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86B1 -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86B1
KR100635186B1 KR1020050032577A KR20050032577A KR100635186B1 KR 100635186 B1 KR100635186 B1 KR 100635186B1 KR 1020050032577 A KR1020050032577 A KR 1020050032577A KR 20050032577 A KR20050032577 A KR 20050032577A KR 100635186 B1 KR100635186 B1 KR 10063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ode
caller
unique codes
simi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426A (ko
Inventor
프랭크 치-다 차이
충-선 차이
첸-탕 린
치아-시앙 창
멩-휴 카오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6006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수의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ID코드를 미리 저장하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서 발신자 ID코드를 통하여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장치가 호를 수신할 때, 상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얻는 단계, 발신자 ID코드와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는 단계, 유사성에 따라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순서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는 수신되는 호를 사용자의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해 확실하게 분별할 수 있고, 특별하게 다수의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각각 개별적인 ID를 통하여 호가 수신될 때,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의하여 혼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통신장치, 발신자 분별, 발신번호 분별

Description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A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assisting a callee in identifying a possible caller}
본 명세서에 수반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자가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것을 보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관 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구현된 통신장치는 별개의 발신자 ID코드에 각각으로 대응되는 다수의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장치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삶에서 이동통신기기는 필수품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임의의 호가 수신될 때,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호 신호로부터 발신번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단지 이름 같은 다른 개별적인 정보 없이 발신번호만을 표시하는 것은 수신된 호의 분별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수신자가 수신된 호를 분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이동통신기기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이름들, 및 이것들에 대응되는 관계들을 중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했다. 임의의 호를 수신할 때, 이동통신기기는 수신된 호 신호로부터 발신자 ID코드를 얻고, 이름과 같은 발신자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발신자 ID코드를 중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비교한다. 만약, 중계 데이터베이스가 수신된 발신자 ID코드와 일치하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갖는다면, 이에 대응하는 통신장치 고유코드의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등으로 표시된다. 만약, 중계 데이터베이스가 발신자 ID코드와 일치하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갖고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기기는 단지 발신자 ID코드만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코드를 기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필요한 호를 분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단지 수신된 발신자 ID코드가 통신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ID코드들 중 하나와 일치할 때에 한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하나의 작은 사업체와 같은 집단 가입자가 연속되는"12345670"에서 "12345679"까지의 10회선의 번호 로 이루어진 번호 블록을 사용할 때, 집단 가입자는 외부로 전화를 걸 때 PBX(Private branch exchange)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10회선의 번호들 중 하나의 번호를 임의로 사용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입자는 예컨대 명함들에 인쇄된 번호같은 대표회선 번호로서 10회선 번호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따라서, 수신자 이동통신기기의 중계 데이터베이스에는 단지 명함에 적혀있는 대표회선의 번호만 저장된다. 그러나, 이동통신기기가 10개의 회선들 중 대표회선이 아닌 다른 하나의 회선에서 호를 수신할 때, 통신장치는 이름 같은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일치하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문제를 완화시키거나 제거하여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방법과 이에 의한 상기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회선을 사용하는 통신 가입자로부터 호를 수신할 때, 미리 저장되지 않은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수신으로 인하여 수신자가 혼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발신자를 확실하게 분별할 수 있는 통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발신자 ID코드를 사용하고 그것을 적용시키는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은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다수의 통신장치들과 통신 가능한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A) 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ID코드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C)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문자열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읽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발신자 ID코드와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유사성에 의하여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F) 사용자가 발신자를 분별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하여 정렬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 통신 상대자(발신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또는 발신자 ID코드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발신자 ID코드는 상기 코드들의 문자를 이끄는 앞자리 수들이 우선적으로 비교된다. 만약, 상기 두개의 코드를 이끄는 앞자리 수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두개의 코드들 사이의 유사성은 0이다. 만약, 상기 두개의 코드들을 이끄는 앞자리 수들이 일치한다면, 다음 자리수들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그 후에,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은 가장 유사성이 큰 순서에서 가장 유사성이 적은 순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에 미리 저장되지 않은 발신자의 ID코드에 의하여 혼동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여, 이동통신기기 사용자가 통화 가능한 발신자를 확실하게 분별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 ID코드와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은 정수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유사성을 얻어내기 위하여 미 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상기 두개의 코드들은 비교된다. 기준은 상기 두개의 코드들 사이에서 더 유사한 것, 다시 말해서, 상기 두개의 코드들 사이의 절대값 차이가 더 적은 것이 된다. 여기서, 절대값 차이는 정수 형태로 나타나는 상기 두개의 코드들의 값의 차이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은 가장 유사성이 큰 순서에서 가장 유사성이 적은 순서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또는 발신자 ID코드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장치의 고유코드들과 발신자 ID코드는 우선적으로 상기 두 코드들의 앞자리 숫자세트들이 비교된다. 만약, 상기 두 코드들의 앞자리 숫자세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두 코드 사이의 유사성은 0이 된다. 만약, 상기 두 코드들이 앞자리 숫자셋트들과 일치 한다면, 다음 단계의 비교가 더 수행된다.
