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476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476B1
KR100631476B1 KR1020047002053A KR20047002053A KR100631476B1 KR 100631476 B1 KR100631476 B1 KR 100631476B1 KR 1020047002053 A KR1020047002053 A KR 1020047002053A KR 20047002053 A KR20047002053 A KR 20047002053A KR 100631476 B1 KR100631476 B1 KR 10063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floor
car
hoistwa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9401A (en
Inventor
이시이도시아키
다키카와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내에서 카(5)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5)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에 대해 양공간과 겹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된 기계실(200)을 소유하고, 기계실(200)은 승강로(1)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기계실바닥(201)과 보수원이 카 또는 건물로부터 기계실바닥으로 옮기기 위한 이동수단(204)과, 기계실바닥(201)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208)을 소유하고, 확장바닥(208)은 카(5)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5)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기계실바닥(201)을 연장하도록 기계실바닥(201)으로부터 신장된 돌출위치와의 사이를 진퇴운동 하도록 설치되고, 기계실바닥(201) 및 확장바닥(208)에서 승강로(1)천정까지의 사이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업가능한 높이로 되어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includes a machine room 200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car 5 moves up and down in the elevator hoistway 1, and in a space that does not overlap both spaces with respect to a virtual space when the car 5 extends and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The machine room 200 includes a machine room floor 201 protru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wall of the hoistway 1, a moving unit 204 for the maintenance worker to move from the car or building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machine room floor 201. The expansion floor 208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substan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pansion floor 208 is a virtual space when the space in which the car 5 moves up and the car 5 extends and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expansion floor 208 are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space and the projected position extended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to extend the machine room floor 201. In Gangro (1) the source is in operation as high as the height between the maintenance to the ceiling.

승강로,카,기계실,기계실바닥,이동수단,확장바닥.Hoistway, car, machine room, machine room floor, transportation means, extension flo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승강로를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room of an elevator installed in a hoistwa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consequently the hoistway.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승강로의 단면도이다. 카(5)는 수직방향으로 뻗은 승강로(1)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승강로(1)의 위에는 기계실(2)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내에는 카(5)를 승강시키는 권양기(3)와 이 권양기(3)를 제어하는 제어반(4)이 설치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istway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car 5 moves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chine room 2 is provided on the hoistway 1. In the machine room 2, the winch 3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r 5, and the control panel 4 which controls this winch 3 are provided.

권양기(3)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프가 감겨지고, 이 로프의 한쪽은 카(5)를 승강시키기 위해 카(5)와 계합하고, 한편 다른쪽은 카운터웨이트(6)에 접속되어 있다.A rope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winch machine 3, one side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car 5 to lift the car 5,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6.

종래, 기계실(2)을 포함한 승강로(1)의 높이를 낮게 하는 동시에 기계실(2)의 건축비용을 삭감할 목적으로 기계실(2)을 도 9의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2a)로서 승강로(1)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the machine room 2a i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9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hoistway 1 including the machine room 2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machine room 2, the hoistway as the machine room 2a. It is proposed to arrange inside (1).

기계실(2a)내에는 마찬가지로 권양기(3a)와 제어반(4a)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machine room 2a, a winch machine 3a and a control panel 4a are similarly provided.

그런데,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5)의 천정에 보수원이 타서 여러가지 보수작업을 할 때가 많다. 이 때문에, 카(5)의 천정과 승강로(1)의 천정사이는 소정의 높이의 공간이 요구된다.By the way, in an elevator apparatus, a maintenance worker rides on the ceiling of the car 5, and many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in many cases. For this reason, a sp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requir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r 5 and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즉, 최상층에 정지한 카(5)의 천정에서 승강로(1) 천정까지의(또는, 카(5)에서 상부의 장애물까지의) 사이에 소정의 치수(이하, 오버해드치수라고 한다)가 필요하게 된다.That is, a predetermined dimen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verhead dimension) is requir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r 5 stopped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or the obstacle from the car 5 to the upper obstacle). Done.

기계실(2)이 승강로(1)위에 있는 경우의 오버해드치수는 도면에 표시하는 H1이고, 기계실(2a)을 승강로(1)내에 파선과 같이 구성한 경우의 오버해드치수는 H2이다. H1과 H2는 실제로는 거의 같은 길이가 필요하게 되므로 기계실(2a)을 단지 승강로(1)내에 설치해도 기계실을 포함한 승강로(1)의 전고 H3를 낮게 할 수는 없다.The overhead dimension when the machine room 2 is on the hoistway 1 is H1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overhead dimension when the machine room 2a is formed in the hoistway 1 with a broken line is H2. Since H1 and H2 actually need about the same length, even if the machine room 2a is installed only in the hoistway 1, the height H3 of the hoistway 1 including the machine room cannot be lowered.

