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441B1 -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41B1
KR100629441B1 KR1020040074618A KR20040074618A KR100629441B1 KR 100629441 B1 KR100629441 B1 KR 100629441B1 KR 1020040074618 A KR1020040074618 A KR 1020040074618A KR 20040074618 A KR20040074618 A KR 20040074618A KR 100629441 B1 KR100629441 B1 KR 10062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ransportation
database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798A (ko
Inventor
오세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하철 시간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고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교통수단 시간표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구동하여 정지영상에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DB 정보로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DB정보를 조회하여 검색 요청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고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산출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과금의 부담을 안고 정보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내의 메모장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갱신/검색 시 번거롭고 입력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정보만을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문자인식프로그램 ,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Description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Pattern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지하철 역에 게시되어 있는 지하철 시간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지하철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사용자가 막차/첫차 시간 검색 시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막차/첫차 시간 정보를 산출/제공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지하철 시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고 그로부터 필요한 정보가 검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중앙처리장치
112 : 표시부 120 : 문자인식 프로그램
122 :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130 : 렌즈
140 : 카메라부 150 : S-RAM
160 : FLASH ROM 170 : EEP-ROM
180 : 전원부 190 : 키입력부
본 발명은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철 관련 이미지 정보를 촬영한 후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추출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지하철 시간 정보를 입력/갱신/검색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뿐 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량의 통신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Nate 나 Magic N 등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Keypad)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키 버튼을 직접 눌러서 입력하거나 전자 펜 등의 전자적 데이터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 정보(Liquid Crystal Display)에 직접 데이터를 필기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력장치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단말기에 저장하고 추후 필요한 정보를 검색,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 사용자가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수하는 경우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에 과금에 부담을 느끼며, 또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양에 비해 인터넷 서비스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훨씬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적 데이터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비교적 큰 LCD 화면을 필요로 하는 관계로 LCD 화면이 작은 휴대폰에는 적합하지 않고, 대개 LCD 화면이 비교적 큰 피디에이(PDA)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성 입력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현재 음성 인식 기술 수준으로는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인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원활한 음성 인식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높은 사양의 시스템이 요구되는 문제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중 키 버튼을 직접 누르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모드(Mode) 선택키를 조작하여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한 다음 하나 의 숫자마다 하나의 키 버튼이 할당되어 있는 키패드(Keypad)를 통해 숫자정보를 입력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직접 눌러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입력/갱신/검색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도중에 키 버튼이 잘 눌려지지 않거나, 키 버튼의 크기가 작아 한꺼번에 두개 이상의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화소수가 수십만 또는 수백만 화소 이상으로 향상되어 해상도 높은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인식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입력 과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지하철 운행정보 저장 및 검색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철 역마다 일정한 형식으로 게시되어 있는 해당역의 첫차/막차/환승역 시간 정보를 얻는 방법을 채택하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역만을 저장하게 되므로, 많은 저장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가 필요한 정보를 모두 구비하지 못했던 문제점, 각 역간의 막차 정보가 유기적이지 않아 사용자가 각 환승지 역간의 막차 시간만을 검색한 후 두 시간대를 비교해서 탑승 가능 여부를 추측해야 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디지 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촬영한 후,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을 인터넷 서비스나 메모장 등을 통하지 않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갱신/검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하철 시간표를 촬영하여 필요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목적지까지의 지하철 노선, 막차시간, 첫차시간 등의 지하철 운행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 상기 촬영 기능키가 눌려져 입력된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교통수단 시간표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촬영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S-RAM;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미지 신호로부 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FLASH-ROM; 및 상기 촬영 영상과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고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교통수단 시간표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구동하여 정지영상에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추출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DB 정보로 저장되는 단계; (d) 사용자의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DB정보를 조회하여 검색 요청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고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력/산출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키입력부, 교통시간 시간 데이터베이스,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및 검색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명을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출발지명을 상기 교통수단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출발지명에 해당하는 교통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상기 교통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은 중앙처리장치(CPU)(110), 카메라부(140), S-RAM(150), FLASH-ROM(160), 표시부(112), EEP(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ROM(170), 전원부(180) 및 키 입력부(190)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의 제어를 담당하는 핵심 부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문자인식 프로그램(120)은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숫자정보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숫자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데 이터베이스화되어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유용한 정보로 저장된다.
