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541B1 -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541B1
KR100636541B1 KR1020050040814A KR20050040814A KR100636541B1 KR 100636541 B1 KR100636541 B1 KR 100636541B1 KR 1020050040814 A KR1020050040814 A KR 1020050040814A KR 20050040814 A KR20050040814 A KR 20050040814A KR 100636541 B1 KR100636541 B1 KR 10063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rol information
control
home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휘
조문증
정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541B1/ko
Priority to EP06007908A priority patent/EP1715603A3/en
Priority to US11/279,990 priority patent/US200602383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각종 가전제품들을 방송파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파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을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가전제품 중에서 검색하여 그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검색된 가전제품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으로의 보다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가전제품 제어의 효율성을 높인다.
홈 네트워크, 가전제품, 제어, FM 부가 방송, DMB 방송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 동작 방법{Appliance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ing waves in home network environ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제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FM DARC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어정보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FM 방송 송출국 200 : 제어정보 수신모듈
202 : 제어부 204 : 저장부
206 : 메모리 208 : 통신모듈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각종 가전제품들을 방송파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의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시스템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가정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컴퓨터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냉/난방기등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제품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 중심적인 제어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전제품 리콜문제와 같이 가전제품에 이상으로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당사의 소정 가전제품에 대한 조치를 취 하고자 하는 경우 능동적으로 자신의 가전제품 제어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한편, FM 부가 방송 시스템이란 라디오 방송 신호에 라디오 디지털 시스템(RDS : Radio Digital System)신호나 데이터 라디오 채널(Data Radio Channel, 이하 "DARC" 라 한다.)신호를 부가시켜 송출하므로써 청취자로 하여금 라디오 청취 외에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방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FM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가방송 서비스는 별도의 대역확보 없이 실시간성을 요하는 각종 날씨, 증권, 교통 정보등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FM DARC에 이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또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외에 부가방송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송파를 통해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자신의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고, 특히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가전제품들의 제어에 있어서, 하나의 방송파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도 방송파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방송파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를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 모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제어 대상에 해당하지 않은 가전제품들도 제품 제어정보를 수신받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복수의 가전제품 중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으로 보다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은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모듈;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상기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는 상기 제품연결상태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받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은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모듈;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상기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명령신호 발생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제어명령신호가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펌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정보 확인부; 상기 제어정보 확인부의 확인 결과, 소정 업그레이드된 펌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서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하는 펌웨어 추출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펌웨어 추출부가 추출한 펌웨어가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펌웨어 전송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이전에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수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부 및 상기 펌웨어 추출부 각각은 상기 정보수신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의해 동작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 및 상기 펌웨어 전송 처리부 각각은 상기 제품연결상태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때에 제어명령신호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전송받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은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전송은 홈 네트워크 상에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은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을 검색한 후,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 이후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 가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으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하여 상기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전제품 검색 이후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이전에 수신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이전에 수신받지 않았다면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 따른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어명령신호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전송은 홈 네트워크 상에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어명령신호 또는 펌웨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송파는 FM 방송파 또는 DMB 방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파를 통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전송은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당사의 가전제품에 대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을 방송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입력시키고, 방송사는 입력된 데이터 값을 가지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방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데이터 값이 갱신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갱신 플래그; 소정 가전제품의 제조회사 고유코드;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가전제품의 일련번호;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에 관한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플래그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를 받는 제어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구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제품의 종류와 모델명, 및 상기 가전제품의 생산지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가전제품의 일련번호는 상기 가전제품의 제조 연월일과 고유 식별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에 대한 제어가 정의된 제어 코드 및 상기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구분코드의 상태 플래그는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제어 코드 및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FM 부가 방송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상의 가전제품들이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전제품 제조회사는 FM 방송 송출국(100)에 소정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FM 부가 방송 서비스로 방송 요청한다. FM 방송 송출국(100)은 제 조회사의 요청에 따라 FM 부가 방송정보에 해당 가전제품에 대한 제어정보를 실어서 송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은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하고,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면서 가정 내에 사용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과 연결되어 있다.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은 FM 방송 송출국(100)으로부터 FM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아니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복수의 타 가전제품 중 어느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패킷인지를 살핀다. 그래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타 가전제품 중 이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가전제품으로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상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이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여, 그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아닐 경우에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복수의 타 가전제품 중 어느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패킷인지를 살펴서 이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이 존재하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해당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그 제어명령신호를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에 대한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타 가전제품들은 FM 방송파를 통해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가전제품 또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패킷임을 판단하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른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은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재난경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방송파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MB 방송파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저장부(204)는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02)는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메모리(206)에 저장하고,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 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도록 통신모듈(208)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제어부(202)는 상기와 같이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저장부(204)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 후,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이 검색되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검색된 해당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를 통신모듈(208)을 통해 해당 가전제품에 전송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상의 타 가전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 중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진 가전제품을 검색하고, 통신모듈(208)을 통해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또는 제어명령신호이 전송되도록 할 때에, 제어부(202)는 통신모듈(208)을 통해 검색된 가전제품이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우선 살핀다. 그래서 현재 연결되어 있다면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또는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모듈(208)을 제어하지만, 현재 그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가전제품의 홈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살펴 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 또는 제어명령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부(202)는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자신의 기능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하나의 가전제품만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면 그 외의 다른 가전제품들은 제어정보 수신기능을 갖추지 않고도 방송으로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 따른 제어를 받을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2)는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부(300)와, 제어정보 수신부(300)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저장부(204)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02)와, 판단부(302)의 판단 결과,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검색부(304)와, 통신모듈(208)을 통해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 부를 감시하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와,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의 감시 결과에 따라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3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은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추출함으로써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받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은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은 제어부(202) 내의 제어정보 수신부(300)를 통해 메모리(206)에 저장된다.