상술한 방법은 메모리나 메모리 장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통신장치로 읽혀질 때 상술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는 통신 신호 수신기/전송기; 상기 통신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장치; 상기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들에 대응되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수신신호에 첨부되는 발신자 ID코드와 상기 통신장치의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료 사이의 유사성을 산정하는 비교장치; 상기 비교장치에서 생성된 비교치를 순서대로 정렬하기 위한 순서정렬장치; 및 상기 순서정렬장치에 의하여 정렬된 정보 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발신자 ID코드와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들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유사성 순서에 따라 정렬할 수 있고, 화면 표시장치, 음성신호 표시장치 또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정렬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다수의 통신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할 때, 사용자는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발신자 ID코드에 의하여 혼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중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발신자 중 통화가 적절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수신자가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한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적인 발신자 ID코드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다른 통신장치의 사용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분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별적인 발신자 ID코드는 약간의 일치하는 디지털 문자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는 전화번호 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장치(10)와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회선을 통하여 사용하는 통신장치(50)들은 케이블이나 무선방식으로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6)에 연결된다. 상기 통신장치(10)는 무선 이동통신기기 또는 PDA같은 무선 통신기능을 겸비한 통신장치가 될 수 있다. 그룹(5)은 다수의 통신장치(50)들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그룹(5)은 가입자 집단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전화기들이다. 통신장치(10)와 다수의 통신장치(50)들은 서로 전화 통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교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다수의 통신장치(50)들은 두 가지 상태 중 하나로 운영한다. 첫번째 상태: 각각의 통신장치(10)는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에 대응하고, 다른 통신장치(50)들은 상기 다른 통신장치 고유코드에 대응한다. 두번째 상태: 각각의 통신장치(10)는 선택적으로 지정된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세트 중 하나에 대응함으로서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다수의 통신장치는 PBX(7)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다수의 통신장치(50)들 중 하나는 자동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 사이의 어떤 하나와 통화할 수 있다. 상기 그룹(5)은 소정의 지정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세트와 일치한다. 여기서, 상기 ID코드는 전화번호를 예를들어 설명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치는 무선신호 수신기/전송기(11), 신호처리기(12), 비교기(13), 순서정렬기(14), 저장장치(15), 표시장치(16), 및 제어/선택 유닛(17)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장치(15)는 다수의 전화번호와 상기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름, 별명, 회사명 같은 통신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이동통신기기(10), PDA, 스마트 폰,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다른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가 될 수 있다. 이동통신기기(10)가 호를 수신할 때, 신호처리기(12)는 호 수신시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전화번호)를 획득하고, 비교기(13)는 수신되는 상기 발신자번호와 저장장치(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사이의 유사성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고, 순서정렬기(14)는 비교기(13)에서 비교된 수치의 순서를 정렬하고 사용자가 전화를 분별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표시장치(16)를 통하여 비교된 결과를 출력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우선, S201단계에서, 이동통신기기(10)는 무선신호 수신기/전송기(11)로부터 임의의 호를 수신하고, 신호처리기(12)로부터 수신되는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자 ID코드는 수신된 발신자번호(S1)이고, 상기 발신자번호(S1)는 문자열 형태로 변환되어 표현된다(S202단계). 