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56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560B1
KR100630560B1 KR1020040062931A KR20040062931A KR100630560B1 KR 100630560 B1 KR100630560 B1 KR 100630560B1 KR 1020040062931 A KR1020040062931 A KR 1020040062931A KR 20040062931 A KR20040062931 A KR 20040062931A KR 100630560 B1 KR100630560 B1 KR 10063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put key
input
key pl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4301A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560B1/en
Publication of KR2006001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부가적인 입력키를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의 키조작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부가적인 입력키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dditional input key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key input during character input or game play using both hands, and additional input keys may be used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는 보조 입력키 들이 구비되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hap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n input key plate on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to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input key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input key plat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by the body, and the input key plate is provided. Is loc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on the both sides of the out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possible.

입력 장치, 보조 입력키, 단말기, 배터리, 휴대폰Input device, auxiliary input key, terminal, battery, mobile phone

Description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부가 입력 장치의 회전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2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부가 입력 장치를 가지는 배터리의 전,후면의 형태,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부 형태, 그리고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부가 입력 장치를 가지는 배터리가 장착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front and rear shape of a battery hav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a battery mounting part of a terminal, and an additional input device are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part of the terminal. The figure shows a battery mounted type.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부가 입력 장치의 입력키 플레이트의 회전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부 바디에 대하여 상부 바디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부 바디에 대하여 상부 바디를 개방함과 더불어 부가 입력 장치의 입력키 플레이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input key plate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ddi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body is opened with respect to a lower body and an input key plate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is rot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ddi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단말기 바디 31 : 배터리 수용홈 30: terminal body 31: battery receiving groove

32 : 단자 33 : 걸림 홈 32: terminal 33: jamming groove

34 : 록킹 노브 40 : 부가 입력 장치 34: locking knob 40: additional input device

50 : 입력키 플레이트 61,62 : 보조 입력키 50: input key plate 61,62: auxiliary input key

70 : 배터리 71 : 걸림돌기 70: battery 71: jamming

72 : 록킹 홈 80 : 연결축 72: locking groove 80: connecting shaft

본 발명은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부가적인 입력키를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의 키조작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부가적인 입력키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having additional input key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by using both hands for key input during character input or game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dditional input device which can be facilitated and on the other hand detachable additional input keys as necessary.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기능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녹음 기능, 게임, 인터넷, 결제, 문자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복합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istants), have various functions and contents, such as digital camera functions, multimedia playback / recording functions, games, the Internet, payment,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in addition to inherent voice calling functions. It is developing into a portable digital composite device.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기능화된 디지털 복합 기기로 발전함에 따라, 각 기능들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는 입력키들도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다. As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elops into a multifunctional digital composite device, in order to perform each function smoothly, the input keys also ne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For example, when writing a text message or playing a game, it is very efficient to use two hands to manipulate input keys.

그러나,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다기능화와 더불어 경박단소형을 지향 하므로, 입력키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도 점차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입력키를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oriented toward the light and small and small in addition to the multi-functionality, the area occupied by the input key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operate the input key.

예를들어, 첨부도면 도 1에는, 종래의 전형적인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좌측 그림)와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우측 그림)의 입력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하부 바디(11)에 대하여 상부 바디(12)가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상부 바디(12)를 위로 밀어 올려 열면, 하부 바디(11)의 앞면에 구비된 입력키(13)들이 노출됨으로써, 상부 바디(1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4)를 확인하면서 디스플레이(14) 아래쪽의 입력키(13)들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20)는 하부 바디(21)에 대하여 상부 바디(22)가 회동절첩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상부 바디(22)를 회동시켜 열면 하부 바디(21)의 앞면에 구비된 입력키(23)들이 노출됨으로써, 상부 바디(2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4)를 확인하면서 디스플레이(24) 아래쪽의 입력키(23)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or example, in Fig. 1, the input key structures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ft picture) and a folded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ight picture) are show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ody 12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 and when the upper body 12 is pushed up and opened, the lower body ( As the input keys 13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11 are exposed, the input keys 13 below the display 14 are manipulated while checking the display 14 provided on the upper body 12. In addition, the collaps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ody 22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body 21, and the lower body 21 is opened by rotating the upper body 22. As the input keys 23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re exposed, the input keys 23 under the display 24 can be manipulated while checking the display 24 provided on the upper body 22.