또, 기계실을 승강로(1)내에서 카(5)와 승강로(1)의 벽과의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은 생각할 수 있으나, 기계실은 권양기(3)나 제어반(4)의 보수를 하기 위해 소정의 바닥면적 및 보수스페이스가 필요하고, 이를 확보하려고 하면 기계실의 체적이 커지고, 건물내의 공간의 유효활용이 저해되므로 문제가 되었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conceivable to install the machine room in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car 5 and the wall of the hoistway 1 in the hoistway 1, the machine room is prescribed for repairing the winch 3 or the control panel 4. The floor area and the maintenance space of the building were required, and this was a problem because the volume of the machine room was increased and the effective use of the space in the building was hampered.

또, 일본국 특허 제2593288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 같은 승강로(1)내에 권양기나 제어반을 직접 배치하는 제안도 되고 있다. 기계실이 없으므로 보수작업에서 작업성이 대단히 나쁘므로 문제가 되었었다.Moreover, the proposal which arrange | positions a hoisting machine and a control panel directly in the hoistway 1 as shown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593288 is also proposed. Since there was no machine room, the workability was very bad in the maintenance work.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된 것으로 승강로의 전고 를 높게 하지 않고 기계실을 승강로내에 설치할 수가 있고, 또 기계실에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installing a machine room in a hoistway without raising the height of the hoistway, and ensuring a sufficient working space in the machineroom.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에서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에 대해 양공간과 겹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된 기계실을 소유하고, 기계실은 승강로 벽면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설된 기계실바닥과 보수원이 카 또는 건물에서 기계실바닥으로 옮기기 위한 이동수단과, 기계실바닥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을 소유하고, 확장바닥은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기계실바닥을 연장하도록 기계실바닥에서 신장된 돌출위치와의 사이를 진퇴동하도록 설치되고, 기계실바닥 및 확장바닥에서 승강로 천정까지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업가능한 높이로 되어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wns a machine room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ing space and a space not overlapping both spaces with respect to a virtual space when the car extends and moves in the hoisting direction, and the machine room is approximately at the wall of the hoistway.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maintenance worker, which are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e a means for moving from the car or building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extension floor installed so as to protrude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floor where the car is elevated and the car It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stored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virtual space when extending and moving in the lifting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extended from the machine room floor to extend the machine room floor. The height to the ceiling is the height that the maintenance staff can work. .

또, 기계실바닥은 외주면에 낙하방지용의 기계실 벽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machine room floor is provided with the machine room wall for preventing a fal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 기계실바닥은 승강로내의 내벽간에 건너진 대들보상에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machine room floor is provided on the cross beams crossed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hoistway.

또, 확장바닥은 수납위치에서는 기계실 벽의 일부를 이루고, 하단부를 기계실바닥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카의 승강공간측에 눕혀서 돌출위치가 된다.Further, the extended floor forms a part of the machine room wall at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lower end is freely connected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lies on the lifting space side of the car to be a protruding position.

또, 확장바닥의 외주연에 낙하방지용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fall prevention wall of the fall prevention floor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floor.

또, 돌출위치에 돌출한 확장바닥은 확장바닥과 승강로 사이에 건너진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다.Moreover, the extended floor which protruded in the protrusion position is supported by the wire which crossed between the extended floor and the hoistway.

또, 확장바닥은 개략 구형을 이루고, 한변을 기계실바닥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다른 3변에는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이 각각 설치되어 인접하는 확장바닥 낙하방지벽 및 기계실 벽은 서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expanded floor is roughly spherical, one side of which is freely connected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other three sides are provided with extended floor drop preventing walls, respectively, so that the adjacent extended floor drop preventing wall and the machine room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 이동수단은 카의 천정을 통해서 기계실바닥으로 이동하는 사다리이다.The moving means is a ladder that moves to the machine room floor through the ceiling of the c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II-II line of FIG. 1;

도 3은 확장바닥 및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을 넓힌 경우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when the extended floor and the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are expanded;

도 4는 확장바닥 및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을 넓힌 경우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when the extended floor and the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are expanded;

도 5는 기계실을 확장해가는 모양을 표시하는 도4의 Ⅴ - Ⅴ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line V-V of FIG. 4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machine room; FIG.

