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963B1 -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 Google Patents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963B1
KR100627963B1 KR1020050021877A KR20050021877A KR100627963B1 KR 100627963 B1 KR100627963 B1 KR 100627963B1 KR 1020050021877 A KR1020050021877 A KR 1020050021877A KR 20050021877 A KR20050021877 A KR 20050021877A KR 100627963 B1 KR100627963 B1 KR 10062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ball
blocking wall
driving range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0162A (en
Inventor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윤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호 filed Critical 윤민호
Priority to KR102005002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963B1/en
Publication of KR2006010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낙하 궤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골프 연습에 흥미를 유발하고 보다 집중하여 연습하게 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골프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B)이 골프 연습장(1) 외부로 비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벽(2)을 구비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2)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2)에 부딪혀 떨어지는 골프공(B)의 낙하궤적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that induces interest in golf practice and makes more concentrated practice by varying the drop trajectory of the golf ball hit by the golf practitioner, the golf ball hit by the golf practitioner (B) is golf In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having a blocking wall (2) to block the flight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ange (1), the golf ball (B) is coupled to the blocking wall (2) and hit the blocking wall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rection switching unit 30 for changing the drop trajectory.

골프, 골프연습장, 타깃 Golf, Golf Range, Target

Description

골프 연습장 시설물{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Golf Driving Range Facilities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주요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main portion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수렴부의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rgence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방향전환부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urning portion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s *

1.......골프 연습장1 ....... Golf Driving Range

2.......전방 차단벽2 ....... Front Barrier

10......타깃10 ...... Target

20......수렴부20 ...... Convergence

30......방향전환부30 ......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연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낙하 궤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골프 연습에 흥미를 유발하고 더욱 집중하여 연습하게 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driving r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to induce interest in golf practice and to concentrate more practice by varying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hit by the golf practice.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은 골프 연습자가 타석에서 타격한 골프공이 전방으로 비행하다 자유낙하하거나 차단벽(실외에 설치된 골프연습장의 경우에는 이 차단벽이 그물로 되어 있고, 실내에 설치된 골프연습장의 경우에는 그물이나 콘크리트로 된 곳도 있다.)에 부딪힌 후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골프 연습자는 단조로운 타격동작을 반복해야 했고 골프공의 비행 궤적도 단조로운 것이어서 골프연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In general, the golf driving range is free-falling or blocking walls (in the case of an outdoor golf practice range, this barrier wall is a net; in the case of an indoor golf practice range, Or concrete), and then fall. Therefore, the golf practitioner had to repeat the monotonous hitting motion and the flight trajectory of the golf ball was monotonous, which is insufficient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golf practitioner.

또한,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은 전방의 차단벽에 골프 연습자가 조준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타깃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역시 연습과정이 단조롭고 타깃을 향해 비행하는 골프공의 궤적에 큰 변화가 없어서 연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일으키거나 연습에 집중력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성취감을 갖게 하는데도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golf driving range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target that can hit the golf ball by aiming the golf practitioner in the front blocking wall, but this practice is also monotonou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flying toward the target. There is a lack of incentive for the practitioner to increase interest in the practice and a lack of achie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단벽에 부딪힌 후 낙하하는 골프공의 낙하 궤적을 다채롭게 만듦으로써 골프 연습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고 연습효과를 극대화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that attracts the interest of golf practicers and maximizes the practice effect by making a colorful fall trajectory of the golf ball falling after hitting the blocking wal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장 시설물은, 골프 연 습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골프 연습장 외부로 비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벽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에 부딪혀 떨어지는 골프공의 낙하궤적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locking wall to block the golf ball hit by the golf practitioner to fly outside the driving range, coupled to the blocking wall, the blocking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rning section for changing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falling 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주요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ies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골프 연습장 시설물은 차단벽(2)과, 타깃(10)과, 수렴부(20)와, 방향전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1 and 2,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locking wall 2, a target 10, a converging part 20, and a turning part 30.