판단부(302)는 제어정보 수신부(300)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저장부(204)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저장부(20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어서, 제어부(202) 내의 각 부들이 저장부(204)를 통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포함된 각 데이터가 의미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다.
판단부(302)의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인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식별정보와 저장부(204)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검색부(304)는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면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다.
검색부(304)의 검색을 통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가전제품이 검색되면,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318)는 통신모듈(208)을 통해 제어정보 수신부(300)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는 통신모듈(208)을 통해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현재 홈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감시하며,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318)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의 감시 결과를 먼저 확인하여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그 가전제품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를 통해 현재 검색부(314)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318)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의 감시 결과를 살펴서 해당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때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현제 해당 가전제품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 가능해 질 때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2)는 상기와 같은 각 부를 포함하며, 제어정보 수신부(300)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이전에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수신 확인부(306)와, 정보수신 확인부(306)를 통해 이전에 수신받지 않은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어정보 확인부(308)와, 제어정보 확인부(308)의 확인 결과 제 어 데이터가 제어 코드이면 그 제어 코드에 따라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기능 구동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310)와, 제어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제어신호를 가전제품 내의 해당 기능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312)와, 제어정보 확인부(308)의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가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이면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기능 구동부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로 변경시키는 펌웨어 변경부(3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수신 확인부(306)는 판단부(302)에서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저장부(204)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이전에 수신받은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전에 수신되었다면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반해,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받지 않은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에는 제어정보 확인부(308)가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정보 확인부(308)의 제어 데이터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가 제품의 소정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이면 제어신호 발생부(310)에서 제어 코드에 따라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기능 구동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신호 전송부(312)는 제어신호 발생부(31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해당 기능 구동부로 전송함으로써 그 기능 구동부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정보 확인부(308)의 제어 데이터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가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이면, 펌웨어 변경부(314)에서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기능 구동부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로 변경시킨다. 이를 통해 제품의 소정 기능을 원격으로 업그레이드 시킬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제어부 내의 제어정보 수신부(300), 판단부(302), 검색부(304),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 정보수신 확인부(306), 제어정보 확인부(308), 제어신호 발생부(310), 제어신호 전송부(312) 및 펌웨어 변경부(314)에 대한 각각의 실질적인 기능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2)는 검색부(304)를 통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가전제품이 검색되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명령신호 발생부(400)와, 통신모듈(208)을 통해 제어명령신호 발생부(400)에서 발생된 제어명령신호가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404)와, 제어정보 확인부(308)의 확인 결과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으로부터 그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하는 펌웨어 추출부(402)와, 통신모듈(208)을 통해 펌웨어 추출부에서 추출한 펌웨어가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펌웨어 전 송 처리부(4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2)의 동작을 좀 더 살펴보면, 판단부(302)의 판단 결과, 제어정보 수신부(300)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게 되면, 검색부(304)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다.