이와 같이, 하부 바디(11, 21)에 대하여 상부 바디(12, 22)가 상대 이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즉, 하부 바디(11, 21)에 대하여 상부 바디(12, 2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 있어서, 하부 바디(11, 21)에 구비되는 입력키(13,23)들은 모두 폭이 좁고 면적이 작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14,24)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양손으로 조작하기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 조작하기에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하여서는 복잡한 문자를 입력하거나 게임 등을 수행하는데에 불편함과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었다. As such, the upper bodies 12 and 22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ies 11 and 21, that is, the upper bodies 12 and 22 ar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bodies 11 and 21.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nfigured to be coupled or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input keys 13 and 23 provided on the lower bodies 11 and 21 are both narrow in width and small in area, and simultaneously display 14, 24) Because it has a structure located below, it is not only very inconvenient to operate with both hands, but also has a structure that requires great care to operate with one hand. Therefore,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input a complex character or to perform a game, etc. using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urgently requested for countermeasur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부가적인 입력키를 구비하여,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부가 입력키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화 경박단소화 되어 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onal input key sprea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and inputs both hands while inputting a character or playing a g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operate a key, and an additional input key can be mounted and used by a user as needed,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multifunctional and light and short. .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바디에 대하여 상부 바디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에는 상기 상부 바디의 변위에 의하여 가려지거나 노출되는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들이 설치되며, 상부 바디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하부 바디의 배면에 상기 단말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단말기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을로 회전한 때에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보조 입력키들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부가 입력 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나 부가 입력 장치가 없는 공지의 통상적인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의 바디에 장착하여 사용가능하고,
상기 부가 입력 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를 단말기의 바디에 장착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가려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바디를 개방하여 상기 하부 바디에 구비된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에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를 상기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에 구비된 보조 입력키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상부 바디를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를 상기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 바디에 구비된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에 구비된 보조 입력키들을 모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relative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 terminal-specific input keys that are covered or expos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The body is provided with a display;
A battery detachably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A separate input key plate having a shape longer than a width of the terminal body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body;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to b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body when rot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If necessary, one of the battery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or a conventional battery known in the absence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can be selected and mounted on the body of the terminal for use.
When the battery provided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terminal, the input key plat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so that the upper body is opened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to open the upper body. Use only an input key unique to the terminal provided, or use only the auxiliary input key provided on the input key plate by rotating the separate input key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while the upper body is closed to the lower body. Alternatively, by opening the upper body and rotating the separate input key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both the terminal-specific input key provided in the lower body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provided in the input key plate are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xposed and used. Is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하부 바디에 대하여 상부 바디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에는 상기 상부 바디의 변위에 의하여 가려지거나 노출되는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들이 설치되며, 상부 바디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예: 슬라이드형 단말기, 절첩형 단말기 등)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similarly to the slide-type terminal, the upper body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elatively displacing the low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covered or expos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body. Input keys unique to the terminal are installed, and the upper body is equally applicable to a terminal (eg, a slide type terminal, a folding type terminal, etc.) provided with a display.

또한,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기 때문에 단말기의 바디(30) 중 상부 바디(30b)만이 보이고 있으나, 도면상 상기 상부 바디(30b)의 배면에는 하부 바디(30a, 도 4 ~ 도 6 참조)(도 1에서 좌측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부 바디(11) 참조)가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디(30)는 상기 하부 바디(30a)와 상부 바디(30b)를 포함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하부 바디(30a)에 대하여 상부 바디(30b)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라고 하는 설명에서 "상대적 변위"란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는 하부 바디(30a)에 대하여 상부 바디(30b)의 '미끄럼 이동에 따른 개폐'를 말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적 변위는 하부 바디(30a)에 대한 상부 바디(30b)의 '회동에 따른 개폐'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30) 배면 즉, 하부 바디(30a, 도 4 ~ 도 5 참조)에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is a front view, only the upper body 30b of the body 30 of the terminal is shown, but the lower body 30a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30b. 4 to 6 (see lower body 11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on the left side in FIG. 1). Therefore, the body 30 includes the lower body 30a and the upper body 30b. For this reason, in the description that 'the upper body 30b is relatively displaced and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30a', the term 'relative displacement' refers to the lower body 30a in the slide typ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refers to the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body (30b). Similarly,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collapsi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upper body 30b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30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body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lower body 30a (see FIGS. 4 to 5).