한편, 문자인식이란 각종 문자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컴퓨터 등의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자인식의 처리단계는 1. 전처리(Pre-processing), 2. 문서 구조 분석/등록, 3. 문자 분리, 4.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5. 후처리(Post-processing)의 순으로 진행된다.
전처리는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변환된 문자의 기울어짐을 교정하거나 그림자와 같은 잡영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문서 구조 분석/등록은 문서의 구성요소인 이미지와 문자(숫자)를 분리하거나 순서를 지정하거나 문서 형식을 정의하는 작업을 말한다. 문자 분리는 각 문자열의 영상을 추출하여 행별이나 단어별로 분리한 후, 각각의 개별 문자를 다시 분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패턴 매칭은 분리된 각각의 문자 영상에서 패턴 매칭 알고리즘(Algorithm)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특징을 갖는 모델로 분류하여 후보 문자를 추출하고 신뢰도를 계산하는 작업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후처리는 사전에 기반하여 단어나 조사들이 인식 오류를 수정하거나 상호 참조에 의한 인식 오류를 수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물론, 앞에서 간단하게 설명한 문자인식 방법 외에도 현재 다양한 문자인식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나아가 국내외에 다양한 문서인식 제품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문서인식 제품으로는 Anypage(삼성), Armi(합산) 글눈(HiArt)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 기술은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모든 문자인식 기술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 프로그램(120)은 문자보다 숫자 인식에 더 용이하다. 예컨대 지하철 시간표의 경우 XX:XX-XX:XX와 같은 규칙적인 형식으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 과 "-"를 사이에 두고 8개의 숫자가 연속되어 있으면 시간 정보임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철 시간표(첫차/막차 시간등)의 경우 가장 필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이용이 불편했던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용자는 간단한 촬영 동작만으로 문자인식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122)이란 사용자가 무작위로 저장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되도록 짜여진 프로그램으로서,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C'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역삼역(2호선)에서 압구정역(3호선)까지 가는 지하철 막차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간 정보가 제공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두 역에서의 환승역까지의 막차 시간을 비교해서 시간을 추측해야 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10)에는 문자인식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외에 색상을 인식하여 지하철 노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부가가 가능하며, 음성전환 프로그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요청시 음성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지하철 노선도의 색상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지하철 노선도의 정보를 데이터로 축적한 후 갱신/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부(140)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와 카메라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S-RAM(150)은 카메라부에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카메라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중앙처리 장치는 카메라부가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S-RAM(150)으로부터 읽어들여 내장하고 있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정보를 분리 및 추출한다.
FLASH-ROM(160)은 문자인식 프로그램(120)이 인식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10)로부터 전달받아 별도의 영역에 저장하는 등 반 영구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부(112)는 사용자가 촬영 기능키를 눌러 촬영 중인 영상을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EEP-ROM(170)은 전원이 오프(OFF)되어도 기억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프로그램과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Parameter)를 저장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이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지하철 시간표에서 추출한 지하철 시간 정보를 정리하는 기능 이외에, 지하철 노선 정보와, 각 노선별로 지하철 구간 이동 소요시간 정보와, 환승역별 막차 정보 등을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의의 출발역에서 임의의 도착역까지 가는 막차 시간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리된 특정 역에서의 막차/첫차 시간표와 그로부터 지정된 두 역간 막차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a, 2b는 각각 "2호선 역삼역" 및 "3호선 교대역"에서의 지하철 막차/첫차 시간표 이미지로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이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로부터 촬영/입력된 이미지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여 동일한 형식의 테이블(Table)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첫차/막차 시간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된 