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31B1 -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31B1
KR100635431B1 KR1020040053284A KR20040053284A KR100635431B1 KR 100635431 B1 KR100635431 B1 KR 100635431B1 KR 1020040053284 A KR1020040053284 A KR 1020040053284A KR 20040053284 A KR20040053284 A KR 20040053284A KR 100635431 B1 KR100635431 B1 KR 10063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signal
distance
donor device
do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239A (ko
Inventor
박종호
이승문
심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4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간의 거리에 따라 딜레이를 설정하고, 설정된 딜레이 값에 따라 리모트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신호에 대한 부신호의 딜레이를 설정하며, 리모트 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주신호와 딜레이 설정된 부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설정된 딜레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도너장치와의 송수신 신호 딜레이를 설정함으로써, 시스템 셋업 후 초기화 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거리측정과 최종 딜레이가 자동으로 설정되며, 항상 신호의 차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자동으로 딜레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Rela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 Control of Del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너 및 리모트 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
도 2a 내지 도 2c는 딜레이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및 딜레이 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딜레이 보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도너장치 200:리모트장치
210:광전변환부 221:디프레이머
222:프레이머 231:수신딜레이제어부
232:송신딜레이제어부 260:거리측정부
270:주제어부 280:목표 딜레이 검출부
290:딜레이설정 제어부 300:오차비교부
본 발명은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는 광중계기를 이용하여 전파음영 지역을 해소하고 있는 상기한 광중계기는 통상 기지국과 통신하는 도너장치와 상기 도너장치에 접속되어 이동단말과 통신하는 리모트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장치는 도너장치와 접속되어 원격지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거리상 제약 때문에 리모트 장치와 도너장치간 송수신되는 신호는 딜레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딜레이를 조정해야 하는데, 전술한 종래의 광중계기는 딜레이 조정을 위해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과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하여 방식은 주로 SAW 필터를 이용하는데 손실이 크고 딜레이 조정 범위도 작으며, 주로 RF를 중간주파수(IF)로 낮춰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도 복잡하며, 임의적으로 가변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방식은 주로 FIFO로 딜레이를 조정하는데 조정 범위도 넒고 구현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방식보다 우수하다 할 수 있으나, 딜레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자가 도너장치와 해당 리모트 장치까지 거리를 측정 한 후 리모트장치에 딜레이 값을 설정하였다.
즉, 종래의 디지털 방식은 관리자에 의해 설치 시 거리를 측정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딜레이 설정이라는 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리모트 장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정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고, 딜레이 변경시마다 관리자가 직접 동일한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포함한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은, 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장치와,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상기 도너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딜레이를 설정한 후 신호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가 되도록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은, 동작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와, 상기 도너장치와 광통신을 수행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신호와 부신호로 분리하는 디프레이머와, 상기 광전변 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이머와,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주제어부로 결과를 전송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프레이머에서 출력되는 부신호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딜레이설정 제어부와, 상기 딜레이설정 제어부에서 딜레이 제어된 부신호와 상기 디프레이머에서 출력되는 주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오차비교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이머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송신딜레이 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프레이머로 수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수신딜레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중계 시스템의 딜레이 조정방법은,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장치와,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는 광중계 시스템의 딜레이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간의 거리에 따라 딜레이를 설정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설정된 딜레이 값에 따라 리모트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신호에 대한 부신호의 딜레이를 설정하는 2단계, 상기 2단계후 상기 리모트 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주신호와 상기 딜레이 설정된 부신호의 오차를 비교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설정된 딜레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도너장치와의 송수신 신호 딜레이를 설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너 및 리모트 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10)은 이동단말(20) 또는 후술하는 도너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12)과, 상기 BTS(12)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너장치(100)는 원격지에서 이동단말(2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200)와 접속되며, 상기 BTS(12)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딜레이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BTS(11)와 도너장치(100)가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무선통신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는 상기한 동작에 따라 딜레이를 자동 설정하는데, 시스템 셋업 초기에는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않았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연신호에는 딜레이가 적용되지 않았다.
시스템 셋업이 시작되면 거리측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소정의 딜레이 값이 설정되어 추가되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딜레이 조정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딜레이가 적용된 지연신호와 원신호의 신호차가 일치하거나 또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가 되면 딜레이 설정이 완료된다.
