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492B1 -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92B1
KR100629492B1 KR1020050038417A KR20050038417A KR100629492B1 KR 100629492 B1 KR100629492 B1 KR 100629492B1 KR 1020050038417 A KR1020050038417 A KR 1020050038417A KR 20050038417 A KR20050038417 A KR 20050038417A KR 100629492 B1 KR100629492 B1 KR 10062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earning
recording
user data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92B1/ko
Priority to US11/345,374 priority patent/US200602509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가 제공된다. 본 WS 최적화방법은,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영역에 기록된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에 이용할 영역인 WS 학습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적정 WS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미 수차례의 재기록이 수행된 사용자데이터영역에 대한 최적의 WS를 획득하고, 획득된 최적의 WS에 따라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광디스크의 기록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WS, WS 학습, TA, RIA, RIB

Description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Method for optimizating WS according to WS calibration in recording information area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용가능한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해 WS 최적화를 수행하는 광기록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UDA : User Data Area UD : User Data
TA : Test Area RIA : Recording Information Area
RIB : Recording Information Block 150 : RIA 분석부
160 : WS 학습영역 결정부 170 : UDA 상태 판별부
180 : 제어부
본 발명은 WS(Write Strategy) 최적화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장치는 장착된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앞서, WS 학습을 수행한다. WS 학습이란 최적의 WS를 획득하기 위해 수행되는 절차로서,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앞서 WS 학습을 선행하는 이유는 보다 최적의 WS에 따라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하여 기록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WS 학습은 광디스크의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다. 시험기록영역은 WS 학습을 위해 별도로 마련해 놓은 광디스크상의 영역이며, 시험기록이 이미 수행된 지점에서는 다시금 시험기록을 수행되지 않는다. 즉, WS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험기록영역상의 지점은 지금까지 한번도 시험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지점에 해당한다.
한편,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여러 회수에 걸쳐 사용자데이터를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광디스크가 있는데, 이를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라 한다. 이와 같은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경우도 시험기록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며, 이 WS 학습은 지금까지 한번도 사험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험기록영역상의 지점에서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이미 여러 회수에 걸쳐 재기록이 수행된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되는 WS를 최적화하기 위한 WS 학습이, 지금까지 한번도 기록이 행해진 적 없는 시험기록영역상의 지점에서 수행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는, 여러 회수에 걸쳐 재기록이 수행된 사용자데이터영역과 지금까지 한번도 기록이 행해진 적 없는 시험기록영역상의 지점의 매질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는 여러 회수에 걸친 재기록으로 인해 사용자데이터영역의 매질특성이 변화되었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시험기록영역에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WS는 여러 회수에 걸쳐 재기록이 수행된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적합함은, 사용자데이터영역에 대한 사용자데이터 재기록회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데이터 기록에 부적합한 WS가 획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차례 재기록으로 인해 매질특성이 변화된 사용자데이터영역과 매질특성이 유사한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WS 최적화방법은,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영역에 기록된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Write Strategy) 학습에 이용할 영역인 WS 학습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적정 WS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
그리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소정 회수에 걸쳐 상기 기록정보가 이미 기록되었던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WS 학습영역을 미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WS 학습영역가 미결정되면, 상기 광디스크에 마련된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WS를 적정 WS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WS 최적화방법은,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될 지점인 기록지점의 재기록회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 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장치는,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영역에 기록된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Write Strategy) 학습에 이용할 영역인 WS 학습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적정 WS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소정 회수에 걸쳐 상기 기록정보가 이미 기록되었던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WS 학습영역을 미결정하고, 상기 광디스크에 마련된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WS를 적정 WS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광기록장치는,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될 지점인 기록지점의 재기록회수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용가능한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이하, '광디스크'로 약칭한다.)에는 안쪽(Inner)부터 바깥쪽(Outer)으로, IDA(Inner Drive Area), LIA(Lead In Area), UDA(User Data Area), LOA(Lead Out Area), 및 ODA(Outer Drive Area)가 마련된다.
