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636B1 -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636B1
KR100632636B1 KR1020050018598A KR20050018598A KR100632636B1 KR 100632636 B1 KR100632636 B1 KR 100632636B1 KR 1020050018598 A KR1020050018598 A KR 1020050018598A KR 20050018598 A KR20050018598 A KR 20050018598A KR 100632636 B1 KR100632636 B1 KR 10063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iner
starch
starch container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7852A (en
Inventor
김영희
김헌무
김강수
윤성환
안준승
방윤미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636B1/en
Priority to PCT/KR2005/004264 priority patent/WO2006095952A1/en
Publication of KR2006009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47G1/04Multi-part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2Single-piece c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가열 가압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성형 과정에서 배출하기 위한 벤트 홀이 구비된 몰드를 이용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용기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몰드 표면에는 이형성을 부여하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분용기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불량율이 적으며, 나아가, 성형 후, 형성된 전분용기가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a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using a mold having a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or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generated during the heat press molding of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during the molding proces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ating film for imparting releasability to the mol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ability of the starch container is excellent and the defect rate is small. Furthermore, the starch container formed after molding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ld.

전분용기, 발포, 성형, 상부몰드, 하부몰드, 벤트홀, 이형력, 코팅막 Starch container, foam, molding, upper mold, lower mold, vent hole, release force, coating film

Description

벤트 홀을 구비한 몰드를 이용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 용기 성형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starch container molding method using a mold having a vent hole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도 1은 종래의 몰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몰드 중 용기 립부분의 몰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 2B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mold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of the mold of FIG. 2A.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를 이용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성형하는 경우 벤트 홀을 통하여 발생 기체 및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s and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when molding the composition for the starch container using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몰드의 내부에 이형력을 부여하는 코팅막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ating film is formed to impart a release force to the inside of the mold of FIG. 2.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Marks *

10 : 몰드 20 : 상부 몰드10 mold 20 upper mold

30 : 하부 몰드 31 : 하부 몰드의 상부 몰드와의 접촉부30: lower mold 31: contact portion of the lower mold with the upper mold

35 : 벤트 홀 36 : 벤트홀 출구 표면적35 vent hole 36 vent hole exit surface area

37 : 하부 몰드 내부 38 :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7: Inside the lower mold 38: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39 : 코팅막 40 : 성형된 전분용기39: coating film 40: molded starch container

50 : 배출되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50: foamed surplus for starch container discharged

본 발명은 벤트 홀(vent hole)을 구비한 몰드(mold)를 이용한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용기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몰드에 벤트 홀을 구비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골고루 발포시킴으로써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저감하며, 나아가 몰드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이형성을 높인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 용기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a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using a mold having a vent hol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ing a starch container by foaming the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 evenly with a vent hole in the mo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a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which improves the properties, reduces the defective rate, and further increases the release property by forming a coating film on the mold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이란 전분용기용 조성물이 성형시 발포되어 성형 완제품인 용기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용기로 성형되지 않고 남는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ed surplus for starch container" refers to a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s remaining without being molded into a contain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when foamed to form a container that is a molded finished product.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립부분의 몰드"란, 몰드의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부 몰드측에 형성되거나, 하부 몰드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몰드측 및 하부 몰드측에 형성되는, 용기의 립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 부분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of the container lip part" is a portion in whic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ontact each other, and are formed on the upper mold side, formed on the lower mold side, or formed on the upper mold side and the lower mold side. Means a mold portion for forming a lip of the container.

전분용기는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몰드에 투입한 후 가열 가압 성형하여 제조한다. The starch container is prepared by injecting a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nto a mold and then heating and molding.

도 1은 종래의 몰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분용기 성형 몰드(1)는 일반적으로 상부 몰드(2) 및 하부 몰드(3)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몰드(2)는 상하로 이동하고 하부 몰드(3)는 고정되어 있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 As shown in FIG. 1,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mold 1 generally consists of an upper mold 2 and a lower mold 3, wherein the upper mold 2 moves up and down and the lower mold 3 is fixed. It is.

그리고, 상기 하부 몰드(3)내로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투입한 후 상부 몰드(2)를 하부 몰드(3)로 밀착하고 가압 가열하여 소정 형상의 전분용기를 제조한다. Then,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mold 3, and then the upper mold 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mold 3 and heated under pressure to prepare a starch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이와 같은 성형 과정에서 전분용기용 조성물은 발포되는데, 발포시 수증기 등의 기체가 발생한다. 또한, 전분용기 가열·가압 성형시 대부분의 전분용기용 조성물은 용기로 성형되지만 일부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은 용기로 성형되지 않고 남는다.In the molding process,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s foamed, and when foaming, gas such as water vapor is generated. In addition, most of the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s is molded into a container during heating and press molding of the starch container, but some of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remains without being molded into the container.

