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549B1 -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549B1
KR100633549B1 KR1020050001576A KR20050001576A KR100633549B1 KR 100633549 B1 KR100633549 B1 KR 100633549B1 KR 1020050001576 A KR1020050001576 A KR 1020050001576A KR 20050001576 A KR20050001576 A KR 20050001576A KR 100633549 B1 KR100633549 B1 KR 10063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coupled
key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129A (ko
Inventor
최오성
Original Assignee
최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오성 filed Critical 최오성
Priority to KR102005000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5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07R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4Stat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물쇠의 구성을 종래 보다 단순화시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키와 회동구의 접촉면적을 넓혀 키의 회전 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자물쇠는, 중앙에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과 이 원반형 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내부 고정구와, 내부 고정구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와, 회동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 및, 외부 고정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내부 고정구는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으로만 형성되고, 회동구는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로 형성되되, 중실형 몸체의 중앙에는 원반형 캡의 키홈과 일치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자물쇠에 소요되는 구성품이 감소됨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물쇠, 이중잠금, 회동구, 볼베어링, 작동편, 도어 래치, 키홈, 핀 결합, 스프링

Description

자물쇠{Locker Device}
도 1은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결합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결합되는 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결합되는 키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물쇠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물쇠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결합 사시도
도 7b는 스프링 및 핀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자물쇠의 결합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자물쇠의 괘정 및 해정 작용을 이루는 키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에 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3 : 래치
5 : 도어 내측 손잡이 7 : 수동 괘, 해정 손잡이
10 : 내부 고정구 10a, 30a : 키홈
13 : 원반형 캡 30 : 회동구
33 : 중공형 몸체 34 : 중실형 몸체
35 : 볼트체 35a : 작동편 삽입홈
35b : 볼베어링 시트 50 : 외부 고정구
51 : 고정핀 60 : 작동편
60a : 반원형 홈 63 : 볼베어링
70 : 너트캡 80 : 원통형 커버
본 발명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홈이 형성된 내부 고정구와, 상기 내부 고정구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 및, 상기 외부 고정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로 이루어진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자물쇠에 소요되는 구성품을 줄임으로써,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동구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물쇠에 있어서, 잠금 및 열림 기능을 제공하는 열쇠는 판형체 또는 봉형체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형체 또는 봉형체의 외측면으로 요돌조 및 통공을 천공하여 된 단일의 고정체로 구성되어,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에 자물쇠에 삽입되는 열쇠를 회동시킴에 따라 록킹장치가 형성된 회동구가 회전되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 기술은 회동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핀이나 만능키 등으로 손쉽게 자물쇠를 열 수 있게 되므로 자물쇠로서의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가 있는데, 이는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는, 키홈(10a)이 형성된 내부 고정구(10)와, 상기 키홈(10a)과 동일한 키홈(30a)이 형성되 어 상기 내부 고정구(10)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30)와, 상기 회동구(3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50) 및, 상기 외부 고정구(5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내부 고정구(10)는, 그 중앙에 키홈(10a)이 형성된 원반형 캡(13)과, 상기 원반형 캡(13)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15)로 구성된다.
상기 원반형 캡(13)의 내측에는 고정홈(13a)이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5)에는 제1 핀 관통공(15a)이 길이방향의 동일 직선 상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 회동구(30)는,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원통형 몸체(15)가 관통되는 중공형 몸체(33)와, 상기 중공형 몸체(33)에 일체로 형성되는 볼트체(35)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형 몸체(33)에는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원통형 몸체(15)에 형성된 제1 핀 관통공(15a)과 동일하게 일치되는 제2 핀 관통공(3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핀 관통공(33a)의 일측에는 반원형 홈(33b)이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35)의 중앙에는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과 일치하는 동일한 키홈(30a)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체(35)의 말단에는 작동편(60)이 삽입되는 작동편 삽입홈(35a)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고정구(50)에는,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고정홈(13a)과 일치하는 핀 결합공(51a)과,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제1 핀 관통공(15a) 및 상기 회동구 (30)의 제2 핀 관통공(33a)과 일치하는 제3 핀 관통공(53a)과, 상기 회동구(30)의 반원형 홈(33b)과 일치하는 베어링 결합공(55a)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 자물쇠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 고정구(10)의 원통형 몸체(15)에 회동구(30)의 중공형 몸체(33)를 삽입시키되, 상기 원통형 몸체(15)와 중공형 몸체(33)에 각각 형성된 제1 핀 관통공(15a) 및 제2 핀 관통공(33a)을 서로 일치시킨다.
