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859B1 -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859B1
KR100632859B1 KR1020060071396A KR20060071396A KR100632859B1 KR 100632859 B1 KR100632859 B1 KR 100632859B1 KR 1020060071396 A KR1020060071396 A KR 1020060071396A KR 20060071396 A KR20060071396 A KR 20060071396A KR 100632859 B1 KR100632859 B1 KR 10063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nene
antimicrobial composition
antimicrobial
thy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신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7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몰(thymol) 10∼20 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0∼40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 중량% 및 피넨(pinene) 25∼4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상기 항균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은 단일 식물 정유 성분에 비해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탁월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기록물 또는 문화재를 훼손시키는 미생물에 대해 더욱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잔류 독성이 남지 않으므로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용 친환경 소독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정유,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피넨(pinene), 친환경 소독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Description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ymol, Carvacrol, Linalyl acetate and Pinene}
도 1은 기록물 및 문화재 소독장비인 BIO-MASTER를 이용한 피소독물(기록물, 유물)의 소독처리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및 피넨(pinene)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몰(thymol) 10∼20 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0∼40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 중량% 및 피넨(pinene) 25∼4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상기 항균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항균제는 미생물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번식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현재 개 발된 공업용 항균제는 약 130여종에 이르지만, 인체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면 자연의 생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천연 항균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항균제는 미생물 오염과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식품첨가물, 의약품 및 공업용 물질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편백나무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 목련 추출물인 메그노놀(Megnonol), 자몽종자 추출물인 DF-100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사용 규모는 아직까지 합성 보존제의 17%에 불과하다.
천연물질 중 허브(Hurb)는 식용이나 약용, 향료 등으로 사용되는 식물로서, 지중해 연안이나 서남아시아에서 자라는 향기 좋은 식물의 총칭이나 최근에는 나무의 잎이나 꽃, 과일 등도 여기에 포함시킨다. 이러한 허브로부터 추출된 정유는 특유한 방향을 갖는 휘발성 기름으로서 방향유라고도 한다. 특히 생산량도 많고 중요한 허브 추출물은 아니스유, 시트로넬라유, 테레핀유, 박하유, 로즈마리유 등 500 여종 이상에 이르며, 이중 약 100 여종이 식용 및 약용, 천연향료의 원료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정유는 각각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강한 살균력 및 방부력을 갖고 있다. 정유의 성분은 화학적으로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산소를 함유한 화합물과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계 탄화수소로 크게 구별되는데, 정유의 향기와 맛에 관여하는 것은 전자이며 후자는 물에 용해되기 어렵고 향기나 맛에 대하여는 오히려 장애가 되는 물질이다.
정유는 천연물이 갖는 독특한 특성과 성분을 지니고 있어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즉 치료약, 향신료, 소화제, 신경안정제 및 냄새방 지제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심신의 피로회복 긴장을 풀어주며 머리를 맑게 하는 정신적 치유의 도구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록물 및 문화재의 보존과 관련하여 서고, 전시실 또는 수장고 등의 장소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공중 부유균(곰팡이, 세균)에 의하여 고문서 및 유물이 점차 훼손됨에 따라 각종 미생물을 살균, 소독시킴으로써 기록물 및 문화재를 영구히 보존하도록 하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기록물 및 문화재 유물을 서고 및 수장고 내에 입고 시에는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와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혼합가스에 의한 가스 훈증 방법의 소독이 실시되고 있다. 이 혼합가스는 그 자체로도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살균력이 탁월하기 때문에 기록물 및 문화재의 미생물 방제대책으로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작업 시 누출될 경우에는 극소량의 농도에서도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가 초래되기 때문에 소독처리 과정에서의 취급 및 사용상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고, 소독이 완료된 후에도 강한 독성 성분이 유물 및 기록물에 오랜 시간동안 잔류되어 있어 인체에 피해를 미치게 된다. 특히, 메틸브로마이드는 약 40년간 문화재의 생물학적 피해방지를 위한 훈증제로서 이용되어 왔지만, 몬트리올 의정서 협약에 의해서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지정되어 선진국에서는 2004년 말에 전폐되었다.
