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553B1 -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553B1
KR100629553B1 KR1019980709835A KR19980709835A KR100629553B1 KR 100629553 B1 KR100629553 B1 KR 100629553B1 KR 1019980709835 A KR1019980709835 A KR 1019980709835A KR 19980709835 A KR19980709835 A KR 19980709835A KR 100629553 B1 KR100629553 B1 KR 10062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nger
valve piston
for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6262A (en
Inventor
마틴 니쉬
Original Assignee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포이트 투르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98070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553B1/en
Publication of KR2000001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5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1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6/1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 G05D16/16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using pistons within the main val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4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the throttling means being a multiple-way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22Motor-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비례제어-방향제어 겸용 밸브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밸브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과 하나의 복귀관을 구비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공급관 및 복귀관의 측단면부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연부를 구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 상기 밸브 피스톤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상기 밸브 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장착되므로써, 상기 밸브 피스톤과 함께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밸브 피스톤의 개구부와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며, 그 입구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관과 직접 연통되므로 상기 복귀관의 압력을 상기 플런저에 인가시키는 연결오리피스,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장착된 플런저에 힘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플런저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힘의 크기가 상기 복귀관 내부압력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톱,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 내부의 상기 플런저에 상기 구동력에 반대되는 힘을 발생시키는 제 2에너지저장부를 구비한다.Disclosed is a proportional control-directional valve device. The valve device has a valve body having at least one supply pipe and one return pipe, moun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having a control edg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supply pipe and the return pipe in an axial direction. A movable valve piston, an actua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valve piston, an opening formed in the valve piston, at least partly mounted inside the opening, and thus axially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the valve piston. A plunger, formed between an opening of the valve pist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the inlet of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piston and is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return pipe so as to apply pressure of the return pipe to the plunger Force is applied to the orifice, the plunger mounted inside the valve bod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limit stop allow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to be determined by the return tube internal pressure, and a second energy store for generating a force opposite to the driving force on the plunger inside the valve body. A part is provided.

Description

비례제어-방향제어 겸용 밸브 장치{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비례식 밸브(Proportional Valve)와 방향 제어밸브(Directional Control Valve)의 기능을 겸용한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lve devic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a proportional valve and a directional control valve.

방향 제어밸브로도 불리는 비례식밸브는 다수 고안되었고 여러 출원에 적용되었다. 제어 플런저라고도 불리는 방향 제어밸브의 밸브 피스톤은 다양한 변형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다른 유압 연결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작동유체를 제어하고, 유체의 흐름에 있어서 방향의 변화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들은 그 공칭 폭(nominal width), 공칭 압력, 그리고 가능한 분배 옵션(possible distribution options)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방향 제어밸브의 주요 모듈(Module)은 제어장치이다. 밸브몸체 또는 제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밸브 피스톤은 직접적으로 유체 흐름을 전환한다. 상기 밸브 피스톤의 양단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는 상기 밸브 피스톤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부착된다. 설계변경은 개개의 밸브 구성요소들, 특히 밸브 몸체 내부의 밸브 피스톤의 상대적인 이동의 결과로 인한 부분적 겹침(overlap)에 의해 밸브의 닫힘이 시작되는 소위 스풀밸브(spool valve)에 종종 적용 된다. 상기 밸브들은 형상과 이동 유형에 의하여, 로터리 스풀밸브(Rotary Spool Valve), 세로 스풀밸브(Longitudinal Spool Valve), 그리고 상기 두 타입의 겸용 밸브로 분류된다. 상기 제어유닛 또는 밸브 유닛은 연결부의 수, 가능한 유압라인수, 그리고 가능 쉬프트위치수에 의하여 적절하게 분류된다. 밸브 피스톤의 제어 연부(Control Edges)와 밸브몸체는 이동 이벤트(shift events)의 정밀도에 특히 중요한 효과를 갖는다. 이들은 그 흐름영역을 조절하는 것(throttling)에 영향을 미치고, 그러므로 대개는 기계인 소비자(Consumer)의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어연부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시킴으로써 다양한 유동특성을 얻을 수 있다. 방향 제어밸브는 소정의 쉬프트위치를 제공한다.Proportional valves, also called directional control valves, have been designed and applied in many applications. The valve piston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lso called the control plunger, moves to various deformation positions to connect different hydraulic connections to control the working fluid, and a change in direction in the flow of the fluid can be achieved. The valv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nominal width, nominal pressure, and possible distribution options. The main module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is the control device. Valve pistons mounted inside the valve body or control housing directly switch fluid flow. An actuator is attached to at least one end surface of both end surfaces of the valve piston to generate an operating force required to move the valve piston. The design change is often applied to so-called spool valves where the closing of the valve is initiated by partial overlap as a result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dividual valve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valve piston inside the valve body. The valves are classified into rotary spool valves, longitudinal spool valves, and the two types of combined valves by shape and movement type. The control unit or valve unit is appropriately classified by the number of connections, the number of possible hydraulic lines, and the number of possible shift positions. Control edges and the valve body of the valve piston have a particularly important effect on the precision of shift events. These affect the throttling of the flow area, and therefore usually the speed of the consumer, a machine. Various flow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shape of the control edge.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provides a predetermined shift position.

비례식 방향 제어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연속가변형 방향 제어밸브로서 정의되며, 상기 밸브 피스톤의 밸브의 축방향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밀폐된 액추에이터의 압력에 의하여 입력된 수치에 비례하여 위치제어모드 또는 압력제어모드에서 제어된다. 전기적 연속가변형 제어밸브의 액추에이터는 제어자석들(솔레노이드들)로서 설계되며, 그것은 상기 밸브 피스톤이 전기적 입력수치에 비례하여 축방향 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해준다.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밸브몸체가 제공하는 두 개의 정지위치 내에서 어느 위치에도 연속적으로 조절가능 하므로 유압 소비자의 속도 제어와 조절에 있어서 유리하다. 그러한 밸브들은 예를 들면 다음 자료에 소개된다.The proportional directional control valve is preferably defined as an electrically controlled continuous variable directional control valve, wherein the axial movement of the valve of the valve piston is preferably in proportion to the value input by the pressure of the closed actuator. Or controlled in pressure control mode. The actuator of the electrically continuous variable control valve is designed as control magnets (solenoids), which allows the valve piston to facilitate axial movement in proportion to the electrical input value. Since the valve piston is continuously adjustable at any position within the two stop positions provided by the valve body, it is advantageous in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speed of the hydraulic consumer. Such valves are for example introduced in the following data.

1) Sales literature by Mannesmann Rexrodt:1) Sales literature by Mannesmann Rexrodt:

RD 29 586/09.89RD 29 586 / 09.89

RD 29 175/03.93RD 29 175 / 03.93

2) Sales literature by the Herion-Werke KG-Fluidtechnik Nr. 7502263,0503.922) Sales literature by the Herion-Werke KG-Fluidtechnik Nr. 7502263,0503.92