UDA는 AV데이터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이하, 'UD'로 약칭한다.)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IDA, LIA, LOA, 및 ODA에는 광디스크의 관리, 재생, 및 기록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기록된다. 특히, IDA에는 TA(Test Area)와 RIA(Recording Information Area)가 마련된다. TA는 WS(Write Strategy) 학습에 이용되는 시험기록영역이고, RIA는 UDA에 기록된 UD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Recording Information)(이하, 'RI'로 약칭한다.)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RIA는 다수의 RIB(Recording Information Block)들(제1 내지 제N RIB)로 구성된다. RI의 기록은 UD의 기록과 병행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UDA에 일정량의 UD가 기록되면, 그 때까지 기록된 UD에 대한 정보가 RI로서 RIB에 최초기록되게 된다. 이후에, UDA에 일정량의 UD가 더 기록되면, 그 때까지 기록된 UD에 대한 정보를 새로운 RI로서 RIB에 재기록되게 된다. 즉, RI는, UD가 기록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한편, RI는 기록된 UD에 대한 정보이기에, UD의 재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RI 최초기록이나 재기록'(이하, 'RI 기록'으로 약칭한다.)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UD가 정상적으로 기록되었다 하더라도 UD의 재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RI 기록이 완료되면, 그 RI 기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RI 기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별되면, 그 RI 기록이 수행된 RIB에 RI 재기록이 계속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RI 기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별되면, 그 RI 기록이 수행된 RIB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그 다음에 위치한 RIB에 RI 기록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제1 RIB에 RI 기록을 수행하였는데, 그 RI 기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별되면, 이후에는 제2 RIB에 RI 기록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RI 기록이 수행되고 있는 RIB의 이전에 위치한 RIB들은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고, 앞으로 UD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UDB들이다. 예를 들면, 현재 제6 RIB에 RI 기록이 수행되고 있다 면, 제1 내지 제5 RIB는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고, 앞으로 UD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RIB들이다.
한편, 현재 RI 기록이 수행되고 있는 RIB의 이전에 위치한 RIB들은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다는 점에서, 이미 수차례에 걸친 UD 재기록으로 인해 매질특성이 변화된 UDA와 매질특성이 유사할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용가능한 광디스크의 포맷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용가능한 광디스크는 재기록가능한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BD(Blue-ray Disk), HD-DVD 등은 물론이고, 이와 다른 종류의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들도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그 광디스크를 구성하는 영역에 대한 용어는 다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제시한 용어들을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RIA라는 용어는 DVD-RW에 사용되는 용어이고, 이 RIA는, DVD+RW의 경우는 TCZ(Table of Contents Zone)에 해당하고, DVD-RAM의 경우는 DIZ(Disk Identification Zone)에 해당하지만, 이하에서는 RIA, TCZ, 및 DIZ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도 1에 나타낸 'RIA'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낸 TA라는 용어는, DVD-RW의 경우 PCA(Power Calibration Area)에 해당하고, DVD+RW의 경우는 IDTZ(Inner Disk Test Zone)에 해당하지만, 이하에서는 PCA, 및 IDTZ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도 1에 나타낸 'TA'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광기록장치는 RIA에서 WS 학습을 수행함으로서, WS를 최적화한다. 구체적으로, 본 광기록장치는 RIA를 구성하는 RIB들 중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고, 앞으로 UD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RIB들에서 WS 학습을 수행함으로서, WS를 최적화한다. 그와 같은 RIB들은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다는 점에서, 이미 수차례 재기록으로 인해 매질특성이 변화된 UDA와 매질특성이 유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광기록장치는, PU(Pick Up)(110), PU 구동부(120), 기록처리부(130), 재생처리부(140), RIA 분석부(150), WS 학습영역 결정부(160), UDA상태 판별부(170), 제어부(180), 및 메모리(190)를 구비한다.
PU(110)는 PU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되며, 장착된 광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재생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재생처리부(140)는 PU(1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PU(110)는 기록처리부(130)에서 신호처리된 UD를 장착된 광디스크(D)에 기록한다.
RIA 분석부(150)는 재생처리부(140)의 출력신호를 통해 RIA를 분석하여, RIA 분석결과를 출력한다.
WS 학습영역 결정부(160)는 RIA 분석부(150)에서 출력되는 RIA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RIA의 일부영역을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한다.
UDA상태 판별부(170)는 RIA 분석부(150)에서 출력되는 RIA 분석결과를 이용 하여, 'UDA상에서 UD를 기록할 지점'(이하, 'UD 기록지점')의 상태를 판별한다.
