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896B1 -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896B1
KR100630896B1 KR1020040110988A KR20040110988A KR100630896B1 KR 100630896 B1 KR100630896 B1 KR 100630896B1 KR 1020040110988 A KR1020040110988 A KR 1020040110988A KR 20040110988 A KR20040110988 A KR 20040110988A KR 100630896 B1 KR100630896 B1 KR 10063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d
message
user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385A (ko
Inventor
김경남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8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소정의 기분 항목,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메시지 판독부, 상기 메시지 판독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기분 검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르면,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끼리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기분 상태를 하나 이상의 상대방에게 알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직접 통화하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기분, 핸드폰, 휴대폰, 메시지

Description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PROVIDING A FEELING MESSAGE MANAGEMENT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이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분 항목이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분 메시지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분 메시지가 사용자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시, 상기 호 연결 대상의 기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이동통신 단말기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 데이터 생성부 230 : 통신 모듈
240 : 메시지 판독부 250 :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
260 : 기분 검색부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기능에 기분 메시지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들끼리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현재 기분이 어떠한지를 검색하고, 현재 특정 기분을 가진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직장인을 비롯하여 초등학생들까지도 모 두 1인당 1대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휴대폰의 보급률은 일반 유선 전화의 보급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은 지인들과 통화를 하고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 현대인들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뿐만 아니라, 게임도 하고, 사진도 촬영하고, 음악도 들으며, 인터넷 접속도 하여 각종 정보를 휴대폰을 통해 습득하기도 한다.
이처럼 휴대폰의 기능은 하루가 멀다 하고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데, 이러한 최신 기능의 휴대폰을 소지하고, 상기 최신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세대는 10대에서 20대, 즉,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의 젊은 세대이다. 항상 최신 기술을 먼저 습득하여 널리 활용하고 있는 상기 젊은 세대는 기성 세대와는 달리 단체보다는 개인이 중요하고, 자신의 주장과 감정을 중요시하여 이를 남들에게 알리는 데도 무척 적극적이다.
10대에서 20대의 젊은 세대는 인터넷을 이용한 친구 사귀기에도 능숙한 편이어서, 각종 채팅 사이트 및 커뮤니티, 블로그 등을 통해 친구를 사귀고 관리한다. 이들은 집이나 학교에서 인터넷을 할 경우, 대부분 메신저를 통해 친구들과 대화를 하고 각종 파일을 주고 받는다.
요즘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신저는 상기 젊은 세대의 자기 표현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사용자의 감정 상태나 기분 등을 표현하는 아바타 또는 기분 상태 설정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아바타나 기분 상태 설정을 통해 친구들에게 특별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아도 자신의 현재 기분 상태 또는 상황 등을 알릴 수 있다. 이들의 자기 표현 욕구는 무척 강한 편이어서, 상기와 같이 메신저를 통한 기분 상태 설정은 현재 사용되는 거의 모든 메신저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터넷 메신저를 통한 자기 표현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PC가 있는 곳에서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메신저에 접속하지 않은 친구에게 자신의 기분 상태를 알리기 위해서는 전화를 하거나 메일을 쓰고, 문자 메시지를 보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메신저에 접속하지 않은 사용자는 친구들의 오늘 기분 상태가 어떠한지 쉽게 파악을 할 수가 없고, 이를 알기 위해서는 모두에게 기분 상태를 전화나 메일, 문자를 통해 물어봐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상기와 같이 자신의 기분 상태를 친구들에게 알리는 것을 중요시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상기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친구들에게 알릴 수 있고, 또 상기 친구들의 기분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보다 쉽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분 메시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기능에 기분 메시지 기능을 추가 구성하여,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끼리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기분 상태를 하나 이상의 상대방에게 알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직접 통화하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기분 메시지를 전화부 등에 기록된 상기 상대방의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특별한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상대방으로의 호 접속 요청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상대방의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기분 상태에 따른 내용의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에티켓을 구현할 수 있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의 선택, 소정의 기분 항목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메시지 판독부, 상기 메시지 판독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기분 검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른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 특정 그룹 내의 사용자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로 친분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끼리 일종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서로의 기분 상태를 공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명의 친한 친구들끼리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분 메시지 전송 메뉴에 나머지 3명의 친구들, 즉, 제2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30), 제3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40), 및 제4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5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3명의 친구들의 이동통신 단말기(130)(140)(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친구인 제2 사용자 등으로부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수 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제2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30), 제3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40), 또는 제4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에 일반 문자 메시지와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3명의 친구들의 기분 상태가 어떠한지 쉽게 알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130)(140)(15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관리를 위하여,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기능에 기분 메시지 기능을 더 추가하여 문자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분 메시지 기능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일반적인 전화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구별되어 특정 카테고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30)(140)(150)는 소정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셀룰라폰, PCS폰, 스마트폰, 또는 DMB폰, IMT-2000폰, PC, PDA 등의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망(120)은 제1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제2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30), 제3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40), 또는 제4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50)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망(120)이라 함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1x 또는 EV-DO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과 휴대 인터넷, VoIP 등 향후 서비스 될 수 있는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데이터 생성부(220), 통신 모듈(230), 메시지 판독부(240),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250), 및 기분 검색부(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의 선택, 소정의 기분 항목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입력 받는다.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이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문자 메시지 기능에 추가하여 구성된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을 지원하는 "발신함" 카테고리에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작성" 항목과 더불어 제공되는 "기분 전송" 이라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기분 메시지 데이터 전송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3. 