만약, 발신자번호(S1)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상기 국가코드는 삭제된다(S203단계).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가 "886-12345678"("886"은 Taiwan 국가코드 이다.)이면, 국가코드인 "886"은 삭제되고 "12345678"만 사용된다. 국가코드가 제외된 발신자번호(S1)는 비 교기(13)에 전송되고, 상기 비교기(13)는 저장장치(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를 읽는다(S204단계). 본 실시예에서, 전화번호(S2)는 저장장치(15)에 문자열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만약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886"과 같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 또한 삭제된다(S205단계). S206단계에서, 발신자번호(S1)의 문자열과 이동통신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의 문자열은 각 각의 유사성 수치를 계산하는 기준에 의해 비교된다. 상기 기준은 두 문자열들 사이에 몇 개의 문자가 다른가에 의하여 정해지며, 문자열의 다른 문자가 더 많을수록 유사성이 더 적은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들어, 만약, 발신자번호(S1)가 "12345678"이고 전화번호(S2)가 "12345677"일 때, 상기 두개의 문자열 중에서 한 개의 문자가 다르고, 전화번호(S2)가 "12345666"일 때는, 상기 두개의 문자열 사이에서 두개의 문자가 다르다. 따라서, "12345677"은 "12345666"보다 더 큰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발신자번호(S1)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와 비교된 후에, 유사성에 따라 분류된 비교 결과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를 유사성이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순서를 정렬하기 위하여 순서정렬기(14)에 보내진다(S207단계). 이러한 전화번호(S2)들 및 그것들에 관련된 각 각의 정보는 이동통신기기(10) 사용자가 정렬된 결과에 따라 발신자를 판단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또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구비된 표시장치(16)로 전송된다(S208단계). 상기 사용자는 제어/선택 유닛(17)을 통하여 수신된 전화의 응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선택 유닛(17)은 버튼,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또는 2차적인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발신번호(S1)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들 중 하나의 번호가 다수의 통신장치들의 동일한 세트로 존재하면, 사용자는 여전히 표시장치(16)에 의하여 표시된 전화번호(S2)중 한 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선택 유닛(17)을 사용할 수 있고, 발신자번호(S1)는 이동통신기기(10)의 저장장치(15)로 저장될 것이다. 전화번호(S1)에 관련된 이름, 별명, 회사명 등의 발신자정보는 자동적으로 전화번호(S2)에 대응되는 사용자정보로 배치된다. 이는 S1과 S2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서, 이동통신기기 사용자는 발신번호(S1)를 중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선택할 때, 사람들은 발신번호(S1)와 관련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번호(S1)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의 문자열 사이에 다른 문자의 수에 의하여 유사성을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준을 정하는데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 문자의 위치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왼쪽에 있는 문자가 더 높은 가중치를 갖는다면, 앞에서 언급된 예에서 상기 두개의 수 사이의 동일한 양의 유사성이 있을 때, 가중치가 부여된 문자들은 유사성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것에 사용되고, 유사성을 더 차별화할 수 있다. 만약, 발신번호(S1)가 "12345678"이고, 휴대전화(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12345677"과 "12345688"일 때, 휴대전화(10)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전화번호(S2)들은 발신번호(S1)와 하나의 숫자만 다르다. 그러나, 첫번째 번호 "12345677"과 발신번호(S1)는 가중치가 적은 오른쪽의 첫번째 번호가 다르고, 두번째 번호인 "12345688"과 발신번호(S1)는 더 높은 가중치를 갖는 오른쪽에서 두번째의 번호가 다르다. 따라서, 비록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번호 (S2)들은 발신번호(S1)와 하나의 문자만 다르지만,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들 중에서 두번째 번호는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의 첫번째 번호보다 더 많은 차이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하면,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기준을 잡으면, "12345677"은 "12345688"보다 더 높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두번째 실시예에서, 기준은 문자가 연속적으로 일치하는 수를 세는 것으로 정의되며, 세어진 수가 더 클수록, 더 높은 유사성을 지니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S1)가 "12345678"이고, 이동통신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12345677"과 "12347678"일 때; "12345677"은 발신번호(S1)와 일치하는 7개의 연속적인 문자(1234567)를 갖는 반면, "12347678"은 발신번호(S1)와 일치하는 단지 4개의 연속적인 문자(즉, 1234)를 갖는다. 