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576B1 -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576B1
KR100631576B1 KR1020050078002A KR20050078002A KR100631576B1 KR 100631576 B1 KR100631576 B1 KR 100631576B1 KR 1020050078002 A KR1020050078002 A KR 1020050078002A KR 20050078002 A KR20050078002 A KR 20050078002A KR 100631576 B1 KR100631576 B1 KR 10063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generator
condensed water
condensate
tub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제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A bubble generator and a condensed typ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a condensing efficiency by providing the bubble generator to increase a heat exchanging area with the air. In a condensed typ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or(160),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of a cabinet(110). A tube(12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A condensed duct(140) condenses the air drawn from the tube. A condensed water supplying tube(145) supplies condensed water into the condensed duct. And, the air bubbler is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upplying tube in the condensed duct to generate the air bubble while supplying the condensed water.

Description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응축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2의 응축덕트의 분리 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when the separation of the condensation duct of Figure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기포발생기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4,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기포발생기의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8,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다.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캐비닛 120 : 터브110: cabinet 120: tub

127 : 드럼구동모터 128 : 인출구127: drum drive motor 128: outlet

130 : 드럼 140 : 응축덕트 130: drum 140: condensation duct

145 : 응축수공급관 146 : 응축수밸브145: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146: condensate valve

150 : 가열덕트 151 : 순환팬150: heating duct 151: circulation fan

153 : 히터 160 : 기포발생기153: heater 160: bubble generator

161 : 바디 152 : 개구161: body 152: opening

153 : 연결부 155 : 메쉬망부재153: connecting portion 155: mesh network member

본 발명은,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와 응축수의 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응축수의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generator and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of air and condensate, to shorten the drying time, and to reduce the required amount of condensate. It relates to a bubble generator and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응축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응축덕트의 분리 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식 세탁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30)과, 터브(20)의 배면에 배치되는 응축덕트(40)와, 터브(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 측은 응축덕트(40)와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20)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가열덕트(50)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ior when the condensation duct of FIG. 2 is separated.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tub 20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0, and a tub 20 inside the tub 20. The drum 30 is rotatably coupled, the condensation duct 4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the upper side of the tub 2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40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 ( And a heating duct 50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캐비닛(10)의 일 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12)의 일 측 연부에는 출입구(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3)가 구비되어 있다.An entrance 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allow laundry to enter and exit, and a door 13 is provided at one edge of the entrance 12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12.

터브(20)의 상 측 및 하 측에는 터브(20)를 완충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23) 및 댐퍼(24)가 설치되어 있으며, 터브(20)의 하부영역에는 배수펌프(26)를 구비한 배수유로(25)가 연결되어 있다. 터브(20)의 배면에는 드럼(3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27)가 설치되어 있으며, 터브(20)의 내부에는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드럼(30)이 회전가능하게 수용 설치되어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상향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33)가 형성되어 있다. Springs 23 and dampers 24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tub 20 so as to buffer and support the tub 20, and a drain pump 26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tub 20. The drainage passage 25 is connected. A drum driving motor 27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so as to rotate the drum 30, and the tub 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 plurality of penetrating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rum 30 in which the ball 31 is formed is rotatably accommodated. A plurality of lifts 33 are formed in the drum 30 to move the laundry upward.

터브(20)의 배면 일 측에는 터브(20)의 공기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28)가 관통되어 있으며, 인출구(28)의 외측에는 인출된 공기가 상향 유동되면서 응축될 수 있도록 응축덕트(40)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20)의 상측에는 일단은 응축덕트(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터브(20)의 전방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가열덕트(50)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덕트(5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순환팬(51)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환팬(51)의 하류 영역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53)가 설치되어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tub 20, the outlet port 28 is penetrated so that the air of the tub 20 can be drawn out, and the condensation duct 40 can be condensed while the air drawn out is condensed outside the outlet port 28. ) Is combined. The upper side of the tub 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40,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eating duct 5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ront region of the tub (20). A circulation fan 51 is provided inside the heating duct 50 to promote the flow of air, and a heater 53 to heat the air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fan 51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 Is installed.

