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932B1 -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932B1
KR100627932B1 KR1020040065141A KR20040065141A KR100627932B1 KR 100627932 B1 KR100627932 B1 KR 100627932B1 KR 1020040065141 A KR1020040065141 A KR 1020040065141A KR 20040065141 A KR20040065141 A KR 20040065141A KR 100627932 B1 KR100627932 B1 KR 10062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ver
main body
door
dishwash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271A (ko
Inventor
지쯔다켄이치
진고요시히로
마쯔노토모히코
스즈키하지메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14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5602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과제 : 외관의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고, 겉모양이 좋은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 윗 문짝 4의 본체 41 전면측을, 투명 커버 42에 의해 덮는다.투명 커버 42와 본체 41(외면 판44)과의 사이에는, 시트 45를 끼운다. 시트 45의 투명 커버 42 측 표면에는, 소정의 색으로 컬러 인쇄를 행한다.
효과 : 윗 문짝 4를 전방(투명 커버 42 측)으로부터 보는 경우,투명 커버 42를 통해, 그 후측에 배치된 시트 45의 표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시트 45의 표면을 적당한 색이나 모양으로 하면,일부러 스테인리스제 커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겉모양을 좋게 할 수 있다.
윗 문짝, 투명 커버, 시트, 외관, 식기 세척기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DOOR FOR TABLEWARE WASHING MACHINE AND TABLEWARE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REOF}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앞측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윗 문짝의 종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투명 커버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윗 문짝을 좌우 방향을 따라 절단한 때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윗 문짝을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투명 커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시트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투명 커버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짱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부호의 설명 *
1 : 식기 세척기 3 : 식기 투입구
4, 4A∼4C : 윗 문짝 7 : 배기구
9 : 세척실 41, 41A∼41C : 본체
42, 42A∼42G : 투명 커버 45 : 시트
421 : 개구 425 : 래버린스리브
426 : 계합편 429 : 볼록 만곡면
485 : 계지틀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세척실 내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예를 들어,세제가 혼입된 온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알려져 있다. 식기는, 예를 들면,식기 세척기의 전면에 형성된 식기 투입구를 통해 세척실 내를 출입한다.
식기 투입구는, 예를 들어, 상·하에 병렬 배치된 2장의 문짝(윗 문짝 및 아래 문짝)에 의해 덮혀 있다.윗 문짝은, 그 상단 테두리를 중심으로 하여 앞 상 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아래 문짝은, 그 하단 테두리를 중심으로 하여 앞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기 중에는,예를 들어,문짝의 전면(식기 투입구와 반대측의 면)이 스테인리스제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스테인리스제 커버로 문짝의 전면을 구성하면,청결감이 있고,겉모양이 좋다.
[특허 문헌 1] 특개2001-321313호 공보
스테인리스제 커버는, 도장하면 질감이 상실되기 때문에, 통상, 도장을 하지 않고 사용된다. 그러나,최근에는,식기 세척기의 대부분이 상기와 같은 스테인리스제 커버를 구비한 문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짝 외관의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외관의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고,또한, 겉모양이 좋은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식기 세척기(1)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3)를 개폐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 ,4C)으로써, 닫혀진 때에 식기 투입구에 인접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식기 투입구를 막기 위한 본체(41,41A,41B,41C)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기 위한 투명 커버(42,42A,42B,42C,42D, 42E,42F,42G)를 포함하고,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이 도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이다.
또한,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식기 세척기(1)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3)를 개폐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4C)으로써, 닫혀진 때에 식기 투입구에 인접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식기 투입구를 막기 위한 본체(41,41A,41B,41C)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고,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기 위한 투명 커버(42,42A,42B,42C,42D,42E,42F,42G)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소정의 색으로 컬러 인쇄되는 시트(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이다.