상기한 결합의 완료 후, 회동구(30)의 볼트체(35) 말단에 형성된 작동편 삽입홈(35a)에는 워셔(65)가 결합된 작동편(60)의 T형 말단을 밀어 넣고, 이어 상기 작동편(6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너트캡(70)을 삽입한 후 상기 너트캡(70)을 상기 회동구(30)의 볼트체(35)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작동편(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중공형 몸체(33)의 외측으로 외부 고정구(50)를 결합시키되, 상기 외부 고정구(50)에 형성된 제3 핀 관통공(53a)을 상기 원통형 몸체(15)와 중공형 몸체(33)에 각각 형성된 제1 핀 관통공(15a) 및 제2 핀 관통공(33a)에 각각 일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고정홈(13a)과 일치된 상기 외부 고정구(50)의 핀 결합공(51a)에 고정핀(51)을 밀어 넣어 상기 내부 고정구(10)와 외부 고정구(50)를 서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서로 일치된 상기 제3 핀 관통공(53a)과 제2 핀 관통공(33a) 및 제1 핀 관통공(15a)에 제1 핀(57a), 제2 핀(57b), 제3 핀(57c) 및 스프링(57d)을 각각 차례로 삽입시킨다. 따라서, 제1 핀(57a)은 제1 핀 관통공(15a)에 위치되고, 제2 핀(57b)은 제2 핀 관통공(33a)에 위치되며, 제3 핀(57c) 및 스프링(57d)은 제3 핀 관통공(53a)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핀 관통공(15a)에 위치된 제1 핀(57a)의 선단은 키홈(10a)의 형상에 따라 키홈(10a) 측으로 약간씩 돌출된다.
상기 외부 고정구(50)에 형성된 베어링 결합공(55a)과 일치된 상기 회동구(30)의 반원형 홈(33b)에는 베어링(59a) 및 스프링(59b)을 차례로 결합시킨다.
상기한 결합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 고정구(50)를 감싸도록 원통형 커버(80)를 결합시켜 상기 스프링(57d, 59b)들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완성된 자물쇠 뭉치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의 래치에 결합시킨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자물쇠 뭉치의 작동편(60) 선단을 도어의 래치에 결합시켜 외부에서의 도어 자물쇠로써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자물쇠의 괘정 및 해정 작용을 이루는 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결합되는 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결합되는 키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키(90)는 손잡이(91)와, 상기 손잡이(91)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봉체(92) 와, 상기 손잡이(91)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어링 세트(93)와, 상기 봉체(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몸체(95) 및, 상기 봉체(92)에 고정 결합되는 키 선단(9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세트(93)는 스프링(93a)과 베어링(93b) 및 베어링캡(93c)으로 형성되며, 상기 키 몸체(95)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베어링(93b)이 접촉되는 베어링 접촉홈(95a)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키(90)는 키 몸체(95)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91)를 회전시키면, 상기 키 몸체(95)는 그대로 있고 키 선단(97)만 상기 손잡이(9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키 몸체(95)는 봉체(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봉체(92)의 회전 시 상기 키 몸체(95)는 봉체(92)와 함께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자물쇠 및 키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 1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에 키(90)를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스프링(57d)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홈(10a) 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제1 핀(57a)들은, 상기 키(90)의 키 몸체(95)에 형성된 요돌조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57d)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스프링(57d)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제1 핀 관통공(15a)을 통해 키홈(10a) 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제1 핀(57a)들이, 키 몸체(95)에 형성된 요돌조에 접촉되어 회동구(30)에 형성된 제2 핀 관통공(33a)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90)의 선단(97)은 회동구(30)의 볼트체(35)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키홈(30a)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키(90)의 손잡이(91)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키 몸체(95)는 상기와 같이 제1 핀(57a)들이 접촉된 상태로 그대로 있게 되며, 상기 키(90)의 선단(97)은 상기 손잡이(9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90)의 선단(97)에 맞물린 키홈(30a)이 형성된 회동구(30)가 회전 동작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회동구(30)에 결합된 작동편(6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60)에 결합된 도어의 래치(미도시)가 록킹 또는 해제된다.