제어부(180)는 WS 학습영역 결정부(160)에 의해 결정된 WS 학습영역과 TA에서 각각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PU 구동부(120)의 PU(110) 구동동작을 제어하고, 각각의 WS 학습에 의해 획득된 WS들을 메모리(19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UDA상태 판별부(170)에서 판별된 UD 기록지점의 상태에 기초하여 메모리(190)에 저장된 WS들 중 적정 WS를 선택하고, 선택된 WS에 따라 UD가 기록되도록 PU 구동부(120)의 PU(110) 구동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광기록장치가 RIA에서 WS 학습을 수행함으로서, WS를 최적화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IA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는 광디스크(D)의 TA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1 WS를 저장한다(S210). 구체적으로, S210단계는, 제어부(180)가 i) PU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PU(110)가 광디스크(D)의 TA에서 WS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고, ii)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1 WS를 메모리(190)에 저장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이후, WS 학습영역 결정부(160)는 RIA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를 판단한다(S220). 여기서, '미사용될 RIB'란, RIA를 구성하는 RIB들 중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고, 앞으로 UD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RIB를 의미한다. 한편, 미사용될 RIB들은 수차례에 걸 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다는 점에서, 이미 수차례 재기록으로 인해 매질특성이 변화된 UDA와 매질특성이 유사함은 전술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S220단계에서, WS 학습영역 결정부(160)의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를 판단은, RIA 분석부(150)에서 RIA 분석결과로서 출력되는 'RI 기록이 수행될 RIB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RI 기록이 수행될 RIB가 제6 RIB라면, 제1 내지 제5 RIB는 수차례에 걸쳐 이미 RI 기록이 수행된 바 있고, 앞으로 UD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RIB들에 해당하기에, WS 학습영역 결정부(160)는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를 '5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S220단계에서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가 '5개'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230), WS 학습영역 결정부(160)는 미사용될 RIB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한다(S240). 예를 들어, 미사용될 RIB들이 제1 내지 제5 RIB로서 5개인 경우라면, 제1 내지 제5 RIB로 구성되는 영역을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180)는 S240단계에서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2 WS를 저장한다(S250). S250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S210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유추가능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광디스크(D)의 UDA에 UD 재기록회수가 비교적 많았음을 대변한다. 이는, UDA에 UD 재기록회수가 많아질수록,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가 많아짐에 기인한다. 따라서, 위의 경우, UDA의 매질특성은 TA의 매질특성보다 미사용될 RIB들의 매질특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TA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1 WS 보다는, 미사용될 RIB들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2 WS가, UDA에 UD를 기록하기에 보다 적절한 WS가 되는 경우에 해당기에 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S220단계에서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가 '5개'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S230), S240단계와 S250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는, '5개' 미만의 미사용될 RIB들로 구성되는 영역은, WS 학습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미사용될 RIB들의 개수가 '5개' 미만인 경우는, 광디스크(D)의 UDA에 UD 재기록회수가 비교적 적었음을 대변한다. 따라서, 위의 경우는, UDA의 매질특성이 미사용될 RIB들의 매질특성보다 TA의 매질특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사용될 RIB들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2 WS보다는, TA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1 WS가, UDA에 UD를 기록하기에 보다 적절한 WS이므로, 제2 WS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생략하는 것이다.
한편, S230단계에서 판단기준으로 역할하는 '5개'는 임의로 설정한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와는 다른 개수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UDA상태 판별부(170)는 RIA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UD 기록지점의 상태를 판별한다(S260). 구체적으로, S260단계는, RIA 분석부(150)에서 RIA 분석결과로서 출력되는 'UD 기록지점의 UD 재기록회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UDA상태 판별부(170)가 UD 기록지점의 상태가 '미기록상태'인지 아니면, '기록상태'인지 여 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의할 수 있다. 여기서, '미기록상태'는 UD 기록지점에 UD가 지금까지 한번도 기록된 적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기록상태'는 UD 기록지점에 UD가 한번이라도 기록된 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S260단계를 통해 UD 기록지점의 상태를 판별하는 이유는, UD 기록지점에 따라 UD의 재기록회수가 다를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며, 그 재기록회수에 따라 UD 기록지점에 적용할 WS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260단계에서 UD 기록지점의 상태가 '미기록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270), 제어부(180)는 제1 WS에 따라 UD가 기록되도록 한다(S280). UD 기록지점이 '미기록상태'인 경우는, UD 기록지점의 매질특성이 TA의 매질특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여, TA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1 WS가 보다 적절한 WS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S280단계는, 제어부(180)가 메모리(190)에 저장된 WS들 중 제1 WS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WS에 따라 UD가 기록되도록 PU 구동부(120)의 PU(110)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한편, S260단계에서 UD 기록지점의 상태가 '기록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270), 제어부(180)는 제2 WS에 따라 UD가 기록되도록 한다(S290). UD 기록지점이 '기록상태'인 경우는, UD 기록지점의 매질특성이 미사용될 RIB들의 매질특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여, 미사용될 RIB들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제2 WS가 보다 적절한 WS이기 때문이다. S290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S280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유추가능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S270단계에서는 UD 기록지점의 상태가 '미기록상태'인지 아니면 '기록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UD 기록지점의 상태가 '5회이상 기록상태'인지 아니면 '5회미만 기록상태'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WS를 달리 적용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차례 재기록으로 인해 매질특성이 변화된 UDA와 매질특성이 유사한 영역인 RIA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해, WS 최적화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이미 수차례의 재기록이 수행된 UDA에 대한 최적의 WS를 획득하고, 획득된 최적의 WS에 따라 UD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광디스크의 기록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UDA에 UD 재기록회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더욱 큰 효용을 보이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Write Strategy) 학습에 이용할 영역인 WS 학습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적정 WS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소정 회수에 걸쳐 상기 기록정보가 이미 기록되었던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WS 학습영역을 미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WS 학습영역가 미결정되면, 상기 광디스크에 마련된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WS를 적정 WS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될 지점인 기록지점의 재기록회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시험기록영역에서 수 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S 최적화방법.