후에 사용자가 평일의 경우 "2호선 역삼역"에서 "2호선 홍대입구역"까지 가는 지하철 막차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중앙청리장치는 도 2a의 테이블에서 간단히 "24:21"이라는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이 평일, 토요일, 일요(공휴)일에 따라 막차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중앙처리장치는 현재의 일시 정보로부터 평일/토요일/일요일 여부를 확인 한 후 해당되는 막차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2호선 역삼역"에서 "3호선 압구정역"까지 가는 지하철 막차 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도 2a와 도 2b의 테이블뿐 아니라 구간별 소요시간을 함께 참조하여 "24:44"이라는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막차시간이 산출되는 것은 "2호선 역삼역"으로부터 환승역인 "3호선 교대역"까지의 소요시간이 "4분"이고, "3호선 교대역"에서 "3호선 압구정역"까지 가는 막차가 24시 51분까지 있으므로, "2호선 서울대입구역"까지 가는 24시 44분 지하철을 타더라도 "3호선 교대역"에서 압구정까지 가는 24시 51분 막차를 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막차 시간 정보 이외에 막차 시간까지 남은 시간과 환승역 등을 함께 알려 줄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이나 메시지 알림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의 부가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간표 촬영 및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은 사용자가 다니는 역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가 누적되는 경우 궁극적으로는 모든 지하철 역 사이의 첫차/막차 시간 정보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입력된 지하철 시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사용자가 이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한 촬영방법에 의해 지하철 시간 정보 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하고(S310), 이렇게 촬영된 지하철 시간 정보 이미지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 숫자 데이터로 추출된 후(S320),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통해 DB에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S330) 이때, 지하철 시간표의 경우 정보의 대부분이 XX:XX-XX:XX형식의 일련의 연속된 숫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인식이 용이하며, 사용자는 손쉽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역 사이를 운행하는 지하철 막차 시간 정보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S340)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은 전술한 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막차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한다.(S350)
도 4는 도 3의 S340, S350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지하철 시간 정보 검색을 위해 출발역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입력하거나(S402),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거나(S406), 또는 LBS(Loccation Based Services)로 입력시킨다(S406). 여기서 LBS(Loccation Based Services)란,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말하며,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지하철 역 또는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곳과 가장 근거리에 있는 지하철 역의 이름을 출발역으로 지정하여 자동으로 입력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6)
상기의 사진촬영(S402) 또는 직접 문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하거나 LBS로 부터 입력된(S406) 출발역의 정보가 이미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색 단계를 계속 수행하게 되며, 저장되어 있지 않은 역의 이름인 경우에는 LCD 표시부에 오류 표시가 출력된다.(S410)
사용자가 첫차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S414), 첫차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단계(S416)를 거쳐 LCD 화면부에 첫차 시각이 출력되고(S418), 첫차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첫차 시간 데이터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LCD 화면부를 통해 통보된다.
또한 사용자가 막차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문자 입력부를 통해 종착지를 입력하게 되며(S422), 상기 종착지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역인 경우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S428) 및 LCD 화면에 막차 시간과 환승역을 출력하는 단계(S430)를 거쳐 사용자가 요구하는 막차 시간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의 종착지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역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미리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노선도에 관한 정보를 통해 종착지역을 지나가는 가장 늦은 막차를 검색하여(S432),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LCD 화면에 막차 시간과 환승역을 출력하고(S430),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없음을 알리는 표시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지하철 시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그로부터 필요한 정보가 검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촬영 메뉴 화면으로서, "5. 지하철 정보 데이터베이스화" 항목이 제공되며, 사용자가 이를 클릭한 후 지하철 시간표를 촬영하도록 한다.
