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920B1 - 신속 해제 커넥터 - Google Patents

신속 해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920B1
KR100634920B1 KR1020007011435A KR20007011435A KR100634920B1 KR 100634920 B1 KR100634920 B1 KR 100634920B1 KR 1020007011435 A KR1020007011435 A KR 1020007011435A KR 20007011435 A KR20007011435 A KR 20007011435A KR 100634920 B1 KR100634920 B1 KR 10063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connector
receptacle
extension
exten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715A (ko
Inventor
사보이아르맨드제이.
Original Assignee
맥네일 엔지니어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62,037 external-priority patent/US6151805A/en
Priority claimed from US09/208,180 external-priority patent/US6108944A/en
Application filed by 맥네일 엔지니어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맥네일 엔지니어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리셉터클과 착탈식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 리셉터클은 개구 및 커넥터 결합 구조부를 갖는다. 착탈식 커넥터는 보유 부재 및 다수의 먼지 덮개(261)를 갖는다. 보유 부재는 리셉터클 개구 내로 삽입가능하고, 적어도 3개의 연장부(215)가 돌출되는 하부 및 상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리셉터클에 커넥터를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커넥터 결합 구조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먼지 덮개는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각 먼지 덮개는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된 때, 각 먼지 덮개는 리셉터클 개구 내로 단정하게 끼워지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결합된다.
커넥터, 클리트, 신발창, 리셉터클, 연장부, 먼지 덮개, 보유 부재, 제한 수단, 그립 부재, 돌출부, 개구.

Description

신속 해제 커넥터 {QUICK-RELEASE CONNECTOR}
본 발명은 착탈식 기계식 커넥터 및 신발의 바닥에 트랙션 기어를 장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형적인 트랙션 기어는 신발 바닥의 정합 수납 리셉터클 내로 트랙션 기어를 나사로 죄는 부착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이 나사형 부착 방법의 사용은 예컨대 11개의 클리트를 가지는 통상의 골프화를 고려한다면, 특히 귀찮은 것이다. 그 결과, 한 켤레의 골프화의 클리트들을 교체하는 데는 22개의 클리트을 돌려서 빼고, 죄는 것이 수반되고, 돌려서 풀거나 또는 죄는 각 동작은 각 클리트에 대해 수 회의 회전, 통상 2바퀴 반 정도의 회전을 수반한다.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클리트에 대한 예시는 미국 특허 제4,723,366호(이하 '366 클리트)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다. 이 특허는 클리트의 코어에 금속 스터드 하부 구조가 포함된 클리트를 개시하며, 상기 하부 구조는 수직축 및 2개의 단부, 신발의 리셉터클과 결합하기 위한 제1 단부의 나사부, 지면과 마찰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접지 단부 및 나사와 헤드 부분 사이에 있고, 수직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넓은 플랜지를 갖고 있다. 플라스틱 스커트는 클리트의 일체형으로 강화된 반경지지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플랜지부 상 에 직접 성형된다. '366 클리트의 설치는 운동화의 바닥의 정합 리셉터클 내부로 이를 돌려 넣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클리트 부착 시스템은 1바퀴 보다 적은 회전이 필요하거나, 클리트를 제자리에 체결하기 위해 스냅 온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어떤 시스템도 안정성, 사용의 편이성, 리셉터클의 크기 및 제조의 용이성에서의 단점들 때문에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예컨대, Dassl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33,600호에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냅 링 소켓은 클리트를 신발 바닥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하고 있다.
Turn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267,593호에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클리트 스파이크의 상부는 스파이크에서부터 거친 T형 형상을 형성하는 두 개의 연장부를 갖고, 스파이크는 연장부를 수납하기 위한 2개의 홈을 가진 정합 홈 속으로 삽입된다. 스파이크가 리셉터클로 완전히 삽입되면, 스파이크는 연장부가 리셉터클 상부의 수납 홈 속으로 들어갈 때까지 돌려진다. 보유 링은 스파이크의 중간 섹션 위로 활주되고, 이 링은 스파이크가 홈으로부터 연장부를 이탈시키는 것을 명백하게 방지한다.
유사하게는, Sportaritkelfabrik Karl Uhl, GmbH가 출원한 독일 특허 출원 제 DE3134817A1호 및 Gebruder Goldschmidt Baubeschlage GmbH가 출원한 독일 특허 출원 제 DE3423363A1에 의하면, 다른 T형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정합 리셉터클의 내부가 스파이크 연장부와 결합하여 보유하기 위하여 램프 수단으로 되어 있다. 전자는 거친 내부 표면이 연장부를 잡고, 후자는 경사진 내부가 연장부와 결합한다.