이를 위해 상기한 리모트 장치(200)는 도너장치(100)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경로 딜레이(D)를 설정하고,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는데 오차 발생시 소정의 가변 딜레이 값(d1)을 상기 경로 딜레이(D)에 적용(D+d1)함으로써 새로운 딜레이 값(Dtotal)을 산출하여 딜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딜레이 값(d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1)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가변 딜레이(d1) 산출
(2)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혼합하여 가변 딜레이(d1) 산출
(3)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가변 딜레이(d1) 산출
먼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가변 딜레이를 산출하고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동작 제어 를 위한 주제어부(270)와, 도너장치(100)와 광통신을 수행하는 광전변환부(210)와, 상기 광전변환부(210)를 통하여 도너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디프레이머(221)와, 상기 광전변환부(210)를 통하여 도너장치(100)로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이머(22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거리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프레이머(222)를 통해 도너장치(100)로 전송하고, 디프레이머(221)를 통해 수신된 거리 측정용 테스트 패턴을 수신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 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하는 거리측정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도너장치(100)가 전송하고 상기 디프레이머(221)가 수신하는 수신신호(Tx)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수신딜레이제어부(231)와, 상기 수신딜레이제어부(231)와 접속되어 테스트 패턴의 생성 및 수신딜레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하는 수신딜레이 확인부(241)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딜레이제어부(231)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251)가 접속되어 상기 수신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후단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52)에서 변환된 신호를 딜레이 제어하여 상기 프레이머(222)로 전송하는 송신딜레이제어부(232)와, 상기 송신딜레이제어부(232)와 접속되어 테스트 패턴의 생성 및 송신딜레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하는 송신딜레이 확인부(242)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리모트장치(200)의 광모듈은 도너장치(100)로부터 목표 딜레이값을 수신하고,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부(260)를 제어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주제어부(270)는 저장된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이전에 거리측정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를 포함하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거리측정을 수행하며, 이전에 거리측정을 하였을 경우 이전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거리측정을 위해 거리측정부(260)는 주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레이머(222)로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하고, 프레이머(222)는 광전변환부(210)를 통해 도너장치(100)로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너장치(100)는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장치(200)로 응답신호(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디프레이머(221)는 상기 도너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측정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60)는 상기 프레이머(2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 장치(20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한다.
주제어부(270)는 상기 거리측정부(260)가 전송하는 거리측정 결과에 따라 경로 딜레이(D)를 산출하고 경로딜레이(D)와 상기 목표 딜레이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가변 딜레이(d1)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70)는 상기 가변 딜레이(d1)값과 경로 딜레이(D)값에 따라 최종 딜레이 값을 재 설정하고, 설정된 딜레이 값을 수신딜레이제어부(231) 및 송신딜레이제어부(232)로 전송하여 딜레이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한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가변 딜레이를 산출하고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너장치로부터 목표 딜레이 값을 수신하는 전술한 도 3과는 달리 도너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주신호 및 부신호로부터 목표 딜레이 값을 산출하여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 디프레이머(221)에서 출력되는 주신호 및 부신호의 오차를 검출하여 목표 딜레이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하는 목표 딜레이 검출부(28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리모트장치(200)의 광모듈은 목표딜레이 검출부(280)에 의해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 딜레이 값을 산출한다.
