 예정된 관계로 있는 상태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를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결합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방위 검출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진동 발생기와,
    상기 진동 운동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측정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에 의한 상기 진동 개시 이전에 상기 말단부 상에 장착되는 반작용 질량을 더 구비하는 장치.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반작용 질량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장치.
  80.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것인 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속부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로부터 해제시키는 릴리스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 내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83.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임펄스를 가하는 것인 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속부와,
    상기 변위된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로부터 해제시키는 릴리스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구속부 내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장치.
  86.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 중 한 방향으로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인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에 대해 측정한 상기 변위를 기초로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것인 장치.
  90.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시키는 구속부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힘 변환기와,
    그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측정 중에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한 최대의 힘에 연관된 각도 변위를 하드측 방위로 특정하는 것인 장치.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중에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92.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93.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한 이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94.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기 이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하드측 방위에서 상기 진동 운동을 개시하는 것인 장치.
  96.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식별 가능한 표시를 제공하는 마커를 더 포함하는 장치.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만들기 위해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안료를 도포하는 것인 장치.
  98.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에칭하는 것인 장치.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기계적으로 에칭하는 것인 장치.
  100.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에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만들기 위해 지향성 에너지 빔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에너지 빔 발생기는 레이저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2.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예정된 관계는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와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 사이의 예정된 각도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상기 예정된 각도 관계로 있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와 정렬시키는 정렬기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에 수직으로 정렬하는 것인 장치.
  104.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는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페이스에 인접하는 페이스 정렬 마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정렬기는 상기 식별 가능한 표시를 상기 페이스 정렬 마킹과 정렬시키는 것인 장치.
  105.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결합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도록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진동 운동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 상에 장착하는 반작용 질량(reaction mass)과,
    상기 진동 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반작용 질량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측정된 진동 운동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장치.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 중 한 방향으로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108.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인 장치.
  109.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에 대해 측정한 상기 변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는 것인 장치.
  110.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의 진동 운동을 개시하도록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에서 고정되어, 상기 진동 운동을 기초로 하여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며,
    상기 진동 운동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 상에 장착되는 반작용 질량과,
    상기 진동 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반작용 질량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말단부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는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방향 중 한 방향으로의 시간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것인 장치.
  113.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방향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인 것인 장치.
  114.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비대칭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에서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위된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된 단부를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 중에 상기 변위된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각도 변위와 연관된 상기 측정된 힘으로부터 상기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5.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단계는,
    각도 변위와 연관된 상기 측정된 힘으로부터 최대 힘 Pmax와 최소 힘 Pmin을 선택하고,
    상기 지수(LSI)를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LSI=100(1-((Pmax-Pmin)/Pmax))
  116.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비대칭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2의 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는 구속부와,
    상기 말단부와 상기 기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힘 변환기와,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메모리와,
    각도 변위와 연관된 상기 측정된 힘으로부터 상기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상기 제2의 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측정 중에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되는 것인 장치.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도 변위와 연관된 상기 측정된 힘으로부터 최대 힘 Pmax와 최소 힘 Pmin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지수(LSI)를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지수를 계산하는 것인 장치.
    LSI=100(1-((Pmax-Pmin)/Pmax))
  118. 골퍼가 파지하는 기단부와 골프 클럽 헤드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골프 클럽 샤프트의 하드측 방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골프 클럽 샤프트의 종축의 주변의 유리한 각도 방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골프 클럽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 중 제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종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는 구속부와,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부터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힘 변환기와,
    측정된 힘을 각도 변위와 연관시키는 메모리와,
    각도 변위와 연관된 상기 측정된 힘으로부터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측정 중에 적어도 약 360°의 각도 변위로 회전되는 것인 장치.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한 최대의 힘과 연관된 각도 변위를 하드측 방위로 특정하는 것인 장치.