도 6은 기계실을 확장해가는 모습을 표시하는 도 3의 Ⅵ - Ⅵ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VI-VI line of FIG. 3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machine room;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7,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카(5)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승강로(1)내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을 한다. 승강로(1)내에서 카(5)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5)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에 대해 양 공간과 겹치지 않은 공간에 기계실(200)이 설치되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line II-II of FIG. The car 5 moves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istway 1, the machine room 200 is provided in the space which does not overlap with both spaces with respect to the space where the car 5 raises and lowers, and the virtual space when the car 5 extends and moves in a lifting direction.

즉, 카(5)를 승강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한 경우 도 1중 점선과 같이 이동하나, 본 실시예의 기계실(200)은 이 점선으로 표시한 변과 승강로 벽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카(5)가 최상층의 승차장(9)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카(5)는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더욱 위쪽으로 이동가능하다.That is, if it is assumed that the car 5 is moved in the lifting direction again, it moves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1, but the machine roo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It is. FIG. 1 shows the case where the car 5 is stopped at the bus stop 9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car 5 of this embodiment can be moved further upwards as shown by the dotted line.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은 카(5)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5)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에 대해 양공간과 겹치지 않는 공간에 기계실 (200)이 설치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5)가 기계실(200)의 바로 옆까지 이동하여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도 포함하는 것이다.However,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chine room 200 is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car 5 moves up and down, and a space that does not overlap both space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pace when the car 5 extends and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As described, the car 5 also includes an elevator device in which the car 5 is moved to the immediate side of the machine room 200.

기계실(200)의 기계실바닥(201)은 승강로(1)내의 대향하는 2개의 벽간에 건 너진 보(202)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바닥(201)은 권양기(3)이나 제어반(4)은 물론 카(5)나 카운터웨이트(6)의 하중에 견디는 견고한 것이 되어야 필요하고, 상술한 보(202)상에 설치되어 이를 실현하고 있다.The machine room floor 201 of the machine room 200 is provided on the beam 202 crossed between two opposing walls in the hoistway 1. The machine room floor 201 needs to be sturdy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car 5 or the counterweight 6 as well as the winch 3 or the control panel 4, and is installed on the beam 202 described above to realize this. have.

기계실바닥(201)의 카(5)측의 외주연에는 낙하방지용의 기계실 벽(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계실 벽(203)은 예를들면 파이프로 제작된 것과 같은 구조가 간단한 울타리로 대용되어도 된다. 기계실바닥(201)과 기계실 벽(203)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본 실시예의 기계실(2000)을 형성하고 있다.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 5 side of the machine room floor 201, the machine room wall 203 for preventing a fall is provided. In addition, the machine room wall 203 may be replaced by a fence having a simple structure such as a pip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machine room wall 203 forms the machine room 2000 of this embodiment.

기계실(200)내에는 카(5)를 승강시키는 권양기(3)와 이 권양기(3)를 제어하는 제어반(4)이 설치되어 있다. 권양기(3)에는 로프(7)가 감기고 로프(7)의 일측은 카(5)의 카 반환풀리(8)에 계합한 후 승강로(1)의 천정에 접속되고, 한편 로프 (7)의 타측은 카운터웨이트(6)에 접속되어 있다. 기계실바닥(201)에는 로프(7)가 관통하는 2개의 로프구멍(205)이 천공되어 있다.In the machine room 200, the winch machine 3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r 5, and the control panel 4 which controls this winch machine 3 are provided. The hoist 3 is wound with a rope 7 and one side of the rope 7 engages the car return pulley 8 of the car 5 and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while the other end of the rope 7 The side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6. In the machine room floor 201, two rope holes 205 through which the rope 7 penetrates are drilled.

기계실바닥(201)과 카(5)의 천정 사이에는 보수원이 기계실바닥(201)으로 갈아타기 위한 사다리(204)가 걸려 있다. 사다리(204)는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필요할 때에 걸처지게 된다.Between the ceiling of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car 5, a ladder 204 is fastened for the maintenance worker to change to the machine room floor 201. The ladder 204 is free to detach and is caught when needed.

