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300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300A
KR20060014300A KR1020040062930A KR20040062930A KR20060014300A KR 20060014300 A KR20060014300 A KR 20060014300A KR 1020040062930 A KR1020040062930 A KR 1020040062930A KR 20040062930 A KR20040062930 A KR 20040062930A KR 20060014300 A KR20060014300 A KR 2006001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mobile communication
key plat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300A/en
Publication of KR2006001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3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보조적인 입력키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의 키조작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at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so that key manipulation during character input or game performance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both hands. It is abou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는 보조 입력키 들이 구비되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hap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n input key pl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and when the input key plate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by the body. When the plate is loc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wherein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be manipulated.

입력키, 단말기, 휴대폰, 보조Input Key, Terminal, Mobile Phone, Auxiliary

Description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슬라이드형 및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llustrates an input key of a typical slide type and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입력키 모듈의 회전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input key module,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입력키 모듈의 회전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3 sh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input key modul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입력키 모듈의 회전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input key module,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바람직한 배터리 장착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배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다. 5A and 5B show a preferred battery mounting struct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rear view and FIG. 5B is a side view.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단말기 바디 31 : 배터리 수용홈 30: terminal body 31: battery receiving groove

32 : 단자 33 : 록킹 핀 32: terminal 33: locking pin

40 : 입력키 모듈 50 : 입력키 플레이트 40: input key module 50: input key plate                 

61,62 : 보조 입력키 70 : 연결축 61,62: auxiliary input key 70: connecting shaft

80 : 배터리 81 : 단자 80: battery 81: terminal

82 : 록킹 홈
82: Locking Home

본 발명은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보조적인 입력키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의 키조작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at can be easily used.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기능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녹음 기능, 게임, 인터넷, 결제, 문자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복합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istants), have various functions and contents, such as digital camera functions, multimedia playback / recording functions, games, the Internet, payment,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in addition to inherent voice calling functions. It is developing into a portable digital composite device.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기능화된 디지털 복합 기기로 발전함에 따라, 각 기능들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는 입력키들도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다. As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elops into a multifunctional digital composite device, in order to perform each function smoothly, the input keys also ne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For example, when writing a text message or playing a game, it is very efficient to use two hands to manipulate input keys.                         

그러나,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다기능화와 더불어 경박단소형을 지향하므로, 입력키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도 점차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입력키를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oriented toward light weight and small size as well as multifunctionality,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input key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operate the input key.

예를들어, 첨부도면 도 1에는, 종래의 전형적인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좌측 그림)와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우측 그림)의 입력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본체(11)에 대하여 커버(12)가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커버(12)를 위로 밀어 올려 열면, 본체(11)측의 입력키(13)들이 노출됨으로써, 위쪽의 디스플레이(14)를 확인하면서 디스플레이(14) 아래쪽의 입력키(13)들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형 이동 통신 단말기(20)는 본체(21)에 대하여 커버(22)가 회동절첩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커버(22)를 회동시켜 열면 본체(21)측의 입력키(23)들이 노출됨으로써, 위쪽의 디스플레이(24)를 확인하면서 디스플레이(24) 아래쪽의 입력키(23)들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For example, in Fig. 1, the input key structures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ft picture) and a folded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ight picture) are show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12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 When the cover 12 is pushed up and opened,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located on the main body 11 side. The input keys 13 are exposed to manipulate the input keys 13 below the display 14 while checking the display 14 above. In addition,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22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When the cover 22 is rotated and opened, an input key on the main body 21 side is opened. The 23 are exposed to manipulate the input keys 23 below the display 24 while checking the display 24 above.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모두, 입력키(13,23)들이 폭이 좁고 면적이 작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14,24) 아래쪽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양손으로 조작하기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 조작하기에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하여서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게임 등을 수행하기에 불편함과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었다.
As such, all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put keys 13 and 23 are narrow in width and small in area, and at the same time arranged below the display 14 and 24, which is very inconvenient to operate with both hands. 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that requires considerable attention even when operating with one hand. Therefore,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enter a character or to perform a game, etc.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urgently requested for countermeasur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좌,우로 펼쳐지는 보조적인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여,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화 경박단소화 되어 가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at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terminal, by using both hands when inputting a character or performing a g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operate an input key so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multifunctional, light and small can be used very convenientl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는 보조 입력키 들이 구비되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key plate has a shap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put key plate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Includes,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by the body when the input key plate is loc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When the input key plate is locat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body is achieved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to be manipulated. do.