성형성 확보와 불량률 저감을 위하여 상기 기체 및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은 몰드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몰드에서는 상기 기체와 용기로 성형되지 않은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이 몰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일정 부피 하에서 압력이 증가되어 과발포하거나 용기의 형상을 가지지 못하고 터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ecure moldability and reduce the defective rate, the foamed surplus for gas and starch container shoul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ld, the foamed surplus for starch container that is not molded into the gas and container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l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is increased under the over-explosion or burst without having the shape of the container.

한편, 전분용기는 이형성이 취약하여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즉, 전분용기는 성형후 용기가 몰드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공정을 중단한 후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용기를 몰드로부터 떼어내야만 하는 불편이 따르고 그 결과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나아가, 몰드로부터 용기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tarch vessels are poor in releasability, resulting in low production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starch container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mold after molding, and th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container from the mold by manual operation after stopping the process results in a decrease in production efficiency.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duct defect occur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ntainer from the mol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균일하게 발포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적은 전분용기 성 형 장치 및 전분용기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a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excellent in formability, uniformly foamed, and less defective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분용기 성형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이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용기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a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that can effectively secure the release property in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분용기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 몰드 및 고정된 하부 몰드로 이루어지는 전분용기 성형 몰드를 포함하고,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가열 가압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배출하는 벤트 홀이 상기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rch container forming mold consisting of a top mold and a fixed bottom mold to move up and down, and occurs during the heat press molding of the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 The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foamed surplus for gas or starch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ny one or both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그리고,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상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가 접촉하는 부분중 상부 몰드측 접촉부와 하부 몰드측 접촉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상기 벤트 홀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ld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the vent hole in any one or two of the upper mold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lower mold side contact portion among the portions in whic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ontact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비율이 1~2%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orming apparatus, the ratio of the exi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is preferably 1 to 2%.

그리고, 상기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이 1400mm2일 때,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이 18~24mm2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이 1mm2인 동일한 형상의 벤트 홀 18~24개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nd, when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bowl lip part 1400mm 2 days, the total of the vent hole outlet surface area is 18 ~ 24mm 2 which is preferably, a vent hole 18 to 24 dogs of the vent hole outlet surface area of 1mm 2 of the same shape More preferably.

그리고,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몰드 표면에 이형성을 부여하는 코팅막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팅막은 유-무기 복합 코팅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lding apparatus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oating film for imparting releasability to the mold surface, the coating film is more preferably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분용기 성형 방법에 있어서,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성형 과정 중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rch container mol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of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or the foamed surplus for starch container is discharg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그리고,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성형 몰드 자체에 상기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배출하는 벤트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lding method preferably forms a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in the molding mold itself of the composition for the starch container.

그리고,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몰드가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 몰드와 고정된 하부 몰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가 접촉하는 부분중 상부 몰드측 접촉부와 하부 몰드측 접촉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상기 벤트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method includes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fixed to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any one or two of the upper mold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lower mold side contact portion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ontac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vent hole in the.

그리고,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의 조절은 각각의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을 동일하게 하고 벤트 홀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forming method, in order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foamed surplus for the gas or starch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atio of the total sum of the exi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surface area of the mold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The adjustment of the sum of 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is preferably performed by making the outlet surface area of each vent hole the same and adjusting the number of the vent holes.

그리고,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몰드 표면에 이형성을 부여하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팅막으로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e form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ating film to impart releasability to the mold surface, and more preferably, to form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with the coating film.

이하, 본 발명의 벤트 홀을 구비하는 몰드를 이용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 및 전분 용기 성형 방법을 상술한다.Hereinafter,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and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method using the mold having the vent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몰드 중 용기 립부분의 몰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mold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of the mold of Figure 2a.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분용기 성형 몰드(10)는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 몰드(20) 및 고정된 하부 몰드(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몰드(30)가 상부 몰드(20)와 접촉하는 접촉부(31)에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가열 가압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배출하는 벤트 홀(3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mol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upper mold 20 and a fixed lower mold 30 to move up and down, the lower mold 30 The vent hole 35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31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20 to discharge gas or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도 2는 상기 벤트 홀(35)이 하부 몰드의 접촉부(31)에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지만, 상부 몰드(20)와 하부 몰드(30)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바람직하게는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가 접촉하는 접촉부)에 벤트 홀을 형성하여 상기 기체나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2 shows only that the vent hole 35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31 of the lower mold, any one or both of the upper mold 20 and the lower mold 30 (preferably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ntacting portion)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gas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또한, 상기 벤트 홀(31)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벤트 홀의 전체 형상이나 출구 표면 형상은 세모, 원,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vent hole 3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s shown in FIG. 2, and the overall shap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vent hole 31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ular, circular, and trapezoidal. .