이러한 형태의 비례밸브들은 불리한 점을 갖는데, 그것은 바로 전자기적으로, 유압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어떤 다른 수단들에 의하여 발생하는 작동력(activation force)은, 그 밸브의 소비자 다운스트림에서 일어나는 최대 희망압력이 장시간(long term basis)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 압력에 노출되는 유효영역의 크기는 이러한 요구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낮은 압력들이 적절하게 낮은 작동력들에 따라 제어되어야 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희망하는 더 낮은 저압에서는, 제어과정동안 더 큰 압력변동성이 예상된다. 작동력의 범위의 증가는 보통 액추에이터의 크기의 증가를 초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추에이터가 전자석방식으로 설계되면, 자력의 기본적인 증가는 자화코일의 크기 증가를 낳고, 그 결과 더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크기가 증가된 자화코일에 결합된 전기도체의 비용이 증가하고, 전원소모 또한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이들 밸브를 사용하는 응용분야의 관점에서는, 밸브와 액추에이터의 크기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며, 그래서 유압 소비자내의 압력의 정밀한 조절은 항상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Proportional valves of this type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activation force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hydraulic, mechanical, or any other means is the greatest hope that occurs downstream of the valve's consumer. The pressure must be chosen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on a long term basis. The size of the effective area exposed to that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se requirements. However, this has the consequence that low pressures must be controlled according to appropriately low operating forces. At the lower pressures desired, greater pressure variability is expected during the control process. Increasing the range of operating forces usually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actuator. For example, if the actuator is designed in the electromagnet manner, the basic increase in magnetic force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magnetizing coil, which in turn requires more space. Furthermore, the cost of the electric conductor coupled to the magnetized coil increases in size, and the power consumption also increases. In general and in terms of applications using these valves,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ize of the valves and actuators, so precise control of pressure in hydraulic consumers is not always feasible.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형태의 밸브 장치를 더 발전시켜 앞서 주장된 단점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우 낮은 목표압력설정치에서의 압력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클러치 요소들이, 변환기(converter) 범위에서 동작하는 동안에 높은 토오크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것과 더불어, 비교적 저압에서 유체 클러치가 가능한 정밀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는 그런 요구사항들을 갖는 자동변속기에 적용 가능한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develop a valve arrangement of the type mentioned above so as to avoid the disadvantage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pressure fluctuations at very low target pressure set point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such requirements that the clutch elements need to deliver high torque while operating in the converter range, and that the fluid clutch needs to be controlled as precisely as possible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It is to provide a valve device applicable to the.

제 1압력범위 또는 비례범위(Proportional Range)(이 범위는 또한 1 내지 5 바(Bar)의 전체구동범위(Total Operating Range)에 대응할 수 있다)에서, 상기 밸브장치는, 가장 높은 정밀도와 가장 큰 작동력의 상태에서, 최대허용가능 작동력의 장점을 완전히 취하면서, 적어도 전류에 비례하는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밸브는 6 내지 20바 (Bar)의 제 2상승압력범위에서 정상적인 방향 제어밸브로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밸브장치는 유압 소비자 내의 가응 압력 수준과는 별도로 독립하여 전체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들을 달성하면서, 설계 복잡성과 비용이 최소화 되어야한다.In the first pressure range or proportional range (which can also correspond to the total operating range of 1 to 5 bar), the valve arrangement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precision and the largest In the state of actuation force, it should be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proportionally to the current,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maximum allowable actuation force. In addition, the valve must be capable of operating as a normal directional control valve in the second rising pressure range of 6 to 20 bar, which is capable of delivering the total pressure independently of the corresponding pressure level in the hydraulic consumer. That means you should be able to. In achieving these requirements, design complexity and cost should be minimized.

이 출원에서 기술된 해결책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잘 나타나 있다.The solution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is well represented by the features of claim 1.

밸브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supply channel)과 복귀관(return channel)을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밸브 피스톤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공급 및 복귀관의 횡단면영역들(cross-sectional areas)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연부(control edges)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명에 대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전체 작동범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작동력에 반대되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반대되는 힘은 상기 복귀관 내부의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밸브장치의 전체구동범위의 제 1구역을 정해주는 어떤 압력범위 내에서(이 제 1구역은 또한 상기 전체구동범위에 대응할 수 있음), 작동력의 가능한 범위는 유압소비자에서의 압력범위에 관하여 증가하고, 작동력과 상기 소비자에서의 최종 압력의 보다 민감한 조절을 증진한다. 그래서, 소비자 또는 복귀배관에서의 주어진 압력범위는 작동력에 있어서 종래의 비례식 밸브보다 더 넓은 범위를 요구한다. 이는 상기 작동력과 이 작동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 간의 평형상태에 이르는 것에 의해 상기 밸브 피스톤이 제어위치에 도달한 후에 이루어지는 데, 여기서 그 가압력은 상기 유압소비자 내의 압력의 함수로서 어떤 영역에 부하를 부과한다.The valve devic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t least one supply channel and a return channel, and a valve piston mounted inside the valve body and axially movable. The valve piston includes an actuator for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to the valve piston and control edges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of cross-sectional areas of the supply and return pipes. For this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verall operating range of the valve device is provided with means for generating a force opposite to the operating force. The opposite force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return tube. Within a certain pressure range that defines the first zone of the overall drive range of the valve arrangement (this first zone may also correspond to the entire drive range), the possible range of actuation force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range in the hydraulic consumer. To promote more sensitive control of the operating force and the final pressure in the consumer. Thus, a given pressure range in the consumer or return piping requires a wider range of operating force than conventional proportional valves. This is achieved after the valve piston reaches the control position by reaching an equilibrium between the actuation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ctuation force, where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a region as a function of the pressure in the hydraulic consumer. To impose.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밸브 피스톤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밸브 피스톤의 맨 끝까지 쭉 연장되는 내부 개구부, 상기 내부 개구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피스톤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지지하는 리미트 스톱, 그리고 상기 밸브 피스톤의 내부 개구부와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의 연결홀의 입(mouth)은, 그 전체구동범위, 그 비례범위의 명시된 부분에서 동작하면서, 그 연결홀이 복귀관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ar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valve piston and extending to the end of the valve piston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ctuator, the inner opening, mounted inside the inner opening and relative to the valve piston A movable plunger, a limit stop supporting the plunger, and a connection hole formed between an inner opening of the valve pist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wherein the mouth of the connection hol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piston includes: The connecting hole is arrang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turn pipe, operating in the specified portion of its entire drive range, its proportional range.

이와 같은 설계는 작동력과 마찰력사이의 가능한 가장 높은 비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케 해준다. 상기 마찰력은 밸브에서 압력 차이, 작동 유체의 오염수준, 밸브직경 또는 기타 설계관련 특징들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작동력은 액추에이터의 크기에 의하여 주로 한계가 주어진다. 전자석의 경우, 상기 자석의 크기는 제한적인 요소이다. 더 낮은 작동력범위에서도, 소비자 또는 상기 소비자에 연결된 복귀관 내의 더 낮은 압력 레벨들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design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the highest possible ratio between actuation and friction. The frictional forc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valve,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working fluid, the valve diameter or other design related features. The actuation force is mainly limited by the size of the actuator. In the case of an electromagnet, the size of the magnet is a limiting factor. Even at a lower operating force range, it is possible to adjust lower pressure levels in the consumer or return tube connected to the consumer.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본 발명에서 약술된 것처럼, 비례-방향제어의 조합으로서 설계된다. 유체를 배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작동력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제한하고 보상하는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장치는 플런저용 리미트 스톱과 연계되는 에너지저장부 형태로 설계되며, 상기 플런저에 작용하는 힘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복귀관과 상기 플런저 내의 압력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가압력이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의하여 발생하여 상기 플런저를 지지하는 반대방향의 힘을 능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 스톱은 더 이상 솔리드 스토퍼로서 기능하지 않고 대신에 그것은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상기 플런저와 밸브 피스톤의 사이에 위치한 추가적인 리미트 스톱에 의하여 제한된다. 일단 상기 플런저가 이와 같은 리미트 스톱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플런저는 상기 가압력의 방향으로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으며, 그래서 상기 밸브 피스톤만이 단독으로 상기 작동력에 응하여 이동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alve is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proportional-direction control, as out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fluid, the valve device further includes a device for limiting and compensat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cting against the actuation force. The device is designed in the form of an energy storage associated with a limit stop for the plunger and functions to limit the force acting on the plunger. The limit stop no longer functions as a solid stopper if the pressing force, determined by the pressure in the return tube and the plunger, is generated by the energy storage unit and exceeds th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supporting the plunger. Instead it is forcedly moved by the plunger. This movement is limited by an additional limit stop located between the plunger and the valve piston. Once the plunger has reached such a limit stop, the plunger can no longer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so that only the valve piston moves alone in response to the actuation for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장치는, 그 밸브장치의 전체 구동범위의 제 1부분을 결정하는, 그 유압 소비자에서의 적어도 제 1저압범위의 제어를 거의 최대 가능 작동력으로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반면에, 상기 밸브장치의 전체 구동범위의 제 2부분을 결정하는 어떤 고압범위에서는 그 밸브는 단독으로 방향제어밸브로서 기능한다. 이것은 상기 전체구동범위의 상기 제 2부분에 관해서 볼 때 상기 유압소비자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상기 복귀관에 있는 압력은 그 밸브장치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도 더 이상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정밀한 제어 성능이, 작은 명령수치(command values)에도 불구하고, 저압범위인 상기 밸브장치의 전체구동범위의 제 1구역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를 비례식 기능에서 방향 제어기능으로 전환하는 것은 상기 소비자내의 압력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그러한 전환의 시점은 그 밸브장치의 적절한 기하학적 및 역학적 설계 고려요소들(design considerations)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valve device facilitates controlling the control of at least the first low pressure range at its hydraulic consumer to a near maximum possible operating force, which determines the first part of the overall drive range of the valve device. In certain high pressure ranges, which determine the second part of the overall drive range of the valve device, the valve functions solely as a directional control valve. This means that when it comes to the second part of the entire drive range, the pressure in the return tube directly coupled to the hydraulic consumer no longer has any effect on the function of the valve arrangement. Thereby, precise control performance can be obtained in the first zone of the entire drive range of the valve device, which is in the low pressure range, despite the small command values. The switching of the valve device from the proportional function to the direction control function takes place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pressure in the consumer. The timing of such a change can be determined through appropriate geometric and mechanical design considerations of the valve device.