Arff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92,047호에는 다른 T형 스파이크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커트는 삽입 시에 변형된다. 스파이크의 삽입은 연장부가 램프 위로 올라간 후 램프에서 내려와서, 스파이크를 리셉터클로 당기고, 연장부를 보유 영역 내에 있게 한다. 스커트는 소켓에 대해서 압력을 가하도록 변형되어서, 이 압력이 스파이크가 제거 쪽인 램프 뒤로 갑자기 이동되지 않도록 이를 보유한다.
Hrivnak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035,934호에는 다른 T형 스파이크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파이크 칼럼은 두 개의 만입부를 가진다. 설치 시에, 각각 신발의 표면에 수직으로, 스파이크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된 두 개의 스프링 아암은 스파이크의 삽입 시에 가압되고, 완전히 삽입된 때는 만입부를 가압하도록 지지한다. 이 스파이크의 제거는 스파이크 리셉터클로 활주해서 스프링 아암을 눌러서 스파이크가 제거되도록 자유롭게 만드는 U형 공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신발의 하부에 트랙션 기어를 제거식으로 부착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두 개의 주요 구성 요소인 보유 부재와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이 두 구성 요소는 각각 신발의 하부에 트랙션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보통의 나사와 나선 리셉터클 시스템을 대체하고, 클리트의 보다 신속하고 간단한 부착을 제공한다. 단지, 트랙션 기어의 60도 정도의 부분적인 돌림으로 리셉터클 내에 기어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의 3개의 연장부는 트랙션 기어가 클리트의 접지 단부에 작용하는 측방향 힘에 저항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골프화 부착용 부착 시스템을 사용하는 스커트를 가진 스파이크일지라도, 예컨대, 암벽타기 같은 다른 종류의 트랙션 기어도 동일한 부착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리트를 신발에 부착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나사 방식, 스냅 링, 또는 종래 기술의 클리트의 T형 보유 부재 대신에 3개의 연장부를 가진 신속 해제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신속 해제 시스템을 사용하면, 클리트를 신발 하부의 리셉터클 내부로 위치시키고, 간단하게 클리트를 부분적으로 돌려서 사용 위치로 체결시킬 수 있다. (여기의 참조 문헌 및 청구항 내에서의 "상부", "하부"는 각각 신을 신는 사람의 발에 보다 가까운 단부 및 지면에서 보다 가까운 단부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트는 양호하게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의 하부에는 골프 클리트의 스커트 및 스파이크와 같은 표준 트랙션 기어가 있고, 기부의 상부에는 신발에 트랙션 기어를 부착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조가 있다. 스커트는 부착 구조의 단부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클리트 렌치를 수납하기 위한 전체 또는 부분적인 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클리트 렌치는 클리트를 설치 또는 제거할 때에 사용된다. 파지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고, 플라스틱 외부층을 가진 금속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부착은 기부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부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수 개의 연장 부를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는 3개의 열가소성 재료의 연장부가 사용되고, 이들 전부는 단일 평면 상에 있고, 각 연장부는 인접 연장부와 같은 거리에 있다. 각 연장부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연장부의 반지름 중간선에 대하여 평행하며, 후방측은 L형상일 수 있는 만입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클리트를 뒤집으면, 예컨대 접지 팁을 위로 향하게 하면, 클리트는 3개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략적으로 삼각형인 기부 상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 운동화는 신발의 하부에 클리트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각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상부와 리셉터클 하부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벽, 설치된 클리트의 하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하부에 부착되고 공동 내부로 연장되는 제한 수단, 연장부의 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정지 수단을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동 내의 정지 수단, 후방측과 결합하고, 연장부를 지나서 연장부의 회전을 막는 공동 내의 다수의 연장부를 갖는다. 공동으로 삽입된 연장부는 연장부의 전방측이 돌출부를 가압해서 연장부의 전방측이 정지 수단에 접촉하고 돌출부가 단정하게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연장부와 같은 평면에 있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한 수단이 이의 하부에 형성된 립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제한 수단에 대해서 클리트의 상부면의 외부 에지가 키이 형식으로 겹쳐진다.
