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76B1 -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76B1
KR100628176B1 KR1019990033170A KR19990033170A KR100628176B1 KR 100628176 B1 KR100628176 B1 KR 100628176B1 KR 1019990033170 A KR1019990033170 A KR 1019990033170A KR 19990033170 A KR19990033170 A KR 19990033170A KR 100628176 B1 KR100628176 B1 KR 10062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area
stored
updat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586A (ko
Inventor
우준석
정영태
김용운
류효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4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to protect a block of data words, e.g. CRC or checks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메모리를 사용하여 손쉽게 프로그램을 복구하거나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입력된 갱신 프로그램을 보조프로그램 영역(Slave Program Area : SPA)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 프로그램의 다른 정보를 배치표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치표를 검색하여 상기 SPA에 저장된 프로그램 중 실행 할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프로그램의 배치표 내용을 검색하여 오류발생 여부를 검증하는 오류검증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주프로그램 영역(Master Program Area : MPA)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갱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말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갱신할 때 발생되는 문제로 인한 단말기의 동작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 갱신방법

Description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Method for upgrading program stored in information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내부에 형성된 메모리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트스트랩 로더부 20 : 주프로그램 영역
30 : 보조프로그램 영역 40 : 데이터 영역
50 : 배치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후 전화선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정보 단말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 등에서는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디지털화 되어감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갱신할 필 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 PC 본체나 주변기기 등에서 이러한 용도로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갱신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채용하고 메모리에 갱신할 프로그램을 쓸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을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도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갱신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그 기능을 개선하거나 확장할 필요가 있을 때, 직접 단말기나 메모리를 교체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 할 수 있으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프로그램 갱신 중 정전이나 관련 하드웨어의 오동작, 기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 갱신 중 동작이 중단되게 되면 메모리에 불완전한 프로그램이 남게되어 다시 시스템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시스템의 동작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의 프로그램을 복구하려면 별도의 장비 등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둘째,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체 프로그램 중 갱신되는 프로그램은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메모리를 분리하면 시스템의 단가가 비싸지고 관리도 더욱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단일 메모리로 손쉽게 프로그램을 복구하거나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의 특징은, 외부에서 입력된 갱신 프로그램을 보조프로그램 영역(Slave Program Area : SPA)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 프로그램의 다른 정보를 배치표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치표를 검색하여 상기 SPA에 저장된 프로그램 중 실행 할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오류발생 여부를 검증하는 오류검증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주프로그램 영역(Master Program Area : MPA)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갱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단일 메모리를 갱신을 위한 보조프로그램 영역과 갱신 시에도 변환되지 않는 주프로그램 영역 등으로 나누어서 단말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할 경우 정전이나 단말기의 오동작 등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내부에 형성된 메모리 구성도로서, 도 1 과 같이 단말기의 갱신시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를 부트스트랩 로더부(Bootstrap Loader : BL)(10), 주프로그램 영역(Master Program Area : MPA)(20), 보조프로그램 영역(Slave Program Area : SPA)(30), 데이터영역(40), 그리고 배치표(50)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관리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졌을 때 각각의 메모리 영역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모리의 영역 중에서 맨 처음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부트스트랩 로더부(Bootstrap Loader : BL)(10)는 단말기를 초기화시키고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된다.
상기 부트스트랩 로더부(BL)(10)는 갱신되지 않으며 쓰거나 지워지지 않도록 보호된다.
그리고 배치표(50)에서 MPA(20)와 SPA(30)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실행될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선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실행될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는 기존에 있는 프로그램과 새로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일한 종류에 해당하는지를 알기 위해 갱신시 배치표(50)에 있는 기호(signature)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기호(signature)와 비교하여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만 갱신을 시도한다.
그리고 (Cyclic Redundency Code : CRC) 계산도 이루어지는데 상기 CRC 계산 은 프로그램이 온전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패리티 검사(parity check)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주프로그램 영역(MPA)(20)은 단말기에 최초로 내장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 보조프로그램 영역(SPA)(30)에 갱신된 프로그램이 없거나, 상기 SPA(30)의 프로그램이 갱신 중 발생한 문제 등으로 인해 불완전할 경우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상기 MPA(20)는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제공되는 메모리의 영역 보호기능을 이용하여 보호된다.
이와 같이 영역 보호기능에 의해 보호되면 상기 보호되는 영역은 읽기만 가능할 뿐 쓰거나 지울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갱신중이나 그 이후에 SPA(30)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단말기는 상기 MPA(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MPA(20) 프로그램 모듈에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갱신 관리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시킴으로서 상기 갱신 관리 프로그램 모듈 자체도 갱신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보조프로그램 영역(SPA)(30)은 상기 프로그램이 갱신될 필요가 발생하였을 때 외부의 전화선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갱신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40)은 프로그램 이외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 하며 프로그램 갱신과 무관하다.
이어 상기 배치표(configuration table)(50) 영역은 전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의 상태, 버전, 기록 일자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영역이다.
상기 각종 정보는 각 영역을 나타내는 엔트리(entry)들의 리스트(list)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각 엔트리(entry)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1. 기호(signature) : 각 영역에 고유한 값으로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된 프로그램이 현재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과 동일한 종류 또는 기능의 프로그램임을 확인한다.
2. 영역의 위치 : 각 영역의 시작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 위치에서부터 각 영역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 위치는 각 영역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절히 결정된다.
3. 영역의 크기 : 각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크기를 기록한다.
4. 영역의 명칭 : 각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이름을 저장한다.
5. 날짜, 시간, 버전 정보 : 현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날짜 및 시간, 그리고 버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비교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프로그램이 현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비해 최신의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6. 압축여부 : 각 영역의 프로그램이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7. CRC(Cyclic Redundency Code) : 각 영역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CRC가 기록되며, 상기 CRC를 프로그램 갱신의 맨 마지막 과정에 기록함으로써 갱신된 프로그램이 온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전 등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갱신이 중단되면 올바른 값의 CRC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써, 도 2을 보면 사용자는 전화선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갱신하고자 하는 최신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아 개인 단말기의 갱신여부를 판단한다(S1).
이어 사용자가 최신정보로 갱신을 실행하면 이에 따라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이 메모리내의 보조프로그램 영역(Slave Program Area : SPA)(30)에 저장된다(S2).
상기 저장시에는 필요에 따라 압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이 완료되면 배치표(50)의 해당 내용도 적절히 갱신한다.
이렇게 갱신된 프로그램은 상기 BL(10)내의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S3).
그 실행을 보면 먼저 배치표(50) 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검색하고(S4), 그 중 가장 최신의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실행할 프로그램을 선정한다(S5).
이어 상기 선정된 프로그램의 적합성 검사를 위해 CRC 계산을 하고(S6)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S7).
상기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MPA(20)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행함으로써(S9), 갱신 중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SPA(30)에 저장된 최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말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할 때 잘못된 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이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정전 등으로 인해 불완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단말기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때 메모리부의 일부에 갱신되지 않는 기본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둠으로써 동작 자체의 불가능을 막을 수 있다.
둘째, 내장된 프로그램을 갱신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그 기능을 개선하거나 확장할 필요가 있을 때 직접 단말기나 메모리를 교체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 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다수의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메모리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함으로써, 시스템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제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외부에서 입력된 갱신 프로그램을 보조프로그램 영역(Slave Program Area : SPA)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 프로그램의 다른 정보를 배치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배치표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보조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 중 실행할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프로그램의 배치표 내용을 검색하여 오류발생 여부를 검증하는 오류검증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주프로그램 영역(Master Program Area : MPA)에 기 저장된 갱신 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검증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갱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로그램 영역은 메모리의 보호 영역에 존재하며, 외부의 프로그램 갱신 입력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부트스트랩 로더부(Bootstrap Loader : BL), 주프로그램 영역(MPA), 보조프로그램 영역(SPA), 데이터 영역, 배치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로그램 영역과 보조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되어 저장되고 프로그램 실행 전에 복원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복원에 필요한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표 영역은 전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의 상태, 버전, 기록일자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실행할 프로그램의 선정은 상기 배치표 영역을 검색하여 저장된 프로그램 중 최신의 프로그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KR1019990033170A 1999-08-12 1999-08-12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KR10062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170A KR100628176B1 (ko) 1999-08-12 1999-08-12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170A KR100628176B1 (ko) 1999-08-12 1999-08-12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586A KR20010017586A (ko) 2001-03-05
KR100628176B1 true KR100628176B1 (ko) 2006-09-27