설계 구조면에서, 상기 밸브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을 수용하는 중간공(center bore)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공은, 연관되는 챔버들과 조합을 이루어, 소위 압력격실들(pressure compartments)을 형성하는 데, 이들 압력격실들은 상기 중간공 내의 밸브 피스톤의 위치에 대응하여 공급라인과 복귀라인, 바람직하게는 유압 소비자에 연결된 복귀라인간의 연결을 허용해준다. 나아가, 상기 밸브 피스톤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Plunger)를 수용하는 내부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런저는 에너지저장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미트 스톱(Limit Stop)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그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플런저, 더 자세하게는 상기 리미트 스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대면하고 그 밸브 피스톤의 내부 개구 안으로 연장되는 상기 플런저의 단부(end-face)는 상기 연결홀을 통하여 상기 소비자에 연결된 복귀라인 또는 연결라인의 압력에 노출된다. 오리피스(orifice)의 목적은 상기 내부 개구부를 복귀 흐름의 영역 내의 비례범위에 위치한 밸브 피스톤의 외주면과 서로 연통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는 개념적으로 설계되어서 제 1종단위치(end position)에서, 상기 공급관과 복귀관 사이의 연결-상기 소비자에 대한 연결-은 차단된다.In design, the valve device has at least one valve body having a center bore for receiving an axially movable valve piston. The mesopores, in combination with the associated chambers, form so-called pressure compartments, which correspond to the supply and return lines, preferab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in the mesopores. All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turn lines connected to the hydraulic consumer. Furthermore, the valve piston has an inner opening for receiving a plunger that is axially movable. The plunger is limited in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by a limit stop supported by the energy storage unit. An end-face of the plunger, more particularly facing away from the limit stop and extending into the inner opening of the valve piston,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of a return line o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connection hole. Exposed. The purpose of the orifice is to provide a path for communicating the inner opening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located in a proportional range within the region of the return flow. The valve is conceptually designed so that in the first end pos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ly line and the return line—the connection to the consumer—is shut off.

상기 밸브몸체 내에서의 상기 밸브 피스톤을 작동하는 능력은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액추에이터는 전자기 액추에이터이다. 다른 가능성들, 예로서 전기-유압식 액추에이터도 타당성이 있다. 연속적인 제어를 원할 때,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힘 Fapplication에 의해 작동된다. 이것은 상기 압력격실들 간의 연결이 수립되도록 해주는 데, 그 압력격실들은 중간공뿐만 아니라 중간공에 의해 입구에 연결된 챔버와 출구에서의 챔버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소비자로 흐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내부 개구와 상기 복귀 영역에 있는 밸브 피스톤의 외부 사이의 연결 오리피스를 가로질러 어떤 압력 레벨이 얻어지고, 그것은 밸브 몸체내의 리미트 스톱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 작용한다. 그것에 의해 평형조건이 생성된다. 그것은 상기 작동력이 가압력과 같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기 가압력은 상기 플런저 구역에 작용하는 소비자의 압력의 결과이다. 에너지저장부를 밸브 피스톤과 상기 밸브 피스톤의 내부 개구부에 장착된 플런저 사이에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로부터 얻어지는 힘은 상기 가압력에 더해진다.The ability to actuate the valve piston in the valve body is provided by an actuator. Preferred actuators are electromagnetic actuators. Other possibilities, such as electro-hydraulic actuators, are also feasible. When continuous control is desired, the valve piston is actuated by a force F application exerted by the actuator. This all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ure compartments to be established, which are formed by the chamber at the outlet and the chamber connected to the inlet by the mesopores as well as the mesopores. As a result, the working fluid can flow from the supply pipe to the consumer. At the same time a certain pressure level is obtained across the connection orifice between the inner opening and the outside of the valve piston in the return region, which acts on the end of the plunger supported by the limit stop in the valve body. This creates an equilibrium condition. It means that the actuation force is equal to the pressing force, where the pressing force is a result of the pressure of the consumer acting on the plunger zone. By providing additional energy storage between the valve piston and the plunger mounted in the inner opening of the valve piston, the force obtained therefrom is added to the pressing force.

상기 플런저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일부인 리미트 스톱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의하여 발생한 힘은 최대 희망 비례압력에서 플런저의 힘에 상응한다. 따라서, 전체 비례범위에서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상기 리미트-스톱의 위치는 변화가 없다.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예비-부하는 지정된 최대목표 비례압력을 위한 직접설정값의 역할을 한다.The plunger is supported by a limit stop that is part of the energy store. The force generated by the energy store corresponds to the force of the plunger at the maximum desired proportional pressure. Therefore, in the entire proportional range, the force applied by the energy storage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imit-stop does not change. The preload of the energy store serves as a direct setpoint for the specified maximum target proportional pressure.