한편, 응축덕트(40)는 터브(20)의 배면과 상호 협조적으로 응축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채널(channel)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방측에는 터브 (2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연장된 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2)의 내측에는 터브(20)와의 접촉 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스켓(43)이 결합되어 있으며, 가스켓(43)의 외측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4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densation duct 40 has a channel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 to form a condensation passage in cooperation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0, and extends to be in contact with the tub 20 on the open side. The flange portion 42 is formed. The gasket 43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lange portion 42 so that airtightness is maintained when contacting the tub 20, and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asket 43.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4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응축덕트(40)의 상부영역에는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응축수공급관(45)이 결합되어 있으며, 응축수공급관(45)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응축수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 응축덕트(40)의 내부에는 일 측은 응축수공급관(45)과 연결된 원관(圓管) 형태의 응축수공급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응축수공급부(47)의 저부에는 응축수가 분기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관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응축수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응축수공(48)은 응축수가 응축덕트(40)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유동될 수 있도록 응축덕트(40)의 내벽면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45 is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ndensation duct 40 so as to supply condensed water therein, and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45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valve 46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flow path. Inside the condensation duct 40, one side is formed with a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47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관 duct)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45, the bottom of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47 so that the condensed water branched to fall Condensate holes 48 are formed to penetrate an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densate hole 48 is form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0 so that the condensate can flow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0.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응축식 세탁건조기에 있어서는, 응축수공급부(47)가 응축덕트(40)의 내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고 응축수공급부(47)의 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의 응축수공(48)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터브(20)로부터 인출된 습공기와 응축수의 접촉면적, 즉 열교환면적이 충분치 못하여 응축효율이 낮아 건조시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응축수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47 is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0, and the plurality of condensate water supply units 4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ott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condensate hole 48 is form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et air and the condensate drawn out from the tub 20, that is, the heat exchange area is not sufficient, condensation efficiency is low, the drying time is extended and the consumption of the condensat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와 응축수의 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응축수의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는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bble gene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of air and condensate, shortening the drying time, and reducing the required amount of condensate, and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응축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관과;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에 상기 응축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응축수공급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for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tub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A condensation duc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to condense the air drawn from the tub; A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ndensed water into the condensation duct; The condensation duct is achieved by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the bubble generator being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to generate bubbles when condensate is supplied.

여기서, 상기 기포발생기는, 내부에 일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상기 응축수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바디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응축수가 통과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메쉬망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ubble generator, the body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the condensate is disposed in the opening region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sh net member to generate bubbles.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바디의 개구의 평면방향을 따라 상기 메쉬망부재의 일 측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쉬망부재의 망목에 비해 큰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배출공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bubble generator is effective to further comprise a discharge hole having a larger flow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mesh of the mesh network member so that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one side of the mesh network member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body to be.

상기 배출공은 상기 응축덕트의 벽면을 따라 응축수가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면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hole is preferably form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so that the condensate can fall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일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 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응축수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바디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응축수가 통과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메쉬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 connection part formed to connect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to one end of the body; It is disposed in the opening region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or comprising a mesh net member for generating bubbles as the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condensate supply pipe passes.

여기서, 상기 바디의 개구의 평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쉬망부재의 일 측에 상기 메쉬망부재의 망목에 비해 큰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charg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esh net member along the planar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body to have a larger flow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mesh of the mesh net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120)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유동되면서 응축되는 응축덕트(140)와, 응축덕트(140)의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관(145)과, 응축덕트(140)의 내부에 응축수공급관(145)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응축수공급시 기포(155)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provided with the bubble generator includes a cabinet 110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tub 120 accommodating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110, A condensation duct 14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120 and condensed while the air drawn from the tub 120 flows, a condensate supply pipe 145 for supplying condensate into the condensation duct 140, and a condensation duc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bble generator 160 i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45 inside the 140 to generate bubbles 155 when supplying condensed water.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112)의 일 측 연부에는 출입구(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3) 가 구비되어 있다.An entrance 112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to allow laundry to enter and exit, and a door 113 is provided at one edge of the entrance 112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112.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터브(120)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터브(1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터브(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123) 및 댐퍼(1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터브(120)의 하부에는 배수펌프(126)를 구비한 배수유로(125)가 연결되어 있다. A tub 1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wash water is disposed in the cabinet 11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tub 120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tub 120. The spring 123 and the damper 124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support it. A drain passage 125 having a drain pump 126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ub 120.