또한,괄호 내의 영문 및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이러한 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구성에 의하면,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전방(투명 커버측)에서 보는 경우,투명 커버를 통해,그 후측에 형성된 도장면 또는 시트의 표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장면 또는 시트의 표면을 적당한 색이나 모양으로 하면, 일부러 스테인리스제 커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겉모 양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장면이나 시트의 표면 색이나 모양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외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외관에 여러 종류의 변화를 주는 경우 등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표면이 투명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표면을 도장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질감(두께감)을 향상할 수 있고,보다 겉모양이 좋다.
상기 투명 커버 측에서 고정구(463)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투명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도 좋고,상기 본체 측에서 고정구(475)가 장착됨으로써,상기 본체와 상기 투명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투명 커버(42) 내면에서 돌출한 부재(리브나 계합부 등)는, 당해 투명 커버의 테두리(외연이나 개구의 틀 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계합부(계합편 426)나 리브(환상 리브 422) 등의 투명 커버에서 돌출한 부재가, 투명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커버를 전방(본체와 반대측)에서 보는 때에 비춰 보이는 상기와 같은 이면에서 돌출한 부재의 두께 부분을,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겉모양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상기 투명 커버(42,42A,42B,42C,42D,42E,42F,42G)의 내면이, (작은 요철이 없는) 매끈매 끈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4C)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시트를 투명 커버의 이면 전체에 얼룩 없이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와 투명 커버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시트(45)가, 부분적으로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4C)이다.
예를 들면,본체 외면과 투명 커버의 내면이 각각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는, 당해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열변형 등에 기인하여, 본체의 외면과 투명 커버의 내면과의 거리가 불균일하게 되는 동시에, 시트에 대해 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본체와 투명 커버의 간극이 비교적 큰 부분에서 시트가 휘고,겉모양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시트가 휘기 쉬운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켜 보강함으로써, 그 부분이 휘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와 투명 커버의 사이에 끼웠던 시트가 휘고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45)는, 상기 본체(41,41A,41B,41C)측의 면에 보강 부재(453,454)가 부착됨으로서 보강되어 있어도 좋다. 이 보강 부재는,예를 들면,실(seal) 상의 것이나 판상의 것이어도 좋으며, 가요성을 갖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상기 보강 부재(453,454)의 두께(예를 들면,0.3mm 정도)는, 상기 시트(45)의 두께(예를 들면,0.2mm 정도)보다도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41,41A,41B,41C)에는,상기 식기 세척기(1) 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시트(45)에는, 상기 배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451)가 형성되어 있고,이 개구의 주위의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보강되어 있어도 좋다.또한,상기 시트(45)는, 상기 개구 상방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41,41A,41B,41C)측의 면에, 당해 시트의 좌단부에서 우단부까지 보강 부재(453,454)가 부착됨으로써 보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배기구에서 배출된 증기에 기인하여 개구의 주위에서 본체 및 투명 커버가 변형되기 쉽다.특히,배기구의 주연부에서 본체와 투명 커버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개구의 주위에 있어서의 본체와 투명 커버의 간극이 넓어지기 쉽다.따라서, 개구 주위의 두께를 증가시켜 시트를 보강함으로써,시트가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시트(45)의 상기 투명 커버(42,42A,42B,42C,42D,42E,42F,42G)측의 면에는, 그 표면을 거칠게 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샌드 블라스트 처리나 약품을 이용한 처리 등에 의한 매트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4C)이 다.