다만, 상기 소비자에서 조절된 압력이 상기 리미트 스톱과 연결된 에너지저장부에 의하여 발생된 힘보다 큰 힘을 상기 플런저에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플런저는 돌출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 피스톤 속으로 통합된 것과 같은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톱에 상기 플런저가 기대도록 상기 에너지저장부를 압축하게 된다. 이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소비자의 내부 압력은 상기 밸브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밸브 피스톤의 위치는 상기 방향 제어밸브의 경우와 같이 오직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외부힘에 의하여 결정된다.However, if the pressure regulated at the consumer generates a force on the plunger that is greater than the force generated by the energy storage associated with the limit stop, the plunger is protruded and shaped as integrated into the valve piston. Compress the energy store so that the plunger rests against at least one limit stop. When this state is reached, the consumer's internal pressure no longer acts on the valve.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is determined only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actuator and the energy store, as in the case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비례 기능과 방향 제어기능 및, 그러한 두 기능들을 가지는 밸브장치의 응용품들은 자동변속기 상에서 본 발명의 의도(intent)에 합당하도록 설계되고, 쉬프트 압력은 예를 들면, 모든 쉬프트 이벤트들이 비례범위 안에 놓이도록 하고, 오직 높은 압력 범위가 전동토크를 위해 일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Proportional and directional control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valve devices having both of these functions are designed to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utomatic transmissions, and the shift pressure is, for example, such that all shift events are within the proportional range. And only a high pressure range can be arranged to work for the electric torque.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의 보다 민감한 성능에 더하여,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과 같은, 그것에 의해 다양한 설계 요구들이 오직 하나의 밸브장치에 의해 만족되어질 수 있다는 다른 실질적 이점들도 있다. 이러한 이점들은 상기 소비자에게 고압을 제공하고 이러한 고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능력뿐만 아니라 특히 저압수준들에서 작동력과 소비자의 최종힘의 보다 민감한 조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more sensitive performance of the valve for regulating pressure, there are other practical advantages, such as broad applicability, whereby various design requirements can be satisfied by only one valve arrangement. These advantages include the ability to provide high pressure to the consumer and to maintain this high pressure as well as more sensitive adjustment of the operating force and the consumer's final force, especially at low pressure levels.

예를 들어, 개개의 압축 스프링들 또는 스프링 팩과 같은 압력 저장 유닛의 형태로 이 에너지 저장 유닛들을 설계하는 것은 이점이다. 탄성막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advantageous to design these energy storage units in the form of pressure storage units such as individual compression springs or spring packs. It is also possible to use elastic membranes.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리미트 스톱에 연결된 에너지저장부 없이 순수한 비례식 밸브로 작동가능하다.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설계에 의하여 순수한 방향 제어밸브로 작동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작동력은 즉시 상기 밸브 피스톤의 움직임을 끝부분으로 이끄는 데, 그 것은 상기 에너지저장부에서의 매우 낮은 예비-부하를 선택함에 의하여 성취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저 예비-부하는 작은 비례범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큰 예비-부하는 큰 비례범위를 발생시킨다. 이는 다른 요구들에 대하여 적은 노력으로, 오직 사소한 변경을 통해 적합하게 되어질 수 있는 청구항 13에 따른 소형 베이스 밸브유닛을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에 의해 개개의 구성요소들은 모듈의 개념을 활용하여 설계되어질 수 있다.The valve device is operable as a pure proportional valve without an energy storage connected to the limit stop. Alternatively, the energy storage may be operated by a pure direction control valve. Thus, the actuation force immediately leads the movement of the valve piston to the end, which can be achieved by selecting a very low pre-load in the energy store. The low pre-load of the energy store produces a small proportional range, and the large pre-load of the energy store produces a large proportional range.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pact base valve unit according to claim 13 which can only be adapted via minor modifications with little effort to other requirements. Thereby individual components can be designed utilizing the concept of modul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 장치는 어떠한 형태의 액추에이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적, 기계적, 유압적 또는 다른 어떠한 수단의 액추에이터의 사용도 가능하다.The valv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comprise any type of actuator. The use of actuators by electromagnetic, mechanical, hydraulic or any other means is also possible.

전자기적 액추에이터는 코일과 아머츄어(armatur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을 구비한다.The electromagnetic actuator has at least one electromagnet comprising a coil and an armature.

작동력이 전자기적으로 발생되는 밸브들에는 다른 양상이 있는 데, 그 것은 "비례식 밸브"와 "방향 제어밸브" 각각의 기능적 상태들에 대해 상기 밸브 피스톤 또는 상기 아머츄어의 다른 변위한계들을 할당하기 위한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방향 제어밸브"상태에서 자화코일의 낮은 전류소모의 이점을 가지는데, 이는 상기 방향 제어밸브상태가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따라서, 밸브제어를 위한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가열과 코일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다. 상기 비례범위에서 최대가능변위는 전체변위의 80%이다. 이 값으로부터의 사소한 벗어남은 가능하다.There are other aspects of valves in which actuation force is electromagnetically generated, which is to assign different displacement limits of the valve piston or the amateur for the functional states of the "proportional valve"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respectively. Is to have the ability. This has the advantage of low current consumption of the magnetizing coil i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state, which takes most of the time, and therefore, in terms of heating and coil durability as well as hardware for valve control. Most important. The maximum possible displacement in the proportional range is 80% of the total displacement. Minor deviations from this value are possibl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장치의 두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1A and 1B are state diagrams showing two operating states of a val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비례식 밸브와 본 발명에 따른 비례식-방향제어밸브의 작동곡선을 비교한 그래프; 특유하게, 상기 소비자에서의 목표압력과 자력의 크기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Figure 2 is a graph comparing the operation curve of the proportional-typ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roportional valve; Unique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in the consumer;

도 3은 자화코일 또는 밸브 피스톤의 자력과 변위사이의 관계를 각각 보여주는 그래프;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etic force and displacement of the magnetizing coil or valve piston, respectively;

도 4는 비례식 밸브와 방향제어밸브에 요구되는 전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current required for the proportional valve and the direction control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례식-방향제어밸브(1)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밸브장치의 부분단면에 의해 단순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전자기적으로 제어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전자석(2)이 구비된다. 상기 비례-방향제어밸브(1)는 밸브 피스톤(5)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 내부에 장착되는 중간공(4)이 형성되는 밸브몸체(3)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공(4)의 주위에는 복수개의 연결부, 즉 적어도 2 개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는 여기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의 중간공(4)으로 연장된 연결관들(6,7,8, connecting channels)의 형태로 보여 진다.1 shows a simplified design and functionality of a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valve arrangement.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valve is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For this purpose, an electromagnet 2 is provided. The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1 has a valve body 3 in which an intermediate hole 4 is formed, in which the valve piston 5 is movably mounted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that is, at least two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around the intermediate hole 4. The plurality of connections are here shown in the form of connecting channels 6, 7, 8, which exten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to the inner intermediate hole 4.

연결관(6)은 공급관이며, 연결관(7)은 복귀관이다. 상기 연결관(6,7,8)은 상기 연결관들의 영역 안에 위치하는 부가적인 챔버들(9,10,11)을 가지는 상기 중간공(4)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들은 중간공(4)에 연결되며 중간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주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몸체 내부로 가공되는 상기 챔버(9,10,11)는 중간공(4)과 함께 밸브몸체(3)의 제어연부를 형성한다.The connecting pipe 6 is a supply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7 is a return pipe. The connectors 6, 7, 8 ar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hole 4 with additional chambers 9, 10, 11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connectors. The connecting tubes are connected to the mesopores 4 and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a circumference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sopores. The chambers 9, 10, 11 processed into the valve body form a control edge of the valve body 3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hole 4.

상기의 경우, 밸브 피스톤(5)은 그 축을 따라 다른 직경을 갖도록 설계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밸브 피스톤에는 도면부호 12 및 13으로 표시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두 부분이 형성된다. 서로 다른 직경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밸브 피스톤(5)상에 제어 연부(14,15,16)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제어연부(14,15,16)와 밸브몸체(3)의 제어연부는 정밀한 제어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제어연부는 유동부의 조절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비례-방향제어 밸브장치(1)의 하류(downsteram)에 있는 기계 또는 소비자의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중간공(4)과 밸브 피스톤(5)의 외부형상에 의하여 그 형상이 결정되는 챔버(9,10,11)는 가변성의 압력구획들(pressure compartments)을 형성한다. 다른 유동특성들은 상기 제어연부의 적절한 형상가공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valve piston 5 is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along its axis. As shown, the valve piston is formed with two parts having smaller diameters, indicated at 12 and 13. Control edges 14, 15, 16 are formed on the valve piston 5 by different diameter differences. The control edges 14, 15 and 16 of the valve piston 5 and the control edges of the valve body 3 have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precise control. The control edge affects the speed of the machine or consumer downstream of the proportional-directional valve device 1 by affecting the regulation of the flow section. The chambers 9, 10, 11 whose shape is determined by the exter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hole 4 and the valve piston 5 form variable pressure compartments. Other flow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proper shaping of the control edges.