또한, 견고한 끼움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이물질이 리셉터클 내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연장부 및 리셉터클은 클리트가 리셉터클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연장부의 공간은 조여져서 설치 중에 연장부를 가압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 죔은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의 전방 측 상에서 테이퍼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는 제거 시에 필요한 힘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설치 중에 클리트를 돌리는 것이 허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리트의 제거는 설치 시의 반대 방향으로 클리트를 간단히 돌림으로써 성취된다. 체결 기구의 양호한 구성은 클리트를 설치할 때 드는 힘에 비해 체결에 반하여 회전시키는 힘이 훨씬 클 것이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클리트는 내부에 금속 강화물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진다. 전체가 금속 구조, 레진 또는 다른 단단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기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Stanyl Nylon 46, Dupont Acetal Resin 100ST, Technyl A216, Noryl GTX 810, Noryl GTX 820, Polyurethane S74D, Polyurethane 90A, Nylon 6, Nylon 6/6 및 Rython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부에 금속 코어를 가진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한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이 구조가 클리트의 설치를 통해 연장부를 가압 또는 압착해서 아주 견고한 끼움을 이루기 위해서 리셉터클의 내부에 이를 위한 공간에 비해 실제로 더 큰 연장부를 허용하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가지는 신발 바닥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된 실시예는 예컨대, 리셉터클을 수평 프레 스에서 제작함에 의해서 이러한 리셉터클을 제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는 신발 바닥에 제거가능한 클리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접지를 위한 파지 부재 및 클리트를 신발에 제거식으로 부착시키는 보유 부재를 가진 클리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재는 그립 부재의 상부가 부착되는 기부 및 이 기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여기서 각 연장부는 수직축에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측과 후방측을 갖고, 각 측은 실질적으로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며, 후방측은 만입부를 형성한다. 양호한 실시예는 클리트를 보유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며, 이 리셉터클은 신발창에 장착되며, 리셉터클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벽, 리셉터클 하부에 부착되고 설치된 클리트의 하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 내부로 연장되는 제한 수단,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정지 수단을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막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공동 내에 삽입된 클리트는 연장부의 전방측이 정지 수단에 접촉하고 돌출부가 단정하게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의 전방측이 돌출부를 가압해서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계속해서 클리트를 리셉터클의 공동 내로 삽입하여, 클리트가 체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클리트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개구 및 커넥터 결합 구조를 갖춘 커넥터 리셉터클 및 보유 부재 와 다수의 먼지 덮개를 갖춘 착탈식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유 부재는 리셉터클 개구로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기부와 상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리셉터클에 커넥터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커넥터 결합 구조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먼지 덮개는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각 먼지 덮개는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먼지 덮개가 단정하게 리셉터클 개구 내로 끼워지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은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가압되어 커넥터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때 방출력을 제공하는 부착식 스프링을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리셉터클은 중심 돌출부를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착탈식 커넥터는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때 리셉터클 상부 덮개의 돌출부를 수납하고, 보유 부재의 상부 내 중심에 위치한 리셉터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또는 보유 부재 만이라도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내부 금속 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 보다 커넥터를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다르게는,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커넥터를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부착될 때 스커트는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 위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 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단일 평면 내에 있을 수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신발용의 클리트 부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신발의 바닥에 개구와 클리트 결합 구조부를 갖는 클리트 리셉터클 및 착탈식 클리트를 포함한다. 클리트는 접지 부재, 보유 부재 및 다수의 먼지 덮개를 포함한다. 보유 부재는 클리트 리셉터클 개구 내에 삽입가능하고, 접지 부재가 부착되는 하부 및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클리트를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클리트 결합 구조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먼지 덮개는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각 먼지 덮개는 클리트가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되었을 때 먼지 덮개에 단정하게 리셉터클 개구에 끼워지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리트 리셉터클은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클리트 리셉터클은 클리트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될 때 가압되어서 클리트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때 방출력을 제공하는 부착식 스프링을 갖춘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클리트 리셉터클은 중심 돌출부를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착탈식 클리트는 클리트가 리셉터클로 삽입된 때 클리트 리셉터클의 상부 덮개 내의 돌출부를 수납하는 보유 부재의 상부에서 중심을 갖는 리셉터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리트 또는 단지 보유 부재만은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클리트는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덮개는 클 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들도록 경사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다르게는,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 보다 클리트를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클리트는 