  120.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중에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121.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를 상기 변위된 조건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122.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한 이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123. 제1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리한 각도 방위를 계산하기 이전에 상기 하드측 방위를 특정하는 것인 장치.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KR1020017014742A 1999-05-20 2000-05-19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0637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01299P 1999-05-20 1999-05-20
US60/135,012 1999-05-20
US09/494,525 2000-02-01
US09/494,525 US6572488B1 (en) 1999-05-20 2000-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ligning golf club shaft sp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198A KR20020018198A (ko) 2002-03-07
KR100637092B1 true KR100637092B1 (ko) 2006-10-23

Family

ID=2683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742A KR100637092B1 (ko) 1999-05-20 2000-05-19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5) US6572488B1 (ko)
EP (1) EP1194192B1 (ko)
JP (1) JP2003500127A (ko)
KR (1) KR100637092B1 (ko)
CN (1) CN1313176C (ko)
AT (1) ATE422379T1 (ko)
AU (1) AU769587B2 (ko)
CA (1) CA2374016C (ko)
DE (1) DE60041539D1 (ko)
DK (1) DK1194192T3 (ko)
ES (1) ES2321155T3 (ko)
HK (1) HK1046380A1 (ko)
MX (1) MXPA01011926A (ko)
NZ (1) NZ515536A (ko)
TW (4) TW200611735A (ko)
WO (1) WO20000712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19B1 (ko) * 2008-10-06 2011-12-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결정 골프채의 제조방법
KR20150144987A (ko) 2014-06-18 2015-12-29 (주)티디지 복합형 골프 클럽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845B2 (en) * 2000-03-24 2003-09-30 Sharp Kabushiki Kaisha Cyclonic vacuum cleaner
US6873931B1 (en) * 2000-10-10 2005-03-29 Csi Technology, Inc. Accelerometer based angular position sensor
US6532818B2 (en) * 2001-04-16 2003-03-1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vibrational characteristic of a golf club shaft
US7056225B1 (en) * 2002-07-18 2006-06-06 Pipkin Eldon R Method of making a single flex matched set of golf clubs
US6748809B2 (en) * 2002-08-26 2004-06-15 Bbnt Solutions Llc Loa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7243531B2 (en) * 2003-06-06 2007-07-17 Aldi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locating neutral shaft plane
US6877201B2 (en) * 2003-07-02 2005-04-12 Karsten Manufacturing Corp. Golf club grip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07196927A (ja) * 2006-01-27 2007-08-09 Showa Corp 電動舵取装置
US20080305884A1 (en) * 2007-06-06 2008-12-11 Cameron Don T Golf club grip
US7735376B2 (en) * 2007-09-11 2010-06-1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aft torque profil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e
US7892107B2 (en) * 2007-12-21 2011-02-22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aft cap associated with golf club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s
US7808655B2 (en) * 2008-10-08 2010-10-05 The Richard M. Weiss Revocable Trust Automate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shaft
US7864342B2 (en) * 2008-10-08 2011-01-04 The Richard M. Weiss Revocable Trust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a curved surface using dual laser beams
US8337336B2 (en) 2009-11-12 2012-12-25 Sri Sports Limited Shaft fitting system
WO2015138445A1 (en) * 2014-03-10 2015-09-17 Cool Club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a cantilevered member
CN104034531A (zh) * 2014-05-26 2014-09-10 芜湖水泵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模拟实验的四爪卡紧式对中装置
CN104089779A (zh) * 2014-08-06 2014-10-08 芜湖水泵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模拟实验的螺旋推进式对中装置
JP6483986B2 (ja) * 2014-09-26 2019-03-13 株式会社アイ.エス.テイ シャフトの特定位置の変位記憶装置およびシャフトの高剛性部位特定システム
CN104874158A (zh) * 2015-06-06 2015-09-02 衡阳市嘉励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杆组立对位装置
TWI574012B (zh) * 2015-08-27 2017-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校正方法與運動器材
US20180104561A1 (en) * 2016-10-15 2018-04-19 William Alan Kostuj Golf grip hand structure efficiency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00155908A1 (en) * 2018-11-19 2020-05-21 Carter L. Penley, JR. Custom configured golf shaf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3916A (en) 1934-04-10 Apparatus fob measuring moments