기분 전송"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b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는 기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분 항목은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간단 명료하게 표현해 주는 항목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기저장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분 항목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기분 상태의 간단한 설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분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쁨", "셀레임", "슬픔", "화남", "그냥" 등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간단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로 상기 기분 항목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기분 항목 중에서 자신의 기분 상태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기분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분 항목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업체에서 미리 지정하여 저장한 항목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은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분 항목의 선택 시, 자신의 기분을 적절하게 표현해 주는 기분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경우, 자신이 직접 기분 항목을 작성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분 메시지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을 선택하여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기분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기분을 표현할 수 있는 기분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하나 이상의 기분 메시지 작성 종류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기분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배경음악, 음성, 동영상, 또는 첨부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기능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기분 메시지 작성을 위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별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K 텔레텍의 SKY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기분 메시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선택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자신의 기분 상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이미지, 음악, 음성 녹음, 또는 동영상을 첨부함으로써, 상기 기분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각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분 메시지 샘플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기분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데이터 생성부(220)는 상기 선택된 기분 메시지 유형 정보,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 또는 상기 입력된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기분 항목과 기분 메시지를 각각의 지정된 필드에 포함하는 일종의 문자 메시지인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기분 메시지는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데이터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모듈(230)은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 발명의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통신 모듈(230)은 인터넷 접속 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접속 모뎀, 시리얼, 범용 직렬 버스(USB), 적외선(IR)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 분할 다중화 접속 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판독부(240)는 통신 모듈(230)을 통해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한다. 즉, 메시지 판독부(240)는 통신 모듈(230)을 통해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가 기분 메시지 데이터인지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여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2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250)는 메시지 판독부(240)의 제어에 따라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성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 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250)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및 기분 메시지 데이터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가 "박찬호", 이효리", "김병현", "박정현"이라는 사용자 정보를 갖는 4명의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4명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한다.
상기 4명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는 소정의 기분 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400)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박찬호"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화남"의 기분 항목과 "아~ 오늘 라이징 패스트볼이 잘 안 먹혔다. 으~" 라는 기분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서로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기분 메시지에는 상기와 같이 텍스트 기반의 기분 메시지뿐만 아니라, 소정의 사진, 음악, 그림, 동영상 등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기반의 기분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김병현"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설레임"의 기분 항목과 "어제 마스터한 체인지업으로 양키스 타 선을 잠재우겠다" 라는 텍스트 기반의 기분 메시지 및 투구 장면을 담은 사진 기반의 기분 메시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사용자 정보가 "박정현"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는, "슬픔"의 기분 항목과 "나 어제 남자친구랑 헤어졌어..." 라는 텍스트 기반의 기분 메시지와 함께 "이별하러 가는 길" 이라는 배경음악(BGM) 기반의 기분 메시지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분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구현될 수 있어,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400)는 하나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기분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에서, 기분 검색부(260)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검색 항목에 대응하여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250)에 저장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 중에서 "기쁨"의 기분 항목을 갖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즉, 기분 상태를 "기쁨"이라고 알린 사용자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기쁨"의 검색 항목을 입력하면, 기분 검색부(260)는 "기쁨"의 기분 항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기분 검색부(260)는 상기 "기쁨"의 기분 항목을 갖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 지를 더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소정의 기분 항목 검색을 통하여 현재 특정 기분 상태인 상대방을 알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대방이 작성한 기분 메시지를 보다 편리하게 검색하여 볼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분 메시지가 사용자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메시지가 소정의 사진 또는 그림 파일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사용자 정보에 소정의 아이콘(icon)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병현"이라는 사용자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사진 파일이 첨부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진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부 목록의 "김병현" 항목에 아이콘 형태로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부 목록의 "김병현" 항목에 아이콘 형태의 사진을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김병현" 항목의 상대방이 기분 메시지 관리 대상임을 쉽게 알 수 있고, 상기 상대방의 기분이 어떠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시, 상기 호 연결 대상의 기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접속 요청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기분 검색부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검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메시지를 상기 호 접속 또는 데이터 전송이 실행되는 화면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김병현"이라는 사용자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경우, 기분 검색부는 "김병현"이라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사진 파일 기반의 기분 메시지를 통화 연결 화면과 함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김병현"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분 항목인 "설레임"을 상기 통화화면에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호 연결 또는 데이터 전송 화면에 상대방의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기분 상태가 어떠한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상기 상대방에게 저지를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예의 바른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1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을 선택 받고(단계(611)),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선택에 따른 소정의 기분 항목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 받으면(단계(612)),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상기 기분 항목, 또는 상기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613)), 상기 생성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614)).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615)).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616)),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일반적은 문자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단계(617)).