도 5b는 지하철 정보 검색 메뉴 화면으로서, 일반적인 노선, 요금 검색 등에 추가하여, "3. 막차 시간 검색" 메뉴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이 메뉴를 선택하면 도 5c에서와 같이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되고, 입력된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의 막차 정보가 산출되어 출력된다.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막차 시간 정보의 출력 예로서, "역삼역에서 압구정역까지 가는 지하철 막차는 24시 44분입니다. 현재부터 약 25분 남았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막차 시간 정보 출력시, 환승역 정보와 요일표시 등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으며, 진동이나 메시지 알림 기능을 통하여 남은 시간을 통보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지하철 첫차/막차 정보를 얻을 때의 요금부담을 줄이고, 지하철역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촬영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구축한 후 간편한 검색 방식에 의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장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갱신/검색 시 느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 다. 더 나아가 전체 역의 정보를 미리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는 경우, 자주 사용하지 않는 곳까지 저장되는 공간의 낭비되는 문제와 지하철 노선이 새로 구축되는 경우 다시 전체를 바꿔줘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6)

  1.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
    상기 촬영 기능키가 눌려져 입력된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촬영에 의해 입력된 교통수단 시간표를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인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촬영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S-RAM;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미지 신호로부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FLASH-ROM; 및
    상기 촬영 영상과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교통수단의 막차 시간을 인식하고, 교통수단 막차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교통수단의 첫차 시간을 인식하고, 교통수단 첫차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은 지하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지하철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는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외에 음성전환 프로그램을 추가로 탑재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시 음성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는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외에 색상인식 프로그램을 추가로 탑재하여 색상을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검색한 교통수단 막차 시간, 첫차 시간의 정보를 진동이나 메시지 알림 기능을 통하여 남은 시간을 통보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교통수단 시간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고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교통수단 시간표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구동하여 정지영상에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추출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DB 정보로 저장되는 단계;
    (d) 사용자의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DB정보를 조회하여 검색 요청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고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출력/산출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촬영 기능키가 포함된 다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
    상기 촬영 기능키가 눌려져 입력된 촬영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촬영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교통수단 시간표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촬영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렌즈 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S-RAM;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미지 신호로부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FLASH-ROM; 및
    상기 촬영 영상과 추출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를 통해 교통수단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중앙처리 장치에는 음성전환 프로그램을 추가로 탑재하여 상기 (e) 단계는 음성으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교통수단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13. 키입력부, 교통시간 시간 데이터베이스,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화 프로그램 및 검색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명을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출발지명을 상기 교통수단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출발지명에 해당하는 출발지의 첫차 시간 및 막차 시간을 포함하는 교통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상기 교통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교통시간 정보는 출발지의 첫차 시간 및 막차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표시부를 통해 교통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전환 프로그램을 추가로 탑재하여 상기 (d) 단계는 음성으로 상기 교통수단 시간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시간표를 검색하는 방법.
KR1020040074618A 2004-09-17 2004-09-17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KR10062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618A KR100629441B1 (ko) 2004-09-17 2004-09-17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618A KR100629441B1 (ko) 2004-09-17 2004-09-17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798A KR20060025798A (ko) 2006-03-22
KR100629441B1 true KR100629441B1 (ko) 2006-09-27

Family

ID=3713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618A KR100629441B1 (ko) 2004-09-17 2004-09-17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15B1 (ko) * 2007-08-14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798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941B2 (en) Imaging de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 which an acquired image and associated information are held on a display
EP31713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nd server
US8730337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US7145695B2 (en) Picked-up image managing device capable of managing picked-up images by grouping the same, method of determining group name, and computer usable medium storing group name determining program
US8094974B2 (en) Pictur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icture data management method
EP2299701A1 (en) Imag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CN108886574B (zh) 一种拍摄引导方法、设备及系统
CN110377195B (zh) 展示交互功能的方法和装置
US20200226695A1 (en) Electronic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JP2013110569A (ja) 画像処理装置、位置情報付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6944B1 (ja) 画像ファイルクラス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画像ファイルクラス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2019148521A (ja) 認識画像表示装置、認識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9441B1 (ko)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운행정보 검색 방법
US201103075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JP2014063300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61133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객체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US10635962B2 (en) Apparatus for managing baggage, a method for managing baggage and a baggage management system
JP2006254014A (ja) 辞書検索システム
CN110069577B (zh) 一种线路规划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9110288A (ja) 画像分類装置及び画像分類方法
CN113885550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临时性存储介质
JP5977697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17395299A (zh) 信息处理装置、方法以及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取介质
TW201408992A (zh) 移動終端、雲伺服器及熱門景點識別方法
JP20050989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