상기 차단벽(2)은 골프공(B)이 골프 연습장(1) 바깥으로 날아가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골프공(B)의 골프 연습장(1) 외부로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연습장(1)의 내외부의 공간을 분리한다. 상기 차단벽은 전방차단벽(2), 측면차단벽(3, 4), 상부차단벽(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차단벽(2)은 골프 연습자가 타석(6)에 서서 골프연습장(1)을 바라볼 때 전방에 세워져 있다. 상기 측면차단벽(3, 4)은 골프 연습자의 양 옆으로 세워져 있으며, 그 일단이 상기 전방차단벽(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차단벽(5)은 상기 전방차단벽(2)과 측면 차단벽(3, 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골프연습장의 상부를 차단하고 있다. 상기 차단벽(2)은 골프공(B)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눈을 가진 그물로 되어 있다. The blocking wall (2) is to prevent the golf ball (B) to fly out of the golf driving range (1) to lose, and to block the progress of the golf ball (B) to the outside of the golf driving range (1), golf driving range Separate the space inside and outside of (1). The blocking wall is composed of the front blocking wall (2), the side blocking walls (3, 4), the upper blocking wall (5). The front blocking wall 2 is erected at the front when the golf practitioner stands on the plate 6 and looks at the golf driving range 1. The side blocking walls 3 and 4 ar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golf exerciser,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ront blocking wall 2. The upper blocking wall 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ront blocking wall 2 and the side blocking walls 3 and 4 to block an upper portion of the golf practice range. The blocking wall 2 is a net having an ey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olf ball B.

상기 타깃(10)은 골프 연습자가 골프공(B)을 타격할 때 골프공(B)이 날아갈 거리와 위치를 조준하여 타격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타깃(10)은 네 귀 퉁이를 줄로 묶어 상기 전방차단벽(2)에 고정되어 있고, 골프공(B)이 그 타깃(10)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멀리 튕겨나가지 않고 바로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천이나 비닐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arget 10 is intended to help the golf practitioner hit by hitting the distance and the position that the golf ball (B) will fly when hitting the golf ball (B). The target 10 is fixed to the front blocking wall 2 by tying four corners in a row, and when the golf ball B hits the target 10, the target 10 absorbs an impact and falls down immediately without being thrown away. Preferably, it is made of cloth or vinyl.

상기 수렴부(20)는 상기 차단벽(2) 중 상기 전방차단벽(2) 또는 상기 타깃(10)에 부딪혀서 떨어지는 골프공(B)을 수렴하여 상기 방향전환부(3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타격 된 골프공(B)이, 상기 차단벽(2)이나 상기 타깃(10)에 미치지는 못하나, 수렴부(20)까지의 거리와 방향에 맞게 비행하는 경우에는, 어디에도 부딪히지 않고, 바로 상기 수렴부(20)로 낙하하여 상기 방향전달부(3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수렴부(20)는 금속으로 된 림(21)과 골프공보다 작은 크기의 눈을 가진 그물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림(21)은 상기 타깃(10) 하부의 상기 차단벽(2)에 고정된다. 상기 그물부(22)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상기 림(21)에 고정되어 있다. 이 그물부(22)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으며 아래쪽으로 오목한 형태로, 그 하부에는 골프공(B)의 크기보다 조금 큰 지름의 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3)는 수렴부(20)로 낙하한 골프공(B)을 상기 방향전환부(30)의 정해진 위치로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converging portion 20 is for converging the golf ball (B) falling by hitting the front blocking wall (2) or the target 10 of the blocking wall (2) to transfer to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30). . When the hit golf ball B does not reach the blocking wall 2 or the target 10, but flies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to the converging portion 20, the golf ball B does not hit anywhere, but converges immediately. Falling to the unit 20 may be delivered to the direction transmitting unit 30. The converging portion 20 is composed of a rim 21 made of metal and a net portion 22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olf ball. The rim 21 is fixed to the blocking wall 2 below the target 10. The upper edge of the net portion 22 is fixed to the rim 21. The upper portion of the net portion 22 is wide, the lower portion is narrow and concave downwar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23 of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olf ball (B). The discharge port 23 is for dropping the golf ball (B) dropped to the converging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direction portion (30).