상기의 경우는 세 연결부가 형성된 밸브장치(1)를 보여준다. 연결관(6)은 챔버(9)와 중간공(4)에 의하여 형성된 압력구획과 압력공급원을 연결시킨다. 연결관(7)은 챔버(10)와 중간공(4)에 의하여 형성된 압력구획과 소비자(도시안됨)를 연결시킨다.In this case, the valve device 1 with three connections is shown. The connecting pipe 6 connects the pressure compartment and the pressure supply source formed by the chamber 9 and the intermediate hole 4. The connecting tube 7 connects the pressure compartment formed by the chamber 10 and the intermediate hole 4 with the consumer (not shown).

밸브 피스톤(5)에는 축방향을 따라 그 단부로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개구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의 내부에는 플런저(21)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플런저(21)는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완전히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밸브 피스톤(5)의 단부(22)를 넘어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플런저(21)가 밸브 피스톤(5)의 개구부(20)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는 그 단부(23)의 부근에 돌출 플랜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23)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단부(22)에 대하여 반대방향을 향한다. 상기 돌출 플랜지는 분리된 부재, 예를 들면 고리형 부재가 상기 플런저(21)에 결합, 압착 또는 나사결합되도록 설계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플런저와 플랜지는 일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는 전외주면의 주위에 돌출되는 단일유닛이 될 수도 있고, 특별한 방식으로 원주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단편들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The valve piston 5 is formed with an opening 20 forme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at its 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plunger 21 is mounted inside the opening 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 plunger 21 may be located at different points. The plunger may be located completely inside the opening or may protrude from the opening and protrude beyond the end 22 of the valve piston 5. In order to prevent the plunger 21 from falling out of the opening 20 of the valve piston 5, the plunger has a protruding flange in the vicinity of its end 23. Thus, the end 23 faces away from the end 22 of the valve piston. The protruding flange may be designed such that a separate member, for example an annular member, is coupled, compressed or screwed to the plunger 21. However, the plunger and the flange are preferably integrated. The flange may be a single unit projecting around the periphery, o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a special manner.

또한, 상기 개구부(20)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구역(25)과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구역(26)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 2구역은 상기 플런저(21)를 수납하고 안내한다. 상기 제 1구역은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설계되는 에너지 저장유닛(27)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20 is divided into a first zone 25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 second zone 26 having a smaller diameter. The second zone houses and guides the plunger 21. The first zone is used to receive an energy storage unit 27 which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spring.

상기 밸브 피스톤의 단부(22)의 주위에는, 상기 액추에이터(2, 이 경우에서는 전자석)로부터 이격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미트 스톱(28)이 장착된다. 상기 리미트 스톱에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단부 또는 적어도 상기 플런저(21)의 단부(30)의 부분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 스톱(28)은 에너지저장부(31, F2), 이 경우에서는 압축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된다.Around the end portion 22 of the valve piston, an axially movable limit stop 28 is mounted away from the actuator 2, in this case an electromagnet. The limit stop acts on the end of the valve piston or at least part of the end 30 of the plunger 21. Thus, the limit stop 28 is supported by the energy storage units 31, F2, in this case compression springs.

현안의 디자인은 두 경계위치를 보여준다. 제 1경계위치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이 표현은 0-유동상태를 나타낸다. 그에 의해, 상기 연결관(복귀관, 7)에 연결된 소비자에는 부하가 전혀 걸리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연결관(공급관, 6)을 통한 압력공급은 차단된다. 이 상태는 제어연부(14 내지 16)가 챔버(9)와 중간공(4)에 의하여 형성된 압력구획과 상기 소비자에 연결된 각각의 압력구획 사이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한 결과이다. 따라서, 상기 소비자에 연결되는 연결관(7)인 복귀관은 막혀있다.The current design shows two boundary positions. The first boundary position is shown in FIG. 1A. This representation represents a zero-flow state. Thereby, the load connected to the consum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return pipe) 7 is not applied at all, and the pressure supply through the connecting pipe (supply pipe 6) is cut off. This state is the result of preventing the control edges 14 to 16 from communicating between the pressure compartment formed by the chamber 9 and the intermediate hole 4 and each pressure compartment connected to the consumer. Thus, the return tube, the connecting tube 7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sumer, is blocked.

도 1b는 비례식 밸브로서의 기능을 하는 변형된 위치에서의 비례-방향제어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석(2)을 포함하는 상기 액추에이터는 최소한 하나의 컨덕트, 예를 들면 전류에 의하여 자화되며 전자석의 부분인 코일에 통합시킨다. 상기 전기적 전류 값은 소비자의 바람직한 목표치에 부합되는 목표설정값에 상응한다. 상기 소비자에서의 바람직한 목표압력 값의 상세(specification)는 또한, 조절된 압력 W pASoll 으로도 불리며, 간단한 연산 또는 룩업테이블, 또는 메모리 장치에 기억된 실행곡선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방법론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며, 여러 가지 중의 오직 하나이다. 상기 밸브장치(1)에 의한 압력조정 또는 압력조절은, 예를 들면, 제 1제어회로의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데, 이는 여기에서는 기술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회로에 입력되는 수치는 복귀관에서 조절된 압력 PA 1st의 연속적으로 갱신되는 실제 값뿐만 아니라 상기의 복귀 또는 복귀관에서 목표로 하는 바람직하게 조절된 압력 값 W PA soll을 포함한다. 밸브장치(1)는 여기에서 상기 (조절된)압력의 조절을 위한 최종 제어요소로 일한다. 상기의 경우 이 최종제어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명령 값은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자력 F magnet의 값이다. 상기 자력 F magnet 는 상기 연결관(6,7,8)사이의 각 유동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밸브장치(1)의 밸브 피스톤(5)의 위치를 변환시키는 데 필요한 요구되는 작동력에 상응한다. 자력 F magnet의 조절은 상기 압력제어회로의 보조회로인 다른 제어회로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제 2제어회로에 입력되는 수치는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자력 F magnet를 위한 참고 변수이다. 상기 자력 F magnet에 따라, 상기 밸브 피스톤은 플런저(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것에 의해, 챔버(9)와 중간공(4), 챔버(10)와 중간공(4)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압력구획들이 연결된다. 상기 압력구획들 간의 연결은 공급관(6)과 (소비자에 연결된)연결관(7)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챔버(9)와 챔버(10)의 각각과 중간공(4)에 의해 형성된 압력구획들 간의 연결에 의하여 어떤 압력 P 1st 가 연결관(7)에 작용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은 밸브 피스톤(5)의 외면으로부터 내부구획(20)를 향해 내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연결 오리피스(36)를 통하여 전달된다.Figure 1b shows a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in a modified position that functions as a proportional valve. The actuator comprising an electromagnet 2 is integrated into a coil which is magnetized by at least one conductor, for example a current, which is part of the electromagnet. The electrical current value corresponds to a target setting value that meets the desired target value of the consumer. The specification of the desired target pressure value in the consumer is also referred to as the adjusted pressure W pASoll and can be completed by simple calculations or lookup tables or by execution curve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The methodology described below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only one of many. The pressure regulation or pressure regulation by the valve device 1 is generated, for example, by means of the first control circuit, which is not described herein. The value input to this control circuit includes not only the continuously updated actual value of the pressure P A 1st adjusted in the return tube but also the preferably adjusted pressure value W PA soll targeted in the return or return tube. The valve device 1 here serves as the final control element for the regulation of the (regulated) pressure. The command value affecting this final control element in this case is the value of the magnetic force F magnet which affects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5. The magnetic force F magnet corresponds to the required operating force required to shift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5 of the valve device 1 to open each flow s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tubes 6, 7, 8. The adjustment of the magnetic force F magnet is performed by another control circuit which is an auxiliary circuit of the pressure control circuit. The numerical value input to the second control circuit is a reference variable for the magnetic force F magnet generated by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magnetic force F magnet , the valve piston is moved axially relative to the plunger 21. Thereby, the respective pressure compartments formed by the chamber 9 and the intermediate hole 4, the chamber 10 and the intermediate hole 4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ure compartments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he supply tube 6 and the connecting tube 7 (connected to the consumer). A certain pressure P 1st acts on the connecting pipe 7 by the connection between each of the chambers 9 and 10 and the pressure compartments formed by the intermediate holes 4.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transmitted through a connecting orifice 36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toward the inner compartment 20.