클리트가 신발에 부착되었을 때, 스커트가 클리트 리셉터클에 대해서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에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연장부는 단일 평면 내에 놓이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양호한 일 실시예는 보유 부재 및 다수의 먼지 덮개를 갖는 착탈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유 부재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 및 하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커넥터를 커넥터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먼지 덮개는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각 먼지 덮개는 커넥터가 견고하게 리셉터클에 부착될 때 먼지 덮개는 이물질이 보유 부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 중 하나와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 또는 보유 부재만이라도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다르게는 커넥터는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커넥터를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커넥터를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가 신발에 부착된 때 스커트가 커넥터 리셉터클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 에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연장부는 단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는 접지 부재, 보유 부재 및 다수의 먼지 덮개를 가진 착탈식 신발용 클리트에 관한 것이다. 보유 부재는 접지 부재가 부착되는 하부 및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클리트를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먼지 덮개는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각 먼지 덮개는 클리트가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먼지 덮개는 이물질이 보유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리트 또는 단지 보유 부재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클리트는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다르게는,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부착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클리트는 클리트가 신발에 부착된 때 스커트가 클리트 리셉터클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연장부는 단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는 커넥터를 커넥터 리셉터클에 제거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재를 갖는 제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보유 부재는 수직축, 기부, 및 기부에 부착된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가진다. 각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축에 직각 방향으로 기부에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각 연장부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갖고 각 측은 실질적으로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고, 후방 측은 예를 들면, L형상 만입부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부는 플라스틱 외부층에 의해 둘러싸인 금속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각 연장부는 인접 연장부에서부터 같은 거리 및 같은 평면 내에 있을 수 있고, 각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는 전방측 상에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보유 부재 기부의 하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는 이의 더 낮은 저부에 커넥터 렌치용의 리셉터클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일 실시예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를 가진 커넥터를 수납하여 보유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은 상부 및 하부를 갖춘 공동을 형성하는 벽, 설치된 커넥터의 하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의 바닥에 부착되고 그 내부로 연장되는 제한 수단,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정지 수단을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 및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막는 다수의 돌출부를 가진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공동 내로 삽입된 커넥터는 연장부의 전방측이 정지 수단과 접촉하고 돌출부가 단정하게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의 전방측이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연장부와 단일 평면 내에 있을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제거를 위해 필요한 것보다 훨씬 적은 저항으로 설치 중에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은 제한 수단의 바닥에 형성된 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커넥터의 외부 에지는 키이 형태로 겹쳐질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가 위치될 수 있고, 덮개는 납작한 부분 및 반구형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납작 및 반구형 부분은 수직축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반구형 부분은 현수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는 신발 바닥에 제거가능한 클리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접지를 위한 그립 부재 및 클리트를 신발에 제거식으로 부착시키는 보유 부재를 가진 클리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재는 그립 부재의 상부가 부착되는 기부 및 이 기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여기서 각 연장부는 수직축에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측과 후방측을 갖고, 각 측은 실질적으로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며, 후방측은 만입부를 형성한다. 양호한 실시예는 클리트를 보유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며, 이 리셉터클은 신발창에 장착되며, 리셉터클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벽, 리셉터클 하부에 부착되고 설치된 클리트의 하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 내부로 연장되는 제한 수단,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정지 수단을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막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공동 내에 삽입된 클리트는 연장부의 전방측이 정지 수단에 접촉하고 돌출부가 단정하게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의 전방측이 돌출부를 가압해서 연장부가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계속해서 클리트를 리셉터클의 공동 내로 삽입하여, 클리트가 체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클리트를 회전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트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접지용의 "부드러운" 골프 스파이크를 도시하는 클리트의 측면도이다.
도3은 클리트 커넥터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1과 유사한 클리트의 평면도이다.
도4는 상부 덮개를 제거한 클리트 리셉터클에서 도1의 클리트의 평면도이다.
도5는 반 원형 먼지 덮개를 부가한 도3에 도시된 종류의 클리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클리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도5의 클리트 커넥터를 수납하는 클리트 리셉터클의 양호한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8은 도5의 클리트 커넥터를 사용한 클리트의 반전 측면도이다.