정유 성분을 함유한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71981호“식물정유를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성 조성물”은 타임 화이트, 타임 레드, 케이드, 베이, 오레가노, 클로브 버드, 클로브 리프 등의 군에서 선택된 정유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단지 단일 정유를 특정 비율없이 유효성분으 로 함유하는 조성물이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0-72252호 “가정용 위생해충 구제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식물성 정유 조성물 및 그 제제”는 겨자 정유, 레몬 정유, 생강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로부터의 식물 정유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490982호 “유칼립투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는 유칼립트수 정유 10∼25 부피%, 양고추냉이 정유 10부피%, 마늘 정유 10∼25부피%, 육계 정유, 정향 정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정유와의 혼합물 40∼70부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구성성분이 상이하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85781호 “항균 및 항진균작용이 있는 정유조성물”은 식물 정유 성분인 ⅰ) 오레가노, ⅱ) 딜, 라벤더, 레몬밤, 로즈마리, 민트, 세이보리, 세이지, 센티드제라늄, 셀프 힐, 스위트 바질, 차빌, 타임, 탄지, 시너몬, 클로브, 유칼립투스, 레몬, 페퍼민트 및 피트리 중에서 선택된 정유로 이루어지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식물 정유 함량비율을 일부만 개시하였을 뿐, 식물 정유 내에 함유된 티몰, 카바크롤 등의 활성물질을 특정 성분비로 조합하고 그에 따른 상승된 항균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기술개발은 미흡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활성물질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다양한 세균과 곰팡이 및 효모의 생육을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 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및 피넨(pinene)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제 조성물 및 탄소수 1∼3의 저급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몰(thymol) 10∼20 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0∼40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 중량% 및 피넨(pinene) 25∼4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티몰(thymol) 15∼17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3∼37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중량% 및 피넨(pinene) 3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제 조성물 5∼40 (v/v)% 및 탄소수 1∼3의 저급지방족 알코올 60∼95 (v/v)%를 함유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제 조성물이란 각종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모든 물질의 총칭이다.
본 발명에서 기록물 및 문화재란 지류, 목재류, 섬유류 등의 유기질 문화재와 그 외의 무기물로 구성된 유물로서 공예품, 도자기, 석조물, 금속 등의 무기질 문화재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및 피넨(pinene)로 구성된다. 상기 성분들은 시판중인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오레가노 (Oregano), 마누카 (Manuka), 딜 (Dill), 라벤더 (Lavender), 레몬 밤 (Lemon balm), 로즈마리 (Rosemary), 민트 (Mint), 세이보리 (Savory), 세이지 (Sage), 센티드제라늄 (Scentedgeranium), 셀프 힐 (Self hill), 스위트 바질 (Sweet Basil), 차빌 (Chervil), 타임 (Thyme), 탄지 (Tansy), 시너몬 (Cinnamon), 클로브 (Clove), 유칼립투스 (Eucalyptus), 레몬 (Lemon), 페퍼민트 (Peppermint) 및 티 트리 (Tea tree) 등의 식물 정유 성분으로서 순수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도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및 피넨(Pinene)이 본 발명의 특정 비율에 적합하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유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티몰(thymol)은 페놀의 일종으로 2-이소프로필-5-메틸페놀이라고 한다. 화학식은 C10H14O 이고, 사향초유와 비슷한 냄새 가 나는 무색 결정이며,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다. 상기 티몰은 멘톨의 합성원료, 방부제·살균제로서 치약·비누 등에 사용되는 것 외에, 분석시약으로서 티탄·암모니아 등의 분석에 사용되고, 또한 의약품으로서 구충제 등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티몰은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17 중량% 포함되고, 티몰을 함유하는 사향초유 또는 꿀풀과 식물 정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타임(thyme)의 식물 정유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카바크롤(carvacrol)은 페놀기로서 이소프로필-오쏘-크레졸(isopropyl-o-cresol)이라 불리우며 화학식은 C6H3CH3(OH)(C3H7)이고, 색은 짙은 황색을 띠며 낮은 온도상태에서는 고체화되고, 방향제나 항균, 항진균 제재로 사용한다. 상기 카바크롤은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30∼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3∼37 중량% 포함되고, 주로 카바크롤을 함유하는 오레가노(Oregano) 또는 세이보리(Savory) 식물 정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레가노의 식물 정유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는 에스테르성분으로서 화학식은 C12H20O2으로 꽃 냄새와 같은 향으로 구성되어 향수로 주요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1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20 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리나릴 아세테 이트를 함유하는 라벤더의 식물 정유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피넨(pinene)은 모노테르펜류에 속하는 탄화수소로서 알파-피넨 또는 베타-피넨 등이 있고, 화학식은 C10H16이며 물에는 녹지는 않지만 에탄올, 에테르,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는 녹고 무색의 액체로 상쾌한 향기를 가진다. 