상기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배면에 연결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입력 키 플레이트 양측의 보조 입력키들이 조작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key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by a connecting shaft, thereby rotat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from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auxiliary input keys on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to be operatively exposed.

여기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바디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에 의해 덮혀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바디에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배터리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홈에는 배터리 팩을 장착할 수 있다.
Here,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facing the input key plate is covered by the input key plate when the input key plate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the input key plate crosses the body. If present, a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may be partially exposed from the input key plate, and a battery pack may be moun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슬라이드형, 절첩형, 막대형 또는 이외의 형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불문하고 모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same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lide-type, folding-type, bar-type or other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30) 배면에 보조 입력키 모듈(40)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40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body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바디(30)는 단말기의 본체나 커버를 불문한다. Here, the body 30 of the terminal regardless of the body or the cover of the terminal.

상기 입력키 모듈(40)은, 입력키 플레이트(50) 및 보조 입력키(61,62)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는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배면에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30)에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input key module 40 includes an input key plate 50 and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The input key plate 50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terminal body 30, and crosses the body 30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0 ( Engaging in position in an orthogonal direction).

보조 입력키(61,62)들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입력키(61,62)들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바디(30)에 의해 가려지고(도 2의 좌측 도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61,62)들이 상기 바디(30)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2의 우측 도면).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key plate 50. Accordingly, the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covered by the body 30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loc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the left figure of FIG. 2).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loc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the auxiliary input keys 61 and 62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body 30 to be operated by a user. (The right figure of FIG. 2).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rear view showing a coupling form of the input key plate 5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는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중간 부분에 그의 중간 부분이 연결축(7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를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key plate 5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by a connecting shaft 70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30. Have Therefore, the input key plate 5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from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한편, 도 3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의 배면에는 배터리 팩(80)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 팩(80)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3의 좌측 도면과 같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에 의해 덮혀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3의 우측 도면과 같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착탈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Meanwhile, in FIG. 3, a battery pack 8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0. The battery pack 80 is covered by the input key plate 5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3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in a position crossing the body 30,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3, the input key plate 50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input key plate 50 to be detachable.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터리 팩(80)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와 마주하는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홈(31)에 장착되어, 배터리 수용홈(31)에 구비된 단자(32)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록킹 핀(33)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홈(31)은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에 의해 덮혀지고(도 4의 좌측 도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battery pack 80 is mounted in a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0 facing the input key plate 50 to accommodate the battery.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2 provided in the groove 31, and is detachably fixed by the locking pin 33 elastically stretch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is covered by the input key plate 50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the left figure in FIG. 4), and the input When the key plate 50 is in a position crossing the body 30, it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input key plate 50.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를 상기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배터리 수용홈(31)의 일부분이 록킹 핀(33)과 함께 드러나고, 그에 따라 배터리 수용홈(31)의 안쪽 즉, 단자(32)가 있는 부분으로 배터리 팩(80)을 진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배터리 팩(80)을 장착할 때에는 배터리 팩(80)의 단자(81)가 상기 배터리 수용홈(31)의 바닥면을 향하게 함과 아울러, 록킹홈(82)을 상기 록킹 핀(33) 방향으로 위치토록 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a par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is exposed together with the locking pin 33. As a result, the battery pack 80 may enter the in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that is, the terminal 32. When mounting the battery pack 80, the terminal 81 of the battery pack 80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and the locking groove 82 moves toward the locking pin 33. Location.