도9는 상부 덮개 내에 중심 원추부를 가지는 다른 클리트 리셉터클의 저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도록 제공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트랙션 기어의 신속한 부착 또는 해제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착 시스템이 운동화 바닥에 미국 특허 제4,723,36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클리트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신발의 하부에 설치된 클리트를 아래에서 보았을 때, 거기에 개시된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다. 도1의 예시에서는 플라스틱 스커트(203)의 바닥측(201) 및 클리트 렌치용의 3개의 리셉터클(207) 중 하나의 상부(20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클리트는 접지 부재(209) 및 스커트(203)와 접지 부재(209)가 부착되는 기부(211)를 가진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커트(203)의 상부(205)는 조금 오목하고, 스커트(203)의 바닥측(201)은 다소 볼록하다. 보유 부재(213)는 신발 내에 대응 리셉터클에 클리트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2는 클리트 커넥터를 가진 접지용의 "부드러운" 골프 스파이크(225)를 도시하는 다른 클리트의 측면도이다. 이는 양호한 실시예가 대체나 변경 없이 전형적인 접지 부재 구조과 호환될 수 있도록 의도한 것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클리트의 클리트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보유 부재(213)를 도시하는데, 이 경우에 보유 부재는 도1의 기부(211)의 중심 수직선(210)에 직각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3개의 열가소성 연장부(215)를 가진 기부(211)를 포함한다. 각 연장부(215)는 연장부(215)의 반경 중심선(218)과 거의 평행하고 연장부(215)의 반경방향 단부(220)에서부터 뒤로 기부(211)의 수직축(210)을 향해서 연장되는 전방측(217)을 가진다. 또한, 각 연장부(215)는 전방측(217)과 거의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보다 짧은 후방측(219)을 가진다. 또한, 후방측(219)은 전방측(217)보다 연장부(215)의 중간선(218)에 보다 가깝다. 후방측(219)은 L형 만입부(222)를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부(215)의 반경 중간선(218)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다른 표면(221)과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220)로부터 어느 정도는 기부(211)쪽으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연장부(215)는 모두 단일 평면에 놓이고, 각 연장부(215)는 인접 연장부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게 된다. 연장부(215)는 단정하게 삽입된 보유 부재(213)를 제자리에 체결하기 위해서 도4의 클리트 리셉터클(251) 내부 구조부와 협동한다. 양호한 일 실시예는 전체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일부는 플라스틱이고 일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클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유 부재가 플라스틱이면, 보유 부재(213)는 보유 부재(213) 및 클리트 몸체를 통해서 도1에 도시된 접지 부재(209)를 형성하기 위한, 양호하게는 금속 코어를 가진 골프 클리트의 플라스틱 스커트(20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도1 내지 도3에서의 클리트를 수납하는 리셉터클(251)의 양호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리셉터클(251)의 상부 커버는 도3의 보유 부재(213)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동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서 제거되었다. 벽 부(255)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253) 내부에는 수 개의 돌출부(257)가 있고, 이들 돌출부(257)는 설치된 보유 부재(213)를 수납해서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유 부재(213)가 삽입되어 돌려졌을 때, 돌리는 동작은 연장부(215)의 반경 단부(220)가 돌출부(257)를 가압하여 연장부(215)가 돌출부(257)를 지나서 회전하도록 돌출부(257)를 지나서 연장부(215)의 전방측(217)을 회전시킨다. 연장부(215)는 연장부(215)의 전방측(217)이 공동(253)의 정지 벽부(259)와 결합할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리셉터클(250)은 연장부(215)의 전방측(217)이 공동(253)의 정지 벽부(259)와 결합할 때, 돌출부(257)가 이의 원래 형상으로 거의 돌아와서 연장부(215)의 후방부(219)에 L형 만입부(222)와 단정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설치된 클리트의 각 연장부(215)는 보유 부재(213)가 리셉터클(250)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정지 벽(259) 및 돌출부(257) 사이의 제 자리에 견고하게 보유된다.