터브(120)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 설치되어 있으며, 터브(120)의 배면에는 드럼(13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127)가 구비되어 있다. A tub 13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rotatably accommodated inside the tub 120, and a drum driving motor 12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120 to rotate the drum 130. have.

드럼(130)은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탁물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133)가 형성되어 있다. The drum 13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lifts 133 may move the laundry upward. Is formed.

터브(120)의 배면에는 공기가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인출구(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터브(120)의 배면에는 인출구(128)를 통해 인출된 공기가 상향 유동되면서 응축될 수 있도록 응축덕트(140)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120)의 상측에는 일 단이 응축덕트(140)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120)의 전방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가열덕트(150)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덕트(15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순환팬(1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순환팬(151)의 하류측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153)가 구비되어있다.The back of the tub 120 is formed with a through-out port 128 through which air can be drawn out, and the back of the tub 120 has a condensation duct so that the air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128 can be condensed upwardly. 140 is coupled. The upper side of the tub 12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14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eating duct 150 is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region of the tub 120. A circulation fan 151 is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duct 150 to promote the flow of air, and a heater 153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fan 151 to heat the air.

응축덕트(140)는 터브(120)의 배면과 접촉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응축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채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결합되어 있다. The condensation duct 140 is formed to have a channel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120 to form a condensation flow passage therein, and is coupled to be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응축덕트(140)의 상부영역에는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응축수밸브(146)가 구비된 응축수공급관(145)이 연결되어 있으며, 응축덕트(14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160)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egion of the condensation duct 14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145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valve 146 to supply the condensed water therein, the interior of the condensation duct 14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bble generator 160 according to the is installed.

본 기포발생기(160)는, 내부에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161)와, 바디(161)의 일 단에 응축수공급관(145)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관 형태의 연결부(163)와, 응축수의 통과 시 기포(155)가 발생되도록 바디(16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62)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메쉬(mesh)망부재(165)를 구비하고 있다.The bubble generator 160, the body 161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61 so that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45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161 A mesh net member 165 disposed to block the connection portion 163 having a circular tube shape extending along the opening 16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61 so that the bubble 155 is generated when the condensate passes. Equipped with.

바디(161)는 합성수지부재로 하향 개구(162)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측 단부에는 응축수공급관(145)이 연결될 수 있도록 원관 형태로 돌출된 연결부(16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body 161 is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o form a receiving space with a downward opening 162 as a synthetic resin member, and protrudes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45 can be connected to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163 is formed integrally.

메쉬망부재(165)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금속 선재(와이어)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통과 시 기포(155)가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망목(또는 망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161)의 사출 성형 시 바디(161)의 개구 영역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The mesh net member 165 is formed to have a mesh (or mesh) of the degree that bubbles 155 may be generated when the condensate passes through a metal wire (wire) such as stainless steel.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161 is integrally injection molded in the opening region of the body 161.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개구(172)가 형성되고 연결부(173)가 구비된 바디(171)와, 메쉬망부재(175)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디(171)의 개 구(172)의 형상에 대응되게 사각 고리 형상의 프레임(174)을 구비하고, 프레임(174)이 바디(171)의 개구(172)영역에 일체로 결합되게 기포발생기(1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바디(171)와 프레임(174)은 융착, 압입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Here, as shown in FIG. 7, an opening 172 is formed at one side and a body 171 having a connection portion 173 and a body 171 to support the mesh net member 175. The bubble generator 1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174 having a rectangular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phere 172, and the frame 174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pening 172 area of the body 171. have. The body 171 and the frame 174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joining method such as fusion, press fitting, or screw fasten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물의 건조 행정이 개시되면 순환팬(151) 및 히터(153)에 각각 전원이 인가된다. 순환팬(151)이 회전을 개시하면 가열덕트(150)를 따라 공기가 순환되고, 히터(153)에 의해 가열된 후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세탁물과 접촉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함유하여 습도가 높은 습공기로 되어 인출구(128)를 통해 응축덕트(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is started, power is applied to the circulation fan 151 and the heater 153, respectively. When the circulation fan 151 starts to rotate, air circulates along the heating duct 150, is heated by the heater 153, and then flows into the drum 13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130 is in contact with the laundry and contains moisture of the laundry to become wet air having high humidity, and flows into the condensation duct 140 through the outlet 128.