즉, 도너장치(100)가 전송하고 디프레이머(221)가 수신하는 주신호 및 부신호의 오차로부터 상기 목표 딜레이 검출부(280)가 목표 딜레이 값을산출하여 주제어부(2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부(260)를 제어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주제어부(270)는 상기 거리측정부(260)가 측정한 거리측정 결과에 따라 경로 딜레이(D)값을 산출하고 경로딜레이(D)와 상기 목표 딜레이 검출부(280)에 의해 검출된 목표 딜레이 값에 따라 가변 딜레이(d1)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70)는 상기 가변 딜레이(d1)값과 경로 딜레이(D)값에 따라 최종 딜레이 값을 재 설정하고, 설정된 딜레이 값을 수신딜레이제어부(231) 및 송신딜레이제어부(232)로 전송하여 딜레이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도너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주신호 및 부신호로부터 목표 딜레이 값을 산출하여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은 완전한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 광모듈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의 광모듈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목표 딜레이 검출부(280)를 대신하여, 디프레이머(221)에서 출력되는 부신호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딜레이설정 제어부(290)와, 상기 딜레이설정 제어부(290)에서 딜레이 제어된 부신호와 상기 디프레이머(221)에서 출력되는 주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하는 오차비교부(30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리모트장치(200)의 광모듈의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부(260)를 제어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주제어부(270)는 저장된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이전에 거리측정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를 포함하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거리측정을 수행하며, 이전에 거리측정을 하였을 경우 이전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거리측정을 위해 거리측정부(260)는 주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레이머(222)로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하고, 프레이머(222)는 광전변환부(210)를 통해 도너장치(100)로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너장치(100)는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장치(200)로 응답신호(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디프레이머(221)는 상기 도너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측정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60)는 상기 디프레이머(2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 장치(20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한다.
한편, 오차비교부(300)는 디프레이머(221)로부터 출력되는 주신호와 부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이때 부신호는 딜레이설정제어부(290)에 의해 딜레이가 설정된 상태이다.
주제어부(270)는 상기 거리측정부(260)가 전송하는 거리측정 결과와 오차비교부(300)가 전송하는 오차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딜레이 정보를 판단하고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주제 어부(270)는 딜레이설정제어부(290)에서의 딜레이 값을 재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주제어부(270)는 현재 딜레이설정제어부(290)에 설정된 딜레이 값을 수신딜레이제어부(231) 및 송신딜레이제어부(232)로 전송하여 딜레이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및 딜레이 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제어부(270)는 이전에 거리측정을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 단계 S10에서 거리측정을 수행하였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단계 S80을 수행한다.
그러나 단계 S10에서 거리측정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주제어부(270)는 현재 설정값을 초기화하고(S20) 거리측정을 수행한다(S30). 이를위해 리모트장치(200)의 광모듈의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부(260)를 제어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거리측정부(260)는 주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레이머(222)로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하고, 프레이머(222)는 광전변환부(210)를 통해 도너장치(100)로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너장치(100)는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장치(200)로 응답신호(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디프레이머(221)는 상기 도너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측정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60)는 상기 디프레이머(2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 장치(20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한다.
단계 S30에서 거리측정이 완료되면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완료 정보를 저장하고(S40), 측정된 결과를 미리 설정된 과정에 따라 경로 딜레이 값(D)을 산출한다(S50).
단계 S50에서 딜레이 값이 산출되면 주제어부(270)는 현재 설정된 경로 딜레이 값(D)을 딜레이설정제어부(290)로 전송하여 딜레이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S60).이에 따라 딜레이설정제어부(290)는 디프레이머(221)에서 출력되는 부신호를 상기 딜레이 값만큼 딜레이 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70)는 오차비교부(300)의 출력값을 통하여 주신호와 부신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80). 이를 위해 오차비교부(300)는 주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서 디프레이머(221)로부터 출력되는 주신호와 부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이때 부신호는 단계 S70에서 딜레이설정제어부(290)에 의해 딜레이가 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주제어부(270)는 상기 오차비교부(300)가 전송하는 오차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주신호와 부신호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 S80에서 주신호와 부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주제어부(270)는 오차비교부(300)가 전송한 신호에 따라 주신호와 부신호의 신호차를 산출한다 (S81). 이때 단계 S81은 오차비교부가 전송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생략가능하다. 그리고 주제어부(270)는 상기 신호차, 즉 주신호와 부신호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82).
단계 S82에서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될 경우 주제어부(270)는 가변 딜레이 값(d1)을 설정(S83)하고 이에 따라 딜레이설정제어부(290)에서의 딜레이 값을 재설정(Dtotal=D+d1)한다(S84). 즉, 딜레이값은 경로딜레이값(D) 및 가변 딜레이값(d1)의 합이 된다. 그리고 단계 S70으로 리턴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때 Dtotal은 경로 딜레이 값(D)보다 큰 값을 가진다.
한편, 단계 S80에서 주신호와 부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단계 S82에서 신호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이내라고 판단될 경우 주제어부(270)는 현재의 딜레이 설정값을 이용하여 송신딜레이제어부(232)의 송신신호에 대한 딜레이 값을 설정(S90)하고, 수신딜레이제어부(231)의 수신신호에 대한 딜레이 값을 설정한다(S100).