따라서, "12345677"은 "12347678"보다 더 높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세번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이동통신기기(10)는 무선신호 수신기/전송기(11)를 통해 호를 수신하고, 신호처리기(12)로부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자 ID코드는 발신자번호(S1)이고, 상기 발신자번호(S1)는 정수형태로 변환되어 표현된다(S302단계). 만약, 발신번호(S1)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삭제된다(S303단계).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가 "886-12345678"("886"은 Taiwan 국가코드 이다.)이면, 국가코드인 "886"은 삭제되고 "12345678"만 사용된다. 국가코드가 제외된 발신번호(S1)는 비교기(13)에 보내지고, 상기 비교기(13)는 저장장치(15)로부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를 읽는다(S304단계). 본 실시예에서, 전화번호(S2)는 저장장치(15)에 정수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886"같은 국가코드는 또한 삭제된다(S305단계). S306단계에서는, 정수형태의 발신번호(S1)와 이동통신기기(10)에 정수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는 각 각의 유사성을 계산하는 기준에 의해 비교된다. 상기 기준은 발신번호(S1)와 이동통신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의 절대값 차이를 계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두 정수들 사이의 차이값을 비교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더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더 높은 유사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S1)가 "12345678"이고, 이동통신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12345679"이면, 상기 두개의 전화번호들 사이에 절대값 차이는 1이다. 만약 이동통신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12345668"이면, 전화번호들 사이의 절대값 차이는 10이다. 여기서, 발신번호(S1)와 "12345679" 차이값은 발신번호(S1)와 "12345668"의 차이값 보다 더 적다. 따라서, "12345679"는 "12345668" 보다 더 큰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발신번호(S1)와 이동통신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들의 유사성들을 평가한 후에, 결과값은 근사한 수치의 전화번호(S2)부터 가장 유사성이 떨어지는 전화번호(S2)들을 정렬하기 위하여 순서정렬기(14)로 보내진다(S307단계). 이러한 전화번호(S2)들 및 그것들에 관련된 각각의 정보는 이동통신 사용자가 정렬된 결과에 따라 발신자를 판단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또는 이동통신기기(10)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표시장치(16)로 전송된다(S308단계). 사용자는 제어/선택 유닛(17)을 통하여 수신된 전화의 응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선택 유닛(17)은 버튼,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또는 2차적인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들 중 하나의 번호와 발신번호(S1)가 다수의 통신장치와 동일한 세트로 존재하면, 사용자는 표시장치(16)를 통해 표시되는 전화번호(S2)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선택 유닛(17)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신자번호(S1)는 이동통신기기(10)의 저장장치(15)로 저장될 것이다. 전화번호(S1)에 관련된 이름, 별명, 회사명 등의 상기 발신자 정보는 자동적으로 전화번호(S2)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로 배치된다. 이는 S1과 S2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이동통신기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중계 데이터베이스에서 전화번호(S1)를 저장하기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발신번호(S1)와 관련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
네번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번째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두 정수간의 절대값 차이의 유사성을 정하는것 뿐만 아니라, 상기 세번째 실시예에 의한 유사성이 동일한 때, 문자들의 유사성 차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 S1과 S2들 사이에 얼마나 많은 다른 수가 있는지를 더 비교하도록 기준이 강화될 수 있는바, 다른 자리의 수가 더 많으면, 더 낮은 유사성을 지닌다.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S1)가 "12345678"이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는 "12345675"와 "12345681"일 때, 상기 두 수 모두 절대값 차이는 3이다; 그러나, "1234578"과 "12345675"사이는 한 개의 자리 수만 다르고, "12345678"과"12345681"사이는 두개의 자리수가 다르다. 결과적으로, "12345675"는 "12345681"보다 더 큰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참작된다.
