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617B1 -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617B1
KR100636617B1 KR1020050074036A KR20050074036A KR100636617B1 KR 100636617 B1 KR100636617 B1 KR 100636617B1 KR 1020050074036 A KR1020050074036 A KR 1020050074036A KR 20050074036 A KR20050074036 A KR 20050074036A KR 100636617 B1 KR100636617 B1 KR 10063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aerobic
anaerobic
sand
perme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천병식
신원식
박찬수
백원석
박중섭
한우선
Original Assignee
한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선 filed Critical 한우선
Priority to KR102005007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6Carbonace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쓰레기 또는 폐광물을 매립하는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물리 화학적으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매립시설에 있어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이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과, 모래와 황토와 벤토나이트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어 중금속 및 유기물질을 흡착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중간흡착층과,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이 유지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호기성투수벽체층, 중간흡착층, 혐기성투수벽체층, 폴리우레탄 담체, 실리콘튜브

Description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The composite reactivity clean apparatus of dirty and waste water and the clean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반응성 정화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반응성 정화장치가 설치된 매립시설의 단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2. 호기성투수벽체층
3. 중간흡착층
4. 혐기성투수벽체층
5a, 5b. 폴리우레탄 담체
6. 산소공급용 실리콘튜브
7. 탄소원공급용 실리콘튜브
본 발명은 각종 쓰레기 또는 폐광물을 매립하는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물리 화학적으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매립시설에 있어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이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과, 모래와 황토와 벤토나이트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어 중금속 및 유기물질을 흡착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중간흡착층과,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이 유지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상기 각 층을 통해 차례로 투수시켜 질소성분 및 각종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쓰레기나 폐광물 등을 매립하는 매립시설은 측면둘레를 따라 연직차수벽 및 제방을 설치하고 바닥면을 깊게 파 바닥차수층을 설치하며, 상기 바닥차수층에는 침출수집수관을 설치하거나 또는 바닥차수층 자체를 집수정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쓰레기 등이 매립된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가 상기 침출수집수관 또는 경사진 바닥차수층을 따라 집수정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집수정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침출수는 이송관을 통하여 인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져 정화 처리된 후 정화된 물만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립시설은 자체 침출수처리장의 설치 및 운영비용이 높은 관계로 인근 하수종말처리장에서 하수와 함께 침출수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그 처리효율이 떨어지며, 또한 대부분이 노천 매립식이어서 빗물의 대부분이 침출수로 전환되어 침출수의 발생량이 많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강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집수정에 일시적으로 모인 침출수가 곧 바로 정화처리되지 못하고 이송관을 통해 인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된 후 정화 처리해야 하므로 인근 하수종말처리장의 용량이 초과된 양의 침출수가 공급되면 침출수의 처리불능 사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설치 및 운영비용이 적게 들며, 호기성미생물 및 혐기성미생물의 복합 반응으로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질소성분과 중금속 등의 각종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매립시설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침출수를 정화 배출할 수 있는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하수종말처리장을 이용할 필요없이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매립시설 자체에서 신속하게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매립시설에 있어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이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과, 모래와 황토와 벤토나이트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어 중금속 및 유기물질을 흡착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중간흡착층과,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이 유지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상기 각 층을 통해 차례로 투수시켜 질소성분 및 각종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1)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통상의 매립시설에 일체로 연설되거나 또는 매립시설의 집수정을 통해 모아진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연설되는 것으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a)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a)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이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2)과,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90 ~ 95중량%와 벤토나이트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있어 중금속 및 유기물질을 흡착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중간흡착층(3)과,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b)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b)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이 유지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4)이 각각 일정한 부피비로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상기 각 층을 통해 차례로 투수시켜 질소성분 및 각종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a)(5b)는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Polyurethaneprepolymer) 44 ~ 50중량%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용액 46 ~ 52중량%와 활성탄 2 ~ 8중량%가 혼합된 것으로, 먼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물 1L에 20 ~ 40g 정도로 혼합하여 수용액을 제조하고 입도가 0.05 ~ 2.0mm정도의 분말상태인 활성탄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상기 비율로 혼합한 다음 50 ~ 60℃로 가온된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를 첨가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틀에 넣어 발포 팽창시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일정크기로 잘라 폴리우레탄 담체(5a)(5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활성탄 분말이 일정비율로 첨가됨으로써 공극율이 향상되고 침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폴리우레판 담체(5a)(5b)는 공극율이 0.7 ~ 0.9 정도로 유지되도록 제작되어 있고, 담체의 크기는 대략 가로 2cm, 세로 2cm, 높이 2cm의 작은 정육면체형으로 잘라 다수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담체 표면에 형성된 수많은 공극에 호기성 미생물 또는 혐기성 미생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부착시켜 미생물막을 형성한 상태로 호기성투수벽체층(2)과 혐기성투수벽체층(4)에 각각 전체 부피에 대하여 10 ~ 30부피%로 혼합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활성탄 대신 표면에 수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올라이트 분말을 혼합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담체를 제조할 수 도 있다.