상기 알파-피넨은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2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 포함되고, 주로 침엽수의 정유를 비롯하여 다른 식물 정유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넨을 함유하는 유칼립투스 또는 로즈마리의 식물 정유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특정한 비율 범위 내에서만 구성성분간 상호작용에 의해 현저히 상승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항균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항균 스펙트럼이 좁아진다. 특히, 유효성분 중에 카바크롤이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에 대해서는 전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카바크롤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항균 활성이 카바크롤 개별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티몰이 유효성분 중에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카바크롤 사용량이 줄어들어 항균 활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유효성분 중에 피넨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도 카바크롤 개별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을 알코올용매에 희석제로 추가 포함하여 기 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로 사용하는 알코올 용매로는 탄소수 1∼3의 저급지방족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탄소수 3을 초과하는 알코올의 경우에는 소독제의 휘발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저급 지방족 알코올에 5∼40 (v/v)% 농도로 희석하여 기록물 및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40 (v/v)%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균 활성의 큰 차이는 없으면서 휘발성은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소독제의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고, 상기 범위 5 (v/v)%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활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용 소독제의 효과적인 제제로서 전시실, 수장고 또는 서고 등의 장소에 분사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가 적합하다.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를 만드는 데는 다음과 같은 요건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소량의 항균제로서 높은 항균활성이 있어야 하고, 독성이 없어야 하고, 피부 및 눈에 대한 자극성이 없고, 환경 잔류 활성이 강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제 조성물을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상기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스프레이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물 정유 중에 타임 정유는 티몰 40 중량%, 카바크롤 15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1 중량%, 알파-피넨 10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 고 있으며, 세이지 정유는 티몰 1.8 중량%, 카바크롤 0.8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10 중량%, 알파-피넨 15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라벤더 정유는 카바크롤 0.1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35 중량%, 알파-피넨 10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페퍼민트 정유는 티몰 3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21 중량%, 알파-피넨 14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레가노 정유는 티몰 15 중량%, 카바크롤 76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0.1 중량%, 알파-피넨 3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칼립투스 정유는 리나릴 아세테이트 0.1%, 알파-피넨 4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레몬 정유는 리나릴 아세테이트 22 중량%, 알파-피넨 13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레몬밤 정유는 티몰 11 중량%, 카바크롤 0.9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14 중량%, 알파-피넨 32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딜 정유는 티몰 6 중량%, 카바크롤 9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16 중량%, 알파-피넨 15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로즈마리 정유는 티몰 0.1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 0.1 중량%, 알파-피넨 10 중량%와 기타 식물 정유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효성분인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각각의 단일성분의 시약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상기한 타임, 세이지, 라벤더, 페퍼민트, 오레가노, 유칼립투스, 레몬, 레몬밤, 딜, 로즈마리 등의 식물 정유 성분을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한 항균제 조성 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해 미생물의 분리
(1) 서고 및 수장고의 공중 부유균 채집