한편, 상기 키(90)를 키홈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스프링(57d)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홈 측으로 제1 핀(57a)들이 다시 하향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자물쇠는 다수의 제1 핀(정확하게는 제1 내지 제3 핀)을 모두 밀어 내야만 상기 회동구(30)가 비로소 회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여건에서 회동구를 반드시 회전 동작시켜야만 괘정 및 해정작용을 이룰 수 있는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이중잠금구조의 자물쇠로서, 종래의 타 자물쇠 보다 잠금기능이 월등히 우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고정구(10)는 키홈(10a)이 형성된 원반형 캡(13)뿐만아니라 상기 원반형 캡(13)에 일체로 원통형 몸체(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5)에는 제1 핀 관통공(15a)이 길이방향의 동일 직선 상에 다수 형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해 짐에 따라, 자물쇠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저하되며, 또한 상기 제1 핀 관통공(15a)으로 각각의 핀이 더 결합되어야 함에 따라, 구성부품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부 고정구(10) 및 회동구(30)에는 서로 일치하는 키홈(10a, 30a)이 말단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을 통해 상기 회동구의 키홈(30a)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키홈(10a, 30a)이 내부 고정구(10)의 선단에서 회동구(30)의 볼트체(35) 말단까지 서로 연통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키홈(10a, 30a)의 관측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홈(10a, 30a)이 선단에서 말단까지 서로 연통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키홈(10a, 30a)에 드릴을 넣고 상기 드릴을 조금만 돌려도 상기 자물쇠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회동구(30)에 접촉되는 키(90)의 단면적이 작음에 따라 상기 키(90)의 회전 시 조작자의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동구(30)의 키홈(30a)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구(30)를 회전시키는 부분은 키 몸체(95)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선단(97) 부분이기 때문에 키(90)의 회전 시 조작자의 힘이 많이 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동구(30)의 키홈(30a)과 키(90) 선단(97)의 접촉면적이 작음에 따라 쉽게 파손될 가능성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가 갖는 문제점 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 고정구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켜 자물쇠에 소요되는 구성품을 줄임으로써,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키의 회전 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회동구에 형성되는 키홈을 말단까지 전체적으로 관통시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내부 고정구의 키홈을 통한 상기 회동구의 내측 키홈 관측이 불가능한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동구의 말단에 볼베어링을 더 결합시킴으로써,키홈을 통하여 드릴을 이용한 파손이 불가능한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자물쇠는, 중앙에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과 이 원반형 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내부 고정구와, 내부 고정구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와, 회동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 및, 외부 고정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내부 고정구는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으로만 형성되고, 회동구는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로 형성되되, 중실형 몸체의 중앙에는 원반형 캡의 키홈과 일치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자물쇠에 소 요되는 구성품이 감소됨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물쇠에 구성된 회동구의 중실형 몸체 중앙에 형성된 키홈은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시켜 키와 회동구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키의 회전 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자물쇠에 구성된 회동구의 볼트체 말단에는 볼베어링이 결합되어, 드릴을 이용한 자물쇠의 파손이 불가능해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물쇠에 포함되는 키는, 원반형 캡과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키홈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체인 키의 선단은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키홈 내에 위치하도록 회전체인 키의 몸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물쇠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물쇠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결합 사 시도이며, 도 7b는 스프링 및 핀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자물쇠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는, 그 중앙에 키홈(10a)이 형성된 원반형 캡(13)과 상기 원반형 캡(13)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15)로 구성된 내부 고정구(10)와, 상기 키홈(10a)과 동일한 키홈(30a)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고정구(10)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30)와, 상기 회동구(3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50) 및, 상기 외부 고정구(5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80)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구(10)는 그 중앙에 키홈(10a)이 형성된 원반형 캡(13)으로만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30)의 키홈(30a)은 내부 일측에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는, 상기 회동구(30)의 말단에 볼베어링(63)을 더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물쇠에 구성되는 내부 고정구(10)는 그 중앙에 키홈(10a)이 형성된 원반형 캡(13)으로만 형성되고, 상기 원반형 캡(13)의 내측에는 고정홈(13a)이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내부고정구(10)를 이루는 종래기술에서의 원통형 몸체(15) 구성이 배제되고, 이에 따른 제1 핀 관통공(15a)의 구성 또한 배제되는 것이다.
