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130B1 - 형광등 소켓 - Google Patents

형광등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130B1
KR100632130B1 KR1020040032611A KR20040032611A KR100632130B1 KR 100632130 B1 KR100632130 B1 KR 100632130B1 KR 1020040032611 A KR1020040032611 A KR 1020040032611A KR 20040032611 A KR20040032611 A KR 20040032611A KR 100632130 B1 KR100632130 B1 KR 10063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terminal
terminal pin
support hol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863A (ko
Inventor
노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4003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13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의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조립한 후에는 형광등이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형광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파손을 줄인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안정기(105)와 전선(106)으로 연결되는 제 1 몸체(130);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고정/지지하도록 지지공(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공(151)으로 단자핀(10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지지공(151)의 일측에 출입공(152)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몸체(150);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131)에 상기 전선(106)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단자핀(102)에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1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형광등, 소켓, 제1몸체, 제2몸체, 접속수단, 상부단자, 하부단자, 탄성부재

Description

형광등 소켓{Fluorescent lamp socket}
도 1 은 종래의 형광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형광등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소켓의 지지공 및 출입공이 내측을 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형광등기구 101,101a: 형광등
102: 단자핀 105: 안정기
106: 전선
110: 본체 111: 반사판
112: 덮개 120: 소켓
130: 제 1 몸체 131: 설치홈
132: 출입홈 133: 지지턱
140: 접속수단 141: 상부단자
142,146: 수용홈 143: 걸림턱
145: 하부단자 147: 탄성부재
148: 연결판
150: 제 2 몸체 151: 지지공
152: 출입공 153: 걸림부
154: 결합홈
본 발명은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의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조립한 후에는 형광등이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형광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파손을 줄인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기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조명구조물로서 자리잡은지 이미 오래된 일이고, 그에 따른 수요 또한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형광등기구(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물을 프레싱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절곡형성하여 반사판 역할을 겸하고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저면 양측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고정/결합되어 전원공급 역할을 하는 소켓(10)과, 상기 각 소켓(10)에 양단이 지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형광등(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등(20)에는 소켓(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양단으로 각각 한쌍의 단자핀(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켓(10)은 형광등기구(1)의 본체(2)에 소켓몸체(11)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소켓몸체(11)의 일측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의 하단에는 형광등(20)의 단자핀(21)이 삽입공(12)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몸체(11)의 내부에는 안정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형광등(2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일정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접속단자(14)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14)에는 형광등(20)의 단자핀(21)을 수용하는 수용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양단에 결합된 소켓(10) 사이로 형광등(20)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형광등(20)의 단자핀(21)을 상기 소켓몸체(11)의 출입홈(13)을 통해 삽입공(12)으로 위치시킨상태에서 형광등(20)을 대략 90°회전시켜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형광등(20)을 90°회전시키게 되면 단자핀(21)이 접속단자(14)를 양쪽으로 벌리면서 탄성변형시킴과 동시에 단자핀(21)이 접속단자(14)의 수용홈(14a)에 위치되어 삽입되면서 형광등(2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소켓몸체(11)의 하단이 상기 출입홈(13)에 의해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형광등(20)의 조립을 잘못하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상기 접속단자(14)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할 경우 형광등(20)의 단자핀(21)이 출입홈(13)을 통해 소켓(10)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상기 형광등(20)이 소켓(10)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게 되면 형광등(20)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에도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등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한 후에는 형광등이 안정적으로 고정 및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형광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형광등의 파손을 줄인 형광등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정기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형광등의 단자핀을 고정/지지하도록 지지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공으로 단자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지지공의 일측에 출입공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에 상기 전선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단자핀에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형광등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소켓의 지지공 및 출입공이 내측을 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형광등기구(100)의 구조는 일정한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반사판 역할을 겸하고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고정/결합되어 전원공급 역할을 하는 소켓(120)과, 상기 각 소켓(120)에 양단이 지지/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형광등(1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반사판(111)과 반사판(111)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덮개(112)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통상의 안정기(10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형광등(101)에는 소켓(1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양측에 각각 한쌍의 단자핀(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형광등(101)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 10-2003-0085196 호(출원일:2003.11.27 명칭: 형광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형광등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소켓(120)은 안정기(105)와 전선(106)으로 연결되는 제 1 몸체(130)와,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몸체(150)와,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131)에 상기 전선(106)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단자핀(102)에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몸체(150)는 일측면에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지지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151)으로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이 출입할 수 있도록 지지공(151)의 일측에 출입공(15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공(151)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152)은 지지공(151)과 연통하면서 하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공(152)은 지지공(151)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면서 출입공(152)과 지지공(151)의 하단 사이에 걸림부(153)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공(151)에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이 조립된 후에는 상기 걸림부(153)에 의해 형광등(101)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150)의 타측은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공(151)의 