상기 방향전환부(30)는, 수렴부(20)로부터 전달되는 골프공(B)의 낙하 궤적을 변경하여, 이를 다채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골프공(B)의 낙하 궤적을 변경한다함은, 낙하하는 골프공(B)을 소정 물체에 부딪히게 하여 부딪히기 전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소정 물체에 마련된 경로를 통해 굴러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전환부(30)는 제1방향전환부(31)와 제2방향 전환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는 낙하하는 골프공(B)을 다른 방향으로 튕겨서 궤적을 변경하고, 상기 제2방향전환부(32)는 낙하하는 골프공(B)을 튕겨내지 않고 그에 의해 가이드되는 정해진 경로로 굴러가게 하여 골프공(B)의 궤적을 변경한다. The direction change unit 30 is to change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transmitted from the converging unit 20, to make it colorful. Here, changing the drop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means that the falling golf ball (B) hits a predetermined object and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before it hits, or rolls through a path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object.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change section 30 includes a first direction change section 31 and a second direction change section 32. The first turning unit 31 bounces the falling golf ball B in another direction to change the trajectory, and the second turning unit 32 does not bounce the falling golf ball B without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is changed by rolling in a predetermined path to be gui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방향전환판(311, 312, 3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방향전환부(31)의 첫번째 방향전환판(311)은, 상기 수렴부(20)로부터 낙하하는 골프공(B)을 튕겨내어 낙하궤적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렴부(2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적정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전방차단벽(2)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방향전환부(31)의 두번째 방향전환판(312)은, 골프공(B)의 낙하궤적을 다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첫번째 방향전환판(311)으로부터 튕겨나온 골프공(B)의 낙하궤적상의 위치에, 상기 첫번째 방향전환판(311)과는 다른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전방차단벽(2)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방향전환부(31)의 세번째 방향전환판(313)은, 골프공(B)의 낙하궤적을 또 다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두번째 방향전환판(312)으로부터 튕겨나온 골프공(B)의 낙하궤적상의 위치에, 상기 두번째 방향전환판(312)과는 다른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전방차단벽(2)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는 골프공(B)을 효과적으로 튕겨낼 수 있도록, 적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urning unit 31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urning plates 311, 312, and 313 sequentially from above. The first turning plate 311 of the first turning unit 31, the golf ball (B) falling from the converging unit 20 to be able to change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converging unit 20, It is located below and fixed to the front blocking wall 2 inclined at an appropriate angle. The second turning plate 312 of the first turning unit 31, the golf ball (B) bounced from the first turning plate 311 so as to change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again At a position on the drop trajectory, it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front blocking wall 2 to be inclined at a different direction and angle than the first turning plate 311. The third turning plate 313 of the first turning unit 31, the golf ball (B) bounced out of the second turning plate 312, so that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can be changed again. At a position on the drop trajectory of the inclined track, the second inversion direction 312 is inclined at a different direction and angle to the front blocking wall 2.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unit 3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modulus of elasticity so as to effectively bounce the golf ball (B).

상기 방향전환부(30)의 상기 제2방향전환부(32)는, 상부가 넓고 아래로 오목하며 그 하부에 구멍이 형성된 반구부(321)와, 지름이 일정한 원통을 나선형태로 구부린 모양의 나선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선부(322)는, 상기 반구부(321)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통하도록, 상기 반구부(321)에 연결된다. 상기 제2방향전환부(32)는, 상기 제1방향전환부로(31)부터 낙하하는 골프공(B)의 궤적상에 상기 반구부(321)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차단벽(2)에 설치된다. 상기 반구부(321)의 하부에 뚫린 구멍과 상기 나선부(322)는, 각각 그 내부 지름이 골프공(B)보다 더 커서 골프공(B)이 그 내부를 통하여 구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2방향전환부(32)의 재질은 합성수지이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것이어서, 외부에서 골프공(B)의 구르는 궤적을 관찰할 수 있으면 좋다.   The second turning part 32 of the turning part 30 has a hemispherical part 321 having a wide top, concave downward, and a hole formed at a lower part thereof,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bent in a spiral shape. The spiral part 322 is provided. The spiral portion 322 is connected to the hemisphere portion 321 so as to pas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portion 321. The second turning portion 32 is disposed on the front blocking wall 2 such that the hemisphere 321 is positioned on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falling from the first turning portion 31. Is installed. The hole dr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321 and the spiral portion 322, respectively, its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golf ball (B), so that the golf ball (B) can be rolled through the inside. The material of the second turning unit 32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preferably transparent, so that the ro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function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골프 연습자가 타석(6)에서 골프공(B)을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면 골프공(B)은 타격 방향으로 비행한다. 이러한 골프공(B) 중 비거리가 비행방향으로 상기 전방차단벽(2)에까지 이르는 것은, 상기 전방차단벽(2)이나 상기 타깃(10)에 부딪힌 후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골프공(B)의 비거리가 상기 전방차단벽(2)이나 상기 타깃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디에도 부딪히지 않고 바로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First, if the golf practitioner hits the golf ball (B) to the golf club at the plate 6, the golf ball (B) is flying in the strike direction. Among the golf balls B, the flying distance reaches the front blocking wall 2 in the flying direction to fall downward after hitting the front blocking wall 2 or the target 10. On the other hand, if the flying distance of the golf ball (B) does not reach the front blocking wall (2) or the target, the golf ball (B) falls directly below without hitting anywhere.