보유 부재(213)의 연장부(215)는 단정하게 삽입된 보유 부재(213)를 제 위치에 체결하기 위한 리셉터클(251) 내부의 부품과 함께 사용된다. 제 위치로의 체결은 보유 부재(213)를 정합 리셉터클(251)로 삽입하여 보유 부재(213)를 돌린 후에 이루어진다. 클리트의 제거는 설치와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필요로 한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257) 및 연장부(215)의 반경방향 단부(220)는 제거 방향으로의 클리트의 회전이 설치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큰 토오크를 필요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부(215)의 반경방향 단부(220)는 반경방향 단부가 설치 중에 더욱 용이하게 돌출부를 타고 넘어서 가압하도록, 도3의 전방측(223) 상에 테이퍼질 수 있다. 연장부(215)의 반경방향 단부의 후방측(224) 상에 테이퍼가 없다면, 제거 방향으로 회전될 때 반경방향 단부(220)가 돌출부(257)를 타고 넘어 가압하려면 실질적으로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다르게는 연장부(215)보다는 돌출부(257)가 설치 방향으로 더 용이한 회전을 허용하고 제거 시에 더 큰 힘이 필요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도5는 각 클리트 사이에 반 원형 먼지 덮개를 부가한 도3에서 도시된 종류의 클리트 커넥터(260)의 평면도이다. 물론, 클리트 커넥터(260)는 표면 관통 구조 및 표면 비관통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표면 결합 구조부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6은 도5의 클리트 커넥터(260)의 평면도이고, 도7은 도5의 클리트 커넥터(260)를 수납하는 리셉터클(262)의 양호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클리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커넥터 연장부(215)는 리셉터클의 반 원형 개구(263)에 삽입되어야 한다. 클리트는 제 위치로 회전되어서 도3 및 도4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리셉터클(262)의 내부 구조와 커넥터(260)의 구조와 결합시킨다. 또한, 이는 리셉터클 개구(263)을 향해서 먼지 덮개(261)를 회전시킨다. 커넥터(260)가 리셉터클(262)에서 제 위치로 체결됨에 따라서, 먼지 덮개(261)는 지면으로부터의 진흙이 리셉터클(26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셉터클의 개구(263)에 단정하게 자리잡아 개구(263)를 밀폐한다.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지 덮개(261)는 커넥터(260)가 리셉터클(262) 내에 제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먼지 덮개(261)의 전연 에지(264)가 먼지 덮개(261)의 후연 에지(265)보다 낮거나 또는 커넥터의 기부(260)에 더 근접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클리트가 회전함에 따라서, 먼지 덮개(216)는 처음에는 리셉터클(262)의 개구(263) 위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커넥터(260)의 구조가 리셉터클(262)의 내부 구조와 체결되어 결합되기 전에 먼지 덮개(261)의 보다 높은 후연 에지(265)는 리셉터클(262)의 개구(263)의 에지에 의해서 가압되어 클리트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킨다. 커넥터(260)의 구조가 리셉터클(262)의 내부 구조와 체결되어 결합한 때, 먼지 덮개(261)의 후연 에지(265)는 리셉터클(262) 개구(263)의 에지를 지나가게 된다. 이는 리셉터클(262)의 개구(263) 내로 눌려진 먼지 덮개(261)의 후연 에지(265)의 가압력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먼지 덮개(261)의 후연 에지(265)의 수직 면은 리셉터클(262)의 내부 구조와 결합한 커넥터의 구조의 제1 체결에 부가된 제2 체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리셉터클(262)의 개구(263)의 에지에 대하여 끼워진다. 리셉터클(262) 내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262)의 개구(263)와 결합한 먼지 덮개(261)에 의해 형성된 제2 결합은 야구화의 클리트에서와 같이 높은 토크 환경에 설치된 클리트의 바람직하지 못한 풀림에 대한 부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7은 리셉터클 개구(263)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공동으로 연장되는 덮개 스프링(267)을 가지는 리셉터클 덮개(266)를 갖춘 리셉터클(262)을 도시한다. 클리트 커넥터(260)가 리셉터클(262)의 구조와 결합하도록 설치된 때, 리셉터클 스프링(267)은 가압되어 클리트 커넥터(260) 상에 커넥터(260)와 리셉터클(262) 사이에 접촉력을 증가시키도록 하향 압력을 가한다. 두번째로, 클리트를 리셉터클(262)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회전시킬 때(예컨대, 교체를 위해서), 리셉터클 스프링은 클리트 커넥터(260) 상에 리셉터클(260)로부터 클리트 커넥터(260)를 분리시키는 것을 돕는 방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도7에서처럼 스프링(267)의 사용을 꼭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도9는 중심 원추부(269)를 갖춘 리셉터클 덮개(268)를 도시한다. 이 원추부(269)는 이전에 설명된 스프링(267)과 단일한 기능을 한다. 게다가, 원추부(269)의 크기 및 강도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리트 커넥터(260)가 유사한 형상을 갖춘 정합 만입부(270)를 구비한 때 상대적으로 상당할 수 있다.
