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285B1 - 광 감쇠기 - Google Patents

광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285B1
KR100634285B1 KR1019990058975A KR19990058975A KR100634285B1 KR 100634285 B1 KR100634285 B1 KR 100634285B1 KR 1019990058975 A KR1019990058975 A KR 1019990058975A KR 19990058975 A KR19990058975 A KR 19990058975A KR 100634285 B1 KR100634285 B1 KR 10063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optical attenuator
tapered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705A (ko
Inventor
하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2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171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 G02B6/021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 G02B6/021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based on treating the fibre, e.g. post-manufacture treatment, thermal aging, annea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파워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감쇠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과대한 광수신 파워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광 감쇠기에 있어서, 광섬유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광섬유의 코어 부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의 길이에 따라 감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아의 테이퍼진 부분의 길이와 각도에 의해 감쇠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감쇠량을 손쉽게 얻고 고 신뢰성 및 저가격의 광 감쇠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감쇠기{AN ATTENUATOR}
도 1 은 종래의 광 감쇠기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쇠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쇠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섬유 2 ; 클래드
3 ; 코아 10 ; 테이퍼부
11 ; 가열수단 12 ; 연신수단
13 ; 고정부
본 발명은 광 파워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감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코어의 직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소정의 광손실을 줄 수 있는 광 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방식은 종래의 금속선을 이용한 유선통신이나 자유공간을 이용한 무 선통신과는 달리, 빛에 실린 정보를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하는 통신방식이다.
광섬유는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도파하는 가늘고 유연한 줄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중심에 코어가 있고 그 주위를 클래딩이 둘러싸고 있다. 빛이 코어 내에서 전반사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어의 굴절율은 클래딩의 굴절율보다 약간 크다. 코어와 클래딩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광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광송신기와 광수신기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경로손실 차로 인해 광수신 파워레벨의 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광 감쇠기는 과대한 수신 파워레벨이 발생하는 경우 광수신기에서 광수신레벨 한계를 초과하여 광통신망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적정 수신레벨로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광수신 파워레벨의 차는 전송거리의 장단에 의한 광섬유 경로손실의 차, 광섬유 접속점수의 차에 따른 광경로 손실 차, 그리고 전송로에 사용되는 광분기 결합 등의 광부품 수와 성능 등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광 감쇠기는 광통신 기기나 광측정 기기에 대한 평가, 조정, 교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광 감쇠기의 감쇠방법으로는 광선의 일정량을 반사시키거나, 흡수시키거나, 특정한 편광면의 광선만을 통과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반사에 의한 광 감쇠는 우선 렌즈를 통해 평행광으로 변환시켜 반사판을 통과시키고, 다시 다른 렌즈를 통해 평행광을 집광시켜 광섬유에 입사시킨다.
흡수에 의한 광 감쇠도 반사형 광 감쇠기와 마찬가지로 광학 렌즈를 사용하 며, 단지 반사판 대신에 2매 1조로 구성된 광흡수 회전판을 사용한 점이 다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 감쇠기의 일예를 보인 것으로, 광섬유(1)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필터(4)를 삽입하여 필터(4)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감쇠량을 제어하는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2는 클래드이고, 3은 코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 감쇠기는 광섬유(1)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필터(4)를 정밀하게 정렬시켜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는 제조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는 곧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광섬유를 용융한 후 잡아당겨 테이퍼지게하여 광파워를 감쇠시킬 수 있는 광 감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대한 광수신 파워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광 감쇠기에 있어서, 광섬유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광섬유의 코어 부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의 길이에 따라 감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쇠기를 도시한 전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섬유(1)(도 4)는 중심에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코아(3)가 있고 그 주위를 클래드(2)가 둘러싸고 있다. 빛이 코아(3) 내에서 전반사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아(3)의 굴절율은 클래드(2)의 굴절율보다 약간 크다.
한편, 광 감쇠기는 과대한 수신 파워레벨이 발생하는 경우 광수신기에서 광수신레벨 한계를 초과하여 광통신망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적정 수신레벨로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는 광 소자로서, 광섬유(1)의 입사단에서 입사되는 입사광에 소정의 광손실을 주어 감쇠된 광파워를 출사단으로 출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감쇠기는 광섬유(1)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코아(3)의 직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10)가 형성되어 모드변환이 일어나면서 광손실을 유발시킨다.
테이퍼부(10)의 감쇠량은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테이퍼부(1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에 토치 등의 가열수단(11)을 이용해 광섬유(1)의 일단에 열을 가한 후 광섬유(1)의 양단을 연신수단(12) 등을 이용해 잡아당기면 광섬유(1)가 늘어남에 따라 코아(3)부분이 가늘어지면서 테이퍼부(10)가 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쇠기의 테이퍼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광섬유(1)의 일단에 테이퍼부(1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섬유(1)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부를 일정구간 만큼 제거한 다음, 광섬유(1)를 연신수단(12)의 고정부(13)에 팽팽하게 고정시킨다.
이어서, 토치 등과 같은 가열수단(11)을 이용해 코팅부가 제거된 광섬유(1)를 가하면서 연신수단(12)의 고정부(13)를 광섬유(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열수단(12)에 의해 가열된 부분에 인장력이 집중되면서 늘어나게 되고, 코아(3) 또한 늘어나면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가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진 부분을 통과하는 광섬유(1)는 이곳에서 모드변환이 일어나 광파워의 손실이 유발되며, 그 손실량은 늘어나는 광섬유(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실량은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sin2(x)로 표현되며, 감쇠량은 50%이면 3dB 감쇠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원하는 감쇠량은 광섬유(1)를 적정길이 만큼 늘리면서 구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아의 테이퍼진 부분의 길이와 각도에 의해 감쇠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감쇠량을 손쉽게 얻고 고 신뢰성 및 저가격의 광 감쇠기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3)