각 서고 및 수장고에서의 미생물 분포상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생물을 중심으로 미리 준비한 선택 배지[LBA(Luria-Bertani Agar), PDA(Potato dextrose agar), MSA(Mannitol Salt Agar)]를 공기포집기(MAS 100 AIR Sampler, Germany)를 이용하여, 채취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10 분(1m3)동안 작동하여 공기 부유균을 포집하였다. 곰팡이는 25℃ 배양기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세균은 37℃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의 콜로니(cfu/m3; colony forming unit ; 단위체적당 검출되는 미생물의 군락으로 미생물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와 유해 미생물의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시실 및 수장고 내 미생물은 항상 박물관 내에 존재하다가 어느 장소나 또는 어느 시기에 온·습도 등의 환경조건이 미생물 생장에 좋은 조건이 되면 곧 문 화재에 손상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들 미생물에 의한 훼손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박물관 내의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의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박물관 내의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의 분포조사는 중요하므로, 11개 대학박물관의 전시실 및 수장고의 공기 중 부유균을 채집, 분리, 동정한 결과, 수십종의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었다.
(2) 기록물 및 문화재에서의 유해미생물 분리
서고 및 수장고에 있는 기록물 및 문화재를 미리 준비한 멸균된 면봉을 멸균 생리식염수을 이용하여 유해미생물을 채취한 다음, 미리 준비한 선택 배지[LBA, PDA, MSA]에 도말하여, 세균은 37℃에서 24 시간동안, 곰팡이는 25℃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시켜 유해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실시예 2: 미생물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미생물 중, 세균의 분리와 동정은 비텍 시스템 엔씨 II (Vitek system NC II, bioMerieux vitek Inc. France)를 이용하였으며, 동정 카드(ID card)로는 GNI(Gram negative identification), GPI(Gram positive identification) 및 BAC(Bacillus card)를 각각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으로는, 순수 분리된 콜로니를 취하여 GNI는 옥시데이즈 테스트(oxidase test)를 실시하여 GNI card 31번 위치에 그 결과를 기입한 다음, 팰콘 튜브(falcon tube) 2058 (12× 75 mm)에 0.45% 생리식염수(half saline) 1.8㎖을 분주하고, 분리된 콜로니를 취하여 균부유액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GNI는 맥파랜드 단위(MacFarland unit)로 1.0, GPI와 BAC는 맥파랜드 단위로 0.5에 각각 탁도를 맞춘 후에 파일 스탠드에 넣어 파일링 시킨 후 씰링하여 비텍 트레이(vitek tray)에 넣어서 동정하였다.
곰팡이는 PDA배지에 채취, 배양하여 집락이 형성된 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선별된 곰팡이는 25℃ 배양기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여 아인스워쓰 등의 방법에 따라 “The Fungi" 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1의 미생물 중에서 박물관의 기록물 및 문화재 훼손과 근무자에게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을 분석, 동정한 결과, Aspergillus niger , Aspergillus oryzae , Aspergillus versicolor, Bacillus subtilis , Mucor mucedo , Neurospora sitophile, Penicillium rugulosum , Penicillium viridicatum , Pseudomonas putida , Rhizopus delema , Staphylococcus aureus , Streptomyces sp ., Thamnidium elegans Tricoderma viridae의 우점종 14종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의 효소 활성 측정
공기 중 부유균에 분포되어 있으면서도 항상 지류, 목재, 의복 등 섬유소로 구성된 문화재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미생물들은 섬유소분해 미생물들이다. 또한, 문화재 중에서 유기물로 구성된 유물 역시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에 의해서 훼손이 될 수 있다. 이들 미생물은 현재는 직접 문화재를 손상시키지 않지만 조건만 맞으면 언제든지 유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섬유소분해 미생물과 단백질분해 미생물을 별도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섬유소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셀룰레이즈(Cellulase) 생산과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테이즈(Protease)를 생성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하여 섬유소 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의 효소 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1) 섬유소분해효소 활성(Avicelase Activity)
2 (w/v)% 아비셀(avicel) 현탁액 1 ㎖와 0.1M 초산 완충액(pH 5.5) 1 ㎖에 효소액 0.4㎖를 가하고 45℃에서 60 분간 진탕 반응시킨 후 100℃에서 5 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상등액 내의 환원당의 양을 DNS법으로 5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소 1.0 유닛은 상기 조건하에서 1 분 동안 셀룰로스로부터 1 μmol의 포도당에 상응하는 환원당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2)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Protease Activity)
일정비율로 희석시킨 효소용액 0.5㎖에 3㎖ 기질용액(0.6% Hammarsten casein in 1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을 넣고 55℃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3.2㎖의 0.44 M TCA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미분해 카제인(casein)을 실온에서 10 분간 방치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No. 5 여과지로 여과한 후 2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소의 역가는 275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분당 0.01 증가시키는 효소량을 1 유닛(μmol/min)로 하였다.