  7.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광디스크의 사용자데이터영역에 기록된 사용자데이터에 대한 정보인 기록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기록정보영역에서, WS(Write Strategy) 학습에 이용할 영역인 WS 학습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WS 학습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적정 WS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소정 회수에 걸쳐 상기 기록정보가 이미 기록되었던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록정보영역을 구성하는 블럭들 중,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에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WS 학습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미사용될 블럭들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WS 학습영역을 미결정하고, 상기 광디스크에 마련된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된 WS를 적정 W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데이터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될 지점인 기록지점의 재기록회수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WS 학습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재기록회수가 소정 회수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시험기록영역에서 수행된 WS 학습을 통해 획득한 WS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KR1020050038417A 2005-05-09 2005-05-09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KR10062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17A KR100629492B1 (ko) 2005-05-09 2005-05-09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US11/345,374 US20060250919A1 (en) 2005-05-09 2006-02-0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write strategy on a rewritable optical disk based on study performed on recording information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17A KR100629492B1 (ko) 2005-05-09 2005-05-09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492B1 true KR100629492B1 (ko) 2006-09-28

Family

ID=3739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17A KR100629492B1 (ko) 2005-05-09 2005-05-09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50919A1 (ko)
KR (1) KR100629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9123A1 (fr) * 2001-04-27 2002-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enregistrable, appareil d'enregistrement de disque optique, appareil de reproduction de disque optique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sur disque optique enregistrable
US7106680B2 (en) * 2002-05-10 2006-09-12 Ricoh Company, Ltd.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to optical disk using multi-pulse to enhance power pulse
JP3851886B2 (ja) * 2002-05-27 2006-1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0919A1 (en)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495B2 (ja) 情報保存媒体及びそ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
US78851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power of optical disc apparatus
US8054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riting power for recording data
US20070115775A1 (en) Method of determining optimum write power of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driving apparatus
KR100629492B1 (ko) 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KR100629489B1 (ko) 사용자데이터 기록지점과 매질특성이 유사한기록정보영역에서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및 이를 적용한 광기록장치
KR100742327B1 (ko) 적응적 ws 학습수행을 통한 ws 최적화방법 및 이를적용한 광기록장치
EP1764790A2 (en) Optical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layback parameters thereof
US20060245322A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method
EP1722373B1 (en) Method of optimizing a write strategy based on an adaptive write strategy study and optical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46399B1 (ko) 결함 디스크에서의 데이터 기록방법
KR100979937B1 (ko) 광디스크장치의 오피씨 수행방법
US20060285460A1 (en) Method of managing optimum power control data in lead-in zone of high-density optical disc
KR100578174B1 (ko)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
KR100798777B1 (ko) 광디스크 장치의 오피씨 수행방법
US7660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data to optical disc
KR100723098B1 (ko) 광디스크 기록 제어방법
CN100552798C (zh) 减少导入时间的方法、信号优化的方法及记录/再现装置
KR101339428B1 (ko)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84403B1 (ko) 광디스크장치의 기록파워 보상방법
JP2006134457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50038151A (ko) 디스크 아이디에 따른 최적 기록 파워 결정 방법
KR20050045495A (ko) 광디스크 장치의 동작특성 설정방법
KR20080102525A (ko) 광디스크장치의 반복기록방법 및 장치
KR20070006452A (ko) 광디스크 장치의 기록 파워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