상기 부가 입력 장치(40)는, 입력키 플레이트(50) 및 보조 입력키(61,62)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는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배면에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ncludes an input key plate 50 and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The input key plate 50 has a shape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erminal body 30, and perpendicular to the body 30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0 It is coupled to the position (rotation) in the direction.

보조 입력키(61,62)들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입력키(61,62)들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바디(30)에 의해 가려지고(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단말기 참조),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61,62)들이 상기 바디(30)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단말기 참조).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는, 상기 바디(30)의 상부 바디(30b)를 밀어 올려 개방하면 하부 바디(30a,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단말기에서의 하부 바디(11) 참조)의 입력키(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단말깅에서의 입력키(13) 참조)가 노출될 것이므로, 상기 부가 입력 장치(40)의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사용 여부와는 별도로 하부 바디의 입력키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50. Thus, the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covered by the body 30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on the left side of FIG. 2).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30, the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30 so that the user It becomes a state which can be operated (refer to the terminal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2). Accordingly,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body 30b of the body 30 is pushed up and opened, the lower body 30a (see the lower body 11 in the terminal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Since the input key (see the input key 13 in the terminal logging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will be exposed, the lower body of the lower body separately from whether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uses the input key plate 50 The input key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parallel.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form of the input key plate 5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부가 입력 장치(40)의 입력키 플레이트(50)는 공지의 단말기용 배터리(70) 배면에 설치된다. 상기 단말기의 바디(30)의 배면은 곧 하부 바디(30a)의 배면을 말하고, 하부 바디(30a)의 배면에는 배터리(70)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배터리(7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키 플레이트(50)를 배터리(70)의 배면에 설치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70)를 상기 단말기 바디(30)에 착탈함에 따라 부가 입력 장치(40)를 단말기의 바디(30)에 설치하거나 단말기 바디(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의 (가)는 입력키 플레이트(50)의 보조 입력키(61,62)들이 보이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나)는 도 3의 (가)에서 배터리(70)를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key plate 50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described above is the back of the known battery 70 for the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ody 30 of the terminal refers to the back of the lower body 30a, and the battery 70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lower body 30a, so that the input key plate 50 is the battery 70. It is natural to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put key plate 5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70,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terminal as the battery 70 is detached from the terminal body 30. 30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30). Here, (a) of FIG. 3 shows a state where the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of the input key plate 50 are visible, and (b) of FIG. 3 inverts the battery 70 in (a) of FIG. It shows the state made.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부가 입력 장치(40)가 필요한 경우에는 단말기의 바디(30)에 입력키 플레이트(50)가 구비된 배터리(70)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부가 입력 장치(4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입력키 플레이트(50)를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배터리(도시 생략)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 입력 장치(40)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도 단말기에 부가 입력 장치(40)를 항시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단말기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되는 단점을 없앨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required, the battery 70 having the input key plate 50 is mounted on the body 30 of the terminal and used, and additional input If the device 40 is not required, a general battery (not shown) without the input key plate 50 may be mount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not necessary,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must always be provided in the terminal, thereby eliminating the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and the volume of the terminal are increased.

상기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0)에 대한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결합 방식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배터리(70)의 배면 중간 부분에 연결축(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를 상기 연결축(80)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70)에 대해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단말기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input key plate 50 to the battery 70, the input key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ear of the battery 70, the connecting shaft ( 80) is rotatably coupled. Therefore, by rotating the input key plate 50 with respect to the battery 70 about the connecting shaft 80, the input key plate 50 from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30 It is possible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구체적으로, 도 3의 (다)에는 단말기 바디(30)의 배면, 즉 하부 바디(30a)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는 바, 하부 바디(30a)의 배면에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홈(31)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홈(31)에는 단자(32)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70)의 단자(71)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배터리 수용홈(31)의 일측에는 걸림홈(33)이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70)의 걸림돌기(7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배터리 수용홈(31)의 타측에는 록킹 노브(34)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70)의 록킹 홈(7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70)의 단자(71)의 개수는, 일반적인 배터리에서의 단자의 개수(통상적으로 4개의 단자)보다 더욱 많은 단자(71)들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단자(71)들은 상기 단말기의 바디(30)와 상기 부가 입력 장치(40)의 신호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70)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와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9466호 공보(2004.01.31) 등, 종래에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상기 연결축(80)의 내부 공간으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과시키고, 해당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을 각각 배터리(7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FIG. 3 (c) shows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0, that is,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30 a, and a battery housing, as is already known,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30 a. The groove 31 is formed.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is provided with a terminal 32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71 of the battery 70, and one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is provided with a catching groove 33. The locking projection 72 of 70 is to be inserted, and the locking knob 3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73 of the battery 70. It is.
Here, the number of the terminals 71 of the battery 70 is composed of more terminals 71 than the number of terminals (typically four terminals) in the general battery. Additional terminals 71 serve as an interface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body 30 of the terminal and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n addi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ttery 70 and the input key plate 50 is,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9466 (2004.01.31), for example, a conventional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s passed through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necting shaft 80, and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the battery 70, respectively. It may be made by connecting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input key plate 50.

