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399B1 -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399B1
KR100633399B1 KR1020040106081A KR20040106081A KR100633399B1 KR 100633399 B1 KR100633399 B1 KR 100633399B1 KR 1020040106081 A KR1020040106081 A KR 1020040106081A KR 20040106081 A KR20040106081 A KR 20040106081A KR 100633399 B1 KR100633399 B1 KR 10063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roke
light switch
turn
emergenc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337A (ko
Inventor
임용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3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향등 스위치 또는 비상등 스위치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때 운전자가 유턴하거나 주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랙 스트로크 증대를 위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유턴시키거나 주차시키고자 할때 자동으로 조향축의 랙 스트로크를 증대시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좁은 길 또는 좁은 공간에서 손쉽게 유턴 및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 구동모터, 제어부, 방향등스위치, 비상등스위치, 조향각

Description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VRS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의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4 는 종래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향등 스위치 11 : 비상등 스위치
12 : 조향각 센서 13 : 제어부
14 : 구동모터
본 발명은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차량을 유턴시키거나 주차시키고자 할때 자동으로 조향축의 랙 스트로크를 증대시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좁은 길 또는 좁은 공간에서 손쉽게 유턴 및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는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Variable Rack Stroke System)이 장착되고 있는데, 이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은 조향축 기어박스의 랙 스트로크를 증대시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조타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주차시 또는 유턴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작동스위치(1)와; 상기 작동스위치(1)의 온동작시 조향축(3)의 기어박스에 구비된 구동모터(4)를 구동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도록 하는 제어부(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작동스위치(1)를 온동작시켰을 때 제어부(2)가 구동모터(4)를 구동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도록 하므로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유턴 및 주차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작동시 운전자가 일일이 작동스위치(1)를 작동시켜주어야만 하므로 운전중 사용자가 작동스위치(1)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운전자가 일일이 작동스위치(1)를 조작해야만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향등 스위치 또는 비상등 스위치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때 운전자가 유턴하거나 주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랙 스트로크 증대를 위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유턴시키거나 주차시키고자 할 때 자동으로 조향축의 랙 스트로크를 증대시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좁은 길 또는 좁은 공간에서 손쉽게 유턴 및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조향축의 기어박스에 랙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14)가 설치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측 방향등 동작을 위한 방향등 스위치(10)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한 앞바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센서(12)와;
상기 방향등 스위치(10)가 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 때,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부(13);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비상등의 점등을 위한 비상등스위치(11)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13)는 비상등스위치(11)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 때 구동모터(14)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조향축 기어박스에 랙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14)가 설치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좌우 방향등 스위치(10)의 온동작을 감지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 이후 조향각 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이면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어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제 2 과정;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향축 기어박스에 랙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14)가 설치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비상등 스위치(11)의 온동작을 감지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 이후 조향각 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이면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어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제 2 과정;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도로상에서 유턴을 하기 위하여 방향등 스위치(10)를 온동작시키고, 핸들을 360도 이상 작동시키게 되면, 제어부(13)는 방향등 스위치(10)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 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 작동한 상태이므로 운전자가 차량을 유턴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구동모터(14)를 동작 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도록 한다.
상기 랙 스트로크의 증대에 의해 차량의 회전반경이 최소로 축소되므로서 운전자는 좁은 길에서도 한번에 차량을 손쉽게 유턴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가 주차를 하기 위해 비상등 스위치(11)를 작동시키고, 핸들을 360도 이상 작동시키게되면, 제어부(13)는 비상등스위치(11)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 작동한 상태이므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구동모터(14)를 동작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랙 스트로크의 증대에 의해 차량의 회전반경이 최소로 축소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일일이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방향등 스위치, 비상등 스위치 및 핸들을 조작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을 작동시키므로서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방향등 스위치 또는 비상등 스위치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 때 운전자가 유턴하거나 주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랙 스트로크 증대를 위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유턴시키거나 주차시키고자 할 때 자동으로 조향축의 랙 스트로크를 증대시켜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좁은 길 또는 좁은 공간에서 손쉽게 유턴 및 주차할 수 있도록 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조향축의 기어박스에 랙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14)가 설치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측 방향등 동작을 위한 방향등 스위치(10)와;
    비상등의 점등을 위한 비상등 스위치(11)와;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의한 앞바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조향각센서(12)와;
    상기 방향등 스위치(10)나 비상등 스위치(11)가 온동작한 상태에서 조향각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일때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부(13);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
  2. 삭제
  3. 조향축 기어박스에 랙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14)가 설치된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좌우 방향등 스위치(10)의 온동작을 감지하는 제 1-1 과정과;
    비상등 스위치(11)의 온동작을 감지하는 제 1-2 과정과;
    제 1-1 과정이나 제 1-2 과정 이후 조향각 센서(12)에서 감지되는 조향각이 일정각도 이상이면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랙 스트로크가 증대되어 차량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제 2 과정;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삭제
KR1020040106081A 2004-12-15 2004-12-15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KR10063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81A KR100633399B1 (ko) 2004-12-15 2004-12-15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81A KR100633399B1 (ko) 2004-12-15 2004-12-15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37A KR20060067337A (ko) 2006-06-20
KR100633399B1 true KR100633399B1 (ko) 2006-10-16

Family

ID=3716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081A KR100633399B1 (ko) 2004-12-15 2004-12-15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38B1 (ko) 2007-09-1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조향각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701B1 (ko) * 2015-11-12 2022-03-11 주식회사 만도 유턴 시 차량의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784B1 (ko) 1996-05-07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JP2001114125A (ja) * 1999-10-15 2001-04-24 Honda Motor Co Ltd 転回機構を備えた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784B1 (ko) 1996-05-07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JP2001114125A (ja) * 1999-10-15 2001-04-24 Honda Motor Co Ltd 転回機構を備えた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38B1 (ko) 2007-09-1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조향각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37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0101A3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JP200401788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8107728A1 (en) A vehicle rear-view mirror shifting system implemented with aim to eliminate the dead angle
KR20160104112A (ko) 자동차 핸들의 회전각도에 따라 반응하는 코너램프 구동장치
KR100919627B1 (ko) 조향핸들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자동조정되는 차량용사이드 미러의 방향, 각도조정장치
KR100633399B1 (ko) 조향 스트로크 가변 시스템의 제어장치와 방법
JP2010167842A (ja) 車両用操舵装置
US7476011B2 (en)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JP4110937B2 (ja) 駐車支援装置
ES2388819T3 (es) Procedimiento de automatización del giro de las ruedas de un vehículo automóvil cuando el vehículo sale de una plaza de aparcamiento, y sistema asociado
KR20120063301A (ko) MDPS의 자동 Full-Turn 작동 제어방법
KR101499518B1 (ko) 주차시 조향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063439B1 (ko) 경사로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345468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96248A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JP425072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を有する産業用車両
KR101527135B1 (ko)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113880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H05272632A (ja) 車両制御装置
KR20110062018A (ko) 능동형 가변 랙 스트로크 시스템 제어방법
KR200337340Y1 (ko) 사이드미러 하향장치
KR100224033B1 (ko) 자동차 조향장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38398B1 (ko)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56866B1 (ko) 가변 웜 기어식 차량용 전동파워 조향장치
JP2004291693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