위의 과정을 거쳐 낙하하는 골프공(B) 중, 상기 수렴부(20)의 상기 림(21)이 구획하는 영역 내로 떨어지는 골프공(B)은, 상기 수렴부(20)의 그물부(22)를 따라 아래쪽으로 굴러,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23) 쪽으로 이동하여, 그 수렴부(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3)를 통하여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로 낙하하게 된다. Among the golf balls B falling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golf ball B falling into an area defined by the rim 21 of the convergence portion 20 is a net portion 22 of the convergence portion 20. Roll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and move toward the outlet 2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fall to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portion 31 through the outlet 2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rging portion 20.

상기 수렴부(20)의 상기 배출구(23)를 통해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로 낙하한 골프공(B)은, 상기 첫번째 방향전환판(311)에 부딪힌 후 튕겨 나와, 그 낙하궤적이 변경되어 낙하하게 된다. 이 골프공(B)은 다시 두번째 방향전환판(312)에 부딪힌 후 튕겨 나와, 다시 낙하궤적이 변경되어 다른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골프공(B)은 지그재그로 궤적을 그리면서 낙하하게 되어 골프연습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방향전환판(311, 312, 313)의 개수만큼 위의 과정을 반복한 골프공(B)은, 상기 제2방향전환부(32)로 낙하하여, 상기 반구부(321)내로 굴러들어 간다. 골프공(B)은 상기 반구부(321)의 내면을 따라 구르다가, 상기 반구부(321)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나선부(322)로 굴러들어가게 된다. 골프공(B)은 상기 나선부(322)의 나선 궤적을 따라 그 내면을 구르면서 나선궤적으로 낙하하게 되어 골프연습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상기 제2방향전환부(32)의 궤적을 모두 거친 골프공(B)은 지면(地面)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상기 타깃(10)에 부딪힌 후 낙하하는 골프공(B)의 낙하궤적을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The golf ball B dropped to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unit 31 through the outlet 23 of the converging unit 20 bounces off after hitting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plate 311, and the drop trajectory thereof. Is changed to fall. The golf ball (B) is again bounced after hitting the second turning plate 312, the drop trajectory is changed again to fall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golf ball (B) is dropped while drawing the trajectory in a zigzag to induce interest of golf practitioners. The golf ball B, which repeats the above process by the number of the turning plates 311, 312, and 313, falls to the second turning part 32 and rolls into the hemisphere 321. The golf ball (B) is ro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emisphere 321, and rolls into the spiral portion 322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321. Golf ball (B) rolls the inner surface along the spiral trajectory of the spiral portion 322 to fall into the spiral trajectory to cause the golf practitioner's interest. The golf ball B, which has passed all the trajectories of the second turning unit 32, falls freely to the ground.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falling after hitting the target 10 is illustr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2.

따라서, 골프 연습자는 자신이 타격한 골프공(B)이, 상기 타깃(10)에 부딪히고 수렴부(20)로 떨어지거나, 차단벽(2)에 부딪히고 떨어지거나, 수렴부(20)에 바로 떨어지고 난 후, 속도와 방향이 변하면서 상기 제1방향전환부(31)를 거칠 때,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낙하하는 궤적과, 상기 제2방향전환부(32)의 내부를 거칠 때, 곡선을 그리면서 구르는 궤적을 보면서, 흥미가 유발되고 희열감을 느끼며 더욱 연습에 집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습의 효율도 증대된다. Accordingly, the golf practitioner hits the golf ball B hit by the target 10 and falls to the convergence part 20, or hits and falls off the blocking wall 2, or the convergence part 20. Immediately after falling, when the speed and direction are 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turning portion 31, the trajectory moving in a zigzag and falling, and when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turning portion 32, the curve is Looking at the rolling trajectory as you draw, you're interested and excited, and you concentrate more on your practice, which increases your effectiveness.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골 프 연습장 시설물이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어,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의 타깃(10)을 포함하지 않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의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골프공(B)은 차단벽(2)에 부딪힌 후 수렴부(20)로 낙하거나, 수렴부(20)로 바로 낙하하게 된다. For example, unlike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that does not include the target 10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golf ball (B) hits the blocking wall (2) and falls to the converging portion 20, or falls directly to the converging portion (20).