회동구(30)는 중실형 몸체(34)와, 상기 중실형 몸체(34)에 일체로 형성되는 볼트체(35)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실형 몸체(34)에는 종래와 동일한 제2 핀 관통공 (3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핀 관통공(33a)의 일측에는 반원형 홈(33b)이 원형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실형 몸체(34) 및 상기 볼트체(35)의 중앙에는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과 일치하는 동일한 키홈(30a)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키홈(30a)은 종래와 같이 상기 볼트체(35)의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7a 및 도 7b에 명확히 도시된 것처럼 볼트체(35)의 일측까지만 형성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트체(35)의 말단은 키홈(30a)이 관통되어 형성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체(35)의 말단에는 작동편(60)이 삽입되는 작동편 삽입홈(35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 삽입홈(35a)의 중앙에는 볼베어링(63)이 위치하게 되는 볼베어링 시트(35b)가 형성된다.
외부 고정구(50)는 상기 회동구(30)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고정홈(13a)과 일치하는 핀 결합공(51a)과, 상기 회동구(30)의 제2 핀 관통공(33a)과 일치하는 제3 핀 관통공(53a)과, 상기 회동구(30)의 반원형 홈(33b)과 일치하는 베어링 결합공(55a)이 각각 형성된다.
원통형 커버(80)는 상기 외부 고정구(5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종래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물쇠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 고정구(10)를 이루는 원반형 캡(13)에 회동구(30)의 중실형 몸체(34)를 밀착시키되, 상기 내부 고정구(10)와 회동구(30)의 키홈(10a, 30a)을 서로 일치시 킨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30)의 볼트체(35) 말단에 형성된 작동편 삽입홈(35a) 중앙의 볼베어링 시트(35b)에는 볼베어링(63)을 안착시키고, 상기 볼베어링(63) 측으로 워셔(65)가 결합된 작동편(60)의 T형 말단을 밀착시키며, 상기 작동편(6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너트캡(70)을 삽입한 후 상기 너트캡(70)을 상기 회동구(30)의 볼트체(35)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작동편(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 시 작동편(60)의 T형 말단이 볼베어링(63)을 감싸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T형 말단에는 반원형 홈(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후, 상기 중공형 몸체(33)의 외측으로 외부 고정구(50)를 결합시키되, 상기 외부 고정구(50)에 형성된 핀 결합공(51a)을 내부 고정구(10)의 고정홈(13a)과 일치시키고, 상기 외부 고정구(50)에 형성된 제3 핀 관통공(53a)을 상기 중실형 몸체(34)에 형성된 제2 핀 관통공(33a)에 각각 일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고정홈(13a)과 일치된 상기 외부 고정구(50)의 핀 결합공(51a)에 고정핀(51)을 밀어 넣어 상기 내부 고정구(10)와 외부 고정구(50)를 서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서로 일치된 상기 제3 핀 관통공(53a)과 제2 핀 관통공(33a)에 제1 핀(57a)과 제3 핀(57c) 및 스프링(57d)을 각각 차례로 삽입시킨다. 따라서, 제1 핀(57a)은 제2 핀 관통공(33a)에 위치되며, 제3 핀(57c) 및 스프링(57d)은 제3 핀 관통공(53a)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핀 관통공(33a)에 위치된 제1 핀(57a)의 선단은 키홈(30a)의 형상에 따라 키홈(30a) 측으로 약간씩 돌출된다.
상기 외부 고정구(50)에 형성된 베어링 결합공(55a)과 일치된 상기 회동구(30)의 반원형 홈(33b)에는 베어링(59a) 및 스프링(59b)을 차례로 결합시킨다.