본 발명의 전분용기용 성형 장치 및 방법에서는 특히 상기 벤트 홀의 총 출구 표면적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호한 성형성과 균일한 발포 확보, 제품 불량률 저감 및 양호한 작업성 확보를 위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8)에 대한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의 총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ch contain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control the total outle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hat is, the outlet surface area 36 of the vent hole with respect to the mold surface area 38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as shown in FIG. 2B, in order to secure good formability and uniform foaming, reduce product defect rate, and ensure good workability.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sum of

이때,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8)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2%인데, 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발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이 발생하거나 성형불량으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다.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과 발포셀의 균일도가 저하되고 건조시간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exit surface area 36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38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is preferably 1 to 2%, and when less than 1%, sufficient foaming may not be performed.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can cause explosion or failure rate due to molding failure. When it exceeds 2%, the moldability and the uniformity of the foaming cell may be lowered, and the drying time may increase,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나아가, 상기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8)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의 총합을 조절하는 경우 동일한 출구 표면적을 지니는 벤트 홀을 복수개 형성하되 그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 균일한 발포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Furthermore, when adjusting the sum of the outlet surface area 36 of the vent hole with respect to the mold surface area 38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a plurality of vent holes having the same outlet surface area may be formed, but the number of the vent holes may be adjusted to facilitate uniform foaming.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achieved easily.

이와 같은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8)에 대한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의 비율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38)이 1400mm2일 때,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의 총합을 18~24mm2로 하면 면적 비율을 약 1~2% 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36)이 1mm2인 동일한 형상의 벤트 홀을 18~24개 형성하는 것이 균일한 발포와 내압 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exit surface area 36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38 of such a container lip can be set as follows, for example. That is, the mold surface 38 of the bowl lip part to set the area ratio when the sum total of when 1400mm 2, the surface area of vent hole outlet 36 to the 18 ~ 24mm 2 to within about 1-2% rang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form 18 to 24 vent holes having the same shape having the exit surface area 36 of the vent hole 1 mm 2 , so that uniform foaming and pressure resistance can be control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를 이용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성형하는 경우 벤트 홀을 통하여 발생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ming gas or starch container foam surplu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when molding the composition for the starch container using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35)을 접촉부(31)에 형성한 하부 몰드(30)에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투입한 후 가열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용기(40)를 성 형하는 과정에서 발포시 발생하는 기체(도시하지 않음)나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50)이 복수개의 벤트 홀(35)을 통하여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3, a process of forming a container 4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injecting a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nto the lower mold 30 having the vent hole 35 formed in the contact part 31 and heating and pressing the composition is performed. Gas (not shown) generated during foaming or the foamed surplus for starch container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 holes 35.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분용기 성형시 몰드에 벤트 홀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발생 기체나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성형성이 양호하고 제품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rch container is formed, a vent hole is provided in the mol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generated gas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and thus the moldability is good and the product defect rate can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분용기가 몰드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몰드 표면에 이형력을 부여하는 코팅막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ating film for imparting a release force on the mold surface so that the starch contain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ld.

도 4는 도 2의 하부 몰드의 내부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ating film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mold of FIG. 2.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트 홀(35)을 구비하는 하부 몰드(30)의 내부(37)에 코팅막(39)을 형성한다. 도 4는 하부 몰드(30)의 내부 표면만을 일예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상부 몰드 표면에도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 몰드 및 상부 몰드 표면에 모두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film 39 is formed in the interior 37 of the lower mold 30 having the vent hole 35. 4 illustrates only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mold 30 as an example, but a coat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upper mold surface, and a coating film may be formed on both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surface.

이와 같은 코팅막은 몰드와 성형된 용기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상기 코팅막을 형성하게 되면 표면 장력이 낮아져서 몰드 내부의 가열 가압 성형 시, 전분용기용 조성물이 코팅된 몰드 내부에서 양호한 흐름성을 갖게 되므로, 용기의 성형성이 우수하다. Such coatings facilitate the separation between the mold and the molded container. Furthermore, when the coating film is formed, the surface tension is lowered, and thus, when the heat press molding is performed inside the mold,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has a good flowability in the coated mold, so that the container has excellent moldability.

상기 코팅막의 형성은 예를 들어 테프론을 코팅하거나(유기재료 코팅), 산화막을 형성하거나(무기재료 코팅),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수행한다. Formation of the coating film is per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Teflon (organic material coating), forming an oxide film (organic material coating), or forming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상기 테프론(Teflon, 듀퐁사 플루오르카본수지의 상표명)은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화학적 비활성, 내열성, 비점착성, 절연 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등을 구현한다. 코팅시에는 테프론을 도료화하여 몰드 내부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 소성하여 단단한 코팅막을 형성한다.The Teflon (trade name of Dupont Fluorocarbon Resin) forms a very stable compound by a strong chemical bond of fluorine and carbon to realize excellent chemical inertness, heat resistance, non-tackiness, insulation stabilit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like. In coating, Teflon is coated to spray-co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and then heated and baked at a constant temperature to form a hard coating film.