상기 호기성투수벽체층(2)은 침출수를 가장 먼저 처리하는 층으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a)가 호기성투수벽체층(2)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0 ~ 30부피%로 첨가되고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이 70 ~ 90부피% 혼합되어 있되, 상기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은 모래 70 ~ 90중량%와 황토 10 ~ 30중량%가 혼합되어 있어 침출수가 일정유속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호기성투수벽체층(2)을 통과하도록 하고 침출수 중의 중금속과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a)는 나이트로조모나스(Nitrosomonas)나 나이트로벡타(Nitrobacter) 등의 호기성 질산화 미생물이 다량 부착되어 있어 호기조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폴리우레탄 담체(5a)에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침출수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 의 질소(N)성분이 질산화반응을 일으켜 질산이온(NO2-)이나 아질산이온(NO3-)으로 질산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산소공급용 실리콘튜브(6)(Silicone tubing, Cole-Parmer Instrument Co, USA)가 호기성투수벽체층(2)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어 상기 산소공급용 실리콘튜브(6)를 통해 외부로부터 호기성투수벽체층(2) 내부로 지속적인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래는 입도가 20 ~ 30mesh 정도의 가는 모래가 사용되며, 황토는 입도 0.02mm 이하의 것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흡착력, 해독력, 자정력이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중금속 등의 흡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 사용된다.
상기 중간흡착층(3)은 호기성투수벽체층(2)을 통과한 침출수 중의 중금속 및 유기물을 흡착제거하는 부분으로,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90 ~ 95중량%와 벤토나이트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있되, 상기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은 모래 70 ~ 90중량%와 황토 10 ~ 30중량%가 혼합되어 있어 침출수가 일정유속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중간흡착층(3)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벤토나이트는 각종 중금속을 흡착하는 기능성이 뛰어난 물질로 황토와 함께 일정비율로 참가되어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물질을 흡착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간벽체층(3)이 호기성투수벽체층(2)과 혐기성투수벽체층(3) 사이에 일정두께로 삽입되어 두 층간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호기성투수벽체층(2)과 혐기성투수벽체층(3)이 각각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혐기성투수벽체층(4)은 침출수가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층으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b)가 혐기성투수벽체층(4)의 전체 부피에 10 ~ 30부피%로 첨가되고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이 70 ~ 90부피% 혼합되어 있되, 상기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은 모래 70 ~ 90중량%와 황토 10 ~ 30중량%가 혼합되어 있어 침출수가 일정유속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혐기성투수벽체층(4)을 통과하도록 하고 침출수 중의 중금속과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b)는 소우도모나스(Pseudomonas), 미크로코쿠스(Micrococcus), 아크로모액터(Archromoacter), 바실리우스(Bacillus) 등의 혐기성 탈질화 미생물이 다량 부착되어 있어 혐기조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폴리우레탄 담체(5b)에 부착된 혐기성 종속영양 미생물에 의해 상기 호기성투수벽체층(2)을 통과하면서 질산이온(NO2-)이나 아질산이온(NO3-)으로 질산화된 침출수 중의 질소성분을 질소가스(N2)로 전환시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탄소원공급용 실리콘튜브(7)(Silicone tubing, Cole-Parmer Instrument Co, USA)가 혐기성투수벽체층(4)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탄소원공급용 실리콘튜 브(7)를 통해 외부로부터 혐기성투수벽체층(4) 