상기 압력은 단부(23)에 의하여 형성된 플런저 구역에 인가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자력 F magnet 형태의 작동력은 에너지저장부(F1)에 의하여 발생된 힘과 상기 소비자의 압력 P 1st와 상기 단부(23) 영역의 플런저의 면적 A의 곱을 합한 압력 F druck에 상응함으로써, 항상 균형을 이룬다.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unger zone defined by the end 23. By the above process, the acting force in the form of magnetic force F magnet is the pressure F druck which is the sum of the force generated by the energy storage unit F1 and the product of the pressure P 1st of the consumer and the area A of the plunger in the end 23 region. By correspondence, they are always balanced.

플런저(21)는 압축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유닛으로 설계된 예비부하 에너지저장부(31, F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의 예비-부하는 바람직한 최고 비례압력에서의 플런저(21)의 힘에 일치함으로써, 전체 비례범위동안, 상기 스프링 유닛에서는 아무런 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The plunger 21 is supported by the preload energy storage units 31 and F2 designed as spring units in the form of compression springs. By matching the preload of the spring unit to the force of the plunger 21 at the desired maximum proportional pressure, no change occurs in the spring unit during the entire proportional range.

플런저(21)에, 보다 정확하게는, 플런저(21)의 단부의 표면(A)에 상기 스프링 유닛(31)의 예비-부하의 힘보다 더 높은 조정된 압력 P 1st 가 인가되자마자, 플런저(21)는 스프링 유닛(31)을, 더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팩을 상기 플런저가 견부(S) 또는 밸브 피스톤(5)의 단부 주위 구역의 리미트 스톱에서 멈출 때 까지 압축한다. 이 상태에 도달하자마자, 소비자 또는 상기 소비자를 연결관(7)에 연결하는 연결관 내의 압력은 더 이상 밸브장치(1)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이제 방향제어밸브의 경우처럼, 밸브 피스톤(5)은 자석에 의해, 특히 전자석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에너지저장부(31, F2)에 의하여,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프링 유닛에 의해 작용되는 오로지 외부힘에 의존한다.To the plunger 21, more precisely, as soon as the adjusted pressure P 1st is applied to the surface A of the end of the plunger 21 higher than the pre-load force of the spring unit 31, the plunger 21 ) Compresses the spring unit 31, more specifically, the spring pack until the plunger stops at the limit stop of the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shoulder S or the valve piston 5. As soon as this state is reached, the pressure in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consumer or the consumer to the connecting pipe 7 can no longer affect the valve device 1. Now as in the case of the directional valve, the valve piston 5 is solely external force acted by a magnet, in particular by an electromagnet and by the energy storages 31, F2, more specifically by the spring unit. Depends on

밸브 피스톤(5)은 상기 자력 F magnet 이 매우 조금 증가함에 따라 리미트 스톱(28)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그리고 방해 없이 오일과 같은 작동유를 위해 소비자에게 유로를 개방한다.The valve piston 5 continuously moves axially towards the limit stop 28 as the magnetic force F magnet increases slightly and opens the flow path to the consumer for hydraulic oil such as oil without obstruction.

작동력을 직접 밸브 피스톤에 작용시키는 플런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그 표면에 연결관(7)의 압력이 작용하는 플런저(21)에 의하여, 비례범위에서는 밸브 피스톤(5)에서의 작동력은 항상 연합된 반대힘을 가지고, 그 결과 상기 밸브 피스톤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저작동력을 필요로 한다.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plunger that directly acts on the valve piston, the plunger 21 acts on the surface of the valve 7 so that in the proportional range the actuation force on the valve piston 5 is always associated. With a counter force, which results in the need for a masticating force to move the valve piston axial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례-방향 제어밸브의 구동특성을 복귀압력 또는 소비자에 연결된 연결관(7)의 내부압력과 자력 F의 관계를 반영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urn pressure o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necting pipe 7 connected to the consumer and the magnetic force F.

이 목적을 위하여, 자력 F는 X축에 도시되고, 상기 복귀압력은 Y축에 도시된다. 목적들을 비교하기 위해, 종래의 비례밸브의 구동곡선이 도시되어지고, 이는 문자 I로 표기된다. 이 그래프로부터, 상기 압력P 1st는 상기 자력 F에 선형적으로 변하는 것은 명백하다.For this purpose, the magnetic force F is shown on the X axis and the return pressure is shown on the Y axis. To compare the objectives, a drive curve of a conventional proportional valve is shown, which is denoted by the letter I. From this graph, it is clear that the pressure P 1st changes linearly with the magnetic force F.

그러나, 본 발명에 제공된 해법은 보다 넓은 범위의 비례범위를 가능하게 한다. 그 것은 이 구역에서의 선의 기울기가 구동곡선 Ⅱ에 보여지는 것처럼 보다 완만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비례범위에 인접한 것이 소위 말하는 방향제어범위이고, 그 안에서는 압력 제한이 발생되지 않는다.However, the solu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wider range of proportionality. This means that the slope of the line in this zone is gentler, as shown by the drive curve II. Adjacent to the proportional range is the so-called directional control range, in which no pressure limitation occurs.

보다 큰 자력범위 F에 대하여 확장된 비례범위는 자력 F에 대한 소비자에서의 목표압력의 보다 민감한 조절을 허용한다.The extended proportional range for the larger magnetic force range F allows more sensitive control of the target pressure at the consumer for the magnetic force F.

도 3은 더 개선된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에 요구되는 자력의 구동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상기 작동력은 전자기적으로 발생한다.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drive curve of the magnetic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d. The operating force is electromagnetically generated.

상기 액추에이터는 코일과 아머츄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을 구비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아머츄어는 상기 코일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장속에서 이동 가능하다. "비례식밸브"와 "방향제어밸브"의 각 기능적 상태에서 상기 자력의 구동 곡선의 다른 이용의 결과에 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방향제어밸브"상태에서 구동하는 동안 상기 자화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상기 자화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를 줄이는 것은 특별히 유리한 점인 데, 이는 상기 전체 작동범위의 제 2구역은, "방향 제어밸브" 기능이 일반적으로 시간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므로,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위한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의 내구성과 가열의 측면에서 가장 의미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변위제한들을 통하여 달성된다. 그래서, 예로서 도시된 것처럼, 3.2 내지 0.7의 변위 범위는 "비례식 밸브" 기능 상태로 활용되고, "방향제어밸브" 상태에서 상기 리미트 스톱은 변위 0에서 사용된다. 그것에 의해, 여기에서 변위는 아머츄어의 변위 또는 상기 아머츄어에 결합된 밸브 피스톤의 변위로 언급된다.The actuator has at least one electromagnet having a coil and an amateur. Thereby, the armature is movable i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As a result of the different use of the drive curve of the magnetic force in each functional state of the "proportional valve"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the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zing coil while the actuator is operating i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of lowering. Reduc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zing coil is of particular advantage, since the second zone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is intended for controlling the valve since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function generally takes the largest part of the time. This is because it is the most meaningful part in terms of durability and heating of the coil as well as hardware. This is achieved through other displacement limits. Thus, as shown by way of example, a displacement range of 3.2 to 0.7 is utilized in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al state, and in the "directional valve" state the limit stop is used at displacement zero. Thereby, the displacement is referred to herein as the displacement of the armature or the displacement of the valve piston coupled to the armature.