이에 따라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 간의 거리에 따른 경로 딜레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딜레이 보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제어부(270)는 외부로부터의 보정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 단계 S110에서 보정명령이 없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보정시간인지 를 판단한다(S111).
단계 S111에서 미리 설정된 보정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S110에서 외부로부터의 보정명령이 있다고 판단되면 거리측정을 수행한다(S120).
거리측정을 위해 리모트장치(200)의 광모듈의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부(260)를 제어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장치(200)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거리측정부(260)는 주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레이머(222)로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하고, 프레이머(222)는 광전변환부(210)를 통해 도너장치(100)로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너장치(100)는 상기 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장치(200)로 응답신호(거리측정용 패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디프레이머(221)는 상기 도너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측정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60)는 상기 디프레이머(2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너장치(100)와 리모트 장치(200)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270)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 S120에서 거리측정이 완료되면 주제어부(270)는 거리측정완료 정보를 저장하고(S130), 측정된 결과를 미리 설정된 과정에 따라 딜레이 초기 값을 산출한다(S140).
단계 S140에서 딜레이 값이 산출되면 주제어부(270)는 현재 설정된 딜레이 초기값을 딜레이설정제어부(290)로 전송하여 딜레이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S150).
상기한 과정에 따라 현재 딜레이 값을 자동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셋업 후 초기화 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거리측정과 최종 딜레이가 자동으로 설정되며, 도너장치에서 송신되는 두개의 신호를 기준으로 리모트 장치가 설정 딜레이 값을 확인하고, 두 신호의 차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자동으로 딜레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장치; 및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상기 도너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딜레이를 설정한 후 신호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가 되도록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동작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
    상기 도너장치와 광통신을 수행하는 광전변환부;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신호와 부신호로 분리하는 디프레이머;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이머;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주제어부로 결과를 전송하는 거리측정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프레이머에서 출력되는 부신호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딜레이설정 제어부;
    상기 디프레이머에서 분리되어 상기 딜레이설정 제어부를 거쳐 딜레이 제어된 부신호와 상기 디프레이머에서 분리되어 상기 딜레이설정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오는 주신호의 오차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오차비교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이머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송신딜레이 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프레이머로 수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수신딜레이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상기 도너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도너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딜레이 제어부와 접속되어 테스트 패턴의 생성 및 송신딜레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신딜레이 확인부; 및
    상기 수신딜레이 제어부와 접속되어 테스트 패턴의 생성 및 수신딜레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딜레이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거리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경로 딜레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딜레이 설정 제어부의 딜레이 값을 설정하고, 상기 오차비교부의 비교결과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이면 현재의 딜레이 값을 이용하여 송신딜레이 제어부의 송신 딜레이와, 수신딜레이제어부의 수신딜레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오차비교부의 비교결과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가변 딜레이 값을 조정하여 상기 경로 딜레이값과의 합에 따라 상기 딜레이 설정 제어부의 딜레이값을 재 설정하고 상기 오차비교부를 통해 오차비교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목표 딜레이 값을 출력하는 도너장치;
    상기 도너장치가 출력하는 목표 딜레이 값을 수신하고,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상기 도너장치가 출력하는 목표 딜레이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도너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거리에 따른 경로 딜레이 값과 상기 목표 딜레이 값의 차에 따라 가변 딜레이 값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동작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
    상기 도너장치와 광통신을 수행하는 광전변환부;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디프레이머;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이머;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거리측정부;
    상기 거리측정부가 출력하는 측정결과에 따라 경로 딜레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와 상기 도너장치가 출력하는 목표 딜레이 값의 차이에 따라 가변 딜레이를 설정하여 딜레이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이머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송신딜레이 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프레이머로 수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수신딜레이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상기 도너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도너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장치;
    상기 도너장치가 출력하는 목표 딜레이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상기 도너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신호 및 부신호로부터 목표 딜레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도너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거리에 따른 경로 딜레이 값과 상기 목표 딜레이 값의 차에 따라 가변 딜레이 값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딜레이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리모트 장치의 광모듈은,