투명 커버의 내면 및 시트의 투명 커버 측의 면이 매끈매끈한 경우,투명 커버와 시트가 밀착한다.이 때,본체와 투명 커버와의 간극이 불균일한 경우에는, 당해 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정면 측에서 보는 때에, 본체와 투명 커버와의 간극이 좁고 시트에 대해 비교적 큰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무지개색의 모양(스며듦)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이 경우,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물이 침투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서,겉모양이 나쁘다.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시트의 투명 커버 측의 면을 거칠게 하여,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밀착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정면 측에서 보었던 때에,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스며듦이 나타나고,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상기 본체(41C)의 외면의 외연부에는, 계지틀(485)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투명 커버(42G)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계지틀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C)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투명 커버와 본체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투명 커버의 본체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겉모양도 좋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투명 커버(42)의 내면의 외연부(예를 들면,좌우측 연부)에는, 상기 본체(41)측으로 돌출하고,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과 상기 본체의 외면의 사이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수 방지용 리브(4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본체와 투명 커버와의 간극으로부터 물이 침투하려는 경우에, 침수 방지용 리브에 의해 물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물이 들어가고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침수 방지용 리브(425)를 따라 이동하여 낙하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 제거 구멍(428)을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은, 본체와 투명 커버와의 간극으로부터 침투하려 하다가 침수 방지용 리브에 의해 그 침투가 저지된 물이, 당해 침수 방지용 리브를 따라 이동하여 물기 제거 구멍에서 배출된다.따라서, 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투명 커버(42,42A)는, 그 두께가 소정의 두께로 되고,또한, 그 외면의 외연은 볼록 만곡면(429)으로 되어 있고,내면의 외연부에는 위치 결정용 또는 계지용 돌기(426)가 설치되어 있으며,이 돌기가, 투명 커버를 외면 측에서 보는 때에 당해 돌기가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도록,투명 커버의 두께와 돌기의 위치가 관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이다.
예를 들어,계합부의 전방에서 볼록 만곡면을 보는 경우,볼록 만곡면을 통한 빛의 반사에 의해,돌기보다도 내측의 부분에서 반사한 빛이 시야에 들어오게 되어 있고,돌기 내를 통과한 빛은 시야에 들어오지 않게 되어 있다.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볼록 만곡면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볼록 만곡면이 아닌 부분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내를 통과하는 거리와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이러한 볼록 만곡면을 통해 돌기부분이 어둡게 보이거나 하지 않고, 겉모양이 좋다.
상기 돌기(426)는, 상기 본체와 계합하는 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폴부(442C)에 계합하는 훅부(426A)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상기 돌기(426)는,상기 본체(41)에 형성된 삽통공(442B)내로 한쪽에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계합하는 것으로,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삽통공의 다른 방향측을 덮는 우산 부재(444)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삽통공의 다른 방향측(본체의 안쪽 측)이 우산 부재에 의해 덮혀 있으므로, 본체내에 침투한 물이 삽통공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삽통공 내로 물이 유입하여,그 물이 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들어가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의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투명 커버(42,42A,42B)에는, 그 내면에 위치 결정용 또는 계지용 돌기(426)가 설치되어 있고,이 돌기의 표면이 상기 본체(41)의 색보다도 밝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돌기를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내를 통과하는 거리가, 돌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내를 통과하는 거리보다도 긴 경우에도,돌기의 표면이 본체보다도 밝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돌기를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광량이 많아지고,돌기부분이 비교적 밝게 보이다.이에 의해,돌기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겉모양이 좋다.