다음에, 도 3의 (라)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구비된 배터리(70)를 상기한 단말기의 바디(30) 즉, 하부 바디(30a)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70)의 걸림돌기(72)를 상기 하부 바디(30a)의 배터리 수용홈(31)에 형성된 걸림홈(33)에 삽입시키고, 록킹 노브(34)를 수용홈(31) 바깥 방향으로 후퇴시키며, 배터리(70)를 수용홈(31)에 안착시킨 다음, 록킹 노브(34)를 놓으면, 상기 록킹 노브(34)가 상기 배터리(70)의 록킹 홈(73)에 삽입됨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Next, as shown in (d) of FIG. 3, when the battery 70 with the input key plate 50 is mounted on the body 30 of the terminal, that is, the lower body 30a, , Inserting the locking projection 72 of the battery 70 into the locking groove 33 formed in the battery receiving groove 31 of the lower body 30a, and the locking knob 34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1. When the battery 7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 and the locking knob 34 is released, the locking knob 3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73 of the battery 7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do.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과 같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배터리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입력키들을 사용하다가,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게임을 할 경우와 같이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된 배터리(70)를 단말기의 바디(30)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possible to send a text message or play a game by using input keys uniquely assigned to the terminal using a general battery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both hands as in the case, the battery 70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mounted on the body 30 of the terminal and used.

본 발명에 따라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된 배터리(70)를 단말기의 하부 바디(30a)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그리고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단말기 도면과 같이, 배터리(70)와 입력키 플레이트(50)가 하부 바디(30a)에 일치하게 되어 입력키 플레이트(50)가 바디(3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70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mounted on the lower body 30a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hown in FIG. 4 and the terminal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The battery 70 and the input key plate 50 coincide with the lower body 30a so that the input key plate 5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dy 30.