단계(616)에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단계(618)).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618)에서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 디스플레이 한다(단계(619)).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정보에 아이콘 형태로 오버레이 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분 항목 검색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단계(620)),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받은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를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고(단계(621)), 상기 검색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단계(622)). 상기 검색된 기분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 또는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경우, 상기 호 접속 화면 또는 데이터 전송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분 항목과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기능에 기분 메시지 기능을 추가 구성하여,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끼리 자신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기분 상태를 하나 이상의 상대방에게 알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직접 통화하지 않고도 쉽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 르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기분 메시지를 전화부 등에 기록된 상기 상대방의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특별한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기분 상태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의 특정 상대방으로의 호 접속 요청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상대방의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기분 상태에 따른 내용의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에티켓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의 선택, 소정의 기분 항목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 또는 상기 입력된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메시지 판독부;
    상기 메시지 판독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기분 검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기분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분 메시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서로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소정의 아이콘(icon) 형태로 오버레이(overlay)시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기분을 표시하는 소정의 문자, 음성,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검색부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로의 호 접속 요 청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된 제2 사용자의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의 선택, 소정의 기분 항목 선택, 또는 상기 선택된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기분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상기 기분 항목, 또는 상기 기분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기분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를 기정장된 제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분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분 항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기분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기분 항목 또는 기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소정의 아이콘(icon) 형태로 오버레이(overlay)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분 메시지 관리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 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110988A 2004-12-23 2004-12-23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KR10063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88A KR100630896B1 (ko) 2004-12-23 2004-12-23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88A KR100630896B1 (ko) 2004-12-23 2004-12-23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85A KR20060072385A (ko) 2006-06-28
KR100630896B1 true KR100630896B1 (ko) 2006-10-04

Family

ID=3716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88A KR100630896B1 (ko) 2004-12-23 2004-12-23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59B1 (ko) * 2006-03-23 2008-07-15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폰으로 이모티콘과 메모글을 전송하는 상대방 기분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121A2 (en) 2001-06-05 2002-12-12 Superscape Group Plc Improvements in message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121A2 (en) 2001-06-05 2002-12-12 Superscape Group Plc Improvements in messag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8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478B1 (en) Voice communications with real-time status notifications
US87755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short voice messages
US8341235B2 (en) Creating rich experiences in mail through attachments
US8706092B2 (en) Outgoing voice mail recording and playback
JP5600161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イテムをグループに連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021042B2 (ja) アニメーションsmsメッセージを提供し表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RU2520355C2 (ru) Расширенно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голосовой почты посредств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озда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просмотра сообщения голосовой почты
US7184786B2 (en) Techniques for combining voice with wireless text short message services
KR100899911B1 (ko) 컨택트 및 메타데이터 유지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763406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er related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US20090181702A1 (en) Multi-mode communication
US20120162350A1 (en) Audiocons
US20100131858A1 (en) User interface
US7283839B2 (en) Wireless communicating terminal for providing integrated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JP2007129692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情報管理方法
CN103823677A (zh) 将用户数据录入路由到应用程序
GB2370728A (en) Mobile user information in call initiation
CN102006554A (zh) 短信息生成方法及系统
EP3664423B1 (en) Incoming call voice calling method and terminal
JP2003216777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630896B1 (ko) 기분 메시지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분 메시지관리 방법
KR101635967B1 (ko) 터치스크린 휴대기기 및 상기 터치스크린 휴대기기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90044362A (ko)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WO2016021584A1 (ja) 端末装置及び管理サーバ
JP2007018323A (ja) 電子掲示板情報通知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