3) 단백질의 정량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Sigma Chem. Co.)을 표준시료로 하여 단백질 정량 키트(Bio-Rad Lab., Richmond, Calif, USA)를 이용하여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효소 활성 측정 결과
상기 실시예 2의 우점종인 미생물의 섬유소분해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효소 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표 1). 상기 분리된 가해미생물은 기존의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서 분양받은 일반 미생물보다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리된 가해미생물이 목재류와 고서와 같은 섬유조직 및 유기물의 재질을 가진 유물에 대하여 훼손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1
실시예 4: 미생물 오염에 따른 지류의 강도변화 측정
오염에 따른 지류의 강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준비한 배지(PDA, MSA, LBA) 위에 미리 멸균한 시료(백상지)를 놓고 순수분리한 미생물을 무균 접종한 다음, 28∼37℃에서 3∼5 일동안 배양하였다. 곰팡이의 균사를 제거한 시료를 내절강도측정기로 10회 반복 측정(MD)한 다음, 그 평균값을 대조구(오염되지 않은 종이 : 미생물 미처리 시료)와 비교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분리한 가해미생물을 시료(백상지)에 접종·배양하여 시료의 내절강도를 측정한 후 오염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미생물에 오염된 시료는 전반적으로 지류의 강도가 떨어짐을 볼 수 있었고, 특히, 곰팡이에서는 Tricoderma viridae, Aspergillus oryzae, Penicilliun rugulosum 3종의 미생물에 의해 지류의 강도가 강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균에서는 Pseudomonas aeruginase, Pseudomonas putida 등의 균주에서 다른 가해미생물보다 지류강도가 심하게 떨어져 지류의 열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실시예 5: 항균제 조성물 개별 구성성분의 항균 활성의 측정
항균 활성의 측정에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티몰(thymol)은 JINAROME사의 순도 98%의 시약, 카바크롤(carvacrol)은 ALDRICH사의 순도 98%의 시약,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는 FLUKA사의 순도 95%의 시약, 피넨(pinene)은 알파-피넨으로 FLUKA사의 순도 97% 시약을 사용하였고, 티몰 50㎕, 카바크롤 50㎕, 리나릴 아세테이트 50㎕, 피넨 50㎕를 각각 알코올 50㎕에 희석하여 조성물을 제조하고,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각각 조성물의 항균 활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전배양을 2 일간 실시하고 4 일간의 본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3,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과 균체를 분리하여 세균 및 진균류에 대하여 in vitro 항균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균은 LB 한천(agar), 진균류는 PDA(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하였고, 검정평판은 균의 종류에 따라 중층검정평판과 단층검정평판을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중층검정평판의 조제는 배지 20㎖를 페트리 디쉬에 부어 응고시켜 하층을 만들고 진탕 또는 정치 배양한 시험균주를 동일배지에 접종하여 4∼5㎖를 하층 배지 위에 중층으로 만들었다. 단층검정평판은 균을 접종한 배지 약 5㎖를 단층으로 하여 평판을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항균 활성의 측정은 각 시험균주를 18∼24 시간 배양한 후(곰팡이는 7 일간 배양한 사면(slant)으로부터 조제한 포자 용액 사용) 106∼107cells/㎖이 되도록 페트리 디쉬에 도말한 다음, 페이퍼 디스크(Φ 6mm, Advantec Co. USA)에 상기 제조한 조성물 50㎕를 첨가하여 얹고, 25℃(곰팡이) 및 37℃(세균)에서 24∼48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항균력을 분석하기 위해, 저지원(clear zone)의 유무 및 직경을 측정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실시예 2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3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의 측정