또한, 수렴부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은 형상도 가능하다. 도 3의 수렴부(24)는 단면이 아래로 오목한 곡선이고, 길이방향으로 원의 일부를 잘라낸 호의 형상이며, 그 최하부에 골프공을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렴부(24)는, 그 외곽을 금속 막대로 둘러싼 외곽부(25)와 이를 팽팽하게 그물로 둘러싸는 그물부(26)로 구성되고, 이 수렴부(24)의 상부는 열려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수렴부(24)로 낙하한 골프공(B)은 마치 진자 운동을 하듯 배출구(27)를 중심으로 왕복운동을 하다가, 그 궤적이 상기 배출구(27) 위를 지날 때 상기 배출구(27)를 통하여 상기 방향전환부(30)로 낙하한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verging portion may be the shape as shown in FIG. 3 as well as the shape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rging portion 24 in Fig. 3 is a curved concave down section, has the shape of an arc cut out of a cir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27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o discharge the golf ball down. The converging portion 24 is composed of an outer portion 25 surrounding its outer edge with a metal rod and a net portion 26 enclosing it with a ne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rging portion 24 is an open structure. . In this case, the golf ball B dropped to the converging portion 24 reciprocates around the outlet 27 as if it were a pendulum movement, and the trajectory 27 when the trajectory passes over the outlet 27. Falls to the redirection unit 30 through.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렴부(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골프공(B)은 수렴부(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방향전환부(30)로 낙하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onverging portion 2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golf ball (B) does not go directly through the converging portion 20 the direction change unit 30 To fall.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전환부(30)는, 세 개의 방향전환판(311, 312, 313)을 구비한 한 세트의 제1방향전환부(31)와, 반구부(321)와 나선부(322)를 구비한 한 세트의 제2방향전환부(32)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1방 향전환부(31)가 없는 방향전환부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2방향전환부(32)가 없는 방향전환부도 구성될 수 있고, 복수 세트의 제1방향전환부(31)와 제2방향전환부(32)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turning unit 30 may include a set of first turning units 31 having three turning plates 311, 312, and 313. It is composed of a set of the second turning portion 32 having a hemisphere 321 and the spiral portion 322, but may also be a turning portion without the first turning portion 31, the second The turning part without the turning part 32 may also be configured,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of the first turning part 31 and the second turning part 32.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방향전환부(33)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방향전환부(33)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이나 합성수지 판으로 구성되어 전방차단벽(2)에 설치된 것이다. 이 경우 골프공(B)은, 상기 방향전환부(33) 위로 낙하한 지점에 따라, 그 지점에서 방향전환부(33)에 접하는 평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다르므로, 튕겨나가는 각도도 다르게 된다. 따라서 골프공(B)이 방향전환부(33)에 낙하하는 속력, 위치, 방향에 따라, 골프공은 다양한 궤적을 그리면서 튕겨나가게 되는 것이다. 방향전환부(33)에 의해 변경되는 골프공(B)의 낙하궤적의 예를 도 4에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예측할 수 없으며, 좀 더 변화무쌍한 골프공(B)의 낙하 궤적을 구현할 수 있고, 골프 연습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전환부를 볼록한 곡면이 아니라, 볼록한 다면체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direction change part 33 which has a curved surface which convex upwards can also be comprised. The direction change part 33 of FIG. 4 is comprised in the elastic metal plate or the synthetic resin board, and is installed in the front blocking wall 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angle of the golf ball B is different from the angle of the plane contacting the direction changing section 33 with the ground, depending on the point dropped on the direction changing section 33, so that the angle to bounce off. . Therefore, according to the speed, position, direction in which the golf ball (B) falls in the direction changing unit 33, the golf ball is bounced while drawing various trajectories. An example of the drop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 changed by the direction changing section 33 is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and a double-dotted line in FIG. In this way, it is not easy to predic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falling trajectory of a more variable golf ball (B), it can further induce the interest of the golf practitioner. In this case, a similar effect to the above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turning part is not a convex curved surface but a convex polyhedron.