이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로 함으로써 카(5)의 상방의 승강로(1)의 천정까지의 공간 S는 장해물이 없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오버해드치수는 도 9의 기계실(2)이 승강로(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치수 H1이 얻어진다.By setting it as the elevator apparatus of such a structure, the space S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above the car 5 turns into a space free of obstacles. Therefore, as for the overhead dimension, the dimension H1 similar to the case where the machine room 2 of FIG. 9 is provided outside the hoistway 1 is obtained.

따라서, 기계실을 포함하는 승강로의 전체의 높이는 대략 엘리베이터가 승강하기 위한 만큼의 필요한 높이가 되고, 종래보다 낮은 것이 된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entire hoistway including the machine room becomes approximately the necessary height for the elevator to move up and down, which is lower than the conventional one.

도 3은 확장바닥 및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을 넓힌 경우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확장바닥 및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을 넓힌 경우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기계실(200)은 기계실바닥(201)에서 대략 수평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208)을 가지고 있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in the case where the extended floor and the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are widened. Fig. 4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case where the extended floor and the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are widened. The machine room 200 has an expansion floor 208 installed to protrude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확장바닥(208)은 카(5)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기계실바닥 (201)을 연장하도록 기계실바닥(201)으로부터 신장된 돌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expanded floor 208 is the machine room floor 201 so as to extend the stored position and the machine room floor 201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space where the car 5 moves up and down and in the virtual space when the car extends and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It is provided so that a movement is possible with the protruding position extended from the.

기계실바닥(201) 및 확장바닥(208)으로부터 승강로(1)의 천정까지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업하는데 충분한 높이로 되어 있다.The height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expansion floor 208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is a height sufficient for a maintenance worker to work.

다음, 확장되는 기계실(200)의 구조에 대해 보수원의 작업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기계실을 확장해가는 모습을 표시한 도 4의 Ⅴ- Ⅴ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기계실을 확장해가는 모습을 표시한 도 3의 Ⅵ - Ⅶ선을 따른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a) 와 도 6(a)는 확장바닥 (208)이 수납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Next, the work order of the repairma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expanded machine room 200.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line VV of FIG. 4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machine room.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direction along the line VI-X of FIG. 3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machine room. 5 (a) and 6 (a) show a state where the extended bottom 208 is in the storage position.

확장바닥(208)의 수납위치에는 벽(203)의 일부를 이루고, 힌지(209)에 의해 하단부를 기계실바닥(201)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카(5)의 승강공간측에 대략 수평이 되도록 눕혀서 돌출위치가 된다. 도 5(d) 와 도 6(d)는 확장바닥(208)이 돌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A part of the wall 203 is formed at the storage position of the expanded floor 208, and the lower end part is freely connected to the machine room floor 201 by the hinge 209, and is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lifting space side of the car 5. Lie down as far as possible to protrude. 5 (d) and 6 (d) show a state where the extended bottom 208 is in the protruding position.

우선, 보수원은 카(5)의 천정으로부터 사다리(204)를 사용해서 기계실(200) 로 올라간다. 다음, 와이어(207)로 폭(206)과 확장바닥(208)을 연결한다(도 5의 (a)).First, the maintenance worker climbs into the machine room 200 using the ladder 204 from the ceiling of the car 5. Next, the width 206 and the expansion bottom 208 are connected with the wire 207 (FIG. 5A).

그리고, 확장바닥(208)을 카(5)의 승강공간측의 돌출위치로 눕힌다. 돌출위치에 돌출한 확장바닥(208)은 승강로(1)와의 사이에 건너진 와이어(207)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하게 된다(도 5의(b)).Then, the expansion bottom 208 is laid down to the protruding position on the side of the lifting space of the car 5. The extended bottom 208 protruding in the protruding position is supported by the wire 207 crossed between the hoistway 1 and horizontally (Fig. 5 (b)).

다음, 보수원은 카(5)의 승강공간측에 설치된 제1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 (210)을 세운다. 제1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0)은 하단부를 힌지(212)에 의해 확장바닥(208)의 외주연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수납시에는 접혀져 있으나 보수작업시에 일으켜진다(도 5의(c), 도 6의(c)).Next, the maintenance worker erects the first extended floor drop prevention wall 210 provided on the lifting space side of the car 5. The first expansion bottom drop preventing wall 21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pansion bottom 208 by the hinge 212 at its lower end, and is folded at the time of storage, but is caused during maintenance work (Fig. 5). (c), FIG. 6 (c)).