하기 표 4의 조성 비율과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상기 실시예 5에서 사용한 티몰 시약 25mg, 카바크롤 시약 25mg, 리나릴 아세테이트 시약 25mg, 피넨 시약 25mg을 넣어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다른 비교예 2∼5 및 실험예 1∼7 또한, 표 4에 기재된 조성 비율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5의 항균 활성의 측정법과 동일하게 항균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4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5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6
상기와 같이 제조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효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티몰(thymol) 10∼30 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0∼40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30 중량% 및 피넨(pinene) 25∼40 중량%를 벗어나는 비교예의 경우에는 실험예들에 비해 항균 활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카바크롤이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1,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지류의 강도를 크게 약화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에 대해서는 전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카바크롤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3의 경우에도 항균 활성이 카바크롤을 개별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티몰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카바크롤 사용량이 줄어들어 항균 활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피넨이 25 중량% 미만인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피넨을 개별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항균 활성이 뛰어나지만 카바크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의 기록물에 대한 안전성 측정
상기 실시예 6의 실험예 5의 항균제 조성물을 기록물에 적용하여 인공 열화 조건에서의 안전성을 측정하였다.
기록물 공시재료는 시중에서 구입한 도서로 1998년에 생산된 표백화학펄프 70% 이상 함유하고 인쇄용지 B이상에 해당하는 중성지(백상지), 1978년도에 생산된 표백화학펄프 40∼70% 미만을 함유하고 인쇄용지 C에 해당하는 산정지(중질지) 및 1984년도에 생산된 표백화학펄프 40% 미만 함유하고 인쇄용지 D에 해당하는 산성지(하급지)를 사용하였다.
국가기록원에 설치된 기록물 소독장비인 BIO-MASTE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장비의 규격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Chamber size : 1000W× 1000L× 1000mmH
Capacity : 1m3
Design Pressure : 0 ∼ 1kg/㎠
Wording pressure : 650㎜Hg ∼ 0.5kg/㎠
Design Temp : A.M.B. 100℃
Working Temp : A.M.B. 60℃
Door Type : Front one door type
Material : ALL STS 304
항균제 조성물의 처리는 공시재료인 도서를 지종별(백상지, 중질지, 하급지)로 기록물 소독장비에 넣고 100ml, 150ml, 200ml의 항균제 조성물을 20 시간 동안 도 1의 처리 공정에 의해 실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항균제 조성물의 처리 완료된 시료(백상지, 중질지, 하급지)의 장기 안전성 및 보존성을 실험하기 위해 순환식 건조 장치에서 온도 105± 2℃(Tappi T453Pm-85)의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인공열화 조건은 1주, 2주, 3주 열화조건을 설정하였다.
천연허브 항균제 처리시료의 장기 안전성시험은 Tappi Standard T220 om-83에 의거 물성용 시편으로 채취하고, 온도 20± 1℃, 상대습도 65± 2%로 조습처리 하였다. 열화 특성에 따른 시료의 물리. 화학적 측정은 내절도(T511om-83), 인장강도(T494om-81), 인열강도(T414om-82), 백색도(T412om-83), pH(T509om-83)를 10회 반복 측정하여 실험하였다.
