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505B1 -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505B1
KR100632505B1 KR1020000017699A KR20000017699A KR100632505B1 KR 100632505 B1 KR100632505 B1 KR 100632505B1 KR 1020000017699 A KR1020000017699 A KR 1020000017699A KR 20000017699 A KR20000017699 A KR 20000017699A KR 100632505 B1 KR100632505 B1 KR 10063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image data
camera
power saving
sa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204A (ko
Inventor
석상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5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스캐닝(Scanning)하는 카메라와, 상기 스캐닝된 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출력하고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모니터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니터 마이컴과, 상기 샘플링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 마이컴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 마이컴과, 상기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된 영상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그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영상데이터가 일치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 상태를 절전모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니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절전모드나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모니터를 전환시켜 주어 PC 사용환경을 보다 향상 시켜 주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tand-by state in monitor using camera}
도 1은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에 있어, PC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
도 3은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에 있어, 모니터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있어, PC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있어, 모니터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키 보드 102,204...메모리
103...카운터 104,203...PC 마이컴
105,202...모니터 마이컴 201...카메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은 특히, 모니터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절전모드나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모니터를 전환시켜 주고자 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니터의 대기 상태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의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1)와, 상기 키보드(101)를 통해 설정시킨 절전모드(DPM;Display Power Management) 또는 스크린 세이버(Screen Saver)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02)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103)와, 상기 키보드(101)를 통해 키 신호를 인식하고 메모리(102)에 저장된 데이터가 카운터(103)에서 입력된 시간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절전모드 제어신호를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V-Sync)로 출력하는 PC 마이컴(104)과, 상기 PC 마이컴(104)으로 부터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하는 모니터 마이컴(105)을 포함한 구성이다.
도 2는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에 있어, PC에서의 동작 수순은 다 음과 같다.
(a) 메모리(102)에 저장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 데이터를 읽은 다음 절전모드 설정 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 후 절전모드 설정시간이 되었을 경우에는 절전모드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 후 카운터(103)를 초기화시키고 키 신호 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키 신호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절전모드 설정 데이터인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절전모드 설정신호이면 절전모드 설정 데이터를 변경하고, 절전모드 설정신호가 아니면 절전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에 있어, 모니터에서의 수순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며, PC로 부터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모니터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하고,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모니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C 마이컴(104)은 모니터가 정상상태일 때 모니터 마이컴(105)으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모드를 위해서, PC 마이컴(104)은 사용자로 부터 키보드(101)를 통한 키 신호가 없을 경우, 메모리(102)로 부터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읽고, 이 설정 데이터와 카운터(103)에 설정된 시간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두 데이터가 일치한 경우 모니터 마이컴(105)에 절전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모니터에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V-Sync)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러면, 모니터 마이컴(105)은 절전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었는 가를 판단한 후 절전모드 설정신호이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모니터 상태를 전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절전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를 해제하여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한편, 키보드(101)를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되면 PC 마이컴(104)은 절전모드나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의 키 신호가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에 대한 설정 데이터이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데이터를 변경하여 메모리(102)에 저장한다.
이러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102)에 저장된 절전모드 설정 데이터를 읽고(S101), 절전모드 설정 시간이 되었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S102). 상기 판단결과 절전모드 설정시간이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고(S103), 카운터(103)에 카운팅된 시간을 초기화시킨 다음(S104), 사용자로 부터 키보드(101)를 통한 키 신호의 입력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05).
이때, 상기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그 키 신호가 절전모드 설정데이터 인가를 판단하여 절전모드 설정 데이터이면 절전모드 설정 데이터를 변경하게 된다(S106,S107).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PC 마이컴(104)으로 부터 절전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절전모드로 모니터 상태를 전환하고(S111,S112), 절전모드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모니터를 유지하게 된다(S113).