또, 보수원은 확장바닥(208)의 양측연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2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1)을 세운다. 제2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1)은 제1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0)과 같이 힌지에 의해 확장바닥(208)의 측면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수납시에는 접혀져 있으나 보수작업시에 일으켜 세워진다(도 5의(d). 도 6의(d)).In addition, the maintenance staff erects two second extension bottom drop preventing walls 211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extension bottom 208, respectively. The second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21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extended floor 208 by a hinge like the first extended floor fall prevention wall 210, and is folded during storage, It is raised up (Fig. 5 (d). Fig. 6 (d)).

끝으로 보수원은 제1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0), 제2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1) 및 벽(213)의 각각을 연결금구(213)를 사용해서 연결해서 안정시킨다Finally, the maintenance worker stabilizes by connecting each of the first extended bottom drop prevention wall 210, the second extended bottom drop prevention wall 211, and the wall 213 by using a connection bracket 213.

연결금구(213)는 ㄷ자형을 이루는 금구로 2개의 평행부를 인접하는 벽의 상부각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삽입공에 삽입해서 연결한다. 제1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0) 및 제2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211)은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으로 견고한 것이다. 예를들면, 파이프로 제작된 것과 같은 구조가 간단한 울타리로 대용되 어도 된다. The connecting bracket 213 is a U-shaped bracket and is connected by inserting two parallel portions into an insertion hole (not shown) installed at an upper angle of an adjacent wall. The first extended bottom drop preventing wall 210 and the second extended bottom drop preventing wall 211 are solid in plate form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structure such as a pipe may be substituted for a simple fence.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내에서 카(5)의 승강방향으로 카(5)와 겹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된 기계실(200)을 소유하고, 기계실 (200)은 승강로(1)벽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설치된 기계실바닥(201)과 보수원이 기계실바닥(201)에 카(5)로부터 바꿔타기 위한 사다리(204)와, 기계실바닥(201)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208)을 가지고, 확장바닥(208)은 카의 승강방향으로 카(5)와 겹치는 공간에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기계실바닥(201)을 연장하도록 기계실바닥(201)에서 신장한 돌출위치와의 사이를 진퇴식으로 움직이도록 설치하고, 기계실바닥(201) 및 확장바닥(208)으로부터 승강로 (1)의 천정까지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업가능한 높이로 하고 있다.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wns a machine room 200 installed in a space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car 5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ar 5 in the elevator hoisting path 1, and the machine room 200 is moved from the hoistway 1 wall surface. The machine room floor 201 which protrudes horizontally and the ladder 204 for the maintenance worker to switch from the car 5 to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expansion floor 208 installed so as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The expansion floor 208 has a storage position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space overlapping the car 5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ar and the protruding position extended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to extend the machine room floor 201. It is installed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height from the machine room floor 201 and the expansion floor 208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is the height which a maintenance worker can work.

이 때문에, 승강로(1)의 전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기계실(200)을 승강로 (1)내에 설치할 수가 있고, 또 기계실(200)에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machine room 200 can be installed in the hoistway 1 without raising the height of the hoistway 1, and sufficient working space can be ensured in the machineroom 200. As shown in FIG.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은 카(5)의 천정과 기계실바닥(201)과의 사이에 걸쳐진 사다리(204)이다. 이동수단은 사다리(204)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승강로(1)내에 설치된 외부로부터의 입구라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means is a ladder 204 spann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r 5 and the machine room floor 201. The mov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ladder 204 but may be, for example, an entrance from the outside provided in the hoistway 1.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서는 권양기(3)가 기계실 (200)내에 설치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권양기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도 7 및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3a)의 사이즈가 커서 기계실(200)에서 삐져나오는 경우의 구성에 적용되어도 좋다.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Example 1,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winch 3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200 is shown, the arrangement of the winch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ize of the winch 3a It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protruding from the cursor machine room 200.