상기한 결합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 고정구(50)를 감싸도록 원통형 커버(80)를 결합시켜 상기 스프링(57d, 59b)들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완성된 자물쇠 뭉치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도어(1)의 래치(3)에 결합시킨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자물쇠 뭉치의 작동편(60) 선단을 도어의 래치에 결합시켜 외부에서의 도어 자물쇠로써 기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자물쇠의 괘정 및 해정 작용을 이루는 키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자물쇠의 괘정 및 해정 작용을 이루는 키는 키(90)는 손잡이(91)와, 상기 손잡이(91)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봉체(92)와, 상기 손잡이(91)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어링 세트(93)와, 상기 봉체(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몸체(95) 및, 상기 봉체(92)에 고정 결합되는 키 선단(9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세트(93)는 스프링(93a)과 베어링(93b) 및 베어링캡(93c)으로 형성되며, 상기 키 몸체(95)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베어링(93b)이 접촉되는 베어링 접촉홈(95a)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키(90)는 키 몸체(95)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91)를 회전시키면, 상기 키 몸체(95)는 그대로 있고 키 선단(97)만 상기 손잡이(9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키 몸체(95)는 봉체(92)에 회전 가능하 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봉체(92)의 회전 시 상기 키 몸체(95)는 봉체(92)와 함께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키의 구성 및 작용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나 봉체(92)의 길이가 종래 보다 축소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른 키 몸체(95) 또한 종래 보다 짧아 지게 되며, 반면에 키 선단(97)은 종래 보다 길어 지게 되며, 핀과 접촉되는 요돌조는 종래에는 키 몸체(95)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키 선단(97)에 형성된다.
즉, 회동구의 중실형 몸체(34) 전체면에 키홈(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실형 몸체(34)의 키홈(30a) 측으로 제1 핀들이 돌출됨에 따라, 이와 접촉하는 키 선단(97)이 상기 키홈(30a)의 길이와 동일해 져야 하며, 또한 상기 키홈(30a) 측으로 돌출된 제1 핀들을 밀어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자물쇠 및 키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에 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에 키(90)를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스프링(57d)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홈(30a) 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제1 핀(57a)들은, 상기 키(90)의 선단(97)에 형성된 요돌조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57d)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스프링(57d)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즉, 상기 회동구(30)의 제2 핀 관통공(33a)을 통해 키홈(30a) 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제1 핀(57a)들이 밀려 남에 따라 제3 핀은 제3 핀 관통공(53a)내에 정확히 위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키(90)의 손잡이(91)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키 몸체(95)는 키홈(10a) 내에서 그대로 있게 되며, 상기 키(90)의 선단(97)은 상기 손잡이(9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90)의 선단(97)에 맞물린 키홈(30a)이 형성된 회동구(30)가 회전 동작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회동구(30)에 결합된 작동편(6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60)에 결합된 도어(1)의 래치(3)가 록킹 또는 해제된다.
한편, 상기 키(90)를 키홈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스프링(57d)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홈(30a) 측으로 제1 핀(57a)들이 다시 하향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물쇠는 종래의 자물쇠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1 핀(정확하게는 제1 및 제3 핀)을 모두 밀어 내야만 상기 회동구(30)가 비로소 회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여건에서 회동구를 반드시 회전 동작시켜야만 괘정 및 해정작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물쇠에 있어서, 내부 고정구(10) 및 회동구(30)에는 서로 일치하는 키홈(10a, 30a)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회동구(30)의 키홈(30a)은 말단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내부 고정구(10)의 키홈(10a)을 통한 상기 회동구의 키홈(30a) 관측이 불가능해 진다.
즉, 상기 키홈(30a)이 회동구(30)의 볼트체(35) 일부 까지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체의 그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키홈(10a, 30a)을 통한 볼트체(35) 내부의 관측이 불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회동구(30)의 폐쇄된 볼트체(35) 말단에는 볼베어링(63)이 더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키홈(10a, 30a)에 드릴을 넣고 상기 드릴을 돌려도 드릴의 선단이 상기 볼베어링(63)에 접촉하여 공회전함으로써, 자물쇠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 고정구의 구성이 보다 단순해져 자물쇠에 소요되는 구성품이 줄어 들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키와 회동구의 접촉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키의 회전 시 조작력이 감소되며, 상기 회동구가 중실형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강도가 증대된다.