그러나, 사용자가 PC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동작하는 스크린 세이버나 절전모드 기능은 실제로 사용자가 PC를 사용중이더라도 전화 통화 중이거나, 영화를 보거나, 별도의 키 입력을 하지 않는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지나면 자동으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상태에서의 빈번한 동작으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동작을 반복하게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캐닝되는 일정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로 사용자의 유/무를 체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절전모드나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PC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영상 데이터로 스캐닝(Scanning)하는 카메라와,
상기 스캐닝된 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하여 PSD라인을 통해 출력하고, PSD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모니터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니터 마이컴과,
상기 모니터 마이컴과 PSD라인으로 연결되어 샘플링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영상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 마이컴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 마이컴과,
상기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C마이컴은 모니터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 마이컴은 매초당 소정의 프레임을 입력받아 각 프레임을 특정개의 포인트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은,
(a)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된 영상 데이터로 입력받아 영상 프레임당 일정개의 데이터로 샘플링하는 단계와,
(b) 상기 샘플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고 이들을 비교하여 영상데이터들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결과 영상데이터가 일치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니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샘플링 단계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초당 일정 프레임(Frame) 단위로 입력받아 각 프레임을 특정개의 포인트(point)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일정개의 데이터로 샘플링되는 일정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블럭 구성도이며, 도 5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보인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있어, PC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며, 도 7은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 대기상태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있어, 모니터에서의 동작수순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카메라(201)와, 상기 스캐닝된 움직임 정보를 샘플링하여 PSD라인(Picture Sampling Data Line)(206)을 통해 출력하고, PSD라인을 통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모니터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니터 마이컴(202)과, 상기 모니터 마이컴(202)과 PSD라인(206)으로 연결되어 샘플링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 마이컴(202)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 마이컴(203)과, 상기 PC 마이컴(203)으로 입력되는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 마이컴(202)은 카메라(201)로 부터 초당 일정 프레임의 속도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라인(즉, USB, 직렬/병렬 포트)(205)을 통해 입력받고, 그 영상데이터를 매 프레임당 특정개의 데이터로 샘플링한다. 이렇게 샘플링한 영상 데이터를 PSD라인(206)으로 연결된 PC 마이컴(203)에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샘플링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은 상기 PC 마이컴(203)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들을 메모리(204)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샘플링한 영상 데이터들이 일치한 지를 체크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샘플링 영상데이터(Dn, Dn+1,...,Dn+n )가 입력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일정 프레임단위로 비교하고, 그 결과 모두 동일할 경우 Dn = Dn+1 = ㆍㆍ=Dn+n)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PSD라인(206)을 통해 모니터 마이컴(202)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출력되면 메모리(204)에 저장된 샘플링된 움직임 정보를 삭제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Dn, Dn+1,..., Dn+n)는 각 프레임에서 샘플링된 데이터 전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Dn ~ Dn+n) 중 어느 하나라도 동일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모니터 마이컴(202)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보내지 않게 된다. 이때, 데이터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메모리(204)에 저장된 샘플링된 움직임 정보를 삭제해 주어, 다음 비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PC 마이컴(203)으로 부터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입력받은 모니터 마이컴(202)은 모니터 상태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시켜 주고,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니터를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이러한, 모니터 대기상태 제어를 위한 수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 마이컴(202)이 모니터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201)로 부터 일정 속도(프레임/초)로 스캐닝되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S201), 이 스캐닝된 영상 데이터를 일정 포인트 단위(포인트/프레임)의 데이터로 샘플링하게 된다(S202).
그리고, 상기 S202단계 후 샘플링되는 영상 데이터들을 PC 마이컴(203)에서 입력받은 다음 상기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하고(S203), 그 비교결과 영상 데이터들이 일치한 가를 판단하게 된다(S204)
상기 S204단계의 판단결과, 영상 데이터들이 일치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로 설정하여 모니터 상태를 전환해 주고(S205), 영상 데이터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모니터를 유지하게 된다(S206).
이를 세분화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201)로 부터 초당 일정 프레임의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S211), 이 영상 데이터를 매 프레임당 특정 포인트의 속도로 샘플링한다(S212). 이 S212단계에서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PSD라인(206)을 통해서 PC 마이컴(203)에 출력하게 된다(S213).
이후, PC 마이컴(203)으로 부터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고(S214), 이 판단결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모니터를 전환하며(S215),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유지하게 된다(S216).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도 6의 S213단계에서 PSD라인(206)으로 출력된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는 PC 마이컴(203)에서 입력받아 메모리(204)에 저장하고(S221), 상기 영상 데이터( Dn, Dn+1,..., Dn+n )가 일치한 가를 판단하게 되는 데, 이때 데이터들 Dn = Dn+1 = ㆍㆍ = Dn+n 이 일치하면 PSD라인(206)을 통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상기 도 6의 S214단계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S223단계에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출력된 다음이나 상기 S222단계에서 데이터들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모리 내의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해 준다(S224).