내부로 지속적으로 탄소원(메탄올, 에탄올 등)이 공급되어 최적의 C/N비(탄소/질소 비율)를 유지하면서 혐기조건 및 탈질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래는 입도가 20 ~ 30mesh 정도의 가는 모래가 사용되며, 황토는 입도 0.02mm 이하의 것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흡착력, 해독력, 자정력이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중금속 등의 흡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본 발명의 복합반응성 정화장치(1)는 필요에 따라 매립장을 둘러싸도록 시공된 차수벽의 일측 벽면으로 구성하여 투수벽체로 사용함으로써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집수정에 모아서 정화하는 대신 투수벽체로 구성된 복합반응성 정화장치(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 폴리우레탄 담체의 제조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Tween-85(Adrich chemical Co, USA)를 물 1L에 30g 첨가하여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 110g에 활성탄 분말 10g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로 Hypol-3000(Dow chemical Co, USA) 113.2g을 55℃의 물중탕으로 2시간 동안 가열한 상태에서 활성탄분말이 혼합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첨가 혼합하여 25초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원형틀에 부어 발포 팽창시키고 3분간 건조시킨 다음 틀로부터 폴리우레탄 폼을 분리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고 가로 2cm, 세로 2cm, 높이 2cm의 크기의 정육면체로 균일하게 절단하여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를 다수개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복합반응성 정화장치의 제조 >
실험용 Column(직경 5.5cm, 높이 50cm)의 가장 아래층에는 혐기성 탈질 미생물인 소우도모나스(Pseudomonas)와 미크로코쿠스(Micrococcus)와 아크로모액터(Archromoacter), 바실리우스(Bacillus)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부착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 80중량%와 황토 20중량%가 혼합된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을 2 : 8의 부피비로 고르게 혼합하여 실험용 column의 전체 1/3 높이로 혐기성투수벽체층을 충진하고, 그 상부에는 모래 80중량%와 황토 20중량%가 혼합된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93중량%와, 벤토나이트 7중량%가 고르게 혼합된 중간흡착층을 상기 혐기성투수벽체층과 동일한 높이로 실험용 column에 충진하며, 그 상부에는 호기성 질산화 미생물인 나이트로조모나스(Nitrosomonas)와 나이트로벡타(Nitrobacter)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부착된 폴리우레탄 담체와, 모래 80중량%와 황토 20중량%가 혼합된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을 2 : 8의 부피비로 고르게 혼합하여 실험용 Column의 나머지 1/3높이에 충진하여 호기성투수벽체층을 형성하며, 상기 혐기성투수벽체층과 호기성투수벽체층에는 각각 실리콘튜브를 내측에 동일한 길이로 매설하여 혐기성투수벽체층으로는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지속적으로 공급(공급량 10ml/day)하여 혐기조건을 유지하고 호기성투수벽체층으로는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공급량 50psi)하여 호기조건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호기성투수벽체층과 중간흡착층과 혐기성투수벽체층은 상하로 동일한 높이(각 층의 높이는 13cm)로 적층하였으며 각 층은 동일한 압축강도( 2.23kgf/㎠)로 충진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침출수 정화능력을 측정하였는데, 채취한 서로 다른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A)(B)를 상기 복합반응성 정화장치에 통과시키기 전에 T-N농도(총질소성분의 농도), BOD, COD, Color(색도, Color Unit)를 각각 측정한 후 실험용 column의 내부에 형성된 복합반응성 정화장치의 상부쪽으로 채취한 매립장 침출수(A)(B)를 유입시켜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통과하여 하부쪽으로 배출된 처리수의 T-N농도(총질소성분의 농도), BOD, COD, Color(C.U.)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 표 1 > 매립장 침출수(A)(B)가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T-N농도, BOD, COD, Color의 측정 결과표
T-N농도 (mg/L) BOD (mg/L) COD (mg/L) Color (C.U.)
