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556B1 -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556B1
KR100630556B1 KR1020040114133A KR20040114133A KR100630556B1 KR 100630556 B1 KR100630556 B1 KR 100630556B1 KR 1020040114133 A KR1020040114133 A KR 1020040114133A KR 20040114133 A KR20040114133 A KR 20040114133A KR 100630556 B1 KR100630556 B1 KR 10063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rizontal
portable terminal
vertic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356A (ko
Inventor
임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5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가로형 카메라 센서를 90도(270도)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고, 미리보기 화면의 갱신시 카메라 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의 행과 열을 변환하여 스캔함으로써, 카메라 센서와 표시 장치의 가로 세로 비율의 물리적 차이점을 극복하여 표시 장치의 전화면에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미지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영상 신호의 행과 열을 도치, 스캔하여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미리보기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카메라 폰 등에 이용됨.
휴대 단말, 카메라 폰, 미리 보기,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Portable Camera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nversion 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부를 이용한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 세로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세로 변환 과정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RF부 102 : 데이터 처리부
103 : 오디오 처리부 104 : 키입력부
105 : 메모리 106 : 제어부
110 : 카메라 120 : 신호 처리부
130 : 가로세로변환부 140 : 표시부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형 카메라 센서로 획득한 영상를 세로형 표시부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수단을 이용한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 전화 단말기 및 이동 전화 서비스의 진화에 따라 카메라가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물리적인 형태는 대부분 가로형(Landscape)이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는 대부분 세로형(Portrait)의 액정표시장치(LCD)이다.
따라서, 카메라 콘트롤러 프로세서의 지원 없이 가로형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세로형 액정표시장치에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로 세로 형태의 물리적 차이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한다.
즉, 세로형 액정표시장치에 가득 차도록 미리보기(preview)를 구현하면, 액정표시장치와 카메라 센서의 가로 세로 비의 물리적 차이로 인하여 가로의 양옆이 잘려서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물리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는 UI(User Interface) 화면인 세로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부합하게 데이터를 읽어오도록 하기 위해서 시계방향으로 90도(270도) 돌려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장착된 카메라 센서에서 기존처럼 영상신호를 읽어 표시장치에 갱신하게 되면 사용자가 볼 때 90도(270도) 돌아간 이미지가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로형 카메라 센서를 90도(270도)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고, 미리보기 화면의 갱신시 카메라 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의 행과 열을 변환하여 스캔함으로써, 카메라 센서와 표시 장치의 가로 세로 비율의 물리적 차이점을 극복하여 표시 장치의 전화면에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미지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영상 신호의 행과 열을 도치하여 스캔하여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미리보기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부를 이용한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표시부를 이용한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F부(101)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RF부(1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02)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02)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03)는 데이터 처리부(102)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2)로 전송한다.
키입력부(104)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05)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6)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데이터 처리부(10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에서의 미리보기 화면 표시 시, 카메라 센서(11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가로세로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가로세로변환부(130)로 전송한다.
카메라(110)는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가로형 센서로서 CCD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는 세로 형태의 표시부(140)와의 물리적 형태의 일치를 위하여 세로로, 즉 90도(270도)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에 부착한다. 또한, 카메라(110)는 본 실시예에서 내장형을 가정하고 있지만, 외장형 카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 처리부(120)는 카메라(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가로세로변환부(13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세로형 표시부(14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가로세로변환부(130)는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표시부(140)는 LC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형 액정표시장치로 가정하나,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14)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4)는 상기 가로세로변환부(13)로부터 입력받은 가로세로 변환 신호를 입력으로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부(130)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세로변환부는 90(270)도 회전하여 부착된 카메라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소정의 열과 행으로 구성된 프레임 단위로 임시 저장하는 미리보기 버퍼(131) 및 비리보기 버퍼(131)에 저장된 프레임을 가로 세로 변환하여 스캔하는 스캔 변환부(13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 세로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버퍼(131)에 입력 저장되어 있는 영상 신호는 소정의 행(c1, c2, … , c(n-1))과 열(a1, a2, … , a(n-1)로 구성된 프레임이다.
스캔 변환부(132)는 상기 프레임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와 세로를 도치한 방향으로 스캔하여 프레임 단위로 갱신함으로써, 행과 열을 변환한 프레임인 가로세로 변환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40)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맨좌측 첫 화소를 시작으로 세로방향으로 한 행을 표시부의 첫열에 갱신하도록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세로 변환 과정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우선, 스캔 변환부(132)는 미리보기 버퍼(131)에 저장된 영상신호 프레임의 행을 스캔하여 열로 갱신하고, 열을 스캔하여 행으로 갱신한다(10).
이어서, 프레임의 끝인지를 판단한다(20).
상기 판단 결과(20), 프레임의 끝이 아닌 경우에는 프레임의 다음 행 또는 열로 이동하고 상기 "10"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고(30), 프레임의 끝인 경우에는 변환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로형 카메라 센서를 90도(270도)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고, 미리보기 화면의 갱신 시 카메라 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 프레임의 행과 열을 변환하여 스캔함으로써, 카메라 센서와 표시 장치의 가로 세로 비율의 물리적 차이점을 극복하여 표시 장치의 전화면에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P(Camera Control Processor) 또는 CAP(Camera Application Processor)의 도움 없이 카메라 센서와 표시 장치의 물리적 차이를 극복하여 좌우측의 잘림 없는 전화면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
    상기 촬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미지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영상 신호의 행과 열을 도치하여 스캔하여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미리보기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가로형 센서이고, 90도 회전한 형태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세로형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영상 신호를 소정의 열과 행으로 구성된 프레임 단위로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 수단; 및
    상기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레임을 가로 세로 변환 스캔하여 가로세로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스캔 변환 수단
    을 포함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변환 스캔은,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레임의 맨 좌측 첫 화소를 시작으로 세로방향으로 한 행을 첫열에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변환 스캔은,
    상기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레임의 행을 스캔하여 열로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레임의 열을 스캔하여 행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 단말기.
KR1020040114133A 2004-12-28 2004-12-28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KR10063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33A KR100630556B1 (ko) 2004-12-28 2004-12-28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33A KR100630556B1 (ko) 2004-12-28 2004-12-28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56A KR20060075356A (ko) 2006-07-04
KR100630556B1 true KR100630556B1 (ko) 2006-09-29

Family

ID=3716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33A KR100630556B1 (ko) 2004-12-28 2004-12-28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56B1 (ko) 2005-12-13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498B1 (ko) * 2007-10-29 2014-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관리 방법
CN109327651A (zh) * 2018-09-09 2019-02-12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计算机的摄像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56B1 (ko) 2005-12-13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56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18B1 (ko)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0518743B1 (ko) 전자카메라 및 촬영방향취득방법
KR1004652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20070285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imag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lurality of camera lenses
KR100689480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크기 변환방법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8261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9005254A (ja) 映像送信装置及び映像受信装置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KR20080106668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630556B1 (ko) 가로 세로 변환 표시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형 휴대단말기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JP397878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被写体画像の表示方法
KR100815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선택영역을확대하기 위한 방법
KR100663429B1 (ko) 줌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4154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2006008349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증명사진 촬영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547706B1 (ko) 티브이폰의 배경화면 등록방법
KR100611481B1 (ko) 디지털 줌 가능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JPH11187371A (ja) テレビ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リアルタイム画像伝送方式
KR100678027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영상처리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