다섯번째 실시예를 위하여, 도2 및 도 5를 참조한다. S401단계에서, 이동통신장치(10)는 무선신호 수신기/전송기(11)로부터 호를 수신하고, 신호처리기(12)로부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자 ID코드는 발신번호(S1)이고, 상기 발신번호(S1)는 문자열 형태로 변환되어 표현된다(S402단계). 만약, 발신자번호(S1)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삭제된다(S403단계). 예를들어, 만약 발신번호(S1)가 "886-12345678"이면,("886"은 Taiwan국가코드이다.)이면, 국가코드인 "886"은 삭제된다. 국가코드가 제외된 전화번호(S1)는 비교기(13)에 보내진다. 비교기(13)는 저장장치(1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를 읽으며(S404단계), 이때 전화번호(S2)의 문자를 이끄는 앞자리 수는 전화번호(S1)를 이끄는 앞자리 수와 완전하게 일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문자를 이끄는 앞자리 수는 지역코드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만약 상기 발신번호(S1)가 "12345678"이고 "123"이 하나의 지역코드이면, 비교기(13)는 저장장치(15)에서 앞자리 수로 "123"을 갖는 전화번호(S2)만을 읽는다. 또한, 문자를 이끄는 앞자리 수는 0928(청화 텔레콤), 0955(파 이스턴 텔레콤)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제공자의 코드화된 이름이나 번호가 될 수도 있다. 전화번호(S2)는 저장장치(15)에 문자열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만약, 전화번호(S2)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삭제되고(S404), S405단계에서는, 발신번호(S1) 문자열과 이동통신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 문자열은 유사성을 얻어내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상호 비교된다. 상기 기준은 첫번째 또는 두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정의 될 수 있다. 발신번호(S1)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비교된 후에, 상기 비교결과는 순서를 정렬하기 위하여 상기 순서정렬기(14)에 전송된다(S406단계). 그러면 상기 비교된 결과는 가장 높은 유사성을 갖는 전화번호(S2)부터 가장 낮은 유사성을 갖는 전화번호(S2)를 정렬하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화번호(S2)들 및 그것들에 관련된 각각의 정보는 이동통신 사용자가 정렬된 결과에 따라 발신자를 판단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또는 이동통신기기(10)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표시장치(16)로 전송된다(S407단계). 사용자는 제어/선택 유닛(17)을 통하여 수신된 전화의 응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선택 유닛(17)은 버튼,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또는 2차적인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들 중 하나의 번호와 발신번호(S1)가 다수의 통신장치와 동일한 세트로 존재하면, 사용자는 표시장치(16)를 통해 표시되는 전화번호(S2)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선택 유닛(17)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신자번호(S1)는 이동통신기기(10)의 저장장치(15)로 저장될 것이다. 전화번호(S1)에 관련된 이름, 별명, 회사명 등의 상기 발신자 정보는 자동적으로 전화번호(S2)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로 배치된다. 이는 S1과 S2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실시예는 발신번호(S1)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가 정수형태로 저장되어 표시되는 것을 제외하고 다섯번째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발신번호(S1)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는 우선적으로 네번째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S404단계의 앞자리 문자 비교방법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제공자의 지역코드 또는 이름/번호들을 나타내는 그것들의 앞자리수와 비교된다. 유사성을 정의하는 것에서 나머지 부분은 세번째 또는 네번째에서 기술된 실시예의 기준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은 발신번호(S1)와 이동통신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S2)사이의 유사성을 졀정하기 위하여 비교기(13), 유사성에 따라 정렬하기 위한 순서정렬기(14), 상기 정렬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16)를 사용한다. 다수의 통신장치 중 하나로 부터 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는 미리 저장되지않은 번호에 의하여 혼동되는 것을 피하고 확실하게 발신자를 분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수신되는 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로부터 확실하게 판가름 할 수 있고, 특별하게 다수의 통신장치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고유코드를 통하여 호가 수신될 때,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의하여 혼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9)

  1.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각 각의 발신자 ID코드를 갖는 다수의 통신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있어서,
    (A) 임의의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ID코드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C)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문자열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읽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상기 발신자 ID코드와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사이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유사성에 근거하여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정렬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것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발신자 ID코드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상기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되며,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이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상기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기준은 상기 발신자 ID코드 문자열과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문자열 사이의 차이값이며, 차이값이 더 클수록 유사성은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은 유사성이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5.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각 각의 발신자 ID코드를 갖는 다수의 통신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있어서,
    (A) 임의의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ID코드를 정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정수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읽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상기 발신자 ID코드와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사이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유사성에 근거하여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정렬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것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만약 수신된 발신자 ID코드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되어지며,