상기 돌기(426)의 표면은, 상기 본체(41)의 색과 같은 계통의 색보다 밝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상기 본체(41)에는, 상기 식기 세척기(1) 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7)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투명 커버(42)에는, 상기 배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421)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청구항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상기 투명 커버(42C,42D)는, 상기 본체(41)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7)의 상측부분을 덮지 않는 형상이라면,배기구에서 상방으로 배출되는 증기가, 투명 커버와 본체와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투명 커버와 시트와의 사이에 물방울이 들어가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2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상기 본체(41)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7)의 상측부분은, 당해 식기 세척기용 문짝(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식기 투입구측에 근접하게 경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배기구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투명 커버와 본체와의 사이에 들어가서,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효과적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상기 본체(41)에는, 상기 투명 커버(42) 측으로 돌출하고,그 내주면이 상기 배기구(7)를 구성하는 환상 돌기부(4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환상 돌기부는, 상기 개구(421)를 통하여,상기 투명 커버의 외면으로부터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배기구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투명 커버와 본체와의 사이에 들어가서,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상기 투명 커버(42)의 상기 개구(421)의 주연부에, 상기 본체(41)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리브(4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배기구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투명 커버와 본체와의 사이에 들어가서,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그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판(44)을 가지며,이 외면판의 상기 배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공(441)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환상 리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상기 외면판의 내면에서 나오도록(상기 외면판의 두께 이상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1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실(9)과, 상기 세척실 내에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3)와,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2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4,4A,4B,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따라서, 외관의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고,또한, 겉모양이 좋은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도면을 참조하여,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을 앞측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식기 세척기 1은, 그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의 캐비닛 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캐비닛 2의 내부는,예를 들면,세척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실 9로 되어 있고,이 세척실 9 내에 식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운전을 시작하면, 당해 세척실 9 내에 배치된 노즐(미도시)로부터 식기로 향해 세척수(예를 들면,세제가 혼입된 온수)가 분사되어, 식기가 세척된다.이 식기 세척기 1은, 예를 들면,건조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세척 후의 식기를 온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캐비닛 2의 전면은, 세척실 9 내에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 3으로 되어 있다.이 식기 투입구3은, 예를 들면,캐비닛 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2 장의 문짝(윗 문짝 4 및 아래 문짝 5)에 의해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윗 문짝 4는 식기 투입구 3의 상반분 정도를 덮고,아래 문짝 5는 식기 투입구 3의 하반분 정도를 덮는 것으로,각각 전방을 향해 볼록 만곡 형상으 로 되어 있다.윗 문짝 4는 앞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아래 문짝 5는, 앞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이들 윗 문짝 4 및 아래 문짝 5를 닫은 상태에서는,식기 투입구 3이 덮히고,세척실 9가 수밀(水密)하게 막힌다.
아래 문짝 5의 상단부 중앙에는,예를 들면,당해 아래 문짝 5를 여는 때에 유저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6이 장착되어 있다.유저는, 파지부 6을 잡고 앞쪽으로 끌어서,아래 문짝 5를 앞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윗 문짝 4는, 예를 들면,아래 문짝 5가 회동함에 수반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아래 문짝 5를 열면,이에 따라 윗 문 4가 열리고,아래 문짝 5를 닫으면,이에 따라 윗 문짝 4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윗 문짝 4의 상부 중앙에는,예를 들면,세척실 9 내로 연통하는 배기구 7이,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세척실 9 내에서 고온의 세척수를 분사한 경우나 건조시 등에는,배기구 7로부터 증기를 배기할 수 있다.
캐비닛 2의 전면 하부에는,당해 식기 세척기 1의 운전을 시작시키거나, 세척 코스를 설정하거나 하는 때에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패널 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는,윗 문짝 4의 종단면을 우측에서 본 도면으로,배기구 7 부근의 구성만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윗 문짝 4는,예를 들면,식기 투입구 3을 개폐하기 위한 본체 41과,본체 41의 전면측(식기 투입구 3과 반대측)을 덮는 투명 커버 42를 구비하고 있다.본체 41은,예를 들면,윗 문짝 4를 닫은 상태에서 식기 투입구 3에 인접한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판 43과,본체 41의 외면(전면)을 구성하는 외면판 44를 가지고 있다. 내면판 43은,예를 들면,PP(polypropylene)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외면판 44는,예를 들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면판 43에는,예를 들면,전방에 돌출하도록 굴곡 형성된 환상 돌기부 431이 구비되어 있고,이 환상 돌기부 431의 내면에 의해 배기구 7이 형성되어 있다.외면판 44 및 투명 커버 42에는,각각,내면판 43의 환상 돌기부 43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 441,421이 형성되어 있다.환상 돌기부 431은,개구 441,421에 삽통되고,그 선단이 전방(투명 커버 42의 전면보다도 전방)으로 뻗어 있다.