  1. 과대한 광수신 파워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광 감쇠기에 있어서,
    광섬유의 입사단과 출사단 사이에 형성되어 광섬유의 코어 부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광 감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광섬유에 가열 및 인장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감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에 의한 광 감쇠량은 상기 테이퍼부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sin2(x)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감쇠기.
KR1019990058975A 1999-12-18 1999-12-18 광 감쇠기 KR10063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75A KR100634285B1 (ko) 1999-12-18 1999-12-18 광 감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75A KR100634285B1 (ko) 1999-12-18 1999-12-18 광 감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05A KR20010064705A (ko) 2001-07-11
KR100634285B1 true KR100634285B1 (ko) 2006-10-13

Family

ID=1962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975A KR100634285B1 (ko) 1999-12-18 1999-12-18 광 감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15B1 (ko) * 2009-08-24 2012-01-18 (주)쎄미시스코 공정챔버의 플라즈마광 세기 감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15B1 (ko) * 2009-08-24 2012-01-18 (주)쎄미시스코 공정챔버의 플라즈마광 세기 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0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564B1 (ko) 전자 방사 결합 장치 및 그를 구비한 광 파이버 통신 시스템
CA1248382A (en) Optical fiber tap
US4804248A (en) Data rate limiter for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6094517A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US7116870B2 (en) Broadband fiber optic tap
CA2209710C (en) Compact tunable wavelength independent all-fiber optical attenu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70062731A (ko) 복합한 스펙트럼의 균등화를 위한 광신호 균등화 장치
GB2341456A (en) Aligning optical waveguide device with optic fibre block
GB2142157A (en) Fiber optic light coupling assemblies
US5490227A (en) Light receiving module for SCM transmission
US20030095746A1 (en) focusing fiber optic
US4884859A (en) Optical attenu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king same
GB2190211A (en) Adjustable single-mode optical-fibre attenuator
ITMI20001669A1 (it) Apparecchio per fabbricare reticoli di fibre ottiche a periodo lungo con bassa dipendenza dalla polarizzazione e reticoli di fibre ottiche a
US20030174962A1 (en) Low-loss optical fiber tap with integral reflecting surface
US6535671B1 (en) Optical fiber tap with integral reflecting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34285B1 (ko) 광 감쇠기
EP0855606A1 (en) Fibre optic attenuator
KR100634286B1 (ko) 광 감쇠기
US6983096B2 (en) Attenuation of cladding modes in optical fibers
CA1288084C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receiving device with optical fiber
Powell Application of optical fibres to astronomical instrumentation
KR100623259B1 (ko) 특수 광섬유 및 특수 광섬유를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EP1418689B1 (en) Optical receiver for a free-space transmission system
JP2865491B2 (ja) 光ファイバ型減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