본 실시예는 권양기(3a)는 기계실(200)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 카(5)가 연장해서 이동한 공간과 겹처져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오버해드치수는 권양기(3a)가 장해물이 되므로 권양기(3a)의 하부까지의 H4가 된다. 기타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winch machine 3a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achine room 200 and overlaps the space in which the car 5 extends and moves. Therefore, the overhead dimension in this case is H4 to the bottom of the winch machine 3a because the winch machine 3a becomes an obstacl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는 권양기(3a)의 치수만큼 승강로(1)의 전체 높이는 실시예 1보다 높아지나, 개략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verall height of the hoistway 1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y the size of the winch 3a, and the same effect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서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와 가상공간에 대해 양 공간과 겹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된 기계실을 소유하고, 기계실은 승강로 벽면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기계실바닥과 보수원이 카 또는 건물로부터 기계실바닥으로 옮기기 위한 이동수단과, 기계실바닥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을 소유하고, 확장바닥은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공간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기계실바닥을 연장하도록 기계실바닥에서 신장된 돌출위치와의 사이를 진퇴하며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기계실바닥 및 확장바닥으로부터 승강로 천정까지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 업가능한 높이로 되어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wns a machine room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ing space and a space in which the car extends and moves in the hoisting direction and in a space that does not overlap both space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pace, and the machine room is approximately at the wall of the hoistway. Machine room floor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intenance means for moving from the car or building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expansion floor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It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stored so as not to protrude into the virtual space when extending and moving in the lifting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extended from the machine room floor to extend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hoistwa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expansion floor. Height to ceiling can be operated by maintenance workers It is at a height.

이 때문에, 승강로의 전체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기계실을 승강로내에 설치가 가능하고, 또 기계실에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machine room in the hoistway without rai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hoistway, and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in the machineroom.

또, 기계실바닥은 외주연에 낙하방지용의 기계실 벽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수원이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동시에 공구등이 승강로내로 낙하하지 않고, 안전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machine room floor is provided with the machine room wall for preventing a fall on the outer periphery. For this reason, a maintenance worker can work safely and a tool etc. do not fall into a hoistway, and safety improves.

또, 기계실바닥은 승강로내의 내벽간에 걸쳐진 보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권양기나 제어반은 물론 카나 카운터웨이트의 하중에 이겨내는 견고하게 만들수가 있다.Moreover, the machine room floor is provided in the bow which spreads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hoistway. Therefore, it can be mad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car and counterweight as well as the winch and the control panel.

또, 확장바닥은 수납위치에서는 기계실벽의 일부를 이루고, 하단부를 기계실바닥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카의 승강공간측에 눕혀져서 돌출위치가 된다.Further, the extended floor forms a part of the machine room wall at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lower end is freely connected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is laid on the lifting space side of the car to be a protruding position.

이 때문에, 확장바닥은 다른 스페이스를 저해하는 일 없이 깨끗히 수납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For this reason, the expansion floor is stored cleanly without disturbing other spaces, and workability is improved.

또, 확장바닥의 외주연에 낙하방지용의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수원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공구 등이 승강로내에 낙하하는 일 없이 안전성이 향상된다.Moreover, the fall prevention wall of the fall prevention floor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floor. For this reason, a maintenance worker can work safely, and safety improves, without a tool falling in a hoistway.

또, 돌출위치에 돌출한 확장바닥은 확장바닥과 승강로 사이에 걸쳐진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확장바닥을 지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지지구조를 작은 스페이스에서 실현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d floor that protrudes at the protruding position is supported by a wire spanned between the extended floor and the hoistway.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ort the extension floor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o realize the support structure in a small space.

또, 확장바닥은 개략 구형을 이루고, 한변을 기계실바닥에 회전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다른 3변에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이 각각 설치되어서 인접하는 확장바닥 낙하방지벽 및 기계실 벽은 서로 연결된다.Further, the expanded floor is roughly spherical, one side of which is freely rotatable connected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other extended floor drop prevention wall is provided on the other three sides so that the adjacent extended floor drop prevention wall and the machine room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 때문에, 확장바닥 낙하방지벽이 안정해서 고정되고, 안전성이 향상된다.For this reason, the expansion bottom fall prevention wall is stable and fixed, and safety improves.

또, 이동수단은 카의 천정을 통해서 기계실바닥으로 이동하는 사다리이다. The moving means is a ladder that moves to the machine room floor through the ceiling of the car.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수단을 구성할 가 있고,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a moving means can be compris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ost down can be aimed at.