건조행정 중 응축수밸브(146)는 응축덕트(140)의 내부로 응축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응축수공급관(145)의 유로를 개방하여 기포발생기(160)로 응축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응축수공급관(145)으로부터 바디(161)의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는 메쉬망부재(165)를 통과하여 낙하되면서 터브(120)로부터 인출되어 상향 유동되는 습공기와 접촉되어 습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이 때, 메쉬망부재(165)를 통과한 응축수는 기포(155)를 함유한 형태로 되어 습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유효열교환면적을 증가시켜 응축효율이 향상된다.During the drying stroke, the condensate valve 146 intermittently opens the flow path of the condensate supply pipe 145 so that the condensate can be suppli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140 so that the condensate is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or 160.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from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45 into the body 161 falls through the mesh net member 165 and comes out of the tub 12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et air flowing upward to condense the wet air.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esh net member 165 has a bubble 155, the contact area with the wet ai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effective heat exchange area to improve the condensation efficiency.

한편, 응축수와 접촉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감소된 건공기는 순환팬(151)을 경유하여 가열덕트(150)를 따라 유동되고 히터(153)에 의해 가열된 후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의 건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y air in contact with the condensate water is reduced in flow through the heating duct 150 via the circulation fan 151 and heated by the heater 153 is introduced into the drum 130 Repeating the process will perform the drying function of the laundry.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120)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유동되면서 응축되는 응축덕트(140)와, 응축덕트(140)의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관(145)과, 응축덕트(140)의 내부에 응축수공급관(145)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응축수공급시 기포(155)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 8, and FIGS. 10 and 11 are still anothe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 and illustrated configura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provided with the bubble generator includes a cabinet 110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tub 120 accommodating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110, and a tub. Condensation duct 14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ensation duct 140 is condensed while the air drawn from the tub 120 flows, the condensate supply pipe 145 for supplying condensate into the condensation duct 140, and the condensation duct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bble generator 180 i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145 inside the 140 to generate bubbles 155 when supplying condensate.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터브(120)가 수용 설치되어 있으며, 터브(120)의 배면에는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28)가 형성되어 있다. 터브(120)의 배면에는 터브(120)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상향 유동하면서 응축될 수 있도록 응축덕트(1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응축덕트(14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기포발생기(180)가 설치되어 있다. The tub 120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110, and the outlet port 128 is form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tub 120 to draw air. The rear surface of the tub 120 is coupled to the condensation duct 140 so that the air drawn from the tub 120 can be condensed while flowing upward, the bubble generator 180 is installed in the inner upper region of the condensation duct 140. It is.