투명 커버 42는,예를 들면,투명한 AS(acrylonitrile styren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이 실시 형태에서는,예를 들면,투명 커버 42와 본체 41(외면판 44)과의 사이에 시트 45를 끼운 상태에서,투명 커버 42가 외면판 44에 대해 전방으로 장착되어 있다.시트 45는, 예를 들면,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에 의해 0.2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써, 외면판 44의 표면(전면)을 따라 만곡하여, 외면판 44의 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시트 45는 투명하고,그 외면판 44 측의 표면은,예를 들면,소정 색으로 컬러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윗 문짝 4를 전방(투명 커버 42 측)에서 보는 경우,투명 커버 42를 통해,그 후측에 배치된 시트 45의 표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45의 표면을 적당한 색이나 모양으로 하면,일부러 스테인리스제 커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겉모양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시트 45의 표면 색이나 모양을 변경한 것만으로,윗 문짝 4의 외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윗 문짝 4의 외관에 여러 종류의 변화를 주는 경우 등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윗 문짝 4의 표면이 투명 커버 42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윗 문짝 4의 표면을 도장한 경우 등과 비교하여,질감(두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겉모양이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투명 커버 42의 이면(본체 41 측의 면)은,작은 요철이 없는 매끈매끈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이에 의해,시트 45를 투명 커버 42의 이면 전체에 얼룩 없이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 45와 투명 커버 42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투명 커버 42와 외면판 44와의 사이에 시트 45를 끼우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예를 들면,투명 커버 42의 이면을 도장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도,상기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투명 커버 42의 개구 421의 주연에는,본체 41 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리브 422가 형성되어 있다.이 환상 리브 422는,외면판 44의 두께보다도 길게 본체 41 측으로 돌출하고 있고,그 선단이 외면판 44의 이면보다도 후방으로 뻗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상술한 바와 같이 윗 문짝 4가 전방으로 볼록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투명 커버 42 및 외면판 44의 배기구 7보다도 상측의 표면은,연직 방향 V에 대해 소정 각도 α 만큼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환상 돌기부 431과 개구 421과의 간극을 통과하여 본체 41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환상 돌기부 431의 선단이 투명 커버 42의 전면보다도 전방으로 뻗어 있으므로,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환상 돌기부 431과 개구 421과의 간극을 통하여 본체 41 내로 들어가는 것을,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투명 커버 42의 개구 421의 주연에 형성된 환상 리브 422가, 외면판 44의 이면(적어도 외면판 44의 전면)보다도 후방으로 뻗어 있으므로, 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환상 돌기부 431과 개구 421과의 간극을 통하여 본체 41 내로 들어가는 것을,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 환상 돌기부 431과 개구 421과의 간극을 통하여 본체 41 내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본체 41 내로 물방울이 들어가고,그 물방울이 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들어가서 윗 문짝 4의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 45에는,투명 커버 42의 환상 리브 4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 451이 형성되어 있고,시트 45를 투명 커버 42와 외면판 44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는,환상 리브 422가 개구 451 내에 삽통된다.
투명 커버 42의 상단연부는,비교적 큰 곡률로 본체 41 측으로 만곡됨으로써, 만곡부 420이 형성되어 있다.또한,외면판 44의 상단연부는,투명 커버 42의 만곡부 42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만곡부 420과 거의 동일한 곡률로 만곡됨으로써,만곡부 445가 형성되어 있다.시트 45의 상단연부는,각 만곡부 420,445 사이의 간극까지 늘어나고 있고,이 간극 내에 있어서 만곡한 상태로 끼워지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시트 45의 상단연부가 각 만곡부 420,445의 곡률에 맞추어 미리 만곡됨으로써 만곡부 452가 형성되어 있다.이에 의해,윗 문짝 4의 열변형 등에 기인하여,외면판 44와 투명 커버 42와의 거리가 불균일하게 된 경우에도,시트 45의 만곡부 452가 미리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해당 만곡부 452가 부자연스럽게 휘고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시트 45는,그 상단연부가 만곡된 형상에 한하지 않고,투명 커버 42 및 외면판 44가 만곡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부분이 만곡된 형상라도 좋다.이 경우,시트 45를,투명 커버 42의 내면 및 외면판 44의 외면의 기복에 대응시켜,시트 45 전체가 투명 커버 42 및 외면판 44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은,투명 커버 4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도 3(a)는 배면도,도 3(b)는 좌측면도,도 3(c)는 저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커버 42는,윗 문짝 4의 외면판 44(시트 45 )의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판부 423과,주판부 423의 외연 전체에 걸쳐 후방측(본체 41 측)으로 돌설되는 돌출편 424(상 돌출편 424A,하 돌출편 424B,좌 돌출편 424C 및 우 돌출편 424D)를 구비하고 있다.