또한, 타깃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를 갖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이나 동물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현수막과 같은 광고물 형태로 구성하여 골프 연습자의 흥미나 집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arget may not only have a concentric shape, but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erson or an animal,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dvertisements such as banners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concentration of golf practicers. You can.

또한,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1)의 차단벽(2)은 통상 골프공(B)보다 작은 크기의 눈을 갖는 그물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골프 연습장 시설물에 있어 서 차단벽(2)은 벽돌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generally, the blocking wall 2 of the golf driving range 1 is usually in the form of a net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olf ball B, but in 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 is It can also be made of a hard material made of brick or concrete.

또한, 상기 타깃(10), 상기 수렴부(20), 상기 방향전환부(30) 등은 상기 전방차단벽(2)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차단벽(3, 4)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rget 10, the converging portion 20, the redirection portion 30,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blocking walls 3 and 4 as well as the front blocking wall 2.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 연습자의 타격에 의하여 전방으로 비행하다 낙하하는 골프공이 다양한 궤적을 그리며 낙하하게 되어 골프 연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느끼고 성취감을 갖게 하여 골프 연습에 더욱 집중하고 연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the golf ball to fall in front of the fall by hitting the golf practitioner falls in a variety of trajectories to give the golf practitioner a sense of interest and accomplishment to focus more on golf pract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practice effect.

Claims (3)

골프 연습자가 타격한 공이 골프 연습장 외부로 비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벽을 구비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에 부딪혀 떨어지는 골프공의 낙하궤적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In a golf driving range facility having a blocking wall to block a ball hit by a golf practitioner from flying outside of the driving range, the turning unit coupled to the blocking wall to change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golf ball hit by the blocking wall Golf driving range facility characterized by hav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 부딪혀 떨어지는 골프공을 상기 방향전환부로 수렴시키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의 위쪽에 설치되며, 아래쪽으로 오목하고, 최하부에 상기 골프공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수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The convergence of claim 1, wherein the golf ball falling on the blocking wall converges to the direction changing part, and is installed above the direction changing part, concave downward,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golf ball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Golf driving range facility comprising a wealt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의 상방에는 골프 연습자가 조준하여 타격할 수 있는 타깃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 시설물.The golf driving range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target that a golf practitioner aims and strikes is provided above the direction change unit.
KR1020050021877A 2005-03-16 2005-03-16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KR100627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77A KR100627963B1 (en) 2005-03-16 2005-03-16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77A KR100627963B1 (en) 2005-03-16 2005-03-16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62A KR20060100162A (en) 2006-09-20
KR100627963B1 true KR100627963B1 (en) 2006-09-26

Family

ID=3763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877A KR100627963B1 (en) 2005-03-16 2005-03-16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9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179B1 (en) * 2011-05-17 2017-11-09 박경재 full swing golfball contro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179B1 (en) * 2011-05-17 2017-11-09 박경재 full swing golfball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62A (en)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514B1 (en)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impact assembly
US3368814A (en) Target game with secondary propulsion element inclined toward target
US20040214666A1 (en) Game and practice goal and playing field
US20090042659A1 (en) Practice sport projectile having a through-hole with transverse indicator
US9427643B2 (en) Ball hurling target game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0966485B1 (en) Throwing and catching training apparatus
US20160213989A1 (en) Ball game and apparatus
BG2320U1 (en) SPORTS APPROACH, IN PARTICULAR TO IMPROVE FOOTBALLIS TECHNICAL SKILLS
JP2019508192A (en) Returning device and system
US20040132558A1 (en) Multiple-plane or user-enclosing rebound surfaces for practicing soccer or other sports
KR20190107553A (en) Curling game apparatus
CN101970065A (en) Golf swing practice target panel and method of using
KR100627963B1 (en) Facilities for exercising golf
KR1017395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tching a golf ball
US20070259741A1 (en) Method for a court ball game
US20190388751A1 (en) Gymnasium game with projectiles, movable target, and two teams
US11969635B1 (en) Throwing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same
US5236195A (en) Paddle and projectile kit and game
CA2380722C (en) Curved ball court
RU79442U1 (en) SPORTS SIMULATOR
WO2004054661A1 (en) A ball game 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raining for a ball game
RU88978U1 (en) BILLIARD TYPE BULLET GAME
KR101517997B1 (en) System of ball game
JP2017121330A (en) Batting practice tool and batting practice method
RU59428U1 (en) GAME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