상기 산화막 형성(anodizing)은 일반적으로 양극 산화법으로 불리는 것인데, 몰드내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이 산소가 몰드 표면을 산화시켜 피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피막은 고강도이고 내식성도 크며 극히 적은 유공성을 가지므로 여러가지 색으로 염색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Anodizing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odizing, which conducts electricity in the mold to generate oxygen, which causes the surface of the mold to oxidize to form a coating. This film has high strength,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very little porosity, so it can be dyed in various colors.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막은 유기재료에 의한 코팅과 무기재료에 의한 코팅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combines a coating method with an organic material coating and an inorganic material.

예를 들면, 윤활성과 이형성, 절연성이 뛰어난, 불소 수지(플루오르카본수지), 실록산계 수지나, 기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s 또는 specialty engineering plastics ; 500kgf/cm2(49MPa) 이상의 인장강도, 20,000kgf/cm2(2GPa)이상의 굴곡탄성율, 150℃ 이상의 내열성을 갖는 고온에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용이나 기계용 부재에 적합한 고성능 플라스틱]등의 유기재료를 금속,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재료와 혼합하여 코팅하거나, 화성 피막과 같은 고경도 무기막 코팅시 함께 적용함으로써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fluorine resin (fluorocarbon resin), siloxane resin, and other super engineering plastics which are excellent in lubricity, mold release property, and insulation property; Organic materials such as high-performance plastics suitable for structural and mechanical parts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even at high temperatures with a tensile strength of 500kgf / cm 2 (49MPa) or higher, flexural modulus of 20,000kgf / cm 2 (2GPa) or higher, and heat resistance of 150 ° 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form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by mixing and coating with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 metal or a ceramic material, or by applying together with a high hardness inorganic film such as a chemical coating film.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막은 종래의 유기계 코팅이나 무기계 코팅만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고도의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필요한 조건하에서의 윤활성, 비점착성, 내식성, 내유성, 내수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상·하부 몰드내 코팅막 형성에 특히 효과적이다.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provides the lubricity, non-adhesiveness, corrosion resistance, oil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under conditions requiring high wea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which are not obtained only by conventional organic coatings or inorganic coatings, thereby forming a coating film in the upper and lower mold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a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rdinary in the art while making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to those with knowledge.

[실험예1 - 몰드내 코팅막 형성시 이형력 등 평가 실험][Experimental Example 1-Evaluation experiment such as release force when forming coating film in mold]

전분, 펄프, 물 및 통상의 첨가제를 혼합한 전분용기 조성물을 온도 180℃, 압력 3kgf/cm2의 조건을 가지는 준비된 몰드에서 130초 동안 성형하여 용기 형상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A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mixed with starch, pulp, water and a conventional additive was molded in a prepared mold having a temperature of 180 ° C. and a pressure of 3 kgf / cm 2 for 130 seconds to prepare a molded article having a container shape.

성형전, 상·하부 몰드에 각각 테프론 코팅(본 실험예1의 실시예1), 산화막 형성(본 실험예1의 실시예2), 유-무기 복합 코팅막 형성("BICOAT" - 일본 吉田SKT사 코팅제를 사용함)(본 실험예1의 실시예3)을 수행하였고, 각 몰드에서 100개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Teflon coating (Example 1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1), oxide film formation (Example 2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1),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formation ("BICOAT")-Yoshida SKT Japan (Example 3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1) was used, and 100 molded bodies were prepared in each mold.

본 실험예의 각 실시예들에서의 이형력을 측정하고자, 몰드에서 전분용기 조성물이 130초간 성형되었을 때, 상부 몰드가 고정된 하부 몰드에서 분리되면서 제조된 용기와 상부 몰드가 떨어지지 않고 전분용기가 상부몰드에 붙어 따라 올라가 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the release force in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when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was molded for 130 seconds in the mold, the starch container was not dropped while the container and the upper mold were separated while the upper mold was separated from the fixed lower mold. Sticking to the mold was observed to rise.

또한, 본 실험예의 각 실시예들의 경우에 제조된 용기에 핀홀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정확한 핀홀(pin hole) 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두께가 180㎛인 필름을 제조된 용기에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누액 시험을 시행하였다. In addition, it was observed whether or not pinholes occurred in the container manufactured in each example of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In order to observe the accurate pinhole phenomenon, a tear test was performed by laminating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80 μm on a manufactured container.

누액 시험은 시험액을 용기 내부에 넣고 20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둔 다음 용기의 외부로 붉은색 액체가 흘러 나왔는지를 육안으로 판별하는 방법에 의하였다. 시험액은 붉은색 잉크, 계면활성제,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흰색 또는 옅은 노랑색의 용기 외부에 붉은색 액체가 새어나오는 것으로 누액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었다.The leakage test was performed by placing the test solution inside the container, leaving it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and then visually discriminating whether a red liquid flowed out of the container. The test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red ink, surfactant, and water. The leakage of red liquid on the outside of the white or pale yellow vessel made it eas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was leaking.