US3992933A (en) 1975-08-21 1976-11-23 Randolph Jr George J Electromechanical moment-independent deflection sensor
US4169595A (en) 1977-01-19 1979-10-02 Brunswick Corporation Light weight golf club shaft
US4122593A (en) 1977-05-12 1978-10-31 Con-Sole Golf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golf club shafts
US4168595A (en) * 1977-11-11 1979-09-25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US4558863A (en) 1981-01-02 1985-12-17 Acushnet Company Golf club shaft
DE3244464A1 (de) 1982-12-01 1984-06-07 Joachim Dipl.-Ing. 6930 Eberbach Leger Werkstoff- und bauteil-pruefmaschine
JPS6228639A (ja) 1985-07-31 1987-02-06 Maruman Golf Kk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撓みとねじれの合成硬さ測定装置
US4958834A (en) 1988-05-16 1990-09-25 Colbert Robert E Golf club assembly
US5040279A (en) 1988-10-19 1991-08-20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requency matched sets of composite golf club shafts
DE4106572A1 (de) 1991-03-01 1992-09-03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zum beruehrungslosen messen von objektschwingungen mit einem laserstrahl
US5429008A (en) 1992-02-28 1995-07-04 Fujikura Rubber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igure of deflection of golf club shaft
US5478073A (en) * 1992-12-30 1995-12-26 Hackman; Lloyd E. Golf swing analysis and method of custom trimming golf club shafts
FI94554C (fi) 1993-05-04 1995-09-25 Exel Oy Menetelmä golfmailan varren taipuman muodon mittaamiseksi mailan dynaamisen nostokulman hallintaa varten
US5520052A (en) 1994-02-10 1996-05-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terial structural integrity
US5515717A (en) 1994-09-07 1996-05-14 White; Donald Matching golf clubs through deflection technique
US5711552A (en) * 1995-04-05 1998-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upling
US5814773A (en) * 1996-06-07 1998-09-29 Latiri; Mondher Golf club survey instrument with variable fulcrum
US5771552A (en) 1997-06-04 1998-06-30 Tommy Armour Golf Company Method for assembling and curing golf clubs
US5870815A (en) 1997-07-30 1999-02-16 Tommy Armour Golf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 golf club for attaching a handle grip
US5952580A (en) * 1997-09-30 1999-09-14 Grafall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hafts having preselected lengths and flexural properties
US5976028A (en) * 1998-06-22 1999-11-02 Ciccarello; Carl Golf club spine finder and method
US6357285B1 (en) * 1998-11-09 2002-03-19 Veeco Instru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correlation of data from a local sensitive force detector
US6183375B1 (en) 1999-03-04 2001-02-06 Richard M. Weiss Apparatus and method for tuning a golf shaft
US6250168B1 (en) 1999-03-24 2001-06-26 D'aguanno Frank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he strongest point on a golf club shaft
US6415502B1 (en) 2000-05-10 2002-07-0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grip alignmen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19B1 (ko) * 2008-10-06 2011-12-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결정 골프채의 제조방법
KR20150144987A (ko) 2014-06-18 2015-12-29 (주)티디지 복합형 골프 클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0127A (ja) 2003-01-07
US20020107084A1 (en) 2002-08-08
US6609429B2 (en) 2003-08-26
EP1194192A4 (en) 2007-10-31
US20020103037A1 (en) 2002-08-01
TWM301069U (en) 2006-11-21
HK1046380A1 (zh) 2003-01-10
DK1194192T3 (da) 2009-06-02
TWM313008U (en) 2007-06-01
KR20020018198A (ko) 2002-03-07
CN1351511A (zh) 2002-05-29
EP1194192A1 (en) 2002-04-10
NZ515536A (en) 2002-10-25
ES2321155T3 (es) 2009-06-03
TW200611735A (en) 2006-04-16
ATE422379T1 (de) 2009-02-15
US6550121B2 (en) 2003-04-22
AU5034000A (en) 2000-12-12
EP1194192B1 (en) 2009-02-11
US6477899B2 (en) 2002-11-12
CN1313176C (zh) 2007-05-02
US6572488B1 (en) 2003-06-03
US20020091009A1 (en) 2002-07-11
US20020107083A1 (en) 2002-08-08
DE60041539D1 (de) 2009-03-26
MXPA01011926A (es) 2003-10-15
CA2374016A1 (en) 2000-11-30
CA2374016C (en) 2010-07-27
AU769587B2 (en) 2004-01-29
US6543125B2 (en) 2003-04-08
TW200624148A (en) 2006-07-16
WO2000071211A1 (en) 200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092B1 (ko) 골프 클럽 샤프트의 스파인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69908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orienting golf club shaft
AU2002246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orienting golf club shaft
JP2002224251A (ja) パターの組立方法及びパ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