상기 리미트 스톱 위치에서 상기 자력의 목표된 높이기 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석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는 비례식 밸브로서의 작동을 위한 드로우 백(draw back)의 발생 없이 중대하게 감소될 수 있다.By means of the targeted raising means of the magnetic force in the limit stop positi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 coil can be greatly reduced without the occurrence of a draw back for acting as a proportional valve.

"비례식 밸브" 기능상태인, 상기 전체작동범위의 제 1구역에서, 상기 자력은 대략 일정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오직 전류의 함수이고, "방향제어밸브" 기능상태인 제 2구역에서 자력이 심하게 증가한다는 것은 도 3으로부터 명백하다.In the first zone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in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al state, the magnetic force is approximately constant, a function of onl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severely in the second zone i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functional state. It is evident from FIG.

설계 전망으로부터, 이러한 제한들은 밸브의 예비-부하 스프링 팩을 통해 "비례식 밸브" 기능을 위한 변위제한의 실현에 의해 해결될 수 있고, "방향제어밸브" 상태에서는 상기 자화코일에서의 제 2리미터 스톱이 유효하게 된다. 상기 밸브의 스프링 팩은 플런저에 상기 복귀관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 힘을 작용시킨다.From the design perspective, these limitations can be solved by the realization of the displacement limit for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 via the pre-load spring pack of the valve, and in the "directional valve" state the second limiter stop at the magnetizing coil. This becomes valid. The spring pack of the valve exerts a force on the plung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return tube and on the end of the plunger.

상기 그래프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전체 작동범위의 제 1구역, 즉 "비례식 밸브 기능"의 구역에서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변위범위는 전체 작동범위의 80% 또는 더 많은 범위를 사용하며, 이에 반하여 "방향제어밸브" 기능상태는 대략 20% 또는 더 적은 범위를 사용한다. 이 수치들로부터의 사소한 벗어남은 가능하다.As shown in the graph, in the first zone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ie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valve piston uses 80% or more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whereas the “direction The control valve "functional state uses approximately 20% or less range. Minor deviations from these figures are possible.

"비례식 밸브" 기능상태에서, 상기 밸브 피스톤의 제어위치는 주로 그 변위 범위의 중간에 위치한다. 제어동안 또는 예를 들면 충전 후, 상기 압력은 제어스풀의 특정위치와 독립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압력은 충전으로부터 제어까지 변이동안 오버슈트(overshoot)없이 바람직한 값을 찾는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 the control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is mainly in the middle of its displacement range. During control or for example after filling, the pressure must be determined independently of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control spool. This means that the pressure finds the desired value without overshoot during the transition from filling to control.

도 4는 "비례식 밸브"와 '방향제어밸브" 기능을 위한 전류의 흐름에 대한 특성압력곡선을 도시한다. 상기 그래프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화코일에 필요한 전류흐름의 범위는 I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류흐름은 Ⅱ로 표기되어 있고, 상기 방향제어밸브가 활동력을 잃게 하기 위한 임계 전류흐름을 나타내는 특성라인은 Ⅲ으로 표기되어 있다.Figure 4 shows the characteristic pressure curve for the flow of current for the "proportional valve"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functions, where in the graph, the current flow required for the magnetizing coil to reliably block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The range is indicated by I. The current flow required to operate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is indicated by II and the characteristic line representing the critical current flow for causing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to lose its active force is indicated by III.

상기 밸브장치가 자동변속기에 장착될 때, 상기 밸브장치는 a) 충전동안, b) 동기화과정동안의 적어도 두 영역에서 "비례식 밸브" 기능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활동적이다.When the valve device is mounted on an automatic transmission, the valve device is active while maintaining the "proportional valve" functional state in at least two areas during a) filling and b) during the synchronization process.

충전과정에 있어서, 소정의 초기압력이 조건으로 지정된다. 상기 충전과정 그 자체는 a) 조절되어, b) 조절되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경우, 상기 밸브 피스톤은 충전기간 동안 리미트 스톱에,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리미트 스톱 0.7에 위치한다. 조절된 충전과정의 경우, 상기 밸브 피스톤은 충전기간 동안 상기 제어위치에 위치한다.In the filling process, a predetermined initial pressure is specified as a condition. The filling process itself can be a) controlled, b) uncontrolled. In this first case, the valve piston is located at the limit stop during the intercharger, for example at the limit stop 0.7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a regulated filling process, the valve piston is in the control position during the filling.

상기 동기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리미트 스톱에서 상기 제어위치로 횡이동 하거나 같은 위치에 남는다. 그런 다음에 어떠한 압력 증가 또는 압력 감소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ynchronizing process, the valve device transverses to the control position or remains at the same position at the limit stop. It is then possible to adjust to any pressure increase or pressure decrease.

동기화과정후의 제어에 있어서, 단시간동안 강한 전류가 인가됨에 의하여, 상기 밸브는 "방향제어밸브" 상태로 확실하게 이동한다. 상기 자화코일은 0-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밸브의 압력효과는 비활성화 된다. 상기 전류흐름은 0-위치에서 증가된 자기력의 결과로 저지 전류(holding current)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다.In the control after the synchronization process, by applying a strong current for a short time, the valve is reliably moved to the " directional control valve " state. The magnetizing coil moves to the zero position and the pressure effect of the valve is deactivated. The current flow can be lowered to the level of holding current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magnetic force in the 0-position.

