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982B1 -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982B1
KR100634982B1 KR1020050033613A KR20050033613A KR100634982B1 KR 100634982 B1 KR100634982 B1 KR 100634982B1 KR 1020050033613 A KR1020050033613 A KR 1020050033613A KR 20050033613 A KR20050033613 A KR 20050033613A KR 100634982 B1 KR100634982 B1 KR 10063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permanent abutment
permanent
implant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05003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임플란트 유사체와 영구 어뷰트먼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간접 인상의 방법으로 치아 모형을 얻은 마스터모델에서 영구 어뷰트먼트의 위치가 보다 더 정확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영구 어뷰트먼트의 인상을 위한 포스트(Impression Post)를 옮겨 끼우는 불편을 해소하고, 이에 따르는 오차의 범위를 한 단계 더 줄여서 영구 보철물의 최종 오차 범위를 줄여서 보다 더 정확히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한, 영구 어뷰트먼트와 임플란트 유사체를 동일한 티타늄 소재로 제조하여 별도로 각각 제조, 유통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제작비 및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일측단으로 영구 어뷰트먼트(110)가 형성되고, 타측단으로 임플란트 유사체(120)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절단 안내용 오목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의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111)를, 내측으로 테이퍼부(112) 또는 나사부(113)를 구비하여 테이퍼 록킹타입 또는 나사결합타입으로 임플란트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ABUTMENT WITH IMPLANT ANALOG}
도 1은 종래의 어뷰트먼트와 임플란트 유사체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가진 어뷰트먼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임플란트
110 : 영구 어뷰트먼트
111 : 보철물 조립부
112 : 테이퍼부
113 : 나사부
114 : 요홈테
120 : 임플란트 유사체
130 ; 오목부
200 : 인상
300 : 보철물
400 : 마스터모델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인공치근)에 보철물을 갖도록 시술할 때, 그 보철물 제작을 위해 사용하는 임플란트 유사체와 상기 보철물과 임플란트를 결합하기 위한 어뷰트먼트를 일체로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과정을 보면,
-. 치아를 뺀 자리에 임플란트(Implant)를 식립한다.
-. 식립된 자리가 아물었을 때 임플란트 위로 영구 어뷰트먼트(Abutment) 또는 인상용 포스트(Impression Post) 또는 플라스틱 코우핑(Plastic Coping)등을 꽂고 치형 파악을 위한 인상(Impression)을 뜬다.
-. 그 인상을 이용하여 석고재로써 마스터모델(Master Model)을 만든다.
-. 완성된 마스터모델에서 인상용 포스트일 경우, 그 인상용 포스트를 영구 어뷰트먼트로 바꾸고, 이 영구 어뷰트먼트의 상측을 보철물 조립을 위해 적절히 삭 제하는 연삭 가공을 한다.
-. 가공된 영구 어뷰트먼트의 위로 보철물을 조립한다.
-. 상기와 같이 가공된 영구 어뷰트먼트를 임플란트에 끼우고, 그 위로 완성된 보철물을 조립하면 인공치아의 시술이 끝난다.
이때, 인상을 얻는 방법 중에서 영구 어뷰트먼트를 사용하여 얻는 방법을 직접 인상이라 하고, 별도의 인상 포스트를 이용하여 얻는 방법을 간접 인상이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 간접 인상 획득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구 어뷰트먼트(10)와 임플란트 유사체(20), 혹은 인상 포스트와 임플란트 유사체(20)가 따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각각 유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에 꽂았던 상기 영구 어뷰트먼트 또는 인상 포스트를 인상의 빈 공간에 옮겨 끼우되, 비교적 정확히 옮겨 끼워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특히, 상기한 인상 포스트에 실제의 임플란트를 끼우거나 임플란트 유사체(20)를 조립한 후, 석고재질의 마스터모델을 완성하였을 때, 마스터모델의 위로 노출되는 인상 포스트를 다시 영구 어뷰트먼트(10)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 영구 어뷰트먼트를 구강 내에서 재차 다듬질 연삭을 해야 하는 폐단이 있는 바, 그 이유는 마스터모델의 치아 치수가 실제 치아의 치수만큼 정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가공되기 어려웁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임플란트 유사체와 영구 어뷰트먼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인상으로 치아 모형을 얻은 마스터모델에서 영구 어뷰트먼트의 위치가 보다 더 정확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구 어뷰트먼트의 인상을 위한 포스트(Impression Post)를 옮겨 끼우는 불편을 해소하고, 이에 따르는 오차의 범위를 한 단계 더 줄여서 영구 보철물의 최종 오차 범위를 줄여서 보다 더 정확히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한, 영구 어뷰트먼트와 임플란트 유사체를 동일한 티타늄 소재로 제조하여 별도로 각각 제조, 유통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제작비 및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일측단으로 영구 어뷰트먼트가 형성되고, 타측단으로 임플란트 유사체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절단 안내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를, 내측으로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테이퍼 록킹타입으로 임플란트에 조립되도록 한다.
또,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의 테이퍼부에는 요홈테를 형성하여 더블 테이퍼 록킹타입으로 임플란트에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를, 내측으로 나사부를 구비하여 나사결합식으로 임플란트에 조립되도록 한다.
또 한,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의 보철물 조립부는 그 테이퍼부 또는 나사부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형성하여 기울어지게 식립된 임플란트에 적당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유사체를 가진 어뷰트먼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단으로 영구 어뷰트먼트(110)가 형성되고, 타측단으로 임플란트 유사체(120)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절단 안내용 오목부(130)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영구 어뷰트먼트(110)의 모양과 임플란트 유사체(120)는 치아와 치아 주변의 여건에 의해서 모양과 치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저, 인상(200)을 뜰 때는 어뷰트먼트(110a)를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100)에 끼운다. 이 어뷰트먼트(110a)는 본 발명의 영구 어뷰트먼트(110)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영구 어뷰트먼트(110)를 사용하거나 임플란트 유사체를 가진 본 발명의 어뷰트먼트에서 임플란트 유사체(120) 부분만을 잘라내고 사용할 수 있다.
완성된 인상(200)에서 어뷰트먼트(110a)가 끼워질 자리에 도 2와 같이 절단되지 않은 본 발명의 영구 어뷰트먼트(110)를 끼운다.
끼워진 주변으로 잇몸 표현을 위한 재료를 부어주고, 그 위로 석고재를 부어서 마스터모델(400)을 만든다.
상기 마스터모델의 상태에서 위로 노출된 영구 어뷰트먼트(110)를 절삭공구로 삭제하여 보철물(300)을 얹기에 적당하도록 가공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마스터모델(400)로부터 상기한 어뷰트먼트 부분만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철물(300)을 얹기에 적당하도록 상기 영구 어뷰트먼트(110)가 가공되었으면 마스터모델(400)로부터 추출한 후, 그 오목부(130) 이하의 임플란트 유사체(120)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상기 영구 어뷰트먼트(110)의 절단된 부분 다듬질까지를 완료한 후, 그 테이퍼부(112)를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100)에 끼워서 조립하고, 그 위로 보철물(300)을 얹는 나머지 과정을 시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도 3의 영구 어뷰트먼트(110)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111)를, 내측으로 테이퍼부(112)를 구비하여 이 테이퍼부(112)가 임플란트(100)에 테이퍼록킹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5는 테이퍼록킹 중에서도 더블록킹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요홈테(114)를 형성한 것이며, 공기압축을 예방하여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다.
도 4의 영구 어뷰트먼트(110)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111)를, 내측으로 나사부(113)를 구비하여, 이 나사부(113)가 임플란트(100)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의 보철물 조립부(111)를 그 테이퍼부(112) 또는 나사부(113)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써,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100)와 치열에 따른 보철물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적합한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사체와 영구 어뷰트먼트를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인상으로 치아 모형을 얻은 마스터모델에서 영구 어뷰트먼트의 위치가 보다 더 정확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영구 어뷰트먼트나 인상 포스트를 옮겨 끼우는 불편을 해소하고, 보철물의 완성 후 임플란트 유사체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마무리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술이 보다 더 간편해지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영구 어뷰트먼트와 임플란트 유사체를 동일한 티타늄 소재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제조, 유통되는 종래와 달리 제작비 및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더욱 좋다.