실시예 6의 실험예 5의 항균제 조성물을 100ml, 150ml, 200ml로 적용하였지만, 항균제 조성물 사용량 증가에 따른 종이의 내구성과 관련된 내절강도, 열단장, 인열강도의 변화는 없었다. 즉 내절강도는 인공열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 선상의 감소 기울기를 보여주었고, 열단장은 무처리지가 4.8㎞에서 4.0㎞로 감소하고, 100ml 처리지는 4.9㎞에서 4.2㎞로 감소하여 항균제 조성물 처리 증가에 따른 물성변화는 없고, 초기물성에 따른 인공 열화 기간동안의 물성치 변화가 나타났다. 인열강도의 경우, 항균제 조성물 200ml 처리지에서 45g에서 35g으로 감소하고, 무처리지도 45g에서 25g으로 감소하여 물성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도는 항균제 조성물의 함량을 높여 처리한 것이나, 종이의 종류에 따라서도 무처리지와 차이가 없었다.
종이는 그 구조상 수산기를 갖고 있어 열화되면 산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어 알데히드, 카르복실기를 생성하여 산성이 강해지는 성질이 있다. 항균제 조성물의 처리에 따라서 백상지, 중질지는 산성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용 소독제의 제조 및 휘발성 측정
하기 표 6의 조성 비율에 따라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용 소독제를 제조하여 휘발성을 측정하였다.
휘발성은 초기와 1 개월 후 잔존하는 유효성분의 차이에 대한 상대적인 농도로 측정하였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되 검출기는 수소염이온화검출기, 칼럼은 유리관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프용 에틸비닐벤젠-디비닐벤젠공중합체를 충전하고, 칼럼온도는 100℃ 부근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캐리어 가스는 질소로 하여 측정하였다.
상대 항균 활성은 소독제 제조 직후, 실시예 6의 항균 활성의 측정법과 동일하게 항균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여 실시예 6의 실험예 5의 항균제 조성물 20ml을 에틸알콜 80ml과 혼합하여 제조한 실험예 A의 항균 활성 값을 100으로 하여, 하기 표 6의 조성을 함유하는 비교예 A, B, C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54614819-pat00007
그 결과, 적은 부피의 항균제 조성물로 최적의 휘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실험예 A가 다른 비교예 A보다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비교예 B는 휘발성과 항균활성은 높지만 항균제 조성물의 사용양에 비교한다면 상대적인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적정 비율로 에탄올 또는 부틸 알코올을 함유하는 소독제는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제조 및 안정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6의 실험예 5의 조성물 16g에, 에탄올 60g을 첨가하여 잘 용해한 다음, 250㎖ 용량의 캔에 넣고, 인체용 LPG 90g을 충전시켜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로 제조할 경우의 캔 내의 압력은 약 4.8kgf/cm2정도인데, 상기 압력에서의 상기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의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압력하에서 1개월 간격으로 항균 활성을 시험한 결과, 4.8kgf/cm2에서 2년 동안 아무런 항균 활성의 감소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항균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은 단일 식물 정유 성분에 비해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탁월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기록물 또는 문화재를 훼손시키는 미생물에 대해 더욱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잔류 독성이 남지 않으므로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용 친환경 소독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티몰(thymol) 10∼20 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0∼40 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 중량% 및 피넨(pinene) 25∼4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티몰(thymol) 15∼17중량%, 카바크롤(carvacrol) 33∼37중량%,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10∼20중량% 및 피넨(pinene) 3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균제 조성물 5∼40 (v/v)% 및 탄소수 1∼3의 저급지방족 알코올 60∼95 (v/v)%를 함유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물 또는 문화재 보존 처리용 소독제.