표 1은 본 실험예의 각 실시예들에서의 코팅 방법으로 코팅을 한 몰드에 전분용기 조성물을 넣고 각 100개를 제조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Table 1 shows the test results of preparing 100 pieces of starch container compositions in the molds coated with the coating metho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여기서, 상부 몰드 붙음은 전분용기 조성물의 발포 직후 고정된 하부 몰드로부터 상부 몰드가 분리되면서 용기가 상부 몰드에 붙어 떨어지지 않아 사람의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용기를 상부로부터 제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Here, the upper mold attaching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upper mol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fixed immediately after the foaming of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and thus the container is not stuck to the upper mold so that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upper using a human hand or a tool.

그리고, 핀홀(pin hole) 현상 발생은 진공압력 0.1Mpa, 진공시간 1.5초 조건에서, 130℃로 가열한 두께가 180㎛인 필름을 제조된 용기에 라미네이션하는 경우 라미된 표면에 구멍 뚫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inhole phenomenon occurs in the vacuum pressure of 0.1Mpa, vacuum time 1.5 seconds, when laminating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80㎛ heated to 130 ℃ in the manufactured container a hole in the laminated surface occurs It shows.

성형몰드 코팅재질 실험방법    Molding mold coating material test method 본실험예1의 실시예1Example 1 of the present Experiment 1 본 실험예1의 실시예2Example 2 of Experimental Example 1 본 실험예1의 실시예3Example 3 of Experimental Example 1 성형직후, 상부몰드로 붙어서 올라간 용기의 개수The number of containers attached to the upper mold immediately after molding 6개6 36개36 0개0 핀홀의 형성된 용기의 개수Number of formed containers of pinhole 5개5 9개Nine 0개0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성형 몰드 코팅 재질에 따른 용기 성형성 차이 및 제조된 용기와 몰드 간의 이형력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the difference in the moldability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molding mold coating material and the difference in the release force between the manufactured container and the mold can be seen.

우선, 산화막을 형성하는 실시예2의 방법은 전분용기와의 이형력이 약해 상부 몰드 붙음 현상이 뚜렷하게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발포 후 제조된 용기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핀홀(pin hole)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육안으로도 알 수 있었다.First, the method of Example 2 to form the oxide film was found that the mold release phenomenon with the starch container is weak, the upper mold sticking phenomenon is apparent a lot, the surface of the prepared container after foaming is not smooth and pin hole phenomenon It was also seen by the naked eye that this occurred.

또한, 테프론을 코팅한 실시예1의 방법은 실시예3의 경우와 유사한 이형력을 나타내었으나, 수차례의 실험 결과 몰드로부터 테프론 코팅이 벗겨지는 현상이 나타나 큰 단점을 보였다.In addition, the method of Example 1 coated with Teflon showed a similar release force as in Example 3, but several experiments showed the phenomenon that the Teflon coating peeled off from the mold.

따라서, 전분용기 조성물 성형시의 성형 몰드 코팅은 실시예3의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olding mold coating in forming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s most preferably in the case of forming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of Example 3.

[실험예2 : 벤트 홀의 면적 및 개수에 따른 성형성 등 차이에 관한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Experiments on Differences in Formability According to Area and Number of Vent Holes

본 실험에서는 벤트 홀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을 1400mm2으로 고정한 후 벤트 홀의 크기와 개수를 달리하여 각각 실시예(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이 18~24mm2인 경우)와 비교예(벤트 홀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및 벤트 홀 출구 표면적의 총합이 상기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하부 몰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몰드를 이용하여 100개씩의 전분 용기 성형물을 발포시킨 후 전분용기를 완성하였다. In this experiment, was fixed to a mold surface of the lower bowl lip portion that the vent hole formed in a 1400mm 2, respectively carried out by varying the vent hole size and number of cases (if the sum of the vent hole outlet surface area of 18 ~ 24mm 2) and Comparative Example The bottom mold (when no vent hole was formed and the sum of the vent hole exit surface areas is outside the range of the above embodiment) was produced. Each star mold was used to foam 100 starch container moldings, and then a starch container was completed.

<본 실험예2의 실시예1><Example 1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전분, 펄프, 물 및 통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준비한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180℃로 가열된 가열 가압 하부 몰드 안에 넣고, 상부 몰드로 덮은 뒤, 3kgf/cm2압력으로 130초간 성형하여 100개의 전분 발포 용기를 제조하였다.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prepared by mixing starch, pulp, water and conventional additives is placed in a heated press lower mold heated at 180 ° C., covered with an upper mold, and molded at 3 kgf / cm 2 for 130 seconds to foam 100 starch. The container was prepared.