Claims (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서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이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에 대해 상기 양공간과 겹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카를 승강시키는 권양기가 탑재되는 기계실을 소유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승강로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기계실바닥과 보수원이 상기 카 또는 건물에서 상기 기계실바닥으로 옮아가는 이동수단과, 상기 기계실바닥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된 확장바닥을 소유하고, 상기 확장바닥은 상기 카가 승강하는 공간 및 이 카가 승강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동한 경우의 가상의 공간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된 수납위치와, 이 기계실바닥을 연장하도록 이 기계실바닥에서 신장된 돌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바닥 및 상기 확장바닥으로부터 상기 승강로 천정까지의 사이의 높이는 보수원이 작업가능한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It is installed in the spac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above two spaces in the space where the car lifts up and down in the elevator hoistway and the virtual space when the car extends and moves in the lifting direction, and owns a machine room in which a hoist to lift the car up and down is mounted. The machine room includes a machine room floor protru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wall of the hoistway and a moving means for a maintenance worker to move from the car or building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an expansion floor protru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machine room floor. The expansion floor is a storage position accommodated so as not to protrude into the space in which the car is lifted and the virtual space when the car is extended and moved in the lift direction, and a protrusion extended from the machine room floor to extend the machine room floor. The machine room floor is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And the height between the extension floor and the hoist ceiling is a height at which a maintenance worker can work.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계실바닥은 외주연에 낙하방지용 기계실 벽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achine room floor is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ll prevention machine room wall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계실바닥은 상기 승강로내의 내벽간에 걸쳐진 보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achine room floor is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bow span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KR1020047002053A 2002-03-15 2002-03-15 Elevator device KR1006314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2508 WO2003078289A1 (en) 2002-03-15 2002-03-15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01A KR20040019401A (en) 2004-03-05
KR100631476B1 true KR100631476B1 (en) 2006-10-04

Family

ID=2785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053A KR100631476B1 (en) 2002-03-15 2002-03-15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86449B1 (en)
JP (1) JP4110097B2 (en)
KR (1) KR100631476B1 (en)
CN (1) CN1243659C (en)
DE (1) DE60238644D1 (en)
WO (1) WO200307828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7240B1 (en) 2008-02-13 2011-11-11 Oreal SPRAY HEAD COMPRISING A SINGOTRODE, RUNWAYED BY A CANAL OF THE PRODUCT
CN105358468B (en) * 2013-07-10 2018-03-23 因温特奥股份公司 The extension in vertical shaft region
CN108560731B (en) * 2018-07-16 2023-07-21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Stride empty floor and use outer elevator anch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2663B1 (en) * 1997-11-08 2000-06-28 Thyssen Aufzugswerke GmbH Elevator, in particular traction sheave elevator
FI111622B (en)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Drive wheel lift and flywheel operation
JP2001048437A (en) * 1999-08-17 2001-02-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Elevator
JP2001139249A (en) * 1999-11-09 2001-05-2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2001220077A (en) * 2000-02-07 2001-08-1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caffolding device for work at hositway top of elevator
JP4454765B2 (en) * 2000-03-09 2010-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JP2002046951A (en) * 2000-08-01 200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Scaffold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6449B1 (en) 2010-12-15
DE60238644D1 (en) 2011-01-27
WO2003078289A1 (en) 2003-09-25
KR20040019401A (en) 2004-03-05
JP4110097B2 (en) 2008-07-02
CN1512957A (en) 2004-07-14
CN1243659C (en) 2006-03-01
JPWO2003078289A1 (en) 2005-07-14
EP1486449A1 (en) 2004-12-15
EP1486449A4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99404A (en) Terminal safety device for elevator
EP1172321B1 (en) Elevator device
EP1422185B1 (en) Cage and elevator
KR102480892B1 (en) Bottom driving elevator
KR100631476B1 (en) Elevator device
KR100438994B1 (en) Elevator device
KR20010094686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nch of machine-roomless elevator
KR100739290B1 (en) 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JP6586490B2 (en) Mobile lifting scaffolds with load lifting devices,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KR20010096838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winch of a lower part driving elevator with machine roomless
KR100639684B1 (en) Elevator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002037563A (en) Renewal method for hydraulic elevator
JP5570612B2 (en) elevator
KR200199478Y1 (en) Specially devised building structure of traction unit for the pit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300715B2 (en) Elevator scaffolding equipment
JP4293855B2 (en) Elevator car
KR200199477Y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winch of machine-roomless elevator
JP4037735B2 (en) Elevator construction method
JP2019167214A (en) Modification method of elevator
KR101437800B1 (en) Elevator device
JP4385877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17168695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2068636A (en) Elevator device
JPH10310340A (en) Lift device for installing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