Claims (5)

  1. 일측단으로 영구 어뷰트먼트(110)가 형성되고, 타측단으로 임플란트 유사체(120)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절단 안내용 오목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111)를, 내측으로 테이퍼부(112)를 구비하여 테이퍼 록킹타입으로 임플란트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의 테이퍼부(112)에는 요홈테(114)를 형성하여 더블 테이퍼 록킹타입으로 임플란트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는 외측으로 보철물 조립부(111)를, 내측으로 나사부(113)를 구비하여 나사결합식으로 임플란트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구 어뷰트먼트(110)의 보철물 조립부(111)는 그 테이퍼부(112) 또는 나사부(113)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로 기울어진 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KR1020050033613A 2005-04-22 2005-04-22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KR10063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13A KR100634982B1 (ko) 2005-04-22 2005-04-22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13A KR100634982B1 (ko) 2005-04-22 2005-04-22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982B1 true KR100634982B1 (ko) 2006-10-17

Family

ID=3762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613A KR100634982B1 (ko) 2005-04-22 2005-04-22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9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288A1 (en) 2001-03-09 2004-06-24 Morgan Vincent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the position of intra-osseous implants and abutments relative to analog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288A1 (en) 2001-03-09 2004-06-24 Morgan Vincent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the position of intra-osseous implants and abutments relative to analogs thereof
US20040121287A1 (en) 2001-03-09 2004-06-24 Morgan Vincent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the position of intra-osseous implants and abutments relative to analog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804A1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US6824386B2 (en)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AU2002347710B2 (e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US20110014586A1 (en) Ceramic one-piece dental implant
US11771523B2 (en) Method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dental component
TW201318604A (zh) 口內取模套件與口內取模方法
US2008025441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head piece of a tooth implant and manufacturing kit for such a process
KR102304199B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US20190247149A1 (en) Custom dental component and scan body
KR10153828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US20150250569A1 (en)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75307A1 (en) Anchoring assembly for a dental prosthesis
US20100086900A1 (en) Coping-analogue kit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CN111870367A (zh) 一种分体式基台的马龙桥种植牙及其装配方法
KR100634982B1 (ko) 임플란트 유사체를 일체로 가진 어뷰트먼트
EP3298983B1 (en) Method for registering implant orientation directly from a dental impression
US20220151751A1 (en) Implant analogs and methods
US20180263739A1 (en) Dental modeling system and method with direct implant analog and thread retention
US201900832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implant orientation directly from a dental impression
JP5937401B2 (ja) スキャニングジグ
CN114599312A (zh) 用于牙种植体的牙龈愈合基台
WO2014002632A1 (ja) スキャニングジグ
CN213697281U (zh) 一种能分体装配的马龙桥种植牙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