상기 하부 몰드에는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가 접촉하는 부분중 하부 몰드의 접촉부인 상단 테두리 부분에 기체 및 용기로 성형되지 않은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의 배출로 역할을 하는 벤트 홀을 형성하였다. In the lower mold, a vent hole wa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which is a contact portion of the lower mold, of the portion where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ontacted, and serves as a discharge of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which is not formed of gas and a container.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1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18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한편, 상부 및 하부 몰드에는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무기 복합 코팅제인 "BICOAT"(일본 吉田SKT사 제품)을 코팅하였다.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equally 1 mm (width) x 1 mm (height), and a lower mold having 18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as manufactured to foam the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s. 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were coated with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BICOAT" (manufactured by Yoshida SKT Co., Ltd.) to form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본 실험예2의 실시예2><Example 2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1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24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all 1 mm (width) x 1 mm (height) in the same manner,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24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이 하나도 구비되어 있지 않은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A lower mold having no vent holes was prepar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1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12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i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all the same 1 mm (width) x 1 mm (height),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twelve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1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30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all 1 mm (width) x 1 mm (height) in the same manner,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30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0.5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18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i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all 0.5 mm (width) x 1 mm (height) in the same manner,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18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3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18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all 3 mm (width) x 1 mm (height) in the same manner,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18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본 실험예2의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of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은 모두 동일하게 5mm(폭)×1mm(높이)이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18개의 벤트 홀을 형성한 하부 몰드를 제작하여 전분용기용 조성물을 발포시켰다. 나머지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i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were 5 mm (width) x 1 mm (height) in the same manner, and a lower mold was formed in which 18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were formed to foam the composition for starch containers. The res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표 2는 상기 본 실험예2의 실시예1, 2 및 비교예1~6의 벤트 홀의 크기 및 개수를 정리하여 나타내는 것이다.Table 2 summarizes the size and number of the vent hole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of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2.

벤트 홀의 (폭)×(높이) Vent width (width) x (height) 개수Count 본 실험예2의 실시예1Example 1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1mm×1mm1mm × 1mm 18개18 본 실험예2의 실시예2Example 2 of Experimental Example 2 1mm×1mm1mm × 1mm 24개24 본 실험예2의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 0개0 본 실험예2의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1mm×1mm1mm × 1mm 12개12 본 실험예2의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1mm×1mm1mm × 1mm 30개30 본 실험예2의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0.5mm×1mm0.5mm × 1mm 18개18 본 실험예2의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3mm×1mm3mm × 1mm 18개18 본 실험예2의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5mm×1mm5 mm x 1 mm 18개18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1, 2 및 비교예 1~6에서의 성형성, 발포셀 균일도, 불량율, 건조시간을 측정하였다.In this experiment, moldability, foam cell uniformity, defective rate, and drying time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measured.

용기의 성형성Moldability of the Container

◎ 는 표면이 매끄럽고 주름이나 핀홀이 없음을 나타내고, O 는 표면이 상대적으로 거칠지만, 주름이나 핀홀은 없음을 나타내고, X 는 표면에 주름 또는 핀홀이 있거나 성형하기 곤란함을 나타내어 제품으로 쓸 수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indicates that the surface is smooth and there are no wrinkles or pinholes, O indicates that the surface is relatively rough, but there are no wrinkles or pinholes, and X indicates that the surface has wrinkles or pinholes or is difficult to form and cannot be used as a product. Indicates degree.

발포셀 균일도Foam Cell Uniformity

발포된 전분용기를 예리한 칼로 잘라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발포셀이 균일하게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에서, "균일"은 발포셀의 크기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불균일"은 발포셀의 크기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The foamed starch vessel was cut with a sharp knife and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o analyze whether the foamed cells were formed uniformly. In the measurement result, "uniform" means that the size of the foam cell is formed uniformly and uniformly. "Non-uniform" means that the size of the foam cell is formed non-uniformly.

불량율Defective rate

각각의 몰드로부터 제작된 100개의 전분용기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였다. 여기서 "불량"이란, 용기의 찢어짐 발생, 물결무늬(주름) 발생, 과발포 발생, 다량의 핀홀 현상 및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한 폭발 발생 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100 starch containers made from each mold were inspected for defects. As used herein, the term "defect" means that the container is torn, wavy, wrinkled, over-foamed, a large amount of pinholes and an explosion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건조시간Drying time

일정한 온도(180℃)와 일정한 압력(3kgf/cm2)을 가하였을 때 전분용기 조성물이 몰드에서 성형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였다.When a constant temperature (180 ° C.) and a constant pressure (3 kgf / cm 2 ) were applied, the time required for forming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in the mold was measured.

표 3은 상기 성형성, 발포셀 균일도, 불량율, 건조시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moldability, foam cell uniformity, defective rate, and drying time.