상술한 바와같이, 키보드나 마우스의 조작이 없이 모니터를 이용할 수 있는 영화시청이나, 잠시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전화통화 등의 환경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카메라(201)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스캐닝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일정 단위로 샘플링하고 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모니터를 자동으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시켜 주거나,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를 해제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니터 마이컴(202)이 카메라(201)를 통해 초당 1프레임(1Frame/sec)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은 다음, 상기 프레임당 100개의 데이터로 샘플링을 한다. 이렇게 샘플링한 영상 데이터를 PSD라인(206)을 통해 PC마이컴(203)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PC마이컴(203)은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검사하여 그 결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그러나,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 PC마이컴(203)은 모니터 마이컴(202)으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5개의 주기로 비교하게 된다. 즉,7번째 프레임(D7 = 7번째 프레임의 샘플링한 데이터의 전체)과 그 후에 들어오는 다음 프레임(D7+1, D7+2, D7+3, D7+4)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비교되는 5개의 프레임들이 D7 =D7+1, =D7+2, =D7+3, =D7+4 모두 일치하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모니터 마이컴(105)으로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모니터 마이컴(105)에 출력하지 않으며, 모니터는 정상동작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의 조작 유무에 의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로의 전환기능과, 상술한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의 유무에 의한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로의 전환기능을 두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어느 한 가지로 DPM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지 않고 PC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민감한 동작을 체크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정상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급한 용무로 자리를 떠난 경우 그 즉시 절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유지 및 절전에 효과가 있다.
또한, 절전모드 설정 및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 지므로 사용자의 PC 사용환경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스캐닝(Scanning)하는 카메라와, 상기 스캐닝된 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하여 PSD라인을 통해 출력하고, PSD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모니터 상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니터 마이컴과, 상기 모니터 마이컴과 PSD라인으로 연결되어 샘플링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영상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 마이컴에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 마이컴과, 상기 샘플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마이컴은 매초당 일정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 각 프레임을 특정개로 나누어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 마이컴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비교 후에는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4. (a)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된 영상 데이터로 일정개의 데이터로 샘플링하는 단계와,
    (b) 상기 샘플링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영상데이터들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결과 영상데이터가 일치하면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설정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를 절전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니터를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단계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초당 일정 프레임(Frame) 단위로 입력받고, 그 각 프레임을 특정개의 포인트(point)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를 위해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비교 단계 후 삭제되어 새로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방법.
KR1020000017699A 2000-04-04 2000-04-04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632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699A KR100632505B1 (ko) 2000-04-04 2000-04-04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699A KR100632505B1 (ko) 2000-04-04 2000-04-04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204A KR20010094204A (ko) 2001-10-31
KR100632505B1 true KR100632505B1 (ko) 2006-10-09

Family

ID=1966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699A KR100632505B1 (ko) 2000-04-04 2000-04-04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628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화면 보호 방법
KR100601274B1 (ko) * 2004-08-03 2006-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절전형 영상재생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204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495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calls using predictive logic
KR20010041655A (ko) 모션을 검출하는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629239B (zh) 投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046610B2 (en) Power supply control in a mobile portable device
EP19757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 input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s
CN105095117A (zh) 电子装置及其切换摄像模块的方法
KR100735262B1 (ko) 휴대단말기의 자동표시방법
KR100632505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의 대기상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02818429A (zh) 一种利用移动终端管理冰箱内食品的方法
KR100202142B1 (ko) 분리형 키패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CN107862010B (zh) 一种获取物联网应用系统信息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3200310A (zh) 调整移动终端界面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070109270A1 (en) Method for inputting keys in portable terminal
KR101232448B1 (ko)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에 따른 정보출력 방법
CN116456050B (zh) 一种门口机的自动开启显示方法
KR1007033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KR950007111B1 (ko) 모니터 입력신호 제어장치
KR100663555B1 (ko)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데이터 합성방법
JP2990739B2 (ja) 多機能電話機
KR100651285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다중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10109678U (zh) 一种会议平板装置
CN114741741A (zh) 笔记本电脑防盗报警方法和装置
KR970056144A (ko) 다중 비트 전송율을 지원하는 적응 클럭 복원 장치
KR20030093879A (ko)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그 제어방법
KR20020055516A (ko) 냉장고의 터치패널 문자 변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