이와 같이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된 배터리(7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길이 방향 단부를 단말기의 바디(30: 30a, 30b)에 대하여 일측으로 밀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연결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단말기 바디(30: 30a, 30b)에 직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도 4의 가장 좌측에 도시된 도면 참조). 그러면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 단부 부분이 단말기 바디(30)의 양측 단부 외측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에 구비된 입력키(61, 62)들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 단부를 양손으로 잡고 입력키(61, 62)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입력 장치(40)는 그대로 두고 단말기에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입력키만을 사용할 때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가 입력 장치(40)의 설치 여부와 관계 없이 단말기를 종래의 방식대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배터리(70)에 설치된 부가 입력 장치(40)는 그대로 두고, 하부 바디(30a)에 대하여 상부 바디(30b)를 밀어 올리면 상부 바디(30b)에 의해 가려져 있던 하부 바디(30a)의 입력키(13a)들이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 바디(30a)에 구비된 입력키(13a)들과 상부 바디(30b)에 구비된 입력키(13b)들 만을 사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가 입력 장치(40)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굳이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된 배터리(70)를 사용할 필요 없이, 부가 입력 장치(40)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태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입력 장치(40)도 사용하고 종래에 단말기에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입력키도 사용할 때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70)이 구비된 입력키 플레이트(50)를 회전시켜 단말기 바디(30: 30a, 30b)에 직교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다음, 하부 바디(30a)에 대하여 상부 바디(30b)를 밀어 올리면, 바디(30)의 양측면으로는 부가 입력 장치(40)의 입력키 플레이트(50)가 노출됨과 더불어, 하부 바디(30a)의 입력키(13a)들도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하부 바디(30a)와 상부 바디(30b)에 고유하게 구비되어 있는 입력키(13a)(13b)들과 부가 입력 장치(40)에 구비된 입력키(61, 62)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battery 70 including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mounted,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input key plate 50 is push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body 30 of the terminal 30a, 30b.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shaft 80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bodies 30 (30a and 30b) (see the figure shown at the leftmost of FIG. 4). Then,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2, both end portions of the input key plate 50 are positioned outside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30, thereby providing input key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50. (61, 62) are exposed.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input keys 61 and 62 by holding both ends of the input key plate 50 with both hands, which makes the operation very convenient.
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when using only the input key uniquely assigned to the terminal leaving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terminal is to be used in a conventional mann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installed, the lower body (without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nstalled in the battery 70) is left as it is. When the upper body 30b is pushed up with respect to 30a, the input keys 13a of the lower body 30a that are covered by the upper body 30b are exposed.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terminal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by using only the input keys 13a provided in the lower body 30a and the input keys 13b provided in the upper body 30b. In addi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n this way,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battery 70 provided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and the general form of the general type without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provided. It can also be used with a battery.
In addition, Fig. 6 shows a diagram when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and the input key uniquely assigned to the terminal is us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by rotating the input key plate 50 is provided with a battery 70 is positioned in a posi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body (30: 30a, 30b), the lower body (30a) When the upper body 30b is pushed up, the input key plate 50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s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30, and the input keys 13a of the lower body 30a are also exposed. By being exposed, the user can enter both the input keys 13a and 13b uniquely provided in the lower body 30a and the upper body 30b and the input keys 61 and 62 provided in the additional input device 40. It becomes usable.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좌,우로 양측으로 펼쳐지는 보조적인 입력키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기능화 및 경박단소화 되더라도,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워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at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terminal bod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operated using both hands when inputting a character or playing a game. Even if it is multifunctional and light and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and use it very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키 플레이트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설치되어 단말기 바디에 대하여 착탈가능함으로써, 부가적인 입력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입력키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부가적인 입력 장치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put key plate is installed in the battery of the terminal and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in which the input key plate is installed is used only when an additional input device is needed. If it is not necessary,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common battery.

Claims (3)

하부 바디에 대하여 상부 바디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의 앞면에는 상기 상부 바디의 변위에 의하여 가려지거나 노출되는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들이 설치되며, 상부 바디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바디와; The upper body is relative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 unique input key that is hidden or expos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display Body; 상기 하부 바디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와; A battery detachably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하부 바디의 배면에 상기 단말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단말기 바디에 직교하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와; A separate input key plat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erminal body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body and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body;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 바디에 직교하도록 회전한 때에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보조 입력키들을 포함하여,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to b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body when rota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dy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필요에 따라 상기 부가 입력 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나 부가 입력 장치가 없는 공지의 통상적인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의 바디에 장착하여 사용가능하고, If necessary, one of the battery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or a conventional battery known in the absence of the additional input device can be selected and mounted on the body of the terminal for use. 상기 부가 입력 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를 단말기의 바디에 장착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가려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바디를 개방하여 상기 하부 바디에 구비된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에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를 상기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에 구비된 보조 입력키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상부 바디를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별도의 입력키 플레이트를 상기 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 바디에 구비된 단말기 고유의 입력키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보조 입력키들을 모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When the battery provided with the additional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terminal, the input key plat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so that the upper body is opened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to open the upper body. Use only an input key unique to the terminal provided, or use only the auxiliary input key provided on the input key plate by rotating the separate input key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while the upper body is closed to the lower body. Alternatively, by opening the upper body and rotating the separate input key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an input key unique to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lower body and auxiliary input key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The addi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used to expose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62931A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KR10063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31A KR100630560B1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31A KR100630560B1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301A KR20060014301A (en) 2006-02-15
KR100630560B1 true KR100630560B1 (en) 2006-09-29

Family

ID=3712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931A KR100630560B1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5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87B1 (en) * 2006-06-01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witching characters input mode according to r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301A (en)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776B2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090298A1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EP1594290B1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US771139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7764489B2 (en) Multimedi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JP2004235687A (en) Portable radio terminal
KR100640379B1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thereof
KR1007412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8478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with foldable keypad
KR100526555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305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US7489955B2 (en) Foldable mobile telephone with movable hinge unit
US200800687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24919B1 (en) Portable terminal
US20080039214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KR2006001430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KR100673521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key pad
KR101208523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0375653Y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370666Y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key pad
KR1005473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rotating sub-housing
JP2010011335A (en) Cell phone handset
KR20070050199A (en) Slide acceptance type mobil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