기포발생기(180)는, 내부에 하향 개구(182)된 응축수의 일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반원단면형상의 바디(181)와, 바디(181)의 일 단에 응축수공급관(145)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183)와, 바디(181)의 하부에 개구(182)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응축수의 통과 시 기포(155)가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메쉬망부재(185)와, 바디(181)의 개구(182)의 평면방향을 따라 메쉬망부재(185)의 일 측에 응 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공(187)을 구비하고 있다.Bubble generator 180 i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body 181 to form a temporary receiving space of the condensate water downward opening 182 therein, so that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145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181 Extending connection portion 183 and the mesh net member 185 and the body 181 is formed to block the opening 18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81 is formed so that the bubble 155 is generated when the condensate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87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esh net member 185 along the planar direction of the opening 182 to allow condensate to pass therethrough.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폭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192)와 개구(192)의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긴 장공형태의 배출공(197)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91)와, 바디(191)의 일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부(193)와, 바디(191)의 각 개구(192)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응축수의 통과 시 기포(155)가 발생되도록 하는 메쉬망부재(195)를 구비하도록 기포발생기(190)를 구성할 수도 있다.Here, as shown in FIG. 10, the plurality of openings 192 which are reduce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bottom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e in the form of long holes in one side of the opening 19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191 in which the ball 197 is formed, the connection part 193 which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body 191, and the opening 192 of the body 191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pening may be blocked. The bubble generator 19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sh network member 195 to allow bubbles 155 to be generated when the condensate passes.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제1개구(202a) 및 제2개구(202b)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201)와, 바디(201)의 일 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부(203)와, 서로 다른 크기의 망목(망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각 개구(202a,202b)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메쉬망부재(205a) 및 제2메쉬망부재(205b)를 구비하도록 기포발생기(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포발생기(200)에 있어, 바디(201)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개구(202b)가 응축덕트(140)의 내벽에 인접되도록 응축덕트(140)의 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개구(202b)에 배치되는 제2메쉬망부재(205b)는 응축수가 골고루 분산되어 낙하될 수 있는 정도의 망목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제1개구(202a)에 배치되는 제1메쉬망부재(205a)는 응축수의 통과 시 기포(155)가 발생될 수 있도록 작은 망목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body 201 having the first openings 202a and the second openings 202b having different widths at the botto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203 formed to extend at one end of the body 201, and a plurality of first meshes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of meshes (meshes) and arranged to block the openings 202a and 202b. The bubble generator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mesh net member 205a and the second mesh net member 205b. In the bubble generator 200, the body 201 is install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ondensation duct 140 so that the second opening 202b having a small size is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condensation duct 140, The second mesh net member 205b disposed in the second opening 202b having a small size is formed to have a mesh size such that the condensed water is evenly dispersed and dropped, and the first large opening 202a is relatively large. The first mesh net member 205a disposed a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mall mesh size so that bubbles 155 may be generated when the condensate passes.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물의 건조행정이 개시되면 순환팬(151) 및 히터 (153)에 각각 전원이 인가된다. 순환팬(151)이 회전되면 터브(120)의 공기가 인출되어 응축덕트(140) 및 가열덕트(150)를 따라 순환되고, 히터(153)에 의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응축수밸브(146)가 응축수공급관(145)의 유로를 개방하게 되면 응축수는 연결부(183)를 통해 바디(181)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디(181)의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 중 일부는 배출공(187)을 통해 유출되어 응축덕트(140)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유동하면서 터브(120)로부터 인출되어 상향 유동되는 공기를 응축시키고, 응축수중 다른 일부는 메쉬망부재(185)를 통과하면서 기포(155) 형태로 되어 낙하하면서 터브(120)로부터 인출되어 상향 유동되는 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응축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ying operation of the laundry is started, power is applied to the circulation fan 151 and the heater 153, respectively. When the circulation fan 151 is rotated, the air of the tub 120 is drawn out, circulated along the condensation duct 140 and the heating duct 150, heated by the heater 153, and then back into the drum 130. The process of inflow is repe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ensate valve 146 opens the flow path of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145, the condensate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81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83. Some of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81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87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densation duct 140 to condense the air drawn out from the tub 120 and flows upward. The other part of the condensate is in the form of bubbles 155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net member 185, while condensing air drawn out from the tub 120 and flowing upward, thereby increasing condensation efficienc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덕트의 내부에 응축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가 통과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하여 공기와의 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의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는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ation duct is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or to generate bubbles while passing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from the condensate supply pip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with the air to improve the condensation efficiency and dry A bubble generator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as well as reducing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and a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망부재의 일 측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을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응축수의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는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on one side of the mesh network member can improve the condensation efficiency can shorten the drying time and bubbles to reduce the required amount of condensate A generator and a condensation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Claims (6)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응축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관과;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에 상기 응축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응축수공급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A cabinet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tub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cabinet; A condensation duc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to condense the air drawn from the tub; A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ndensed water into the condensation duct; And a bubble generator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y pipe inside the condensation duct to generate bubbles when condensate is suppli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포발생기는, 내부에 일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상기 응축수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바디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응축수가 통과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메쉬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The bubble generator includes a body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having one side opened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to one end of the body, and disposed in an opening region of the body, from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having a 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sh network member to generate bubbles while passing the supplied condensed wat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바디의 개구의 평면방향을 따라 상기 메쉬망부재의 일 측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쉬망부재의 망목에 비해 큰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배출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The bubble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hole having a larger flow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mesh of the mesh network member so that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one side of the mesh network member along the plan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body Condensation type laundry dryer with bubble generato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배출공은 상기 응축덕트의 벽면을 따라 응축수가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면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so that condensate may fall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내부에 일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 단에 응축수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바디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응축수가 통과되면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메쉬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A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one side opened therein; A connection part formed to connect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to one end of the body; And a mesh net member disposed in the opening region of the body to generate bubbles while passing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from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바디의 개구의 평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쉬망부재의 일 측에 상기 메쉬망부재의 망목에 비해 큰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 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esh net member along the planar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body to have a larger flow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mesh of the mesh net member.
KR1020050078002A 2005-08-24 2005-08-24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6315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02A KR100631576B1 (en) 2005-08-24 2005-08-24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02A KR100631576B1 (en) 2005-08-24 2005-08-24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576B1 true KR100631576B1 (en) 2006-10-09