좌 돌출편 424C 및 우 돌출편 424D의 선단 테두리로부터는,해당 돌출편 424C,424D와 같은 방향으로 일정량 돌출한 래버린스 리브 425가 형성되어 있다(도 3(b)참조). 각 래버린스 리브 425는,상하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그 상하 방향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동일 간격의 3 개소)에는, 후방측으로 또한 돌출한 계합편 426이 형성되어 있다.한편,상 돌출편 424A 및 하 돌출편 424B의 선단 테두리에는,그 좌우 방향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동일 간격의 6 개소)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한 계합편 426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편 426에는,본체 41의 외면판 44에 계합하고 당해 투명 커버 42를 계지하기 위한 계합공 426A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커버 42의 개구 421 주연에는,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한 환상 리브 422가 형성되어 있다.환상 리브 422의 선단 테두리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상측의 중앙부 및 하측의 좌우 양단부)로부터는,또한 후방측으로 돌출한 돌출편 422A가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돌출편 422A 중, 환상 리브 422의 하측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편 422A에는,개구 421의 안쪽을 향해 돌출한 폴부 422B가 형성되어 있다.투명 커버 42를 본체 41에 설치하면,상기 폴부 422B가,개구 421에 삽통된 환상 돌기부 431의 외주면에 걸리게 되어 있다.이에 의해,투명 커버 42가,배기구 7의 주위로 본체 41에 대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계합편 426이나 환상 리브 422 등의 투명 커버 42(주판부 423)로부터 돌출한 부재가,투명 커버 42의 외연이나 개구 421의 주연부 등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있으므로,투명 커버 42를 전방에서 보는 때에 비춰 보이는 상기와 같은 이면에서 돌출하는 부재의 두께 부분을,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윗 문짝 4의 겉모양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도 4는,윗 문짝 4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단한 경우 그 단면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도 4(a)는,투명 커버 42의 계합편 426을 통과하지 않도록 윗 문짝 4를 절단한 때의 단면도이고,도 4(b)는,투명 커버 42의 계합편 426을 통과하도록 윗 문짝 4를 절단한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윗 문짝 4의 좌우 양단부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도 4에서,윗 문짝 4의 우단부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외면판 44는,내면판 43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주면부 442와,주면부 442의 단부에서 후방(내면판 43 측)으로 돌출하고,본체 41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 443을 구비하고 있다.내면판 43은,측면부 443의 선단 테두리에 의해 구성된 개구 443A 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외면판 44에 장착된다.
도 4(a)를 참조하면,외면판 44의 주면부 442의 우단 테두리에는, 투명 커버 42의 래버린스 리브 425에 대응하는 위치에,당해 래버린스 리브 425의 돌출량과 동일한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홈부 4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442A는,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래버린스 리브 425에 대응하여, 주판부442의 우단 테두리에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 41의 외면판 44와 투명 커버 42와의 간극(우측)으로부터 물이 침투하려는 경우에,래버린스 리브 425에 의해 물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물이 들어가서 윗 문짝 4의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래버린스 리브 425에 의해 침투가 저지된 물은,래버린스 리브 425와 홈부 442A와의 간극을 통과하여(래버린스 리브 425를 따라 이동하여)낙하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상기 홈부 442A중 계합편 426에 대응하는 부분은 외면판 44(주판부 442)를 관통하고 있고,이에 의해,계합편 426을 삽통시키기 위한 삽통공 442B가 형성되어 있다.이 삽통공 442B의 주연부 좌측(측판부 443과 반대측)에는,예를 들면,우측(측판부 443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당해 삽통공 442B에 삽통되는 계합편 426의 계합공 426A에 계합한 폴부 442C가 형성되어 있다.