검색부(304)의 검색 결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이 존재하게 되면, 정보수신 확인부(306)를 통해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되었던 제어정보 패킷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을 통해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받지 않았던 것이라면 제어정보 확인부(308)가 그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코드가 존재하면, 제어명령신호 발생부(400)에서 그 제어 코드에 따라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404)가 통신모듈(208)을 통해 제어명령신호 발생부(400)에서 발생된 제어명령신호를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가 존재하면 펌웨어 추출부(402)에서 그 업그레이 드된 펌웨어를 추출하고, 펌웨어 전송 처리부(406)는 통신모듈(208)을 통해 펌웨어 추출부(402)가 추출한 펌웨어를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404) 및 펌웨어 전송 처리부(406)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316)의 감시 결과를 통해 검색부(304)에서 검색된 해당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피고,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는 때에 제어명령신호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가전제품 내의 기능 구동부는 각 가전제품마다 다양하며, 전원부, 정보 표시창, 음성 출력부, 영상 출력부, 중앙처리부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고,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신호 발생부(310)가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로는 상기 다양한 기능 구동부들 중에서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기능 구동부를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또는 전원의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신호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은 방송파를 통해 전송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가전제품 중 어느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패킷인지를 파악한 후, 수신한 그 제품 제어정보 패킷,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른 제어명령신호, 또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포함된 펌웨어를 해당 가전제품에게 전송함으로써 그 가전제품이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제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제품 제조업체는 당사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방송국에서 방송파를 통해 전송하도록 요청함으로써 가전제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가전제품 제어를 위해 방송국에 방송 요청을 하는 방법으로,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당사의 가전제품에 대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을 방송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입력시키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전제품 제조업체는 각각 자신들에게 부여된 코드를 가지고 있고, 그 코드를 통해 방송사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온 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 당사의 가전제품 선택 및 그에 대한 제어 코드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가전제품 제어를 방송국에 요청한다.
그러면, 방송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각 가전제품 제조업체들의 제품제어 요청을 받아들인 후, 요청과 함께 입력된 정보들을 포함시킨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방송파에 실어 송출함으로써 각 가정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각종 가전제품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FM DARC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패킷(P)들 중 일부는 '블럭식별코드(BIC) + 데이터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 + 패리티(Parity)'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 고, 다른 일부는 '블럭식별코드(BIC) + 횡 패리티 + 종 패리티'가 조합된 구성을 취한다. 그리고 각 패킷 내의 데이터로 제품 제어정보를 삽입시켜 FM 부가 방송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제품의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제어정보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데이터 값이 갱신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갱신 플래그, 제어하고자 하는 소정 가전제품의 제조회사 고유코드,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가전제품의 일련번호,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에 관한 제어 데이터, 및 제어구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갱신 플래그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데이터 값이 갱신될 때마다 순차적 변경되는 값을 가지며 예를 들자면 '00' '01' '10' '11' '00' 순으로 변경되면서 데이터 값의 갱신을 알려준다.
제조회사의 고유코드는 각 가전제품 제조회사마다 부여받는 고유코드로, 방송파를 통해 복수의 제조회사가 당사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각 가전제품 제조회사를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품정보는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종류, 모델명, 및 생산지 정보로 구성되고, 제품의 일련번호는 상기 가전제품의 제조 연월일과 고유 식별번호로 구성되어 제어할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제어 데이터는 제품정보 및 제품의 일련번호가 가르키는 가전제품에 대해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에 대한 제어가 정의된 제어 코드 및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로 어떤 데이터가 전송되는냐에 따라서 가전제품의 원격 제어 또는 가전제품 기능의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제어구분코드는 제어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플래그 및 제어 데이터의 제어를 받는 제어 대상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태 플래그는 제어 데이터가 가전제품의 각 기능에 대한 제어가 정의된 제어 코드인지 아니면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 대상은 가전제품의 복수 기능 구동부 중에서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어될 기능 구동부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에서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수신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2) 내의 제어정보 수신부(300)에 입력된다.
판단부(302)는 제어정보 수신부(300)에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조회사 고유코드, 제품정보, 및 제품의 일련번호를 저장부(204)에 저장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구조 및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통해 분석하고, 자신의 식별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수신 확인부(306)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갱신 플래그를 살펴서 현재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동일한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지, 즉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정보 확인부(308)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구분코드 중 상태 플래그를 살펴서 현재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제어 데이터가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인지 아니면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인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은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800), 수신한 방송신호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추출한다(802).
추출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메모리(206)에 저장하고(804), 저장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6). 그 판단한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소정 기능을 제어한다(808).
하지만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저장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다(810).
그리고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이 검색되면 검색된 가전제품이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812), 연결되어 있다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한다(814,816). 하지만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그 가전제품의 홈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연결되는 때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한다(812,814,816).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가전제품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은 제어정보 수신모듈(200)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900), 수신한 방송신호에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추출한다(902).
여기서, 도 8 및 도 9에서 가전제품이 수신한 방송신호는 FM 부가 방송신호 또는 DMB 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메모리(206)에 저장하고(904), 저장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6). 그 판단한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소정 기능을 제어한다(908).
하지만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다(910).
그리고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이 검색되면 현재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이전에 수신되어 처리되었던 것인지를 확인하고(912), 그 확인 결과 이전에 수신되어 처리되지 않은 제품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에 그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가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인지 아니면 소정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펌웨어인지를 확인한다(914).
제어 데이터가 제어 코드이면 그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고(916), 제어 데이터가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이면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한 다(918).
그리고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이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920), 연결되어 있다면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 또는 추출한 펌웨어를 전송해 준다(922,924). 하지만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명령신호 또는 펌웨어를 그 가전제품의 홈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연결되는 때에 전송해 준다(920,922,924).