이어서, 도 5a에 도시된 갓과 같이, 배터리 팩(80)을 입력키 플레이트(50)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 바디(30)의 배터리 수용홈(31)으로 삽입시켜 누르면, 상기 배터리 수용홈(31)의 록킹 핀(33)이 탄성적으로 후퇴되었다가 다시 전진하여 상기 배터리 팩(80)의 록킹 홈(8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터리 팩(80)의 일부가 노출되더라도 배터리 팩(80)의 일측을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커버링하게 되므로, 장착된 배터리 팩(80)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당기지 않는 이상 단말기 바디(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상기 단말기의 바디(30)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80)이 완전히 덮혀지므로(도 4의 좌측 도면 참조), 배터리 팩(80)을 덮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배터리 팩(80)을 별도 케이싱이 되지 않은 '소프트 팩'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입력키 플레이트(50)를 추가하더라도 단말기의 두께를 그다지 증가시키기 않아도 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battery pack 80 faces downward from the input key plate 50, and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 of the terminal body 30. The locking pin 33 of the groove 31 is elastically retracted and then advanced again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82 of the battery pack 80. Therefore,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so that the input key plate 50 covers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80 even when a part of the battery pack 80 is exposed. The mounted battery pack 80 is not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30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pulls it. In this case, when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30 of the terminal, the battery pack 8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input key plate 50 (see FIG. 4).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cover for covering the battery pack 80, see the left figure.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80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oft pack' that is not separately casing, and even if the input key plate 50 is added,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해당 단말기의 고유한 사용 방법으로 사용을 하다가,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게임을 할 경우와 같이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를 단말기의 바디(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으로 드러나는 입력키(61,62)를 조작한다.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both hands, such as when sending a text message or playing a game, it is usually used as a unique method of using the terminal. The input key plates 50 ar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 of the terminal to manipulate the input keys 61 and 62 that ar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50.

즉, 입력키 플레이트(50)의 길이 방향 단부를 상기 단말기 바디(30)에 대하여 일측으로 밀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50)가 연결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단말기 바디(30)에 교차하는 위치로 위치된다. 그러면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 단부 부분이 단말기 바디(30)의 양측 단부 외측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에 구비된 입력키(61,62)들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키 플레이트(50)의 양측 단부를 양손으로 잡고 입력키(61,62)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input key plate 50 is push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30, the input key plate 50 is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shaft 70 to cross the terminal body 30. Is positioned to. Then,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2, both end portions of the input key plate 50 are positioned outside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30, thereby providing input key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50. (61,62) will be exposed.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input keys 61 and 62 by holding both ends of the input key plate 50 with both hands, which makes the operation very convenient.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 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is is mere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좌,우로 양측으로 펼쳐지는 보조적인 입력키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문자 입력이나 게임 수행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that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terminal body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input keys can be manipulated using both hands when inputting characters or playing game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기능화 및 경박단소화 되더라도,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우므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ultifunctional and light and small, it can be used very conveniently because it is easy for the user to operate.

Claims (3)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디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과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It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n input key plate on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to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부분에는 보조 입력키 들이 구비되어, Auxiliary input key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put key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이 상기 바디 양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When the input key plate is loc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covered by the body. When the input key plate is loc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the auxiliary input keys are located on the bod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배면에 연결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디에 일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바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 양측의 보조 입력키들이 조작가능하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The input key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by a connecting shaft, so that the auxiliary input keys on both sides of the input key plate are rot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from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expo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바디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에 의해 덮혀지고,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가 바디에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키 플레이트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배터리 수용홈이 형성되고,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facing the input key plate, when the input key plate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it is covered by the input key plate, and the input key plate is in a position crossing the body. The battery receiving groove is partially formed from the input key plate, 상기 배터리 수용홈에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입력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The battery receiving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condary input ke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pack is mounted.
KR1020040062930A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KR200600143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30A KR20060014300A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930A KR20060014300A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300A true KR20060014300A (en) 2006-02-15

Family

ID=3712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930A KR20060014300A (en) 2004-08-10 2004-08-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3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87B1 (en) * 2006-06-01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witching characters input mode according to rotation
KR101125367B1 (en) * 2010-04-08 2012-03-26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787B1 (en) * 2006-06-01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witching characters input mode according to rotation
KR101125367B1 (en) * 2010-04-08 2012-03-26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2747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EP18044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wo keypads
KR100678200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EP1594290B1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US771139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7899505B2 (en) Portable terminal
JP2004235687A (en) Portable radio terminal
US2010021651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KR10066355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movable keypad
US8301210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1430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key module
US200800687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489955B2 (en) Foldable mobile telephone with movable hinge unit
KR1006305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CA2688591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JP4573024B2 (en) Mobile device
US7302283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grip
EP142483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ata input expandability
KR100673521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key pad
KR100494653B1 (en) Central rotary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019822A (en) Folding type electronic device
US2010012494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KR100606375B1 (en) Sliding type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protecting main display
KR200370666Y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key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