Family

ID=1960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170A KR100628176B1 (ko) 1999-08-12 1999-08-12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668B1 (ko) * 2004-06-11 2006-04-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상거래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메모리 분할 탑재 방법
JP2006065857A (ja) 2004-08-24 2006-03-09 Lg Electronics Inc 移動通信端末機のプログラム強制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装置
KR100873302B1 (ko) * 2006-08-29 2008-12-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 리 프로그래밍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492A (en) * 1996-03-29 1997-12-23 Canon Kabushiki Kaisha Fail-safe flashing of EPR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492A (en) * 1996-03-29 1997-12-23 Canon Kabushiki Kaisha Fail-safe flashing of EP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586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booting and automatically updating software, and recovering from update err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ethod
US6845434B2 (en) Method for updating parametric data for use in data management system
EP2638466B1 (en) Software updating process for an embedded device
US8196130B2 (en) Tri-phase boot process in electronic devices
JP2914360B2 (ja) 外部記憶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20070055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US73136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boot memory that stores a fail-safe reset code and is configured to store boot code and boot updater code
CN101026848B (zh) 移动终端和软件更新方法
US20050085222A1 (en) Software updating process for mobile devices
EP1770512A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software
CN107783776B (zh) 固件升级包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8533450B2 (en) File update system and boot management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updating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boo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2486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запомин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блоков управления
US7181198B2 (en) Program rewriting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telephone set
US6483746B2 (en) Electronic apparatus
WO2005088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in-place update
US20100115004A1 (en) Backup system that stores boot data file of embedded system in different strorage sections and method thereof
CN105677409A (zh) 一种系统升级方法及装置
CN113238790B (zh) 基于sd卡和eeprom的固件程序更新方法及系统
US20070233940A1 (en) Method for updating data in flash memory
KR100628176B1 (ko)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KR1005759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팅 방법
CN117608619A (zh) Uefi bios固件的更新方法、更新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1318836A (ja) 不揮発性メモリのデータ管理方法
JP2004062547A (ja) 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