그래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신의 제품 제어정보 패킷, 제어명령신호 및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하나를 수신받은 홈 네트워크 상의 가전제품은 그에 따라 자신의 구동을 제어 또는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파를 통한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가전제품 제어에 있어서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가전제품으로의 보다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가전제품 제어의 효율성을 높인다.

Claims (19)

  1.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모듈;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상기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이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 전송 처리부는
    상기 제품연결상태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받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4.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모듈;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자신의 식별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구조 및 상기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의 정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이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명령신호 발생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제어명령신호가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에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펌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정보 확인부;
    상기 제어정보 확인부의 확인 결과, 소정 업그레이드된 펌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서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하는 펌웨어 추출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펌웨어 추출부가 추출한 펌웨어가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펌웨어 전송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이전에 수신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수신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부 및 상기 펌웨어 추출부 각각은
    상기 정보수신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의해 동작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품연결상태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 전송 처리부 및 상기 펌웨어 전송 처리부 각각은
    상기 제품연결상태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는 때에 제어명령신호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전송받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9.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전송은
    홈 네트워크 상에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1.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내장한 가전제품이 방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타 가전제품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품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을 검색한 후,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코드에 따라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발생시킨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한 이후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임이 확인되면,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으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추출하여 상기 가전제품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 검색 이후에,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과 동일한 제품 제어정 보 패킷을 이전에 수신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 이전에 수신받지 않았다면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에 따른 상기 제어명령신호 발생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으로 상기 제어명령신호 또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전송은
    홈 네트워크 상에 상기 검색된 가전제품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가전제품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제어명령신호 또는 펌웨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5.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는
    FM 방송파 또는 DMB 방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6.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를 통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의 전송은
    가전제품 제조업체가 당사의 가전제품에 대한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각 데이터 값을 방송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입력시키고, 방송사는 입력된 데이터 값을 가지는 제품 제어정보 패킷을 방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7.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은
    상기 제품 제어정보 패킷 내의 데이터 값이 갱신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갱신 플래그;
    소정 가전제품의 제조회사 고유코드;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가전제품의 일련번호;
    상기 가전제품의 제어에 관한 제어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플래그 및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를 받는 제어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구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제품의 종류와 모델명, 및 상기 가전제품의 생산지 정보로 구성되 고,
    상기 가전제품의 일련번호는
    상기 가전제품의 제조 연월일과 고유 식별번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에 대한 제어가 정의된 제어 코드 및 상기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구분코드의 상태 플래그는
    상기 제어 데이터가 상기 제어 코드 및 업그레이드된 펌웨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동작 방법.
KR1020050040814A 2005-04-18 2005-05-16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KR10063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14A KR100636541B1 (ko)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EP06007908A EP1715603A3 (en) 2005-04-18 2006-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using broadcast wav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US11/279,990 US20060238372A1 (en) 2005-04-18 2006-04-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using broadcast wav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14A KR100636541B1 (ko)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541B1 true KR100636541B1 (ko) 2006-10-18

Family

ID=3762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14A KR100636541B1 (ko) 2005-04-18 2005-05-16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5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142E1 (en) Radio scanner programmed from frequency database and method
US75677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network and a satellite radio receiver
EP171560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s using broadcast wav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US8005987B2 (en) Multi-representation media event handoff
CN101123699B (zh) 地面dmb服务的方法、设备和系统
KR100530873B1 (ko)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코드 설정방법
US20020081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selective call device about a broadcast
CA2634180A1 (en) An improved remote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CN103546223A (zh) 用于车辆声频系统的广播内容
CN105187854A (zh) 遥控功能数据动态配置的方法和装置
CN102326411B (zh) 无线通信设备、信息处理设备、无线通信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CN105791064A (zh) 一种局域网内消息的协同处理方法及装置
JPH10512130A (ja) ラジオ放送システムと、このような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する送信機および受信機と、ラジオ放送方法と、ラジオ放送信号
KR100609233B1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파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8236031A (ja) 放送波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KR100636541B1 (ko)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동작 방법
CN100480925C (zh) 用于使用广播波控制电器及家庭网络的设备和方法
US20120290738A1 (en) Automatic rollover to streamed radio
CN102457362A (zh) 发射装置、接收装置、无线通信系统及其配对方法
KR20230000656A (ko) 차량, 서버,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0691950B1 (ko) 긴급재난 경보 알림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 및 그의 경보알림 방법
CN103095344A (zh) 建立无线传输通道的方法及电子设备
CN111857002A (zh) 一种电器控制自匹配系统
KR100656080B1 (ko) 홈 네트워크 상의 방송파 수신 가능한 가전제품 및 그의정보 표시 방법
WO2022194127A1 (en) Remote control receiving system, vehicle‐mounted control apparatus, and autonom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