KR1020060071396A 2006-07-28 2006-07-28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KR10063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96A KR100632859B1 (ko) 2006-07-28 2006-07-28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96A KR100632859B1 (ko) 2006-07-28 2006-07-28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859B1 true KR100632859B1 (ko) 2006-10-16

Family

ID=3762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396A KR100632859B1 (ko) 2006-07-28 2006-07-28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8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0B1 (ko) * 2009-01-06 2010-03-15 대한민국(국가기록원) 시트랄, 피레트린,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록물 및 문화재 소독용 조성물
KR101181243B1 (ko) 2010-10-07 2012-09-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피넨으로부터 캄포 또는 미르테놀 화합물로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꽃구름버섯균 용도, 캄포 또는 미르테놀 화합물로의 생물학적 변환 산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 원료조성물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20190048512A (ko) * 2017-10-31 2019-05-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몰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정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091A (ja) 1998-07-22 2000-04-04 Saniida:Kk 環境保全型食器洗浄用組成物及び水性ホ―ムケア製品洗浄用組成物
US6096349A (en) 1996-11-13 2000-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able disinfect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isinfecting surfaces therewi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349A (en) 1996-11-13 2000-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able disinfect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isinfecting surfaces therewith
JP2000096091A (ja) 1998-07-22 2000-04-04 Saniida:Kk 環境保全型食器洗浄用組成物及び水性ホ―ムケア製品洗浄用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0B1 (ko) * 2009-01-06 2010-03-15 대한민국(국가기록원) 시트랄, 피레트린,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록물 및 문화재 소독용 조성물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101181243B1 (ko) 2010-10-07 2012-09-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피넨으로부터 캄포 또는 미르테놀 화합물로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꽃구름버섯균 용도, 캄포 또는 미르테놀 화합물로의 생물학적 변환 산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 원료조성물
KR20190048512A (ko) * 2017-10-31 2019-05-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몰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정화 방법
KR102037066B1 (ko) * 2017-10-31 2019-10-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몰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정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oul-Latif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 of Matricaria chamomilla L. from Djibouti
US6319958B1 (en) Method of sensitizing microbial cells to antimicrobial compound
Abdoul-Latif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 of Jasminum sambac from Djibouti
Torquato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ashew tree gum
Ghalem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leaf essential oils of Eucalyptus globulus and Eucalyptus camaldulensis
Moghaddam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 of Ocimum basilicum L. leaves on a variety of pathogenic bacteria
Stefan et al. The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in three Ocimum species growing in Romania
Poaty et al. Compositi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even essential oils from the North American boreal forest
Kim et al. The effects of Korean propoli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CA2807779A1 (en) 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d spore germination inhibiting activity from avocado acetogenins
Abi-Ayad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leaves of Tetraclinis articulata (Vahl) Masters from Algeria flora
Lertsatitthanakorn et al. Effect of citronella oil on time kill profile, leakage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Propionibacterium acnes
KR100632859B1 (ko) 티몰, 카바크롤, 리나릴 아세테이트 및 피넨을 함유하는항균제 조성물
Pillai et al.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s and chemical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Aspergillus parasiticus
JPS6042765B2 (ja) 細菌増殖抑制法ならびに制菌剤
da Cruz Cabral et al. Control of infection of tomato fruits by Alternaria and mycotoxin production using plant extracts
Voundi et 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some pathogenic and spoilage spore-forming bacteria
Fusell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Argentinean wild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Paenibacillus larvae larvae, causal agent of American foulbrood (AFB)
Georgieva et al. Comparative study of phyt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hydrosols from Bulgarian Rosa alba L. and Rosa damascena Mill.
da Silva et al. Essential oil of Cymbopogon flexuosus, Vernonia polyanthes and potassium phosphite in control of bean anthracnose
Bammou et al. Investigation on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Pulicaria mauritanica essential oil applied by direct addition or vapor contact
Greche et al. The volatiles of the leaf oil of Cistus ladanifer L. var. albiflorus and labdanum extracts of Moroccan origin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KR20200091825A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Sar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onella Essential Oil from Cymbopogon nardus (L.) Rendl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alab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Juniperus communis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