최대길이는 한 쌍의 단자핀(102) 거리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수단(140)은 상기 설치홈(131)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단자(145)와, 상기 하부단자(14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홈(131) 상단에 설치된 탄성부재(147)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단자(14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단자(145) 및 상부단자(141)는 안정기(105)와 연결된 전선(106)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단자(141)는 상기 탄성부재(147)와 하나의 전선(1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일정형태로 절곡되어 제 1 몸체(130)에 고정결합된 연결판(148)에 의해 안정기(105)와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131)의 양측면에는 지지턱(13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자(141)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턱(133)에 걸리면서 하부단자(145)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43)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단자(145) 및 상부단자(141)의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수용하는 수용홈(146)(14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홈(131)에 설치된 하부단자(145)와 상부단자(141) 사이로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몸체(150)의 출입공(152)과 동일한 위치에 출입홈(132)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한 제 2 몸체(150)는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될 때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공(151) 및 출입공(152)이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공(151) 및 출입공(152)이 도 5 와 같이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소켓(120)의 구조를 변형하여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일반적인 형광등(101a)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형광등(101)의 단자핀(102) 형성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몸체(150)의 지지공(151) 및 출입공(152)을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하거나 또는 내 측을 향하도록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태의 형광등(101)(101a)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47)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몸체(130)의 설치홈(131)에 접속수단(140)을 설치하고, 이때 상기 접속수단(140)은 안정기(105)와 전선(10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접속수단(140)이 설치된 제 1 몸체(130)는 상기 제 2 몸체(150)의 결합홈(154)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 1 몸체(130)의 출입홈(132)과 제 2 몸체(150)의 출입공(152)은 일치된 상태가 되면서 이곳을 통해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이 지지공(151) 내부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몸체(130)가 제 2 몸체(150)에 수용/결합된 후에는 상기 제 2 몸체(150)를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함으로서 소켓(1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형광등(101)을 소켓(120)에 조립하게 되는데, 먼저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상기 제 2 몸체(150)의 경사진 출입공(152)을 따라 밀어 넣어 한 쌍의 단자핀(102)을 상기 지지공(151)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형광등(1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즉, 상기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이 출입공(152)을 따라 지지공(151) 내 부로 진입하게 되면, 제일먼저 상기 상부단자(141)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부단자(141)를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면서 지지공(151) 내부로의 진입이 완료되며, 이렇게 단자핀(102)이 지지공(151) 내부로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4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단자(141)가 하강하면서 단자핀(102)을 지지공(151) 하단에 밀착시키게 되고, 이때 한 쌍의 단자핀(102)은 상부단자(141) 및 하부단자(145)에 접속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부단자(141)는 단자핀(102)을 계속 하측방향으로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은 지지공(151)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됨과 동시에 안착된 후에는 상기 걸림부(153)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형광등(101)을 소켓(1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형광등(101)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단자핀(102)이 상기 상부단자(141)를 상측방향을 일정거리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단자핀(102)이 지지공(15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단자핀(102)이 지지공(15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면 형광등(101)을 일정각도 회전시켜 단자핀(102)을 상기 출입공(152)을 통해 인출함으로서 소켓(12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은, 형광등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된 후에는 형광등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서 형광등이 회전하지 않고 소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형광등이 바닥으로 떨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형광등의 파손도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안정기(105)와 전선(106)으로 연결되는 제 1 몸체(130);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고정/지지하도록 지지공(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공(151)으로 단자핀(10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지지공(151)의 일측에 출입공(152)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몸체(150);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131)에 상기 전선(106)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단자핀(102)에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수단(140)은 상기 설치홈(131)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단자(145)와, 상기 하부단자(14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홈(131) 상단에 설치된 탄성부재(147)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단자(1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자(145) 및 상부단자(141)의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상기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수용하는 수용홈(146)(14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31)의 양측면에는 지지턱(13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단자(141)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턱(133)에 걸리면서 하부단자(14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걸림턱(14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130)에는 탄성부재(147)와 상기 하나의 전선(1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판(14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부단자(145)와 상부단자(141) 사이로 형광등(101) 단자핀(102)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몸체(150)의 출입공(152)과 동일한 위치에 출입홈(1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7. 안정기(105)와 전선(106)으로 연결되는 제 1 몸체(130);
    상기 제 1 몸체(130)를 수용한 상태로 본체(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형광등(101)의 단자핀(102)을 고정/지지하도록 지지공(1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공(151)으로 단자핀(102)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지지공(151)의 일측에 출입공(152)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몸체(150);
    상기 제 1 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131)에 상기 전선(106)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단자핀(102)에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150)는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될 때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공(151) 및 출입공(152)이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KR1020040032611A 2004-05-10 2004-05-10 형광등 소켓 KR10063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11A KR100632130B1 (ko) 2004-05-10 2004-05-10 형광등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11A KR100632130B1 (ko) 2004-05-10 2004-05-10 형광등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863A KR20050107863A (ko) 2005-11-16
KR100632130B1 true KR100632130B1 (ko) 2006-10-12