용기 성형성Container formability 발포셀 균일도Foam Cell Uniformity 불량율Defective rate 건조시간Drying time 본 실험예2의 실시예1Example 1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균일Uniformity 0%0% 130초130 seconds 본 실험예2의 실시예2Example 2 of Experimental Example 2 균일Uniformity 0%0% 130초130 seconds 본 실험예2의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XX 불균일Heterogeneity 100%100% -- 본 실험예2의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OO 불균일Heterogeneity 61%61% 125초125 seconds 본 실험예2의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XX 불균일Heterogeneity 43%43% 150초150 sec 본 실험예2의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OO 불균일Heterogeneity 64%64% 125초125 seconds 본 실험예2의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XX 불균일Heterogeneity 57%57% 150초150 sec 본 실험예2의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of the Experimental Example 2 XX 불균일Heterogeneity 77%77% 150초150 sec

상기 표 2 및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부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이 1400mm2일 때, 립부분에 형성된 벤트 홀의 개수가 18~24개 이고, 각각의 벤트 홀의 동일한 면적이 1mm2인 것인 성형성이 우수하고, 발포셀이 균일하며 불량률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2 and Table 3, when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lower container lip portion is 1400mm 2 , the number of vent holes formed in the lip portion is 18-24, and the same area of each vent hole is 1mm 2 . It was found that the moldability was excellent, the foaming cell was uniform, and the defect rate was small.

한편, 벤트 홀 사이즈가 감소할수록 용기의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몰드 내부의 적정 내압 증가로 인하여 발포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as the vent hole size decreases, not only the moldability of the container is excellent, but also the foaming rate is excellent due to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within the mold.

반면,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에 대한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비율이 비교예2, 4의 경우와 같이 1%가 되지 않을 경우,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 발생이 일어나거나 성형 불량으로 인한 불량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exi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s not 1% as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4,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and an explosion rate occurs or the defective rate due to molding failure is high. I could confirm that.

또한, 몰드에 벤트 홀을 하나도 구비하지 않은 경우(본 실험예2의 비교예1), 몰드로부터 빠져나와야 할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이 배출되지 못하므로, 전분용기용 조성물이 과발포하거나 또는 내부 압력의 과다 상승으로 인하여 용기 모양을 형성하지도 못하고 터져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old is not provided with any vent holes (Comparative Example 1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the gas to be escaped from the mold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is not discharged, and the composition for the starch container is over-foamed or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excessive rise in the internal pressure, the container does not form and bursts.

또한, 벤트 홀의 개수가 25개 이상으로 증가하거나(본 실험예2의 비교예3) 벤트 홀의 면적이 커질수록(본 실험예2의 비교예5, 6), 몰드 안이 저압력 상태가 되어 전분 용기 조성물이 미건조 성형되어 건조시간이 증가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됨(150초로 증가)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he vent holes increases to 25 or more (Comparative Example 3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or as the area of the vent holes increases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2), the inside of the mold becomes a low pressure state and the starch container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was undried and the drying time was increased,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increased to 150 seconds).

따라서, 하부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을 1400mm2으로 하는 경우에, 동일한 면적이 1mm2인 벤트 홀 개수가 18~24개이고, 혹은 벤트 홀의 총 면적이 18~24mm2인 경우, 즉,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에 대한 벤트 홀의 총 면적의 비율이 대략 1~2%인 경우가 불량이 적으며, 성형성과 기포층 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ly, when the mold surface of the lower bowl lip part in the case of 1400mm 2, the same area of 1mm 2 in a vent hole number is 18 to 24 pieces, or the total area of the vent holes is 18 ~ 24mm 2, that is, lip container portion In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of about 1 to 2% was less, it was found that the defect was less, and the moldability and the bubble layer formation were excellent.

본 발명에 의하면, 전분용기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불량율이 적으며, 나아가, 성형 후, 형성된 전분용기가 몰드로부터 쉽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ability of the starch container is excellent and the defect rate is low, and further, after forming, the formed starch contain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l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14)