매립장 A 침출수 144.3 181.9 54.5 120.0
처리수 29.3 7.3 21.4 22.6
매립장 B 침출수 288.4 444.3 143.5 242.5
처리수 61.5 17.8 36.7 33.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2의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통과한 매립장의 침출수는 전체적으로 높은 정화 처리율을 나타내었는데, T-N농도(총 질소성분의 농도)는 평균처리율이 79.0%를 나타내었으며, BOD와 COD는 각각 95.9%와 67.5%의 평균처리율을 나타내었고, Color(침출수 및 처리수의 색도측정)는 83.7%의 평균처리율을 나타내어 실시예 2의 복합반응성 정화장치를 통과한 매립장 침출수(A)(B)가 전체적으로 크게 정화되어 배출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복합반응성 정화장치가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설치 및 운영비용이 적게 들며, 호기성미생물 및 혐기성미생물의 복합반응으로 침출수에 포함된 각종 질소성분과 중금속 등의 각종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수질이 크게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여 오염된 매립장의 침출수가 배출되어 수질이나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립시설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설치하여 침출수를 정화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하수종말처리장을 이용할 필요없이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를 매립시설 자체에서 신속하게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매립시설의 침출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a)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a)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호기조건이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2)과,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90 ~ 95중량%와 벤토나이트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있어 중금속 및 유기물질을 흡착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중간흡착층(3)과,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b)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b)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혐기조건이 유지되면서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4)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상기 각 층을 통해 차례로 투수시켜 질소성분 및 각종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투수벽체층(2)와 중간흡착층(3)과 혐기성투수벽체층(4)의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은 모래 70 ~ 90중량%와 황토 10 ~ 30중량%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투수벽체층(2)은 호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산소공급용 실리콘튜브(6)가 내측에 매설되어 있어 상기 산소공급용 실리콘튜브(6)를 통해 외부로부터 호기성투수벽체층(2) 내부로 지속적인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투수벽체층(4)은 혐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탄소원공급용 실리콘튜브(7)가 내측에 매설되어 있어 상기 탄소원공급용 실리콘튜브(7)를 통해 외부로부터 혐기성 투수벽체층(4) 내부로 지속적인 탄소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담체(5a)(5b)는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 44 ~ 50중량%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용액 46 ~ 52중량%와 활성탄 2 ~ 8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6. 각종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매립시설의 침출수 정화방법에 있어서,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a)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된 상태로 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a)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는 호기성투수벽체층(2)을 침출수가 1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침출수 중의 중금속 및 유기물질이 흡착 제거됨과 동시에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질소(N)성분이 질산화반응을 일으켜 질산이온(NO2-)이나 아질산이온(NO3-)으로 질산화되고,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90 ~ 95중량%와 벤토나이트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있는 중간흡착층(3)을 2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침출수 중의 중금속 및 유기물질이 흡착 제거되고, 활성탄이 담지된 폴리우레탄 담체(5b) 10 ~ 30부피%와 모래 및 황토의 혼합물 70 ~ 90부피%가 혼합된 상태로 되어 있되 상기 폴리우레탄 담체(5b)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는 혐기성투수벽체층(4)을 침출수가 마지막으로 통과하면서 침출수 중의 중금속 및 유기물질이 흡착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호기성투수벽체층(2)을 통과하면서 질산이온(NO2-)이나 아질산이온(NO3-)으로 질산화된 침출수 중의 질소성분을 혐기성 미생물이 질소가스(N2)로 전환시켜 배출하여 질소성분 및 각종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방법.
KR1020050074036A 2005-08-12 2005-08-12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63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36A KR100636617B1 (ko) 2005-08-12 2005-08-12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36A KR100636617B1 (ko) 2005-08-12 2005-08-12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617B1 true KR100636617B1 (ko) 2006-10-19

Family

ID=3762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036A KR100636617B1 (ko) 2005-08-12 2005-08-12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78B1 (ko) 2013-06-05 2014-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바이오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처리 장치
KR20160104377A (ko) 2015-02-26 2016-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가스 미생물의 군집을 유도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생성된 바이오가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7532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78B1 (ko) 2013-06-05 2014-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바이오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처리 장치
KR20160104377A (ko) 2015-02-26 2016-09-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가스 미생물의 군집을 유도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생성된 바이오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353B1 (ko) 침출수 처리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Soares Biological denitrification of groundwater
Qiu et al. Performances and nitrification properties of biological aerated filters with zeolite, ceramic particle and carbonate media
JPH0137992B2 (ko)
MXPA00013018A (es) Metodo para la purificacion biologica de aguas residuales y gases residuales y biofiltro para el mismo.
JP2010125361A (ja)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浄化システム
JP4199075B2 (ja) 水質浄化施設
Suidan et al. Anaerobic dechlorination using a fluidized-bed GAC reactor
WO2002006164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matter contaminated drinking water
KR100636617B1 (ko) 침출수 정화용 복합반응성 정화장치 및 그 방법
Fang et al. Removal of COD and nitrogen in wastewater using sequencing batch reactor with fibrous packing
JP5523800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設備
US62037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bioremediation of hydrocarbon contaminated water
US10526222B2 (en)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utilizations
Bali et al. Removal of contaminants and pathogens from secondary effluents using intermittent sand filters
Meier et al. Nanofiltration in landfill leachate treatment
Champagne et al. A semi-passive peat biofilte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Mohammadi et al. Drinking water denitrification with autotrophic denitrifying bacteria in a fluidized bed bioreactor (FBBR)
EP08128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Klimenko et al. Biosorption processes for natural and wastewater treatment–part 1: Literature review
JPS61212386A (ja) 汚水の浄化方法及び装置
CN101798158A (zh) 一种难降解有机工业废水的深度处理方法
JP3706574B2 (ja) 排水の脱窒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9273987A (ja) 脱臭装置
JP2008049251A (ja) 窒素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