Family

ID=3763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002A KR100631576B1 (en) 2005-08-24 2005-08-24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5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1955B2 (en) 2017-09-2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5500A (en) * 1989-02-17 1990-08-28 Hitachi Ltd Clothing dryer
KR920002688Y1 (en) * 1990-05-28 1992-04-27 허위구 Creel's bobbin holder of warping
JPH07204397A (en) * 1994-01-20 1995-08-08 Osaka Gas Co Ltd Dryer of washing
KR20050012100A (en)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Drying Apparatus
JP2005027768A (en) * 2003-07-09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Clothes dry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5500A (en) * 1989-02-17 1990-08-28 Hitachi Ltd Clothing dryer
KR920002688Y1 (en) * 1990-05-28 1992-04-27 허위구 Creel's bobbin holder of warping
JPH07204397A (en) * 1994-01-20 1995-08-08 Osaka Gas Co Ltd Dryer of washing
JP2005027768A (en) * 2003-07-09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Clothes dryer
KR20050012100A (en)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Dry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1955B2 (en) 2017-09-2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788222B2 (en) 2017-09-29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572B2 (en) Drying and washing machine
KR100687376B1 (en) Washing machine
US20180355548A1 (en) Drying apparatus and laundry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775028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659208A2 (en) Washing/drying machine
KR10251595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746238B2 (en) Drum washing machine
EP1621662A2 (en) Washing machine
US2020027079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S2339803T3 (en) WASHER / DRYER WITH ADDITIONAL CONDENSATION CIRCUIT.
JP2013226185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05304987A (en) Clothing drier
US20060107706A1 (en) Washing machine
US20060101870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condensing duct
KR101492986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31576B1 (en) Bubble generator and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697021B1 (en) Washing machine with dryer
KR100631575B1 (en) Condensing type washing-drying machine
KR20210056305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594369B1 (en) Laundry Machine
KR20130051584A (en) Washing machine
KR100662567B1 (en) Washing machine
KR100661644B1 (en) Washing machine
KR102082744B1 (en) Drum Washing Machine
JP7311856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