    상기 (C)단계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이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우선적으로 국가코드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기준은 수신된 발신자 ID코드의 정수값과 제한된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정수값 차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은 유사성이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9.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각 각의 발신자 ID코드를 갖는 다수의 통신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있어서,
    (A) 임의의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수반되는 발신자 ID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발신자 ID코드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문자열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중에서 발신자 ID코드의 앞자리 문자와 동일한 앞자리 문자를 갖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읽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상기 발신자 ID코드와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유사성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정렬된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것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만약 수신된 발신자 ID코드가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국가코드는 우선적으로 삭제되며,
    상기 (C)단계에서,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이 국가코드를 포함한다면, 우선적으로 국가코드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기준은 수신된 발신자 ID코드의 문자열과 제한된 통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장치 고유코드들의 문자열 사이의 차이값이며, 차이값이 더 크면 클수록 더 낮은 유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통신장치 고유코드는 유사성이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문자의 앞자리 수는 지역코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문자의 앞자리 수는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이름/번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는 방법.
  15. 통신신호 수신기/전송기;
    통신 전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기;
    다수의 통신장치 고유코드들과 그것들에 대응되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상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의하여 도출된 비교결과를 정렬하는 순서정렬기; 및
    상기 순서정렬기에 의해 출력된 자료들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는 이동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는 화상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리소스 통신장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절한 발신자를 분별하기 위한 통신장치.
KR1020050032577A 2004-12-10 2005-04-20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 KR100635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3138395A TWI257236B (en) 2004-12-10 2004-12-10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ID code of a caller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le identity of a caller
TW093138395 200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26A KR20060065426A (ko) 2006-06-14
KR100635186B1 true KR100635186B1 (ko) 2006-10-16

Family

ID=3439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577A KR100635186B1 (ko) 2004-12-10 2005-04-20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635186B1 (ko)
FI (1) FI20050270A (ko)
SE (1) SE0500589L (ko)
TW (1) TWI257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96B1 (ko) * 2005-10-17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US8468366B2 (en) 2008-03-24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a programmable identifier in a communication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0969A (en) 2006-06-16
SE0500589L (sv) 2006-06-11
FI20050270A0 (fi) 2005-03-14
FI20050270A (fi) 2006-06-11
KR20060065426A (ko) 2006-06-14
TWI257236B (en)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6263C (zh) 从呼叫者向接收者发送电话消息标志的方法和系统
US8515405B2 (en) Communication device
EP1117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a calling telephone handset to choose a ringing indication(s) to be played and/or shown at a receiving telephone handset
KR201000843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US6754317B1 (en) Telephony access using an email address
KR100635186B1 (ko) 수신자의 발신자 분별을 보조하는 방법 및 그 통신장치
US6868145B1 (en) Alphanumeric keyboard with telephone dialing capability
US20090296691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KR20010074284A (ko) 컴퓨터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발신자 정보 표시 장치 및그 제어 방법
EP0999691A1 (en) Ring type based on call related information
KR20020017062A (ko) 전화도메인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및 이러한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WO2008085211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calls with a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CN100514987C (zh) 以来电通讯终端识别码检测可能来电的方法及其通讯装置
KR20000020280A (ko) 발신자 정보처리 시스템
KR100618411B1 (ko) 주소록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101079099B1 (ko) 부재중 착신 리스트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US582874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number plan for use with a general telephone and a key telephone in a key telephone system
AU769083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9942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US20070263807A1 (en) Telephone group identification ring
KR20050050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와일드 카드를 이용한 발신자 검색방법
EP0926864A2 (en) Telephone call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differentiated caller name feature
JP2006128990A (ja) 電話番号置換言葉伝達システム及び伝達方法
WO2000035167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40077820A (ko)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