클리트 커넥터의 다양한 양호한 실시예는 그들의 특정 구조의 복잡성에 있어 다를 수 있지만, 이는 이러한 리셉터클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크게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리셉터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르게는, 리셉터클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플라스틱 또는 나일론 같은 합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금속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무겁지만 큰 강도를 제공한다. 합성 재료는 금속보다 다소 강하지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가벼울 수 있다. 그러나, 금속 또는 합성 재료 모두는 만족스럽게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작 중에 상부 덮개가 부착된 리셉터클 부는 바깥창 주형 내에 위치되고, 신발의 접지 표면부가 성형된다. 성형 공정은 양호하게는 주입 또는 압축 성형 중 하나이다. 주형 내에서 각 리셉터클의 개개의 위치는 신발의 용도와 신발 형상의 설계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바깥창의 제조 시에, 주형 지지대는 신발창의 성형 동안 리셉터클의 변형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지지대는 리셉터클로 삽입될 때, (도4에 도시된) 리셉터클(251) 및 핀 구멍(256)은 임시로 신발창의 재료가 리셉터클의 공동(253)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폐되는 것과 같이, 지지대는 리셉터클 형상의 음형이다. 이러한 핀 구멍(256) 내의 위치 고정 핀은 리셉터클을 지 향시키고 위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깥창이 성형되고 난 후, 제2 재료가 바깥창에 성형되거나 접합될 수 있고, 또한 신발창 상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바깥창 및 제2 재료의 조합은 내장된 리셉터클을 갖춘 완성된 밑창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발창은 EVA 또는 포움 같은 가벼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신발창 재료는 리셉터클을 제 위치에 견고하게 보유할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에서 지지판을 밑창 구조에 가할 수 있고, 여기서 리셉터클은 이 판의 필요한 위치에 부착되고, 신발창은 부착된 리셉터클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판은 가벼운 뒤축을 가진 신발을 위한 뒤축 지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뒤축 판을 위해서, 지지핀은 뒤축 리셉터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후속하는 청구항에서, "클리트"라는 용어는 일관되게 사용되었지만, 클리트와 스파이크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도 의도되지 않았으며, 추론되어서도 안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리트는 설명된 커넥터 및 리셉터클을 사용하여 신발에 제거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커넥터 및 리셉터클의 사용은 클리트를 신발에 부착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일 기계 구조를 다른 기계 구조으로의 부착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다른 용도에서도 착탈식 커넥터 시스템으로 채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상기 상세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후속하는 청구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9)

  1. 커넥터 시스템이며,
    개구 및 커넥터 결합 구조물을 구비한 커넥터 리셉터클과,
    리셉터클 개구로 삽입가능한 보유 부재 및 상기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먼지 덮개를 구비한 착탈식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유 부재는 하부와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커넥터 결합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먼지 덮개는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먼지 덮개가 리셉터클 개구로 단정하게 끼워지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결합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가압되어서, 커넥터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때 방출력을 제공하는 부착식 스프링을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중심 돌출부를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하고, 착탈식 커넥터는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때 리셉터클의 상부 덮개의 돌출부를 수납하는 보유 부재의 상부에 중심을 둔 리셉터클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가지는 커넥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커넥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부착된 때 스커트가 리셉터클의 개구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동일 평면 내에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
  12. 신발용의 클리트 부착 시스템이며,
    개구 및 클리트 결합 구조물을 갖춘 신발창 내의 클리트 리셉터클과,
    접지 부재, 상기 클리트 리셉터클의 개구 안에 삽입되는 보유 부재 및 상기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먼지 덮개를 구비한 착탈식 클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유 부재는 접지 부재가 부착되는 하부와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신발에 클리트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클리트 결합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먼지 덮개는 클리트가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먼지 덮개가 리셉터클 개구에 단정하게 끼워지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결합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리셉터클이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리셉터클은 클리트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될 때 가압되어서 클리트가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때 방출력을 제공하는 부착식 스프링을 가진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리셉터클은 중심 돌출부를 갖는 상부 덮개를 더 포함하고, 착탈식 클리트는 클리트가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된 때 클리트 리셉터클의 상부 덮개에 돌출부를 수납하는 보유 부재의 상부에 중심을 둔 리셉터클을 더 포함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클리트 부착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클리트 부착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갖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클리트 부착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신발에 클리트가 부착될 때 스커트가 클리트 리셉터클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22.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동일 평면 내에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클리트 부착 시스템.
  23. 착탈식 커넥터이며,
    하부와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구비한 보유 부재와,
    상기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이물질이 보유 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부 중 하나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먼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커넥터 리셉터클에 커넥터를 견고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26. 제23항에 있어서,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갖는 커넥터.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커넥터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커넥터.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신발에 커넥터가 부착될 때 스커트가 커넥터 리셉터클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30.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동일 평면 내에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커넥터.
  31. 신발용의 착탈식 클리트이며,
    접지 부재와,
    상기 접지 부재가 부착되는 하부 및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돌출되는 상부를 구비한 보유 부재와,
    상기 보유 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복수의 먼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신발에 클리트를 견고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먼지 덮개는 클리트가 신발에 견고하게 부착될 때 이물질이 보유 부재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부 중 하나에 결합된 클리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클리트.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클리트.
  34. 제31항에 있어서, 내부 금속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클리트.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경사진 에지를 갖는 클리트.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덮개는 클리트를 제거할 때보다 설치할 때 더 적은 힘이 필요하도록 리셉터클 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클리트.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신발에 클리트가 부착될 때 스커트가 클리트 리셉터클에 대하여 놓여서 이를 덮도록 먼지 덮개와 접지 부재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클리트.