Claims (16)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6)과 하나의 복귀관(7)을 구비하는 밸브몸체(3);A valve body (3) having at least one supply tube (6) and one return tube (7); 상기 밸브몸체(3)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공급관(6) 및 복귀관(7)의 횡단면들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연부들(14, 15, 16)을 가지는 밸브 피스톤(5);A valve piston which is axially movable inside the valve body 3 and has control edges 14, 15,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supply pipe 6 and the return pipe 7. 5); 상기 밸브 피스톤(5)에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추에이터;An actuator for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to the valve piston (5); 상기 복귀관(7) 내의 압력의 작용으로, 상기 밸브장치(1)의 전체작동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제 1부분을 통해 상기 작동력에 반대되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Under the action of the pressure in the return pipe 7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generating a force opposite to the actuation force through at least one first portion of the entire actuation range of the valve device 1, which means, 상기 밸브 피스톤(5)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20);An opening 20 formed in the valve piston 5; 상기 개구부(2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 피스톤(5)과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21);A plunger (21)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opening (20) and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the valve piston (5) axially; 상기 밸브 피스톤(5)의 개구부(20)와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연결오피리스(36)로서,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외주면 상의 상기 연결오리피스(36)의 입구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전체작동범위의 제 1부분에서 상기 복귀관(7)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귀관(7)의 압력을 상기 플런저(21)에 인가시키는 연결오리피스(36);A connecting office 36 formed between the opening 20 of the valve piston 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wherein the inlet of the connecting orifice 36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is at least A connection orifice (36) disposed indirectly in communication with the return tube (7) in the first portion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and for applying pressure of the return tube (7) to the plunger (21); 상기 밸브몸체(3) 내부의 상기 플런저(21)에 상기 작동력 및/또는 상기 플런저(21)가 작용시키는 힘에 반대되는 힘을 작용시키는 에너지저장부(F2);An energy storage unit (F2) for exerting a force opposite to the actuation force and / or the force exerted by the plunger (21) to the plunger (21) inside the valve body (3); 상기 밸브몸체(3) 내의 상기 플런저(21)와 연합되고, 상기 복귀관 내부압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F2)에 지지되는 상기 플런저(21)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방향으로의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톱(28)을 포함하고,It is associated with the plunger 21 in the valve body 3, can be determin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turn pipe and in the direction of the a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plunger 21 supported by the energy storage unit (F2) A limit stop 28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plunger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플런저(21)는 상기 개구부(20) 내에 배치된 부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견부(S)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5) 내부의 스톱이 견부(S)에 연합되고, 상기 밸브 피스톤(5)은 상기 전체 작동범위의 제 1부분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지고, 상기 밸브 피스톤(5) 내부에 있는 상기 스톱상에서의 상기 플런저(21)와 상기 밸브 피스톤(5) 둘 모두가 상기 전체 작동범위의 제 2부분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The plunger 21 has at least one shoulder 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disposed in the opening 20, a stop inside the valve piston 5 is associated with the shoulder S, and the valve piston (5) is axially displaced in the first part of the entire operating range, and both the plunger 21 and the valve piston 5 on the stop inside the valve piston 5 allow the entire Valve arrangement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ced axially in the second part of the operating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밸브 피스톤(5)과 상기 플런저(21) 사이의 상기 밸브 피스톤(5)의 개구부(20) 내에 배치되는 에너지저장부(F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2.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further comprises an energy storage unit F1 disposed in the opening 20 of the valve piston 5 between the valve piston 5 and the plunger 21. Valve device (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복귀관(7) 내의 압력에 정비례하고 상기 복귀관(7) 내의 압력에 반대되는 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arrangement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generates a force tha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in the return tube (7) and opposite to the pressure in the return tube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F2, F1)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device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storage (F2, F1) comprises at least one compression spring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F2, F1)는 탄성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device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storage (F2, F1) comprises an elastic membrane.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1)와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상기 개구부(20)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arrangement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nger (21) and the opening (20) of the valve piston (5)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자-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arrangement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is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유압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The valve device (1)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ctuator is a hydraulic actuator.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연합된 컨덕터를 가지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전자기적 액추에이터(2)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arrangement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is designed as an electromagnetic actuator (2) with an electromagnet having an associated conducto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F2)의 편향력은 최대 비례압력인 경우에 상기 플런저의 힘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1).3. Valve device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lection force of the energy store (F2) is consistent with the force of the plunger when it is at a maximum proportional pressure.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6)과 하나의 복귀관(7)을 구비하는 밸브몸체(3);A valve body (3) having at least one supply tube (6) and one return tube (7); 상기 밸브몸체(3)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공급관(6) 및 복귀관(7)의 횡단면들의 연결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연부들을 가지는 밸브 피스톤(5);A valve piston (5) which is axially movable within the valve body (3) and has control edg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supply pipe (6) and the return pipe (7); 상기 밸브 피스톤(5)에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추에이터;An actuator for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to the valve piston (5); 상기 밸브 피스톤(5)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먼 상기 밸브 피스톤(5)의 끝단 쪽으로 연장된 개구부(20);An opening 20 formed in the valve piston 5 and extending toward an end of the valve piston 5 away from the actuator; 상기 개구부(2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 피스톤(5)과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21);A plunger (21)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opening (20) and movable axially with respect to the valve piston (5); 상기 밸브 피스톤(5)의 개구부(20)와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연결오피리스(36)로서, 상기 연결오리피스(36)의 입구는 상기 밸브 피스톤(5)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복귀관(7)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귀관(7)의 압력을 상기 플런저(21)에 인가시키는 연결오리피스(36);A connecting office 36 formed between the opening 20 of the valve piston 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wherein the inlet of the connecting orifice 36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piston 5. A connecting orifice (36) arranged at least indirectly in communication with the return tube (7) and for applying a pressure of the return tube (7) to the plunger (21); 상기 밸브몸체(3) 내부의 상기 플런저(21)와 연합된 리미트 스톱(28)을 포함하고,A limit stop (28) associated with the plunger (21) inside the valve body (3), 상기 플런저(21)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된 부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5) 내의 스톱은 이 견부에 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 유닛.The plunger (21) has at least one should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disposed in the opening, and the stop in the valve piston (5) is associated with the should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3) 내의 상기 리미트 스톱(28)과 상기 플런저(21)에 연합되고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플런저(21)를 지지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부(F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유닛.12. An energy storage unit (F2) according to claim 11, having an energy storage (F2) associated with said limit stop (28) and said plunger (21) in said valve body (3) and at least indirectly supporting said plunger (21). Base val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에 반대되는 제 2힘을 발생시키는 에너지저장부가 상기 밸브 피스톤(5)의 개구부(20)내에 더 설치되며, 상기 더 설치되는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작동력에 반대되는 제 2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부(20)의 내벽과 상기 플런저(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 유닛.13. The energy storage of claim 11 or 12, wherein an energy storage portion for generating a second force opposite to the operating for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20 of the valve piston (5), and the further energy storage portion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force. A base val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20) and the plunger (21) to generate an opposite second force.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들은 압축스프링 유닛들 형태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 유닛.13. The base valve unit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energy storage units are designed in the form of compression spring units.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들은 탄성막 형태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 유닛.The base valve unit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energy storage units are designed in the form of an elastic membrane.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톱에 연합되는 상기 에너지 저장부는 장착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지지력이 최대 비례압력에서의 상기 플런저의 힘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밸브 유닛.13. The energy storage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energy storage associated with the limit stop is selected in such a way that the bearing force that can be generated at the mounting position matches the force of the plunger at the maximum proportional pressure. Base valve unit.
KR1019980709835A 1997-04-02 1998-03-27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KR100629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835A KR100629553B1 (en) 1997-04-02 1998-03-27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05635.2 1997-04-02
DE19719557.1 1997-05-09
KR1019980709835A KR100629553B1 (en) 1997-04-02 1998-03-27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62A KR20000016262A (en) 2000-03-25
KR100629553B1 true KR100629553B1 (en) 2006-12-19

Family

ID=4175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835A KR100629553B1 (en) 1997-04-02 1998-03-27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5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51B1 (en) * 2009-03-29 2012-01-12 김현태 Knocked-down bracket for protect cable of electric wiring in a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62A (en)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390B2 (en) Control unit for hydraulic variable displacement pumps and variable displacement pump with a control unit
KR101118073B1 (en) Feed pressure valve
US20110114203A1 (en) Pressure relief valve
JPH09185419A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hydraulic controller for automatic change gear
US6374856B1 (en)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stributing valve device
US8707994B2 (en) Solenoid valve and oil pressure control device
GB2332023A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independent metering valve
US10584801B2 (en) Valve, in particular proportional pressure regulating valve
KR100476246B1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WO2018180367A1 (e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KR20120064037A (en) Slide valve, especially for using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0629553B1 (en) Valve device, especially a combined proportional-directional control valve
JP2019173875A (en) Solenoid proportional control valve
US3587617A (en) Fluid control apparatus
JP3457595B2 (en) Valve device
US5562424A (en) Pump displacement control for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JP2007139181A (en) Fluid control device
JPH05189057A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that is controlled directly
CN212028216U (en) Hydraulic control valve and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with same
CN113530904A (en) Hydraulic control valve and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with same
WO2023032576A1 (en) Pressure compensation valve
WO2017047359A1 (en) Solenoid valve
JP5747744B2 (en) Normally open type spool valve
JP6610598B2 (en) Hydraulic transmission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EP1573209B1 (en) A controlled-flow hydraulic distribu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