전분용기 성형 장치에 있어서,In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 몰드 및 고정된 하부 몰드로 이루어지는 전분용기 성형 몰드를 포함하고, It comprises a starch container forming mold consisting of an upper mold and a fixed lower mold to move up and down,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가열 가압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배출하는 벤트 홀이 상기 성형 몰드의 용기 립부분에 형성되며, A vent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and press molding of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is formed in the lip portion of the container mold. 상기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의 비율이 1~2%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otal of the outle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is adjusted to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lding apparatus, 상기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이 1400mm2일 때,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이 18~24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When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s 1400mm 2 ,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of the outle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is 18 ~ 24mm 2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lding apparatus,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이 1mm2인 동일한 형상의 벤트 홀 18~24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The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18 to 24 vent holes of the same shape having an outle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is 1mm 2 is formed.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The said shaping | molding apparatus in any one of Claim 1, 4 or 5, 상기 상부 몰드, 또는 상기 하부 몰드, 또는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표면에 이형성을 부여하는 코팅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A starch container forming apparatus, wherein a coating film is provided on the upper mold, the lower mold, or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lding apparatus, 상기 코팅막이 유-무기 복합 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장치.Starch container mol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film is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전분용기 성형 방법에 있어서, In the starch container molding method, 전분용기용 조성물의 성형시 발생하는 기체 또는 전분용기용 발포 잉여물을 성형 과정 중에 배출하는 벤트 홀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 몰드 및 고정된 하부 몰드로 이루어지는 전분용기 성형 몰드의 용기 립부분에 형성하고,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of the starch container composition or the foamed surplus for the starch contain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p of the starch container forming mold including the upper mold and the fixed lower mold which move up and down the vent hole discharg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상기 벤트 홀이 형성되는 용기 립부분의 몰드 표면적에 대한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의 비율을 1~2%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방법.The method of forming a star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sum of the outlet surface area of the vent hole to the mol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lip portion in which the vent hole is formed is adjusted to 1 to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lding method, 상기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의 총합의 조절시 각각의 벤트 홀의 출구 표면적을 동일하게 하고 벤트 홀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방법.The method of forming a star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surface area of each vent hole is the same and the number of vent holes is adjusted when adjusting the sum of the outlet surface areas of the vent holes. 제 8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방법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2, wherein the molding method, 상기 상부 몰드, 또는 상기 하부 몰드, 또는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표면에 이형성을 부여하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방법.A method of forming a star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ating film to impart releasability to the upper mold, the lower mold, or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su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방법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lding method, 상기 코팅막은 유-무기 복합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용기 성형 방법.The coating film is a starch container mol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coating film.
KR1020050018598A 2005-03-07 2005-03-07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KR100632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98A KR100632636B1 (en) 2005-03-07 2005-03-07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PCT/KR2005/004264 WO2006095952A1 (en) 2005-03-07 2005-12-13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98A KR100632636B1 (en) 2005-03-07 2005-03-07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52A KR20060097852A (en) 2006-09-18
KR100632636B1 true KR100632636B1 (en) 2006-10-12

Family

ID=3695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598A KR100632636B1 (en) 2005-03-07 2005-03-07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2636B1 (en)
WO (1) WO200609595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74B1 (en) 2010-05-13 2012-10-05 율촌화학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bowl using mold with vent h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40B1 (en) * 2007-08-03 2008-11-04 율촌화학 주식회사 Apparatus with vent holes to form bowl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794A (en) * 1998-02-02 1999-08-17 Oji Paper Co Ltd Low-density formed product
CN1116481C (en) * 1998-10-07 2003-07-30 王友桐 Degradable disposable tableware and its making method
JP3551056B2 (en) * 1999-01-13 2004-08-04 株式会社大林組 Method for producing naturally degradable molded body
KR20010106334A (en) * 2001-10-19 2001-11-29 김휘주 Applying Method of Barrier Coating Material to Starch Foamed Articles by Phase Transform and Equilibrium during the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74B1 (en) 2010-05-13 2012-10-05 율촌화학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bowl using mold with vent 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5952A1 (en) 2006-09-14
KR20060097852A (en)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1741B2 (en) Bimodal cellular thermoplastic materials
US8691038B2 (en) Method of forming a molded article from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sheets
EP0371743A2 (en) Laminated molded articl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CN1946533A (en) Sheet for decoration simultaneous with injection molding and decorated resin molding
JP5756238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propylene microporous foam plank
HUE025616T2 (en) Method for making heat-insulative paper containers
KR100632636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starch bowl using mold having vent hole
CN103396039A (en) Novel rostone inter-platform basin and production technology thereof
CN110167738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container
CN113167385B (en) Seal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aling element
CN206186337U (en) Molding device on cubic mould pressing floor of preparation PVC
KR10118797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bowl using mold with vent hole
US5409649A (en) Method of forming foam buns having no skin on a surface
JP3805605B2 (en) Method for forming crystalline thermoplastic resin sheet, molding die use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US7662322B2 (e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ease coating for polymer film
CN101007432B (en) Sheet for regenerating a mold
KR101867317B1 (en) Forming Printing Method
EP1813406B1 (en) Sheet for regenerating a mold
CN112238626B (en) Infusion molding method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5601780B2 (en) Mold and mold manufacturing method
CN112238664B (en) Film material for thermosetting resin molding and molded product thereof
TW202222865A (en) Fluororesin film, molded rubber object,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rubber object
KR830001164B1 (en) Rubber Mold Manufacturing Method
CN108582716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base material
JP3774787B2 (en) Method for producing in-mold foam molded body with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