도 9에서의 미설명 부호 5는 도어의 내측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고, 7은 래치(3)에 결합된 수동 괘, 해정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물쇠는, 내부 고정구의 구성이 종래 보다 단순해져 자물쇠에 소요되는 구성품이 감소됨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와 회동구의 접촉면적을 넓혀 키의 회전 시 조작력을 감 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회동구에 형성되는 키홈을 말단까지 전체적으로 관통시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내부 고정구의 키홈을 통한 상기 회동구의 내측 키홈 관측이 불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동구의 말단에 볼베어링이 더 결합됨으로써, 키홈을 통하여 드릴을 이용한 자물쇠의 파손이 불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중앙에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과 상기 원반형 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내부 고정구와, 상기 내부 고정구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구 및, 상기 외부 고정구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원통형 커버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형성된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구는 키홈이 형성된 원반형 캡으로만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는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실형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원반형 캡의 키홈과 일치하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실형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키홈은 상기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구의 볼트체 말단에는 볼베어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물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형 캡과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키홈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체인 키의 선단은 상기 중실형 몸체 및 볼트체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키홈 내에 위치하도록 회전체인 키의 몸체 보다 크게 형성되는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KR1020050001576A 2005-01-07 2005-01-07 자물쇠 KR10063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576A KR100633549B1 (ko) 2005-01-07 2005-01-07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576A KR100633549B1 (ko) 2005-01-07 2005-01-07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29A KR20060081129A (ko) 2006-07-12
KR100633549B1 true KR100633549B1 (ko) 2006-10-13

Family

ID=3717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576A KR100633549B1 (ko) 2005-01-07 2005-01-07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95Y1 (ko) * 1982-09-01 1984-09-26 이홍일 도어 개폐용 실린더정의 보조록킹 장치
KR920005218Y1 (ko) * 1990-06-19 1992-07-30 이기석 자물쇠
KR100192705B1 (ko) * 1996-05-14 1999-06-15 이도진 자물쇠와 열쇠
KR200151582Y1 (ko) * 1996-01-05 1999-07-15 이기석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95Y1 (ko) * 1982-09-01 1984-09-26 이홍일 도어 개폐용 실린더정의 보조록킹 장치
KR920005218Y1 (ko) * 1990-06-19 1992-07-30 이기석 자물쇠
KR200151582Y1 (ko) * 1996-01-05 1999-07-15 이기석 자물쇠
KR100192705B1 (ko) * 1996-05-14 1999-06-15 이도진 자물쇠와 열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129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1454B2 (ja) シリンダーロック及びキー
US20070180871A1 (en) Storage lock
US61519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 pick kit
KR100633549B1 (ko) 자물쇠
KR100633548B1 (ko) 자물쇠
US5845520A (en) Locks and hasps
USRE26272E (en) Locking mechanisms
US20040148989A1 (en) Key for locks
KR200370941Y1 (ko) 중장비용 도어록킹장치
JP2002201834A (ja) サイドバーシリンダ錠
JP2001040914A (ja) 錠付ロック装置
KR100623160B1 (ko) 디지털 도어록
CN108798264B (zh) 钥匙及自动复位结构
CN108798263B (zh) 一种钥匙
KR200371745Y1 (ko) 열쇠 및 이를 사용하는 자물쇠
CN210976918U (zh) 一种机械防盗防钻锁
JP2593290B2 (ja) シリンダ錠
CN219451802U (zh) 一种防撬锁
KR940006487Y1 (ko) 도어록
CN108798261B (zh) 一种钥匙
KR200151582Y1 (ko) 자물쇠
KR200303972Y1 (ko) 도어의 잠금 장치
JP3842521B2 (ja) 冷却貯蔵庫
JP3059547U (ja) ドリル破壊防止型錠装置
JP3074102U (ja) シリンダー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