Family

ID=3728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11A KR100632130B1 (ko) 2004-05-10 2004-05-10 형광등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52A (ko) * 2015-05-27 2016-12-07 조성민 측면에서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한 형광등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06B1 (ko) * 2006-11-06 2008-01-21 박천돈 방진형 형광등 소켓
KR101449847B1 (ko) * 2013-04-26 2014-10-13 김광수 간편한 형광등 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9348A (en) 1993-11-22 1995-11-21 Wong; Yin H. Support for a light tube and method of use
JPH11135211A (ja) 1997-10-28 1999-05-21 Toshiba Tec Corp ランプソケット
KR200350102Y1 (ko) 2004-02-02 2004-05-13 순 화 소 형광등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9348A (en) 1993-11-22 1995-11-21 Wong; Yin H. Support for a light tube and method of use
JPH11135211A (ja) 1997-10-28 1999-05-21 Toshiba Tec Corp ランプソケット
KR200350102Y1 (ko) 2004-02-02 2004-05-13 순 화 소 형광등용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52A (ko) * 2015-05-27 2016-12-07 조성민 측면에서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한 형광등 소켓
KR101712072B1 (ko) * 2015-05-27 2017-03-03 조성민 측면에서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한 형광등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863A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1821B (zh) 吸顶灯及其灯体、安装座
KR101031015B1 (ko) 램프용 소켓 및 이 소켓을 구비한 등기구
JP5212633B2 (ja)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KR100632130B1 (ko) 형광등 소켓
US20060012981A1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KR100600534B1 (ko) 형광등기구
JPH07111174A (ja) けい光ランプ用ソケット
WO2007133032A1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and electric establishment with electric connecting device
CN109672040B (zh) 吸顶灯
KR100605299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101993840B1 (ko) 바타입 led 램프용 소켓
US5813885A (en) Socket assembly for lamp
EP1602876A1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JPH0740445B2 (ja) 照明器具
CN110906218B (zh) 一种吸顶灯
CN211118883U (zh) 一种分体结构的壁灯
KR102330178B1 (ko)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KR200282124Y1 (ko) 조립이 간편한 형광등 소켓
KR200204442Y1 (ko) 형광등기구용 소켓 커버
KR100774427B1 (ko) 램프 소켓
KR100881096B1 (ko)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KR200248528Y1 (ko) 형광램프용 소켓이 부착된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JPH0351850Y2 (ko)
KR200190397Y1 (ko) 마그네틱 플러그 커넥터
JPS63200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