    동작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
    상기 도너장치와 광통신을 수행하는 광전변환부;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신호와 상기 주신호와 특정한 설정 딜레이값의 차이를 가지고 오는 부신호로 분리하는 디프레이머;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하여 도너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이머;
    상기 디프레이머에서 분리된 주신호와 부신호로부터 상기 목표 딜레이 값을 산출하는 목표 딜레이 검출부;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거리측정부;
    상기 거리측정부가 출력하는 측정결과에 따라 경로 딜레이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와 상기 목표 딜레이 검출부가 산출한 목표 딜레이 값의 차이에 따라 가변 딜레이를 설정하여 딜레이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레이머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송신딜레이 제어부; 및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프레이머로 수신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조정하는 수신딜레이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상기 도너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도너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
  13. 삭제
  14.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장치와, 원격지에서 설치되며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너장치로 통신을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는 광중계 시스템의 딜레이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딜레이를 설정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설정된 딜레이 값에 따라 리모트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신호 중 부신호의 딜레이를 설정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후 상기 리모트 장치가 수신하는 도너장치의 신호 중 상기 2단계를 거치지 않는 주신호와 상기 2단계를 거쳐 딜레이 설정된 부신호의 오차를 비교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설정된 딜레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도너장치와의 송수신 신호 딜레이를 설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딜레이 조정방법은,
    초기 셋업시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거리를 측정하였을 경우 그 측정 정보를 거리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1단계를 수행하고, 거리를 측정하지 않았을 경우, 소정의 패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장치와 리모트장치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1단계에서 딜레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의 딜레이 조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오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설정된 딜레이 값을 재 설정하여 상기 3단계를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 시스템의 딜레이 조정방법.
KR1020040053284A 2004-07-09 2004-07-09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3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84A KR100635431B1 (ko) 2004-07-09 2004-07-09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84A KR100635431B1 (ko) 2004-07-09 2004-07-09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39A KR20060004239A (ko) 2006-01-12
KR100635431B1 true KR100635431B1 (ko) 2006-10-17

Family

ID=3711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84A KR100635431B1 (ko) 2004-07-09 2004-07-09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392A (ko) * 2017-07-10 2019-01-18 가람전자(주) 5g 네트워크용 다이나믹 tdd 방식의 los 확보를 위한 릴레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392A (ko) * 2017-07-10 2019-01-18 가람전자(주) 5g 네트워크용 다이나믹 tdd 방식의 los 확보를 위한 릴레이장치
KR101956875B1 (ko) * 2017-07-10 2019-03-11 가람전자(주) 5g 네트워크용 다이나믹 tdd 방식의 los 확보를 위한 릴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39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430B2 (en) Expand dynamic of TDD signal detection and expand robustness against volatile signals
US865465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ler,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radio parameter control method
US5740531A (en) Digital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ame methods
US20110135300A1 (en) Radio base station equipment,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delay correction method
CN103036623B (zh) 一种移动终端功率控制测试校准方法及移动终端
JP200815426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リンク電力制御試験方法
US6873601B1 (en) Radio network performance management
KR101364074B1 (ko)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83162A1 (en) Client device and network access node for controlling a radio link failure timer
KR102243877B1 (ko) 헤드엔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기 검출 오류를 복구하는 방법
US20080311864A1 (en) Determining the Current Value of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635431B1 (ko) 자동 딜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광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467222B1 (ko) 다중 주파수할당 기지국의 수신감도 측정방법
US6747956B1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receive antenna return loss in a CDMA radio system
US200200819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mplification
KR100449328B1 (ko)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순/역방향이득 조정, 자동 주파수 설정 및 중계 기지국 지역의 통화품질 측정 방법과 이를 구현한 무선 중계장치
JP3484415B2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フェージング余裕の測定
US200702987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hange in attributes of RF board in base station
CN113765531A (zh) 接收链路的自动增益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1227211B (zh) 接收总宽带功率校准方法和装置
JP2005020139A (ja) 通信システム
WO2024032249A1 (zh) 一种检测光功率的装置、方法和无源光网络系统
CN114244750B (zh) 基于移动终端typec接口的rs485通信电路系统
JP5829063B2 (ja) 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1542551B1 (ko) 이동통신용 광중계시스템의 지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