  38.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연장부가 동일 평면 내에 있고,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클리트.
  39. 제거 가능한 커넥터이며,
    커넥터 리셉터클에 커넥터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고, 수직축, 기부 및 상기 기부에 부착된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갖춘 보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연장부는 수직축에 직각 방향으로 기부에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갖고, 이들 각 측은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며, 후방측은 L형 만입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플라스틱 외부층에 의해서 둘러싸인 금속 코어를 포함하는 커넥터.
  41. 삭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부는 인접 연장부들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커넥터.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은 동일 평면 내에 있는 커넥터.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는 전방측 상에서 테이퍼지는 커넥터.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 기부의 하부를 향해 위치되고,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그 아래측에 커넥터 렌치용의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신발용의 제거 가능한 클리트이며,
    접지를 위한 그립 부재와,
    수직축, 그립 부재의 상부가 부착되는 기부 및 상기 기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신발에 클리트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보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장부는 수직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갖고, 이들 각 측은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며, 후방측은 L형 만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트.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는 플라스틱 외부층에 의해서 둘러싸인 금속 코어를 포함하는 클리트.
  55. 삭제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클리트.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부는 인접 연장부들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클리트.
  58.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들은 동일 평면 내에 있는 클리트.
  59.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는 전방측 상에서 테이퍼지는 클리트.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의 상부와 보유 부재의 기부 사이에 위치되고, 연장부의 반경방향 단부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클리트.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그 아래측에 클리트 렌치용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클리트.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신발창에 제거 가능한 클리트를 설치하는 방법이며,
    a) 접지를 위한 그립 부재와,
    클리트를 신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축, 그립 부재의 상부가 부착되는 기부 및 상기 기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3개의 연장부를 구비한 보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연장부는 수직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고,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갖고, 이들 각 측은 연장부의 반경 중간선에 평행하고, 후방측은 L형 만입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클리트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클리트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창에 설치되며,
    리셉터클 상부와 리셉터클 하부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벽과,
    설치된 클리트의 하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하부에 부착되고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한 수단과,
    상기 공동 내부에서 연장부의 전방측과 결합하여 연장부가 정지 수단을 지나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과,
    상기 공동 내에서 연장부의 후방측과 결합하여 돌출부를 지나서 연장부의 회전을 막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전방측이 정지 수단과 접촉하고 돌출부가 연장부의 후방측과 단정하게 결합할 때까지 연장부의 전방측이 돌출부를 가압하면서 돌출부를 넘어 회전하도록 공동 내에 삽입된 클리트가 회전 가능한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클리트의 연장부를 리셉터클의 공동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d) 상기 클리트가 체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07011435A 1998-04-17 1999-04-15 신속 해제 커넥터 KR100634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62,037 1998-04-17
US09/062,037 1998-04-17
US09/062,037 US6151805A (en) 1996-01-17 1998-04-17 Quick-release spike for footwear
US9/208,180 1998-12-09
US09/208,180 US6108944A (en) 1996-01-17 1998-12-09 Quick-release connector
US09/208,180 1998-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15A KR20010042715A (ko) 2001-05-25
KR100634920B1 true KR100634920B1 (ko) 2006-10-17

Family

ID=6923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435A KR100634920B1 (ko) 1998-04-17 1999-04-15 신속 해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9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437A (en) * 1986-03-31 1988-08-09 Nifco Inc. Fastener
WO1997025890A1 (en) * 1996-01-17 1997-07-24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Quick-release spike for footwe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437A (en) * 1986-03-31 1988-08-09 Nifco Inc. Fastener
WO1997025890A1 (en) * 1996-01-17 1997-07-24 Macneill Engineering Company, Inc. Quick-release spike for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715A (ko)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6150B2 (ja) 迅速取り外しコネクタ
US6397499B1 (en) Quick release cleat system
US4633600A (en) Outer sole for an athletic shoe having cleats with exchangeable snap-on gripping elements
US4414763A (en) Sole for a sports shoe or boot
US8667714B2 (en) Attachment and locking system for replaceable traction cleats
US5065534A (en) Studs for footwear
US20050000119A1 (en) Inverse shoe clea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463681B1 (en) Method of using removable cleat system
US5957642A (en) Cleat system
US6510625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ttachment to/from shoe sole
US6115947A (en) Shoe system and method
AU726666B2 (en) Shoe cleats
KR100634920B1 (ko) 신속 해제 커넥터
GB2160146A (en) Studded footwear
EP0191963B1 (en) Golf spik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