외면판 44의 측면부 443 내면에는,삽통공 442B를 덮기 위한 우산 부재 444가 돌설되어 있다.우산 부재 444에는,삽통공 442B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천판부 444A와,천판부 444A의 상하 양단부에서 주면부442 측으로 뻗어 있는 측판부 444B가 구비되어 있고,천판부 444A와 측판부 444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통공 442B가 위치하고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외면판 44(측면부 443)의 개구 443A와 내면판 43과의 간극으로부터 물이 침투하는 경우에도,삽통공 442B가 우산 부재 444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그 물이 삽통공 442B 내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삽통공 442B 내에 물이 유입하여,그 물이 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들어가서 윗 문짝4의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윗 문짝 4를 연 상태에서는,내면판 43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자세로 윗 문짝 4가 지지되기 때문에,외면판 44(측면부 443)의 개구 443A와 내면판 43과의 간극으로부터 침투한 물이 삽통공 442B 내로 낙하하기 쉽지만,상기와 같이 우산 부재 444를 설치함으로써,삽통공 442B 내로의 물의 유입을 효과적에 방지할 수 있다.
도5는,윗 문짝 4를 하방에서 본 도면이고,윗 문짝 4의 좌단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윗 문짝 4의 좌우 양단부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도 5에서는, 윗 문짝 4의 좌단부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투명 커버 42의 하 돌출편 424B의 좌단부에는,예를 들면,단부 427이 형성되어 있다.이 단부 427에 의해,본체 41의 외면 판 44와 투명 커버 42와의 사이에,대략 직사각형의 물기 제거 구멍 428이 형성되어 있다.본체 41의 외면판 44와 투명 커버 42와의 간극으로부터 침투하는 물은,상술한 바와 같이,래버린스 리브 425에 의해 그 침투가 저지되고, 래버린스 리브 425를 따라 낙하하게 되나,이와 같이 하여 윗 문짝 4의 하단부에 도달한 물은,상기 물기 제거 구멍 428을 통하여 아래쪽에 배출된다.따라 서, 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투명 커버 42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계합편 426을 통과하도록 투명 커버를 절단한 때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도 6(a)는, 이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 커버 42 단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도 6(b)은,제 1 변형례에 따른 투명 커버 42A의 단부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도 6(c)은,제 2 변형례에 따른 투명 커버 42B의 단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c)에 나타내는 투명 커버 42,42A,42B의 전면 단부는,주판부 423 및 돌출편 424의 각 표면을 소정 곡률로 매끈매끈하게 연결하는 볼록 만곡면 429로 되어 있다. 투명 커버 42,42A,42B를 본체 41에 설치하기 위한 계합편 426은,볼록 만곡면 42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투명 커버 42,42A,42B를 전방에서 보는 경우,볼록 만곡면 429를 통한 빛 L1의 굴절에 의해, 볼록 만곡면 429의 실제로 보고 있는 부분의 후방보다도 내측의 부분이 보이다. 또한, 볼록 만곡면 429의 선단 부근을 앞 측에서 보는 경우에는,당해 볼록 만곡면 429에 대한 입사각이 작아지고, 전반사 조건이 충족되므로,볼록 만곡면 429의 선단 부근에서 전반사한 외부의 빛 L2가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도 6(a)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에서는, 계합편 426이,투명 커버 42의 볼록 만곡면 429를 전방에서 보는 때에 당해 계합편 426이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도록,투명 커버 42의 두께와 계합편 426의 위치가 관계지어 진다.즉,계합편 426의 전방에서 볼록 만곡면 429를 보는 경우,계합편 429 보다도 내측의 부분(내측의 볼록 만곡면 429A 부근)으로 반사한 빛 L1이 시야에 들어오게 되어 있고,계합편 429 내를 통과한 빛은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다.이 경우,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 L1이 투명 커버 42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볼록 만곡면 429가 아닌 부분(주판부 423)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42 내를 통과하는 거리와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이 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계합편 426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거나 하지 않고,겉모양이 좋다.
도 6(b)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A에서도,도 6(a)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와 마찬가지로,계합편 426이,투명 커버 42의 볼록 만곡면 429를 전방에서 보었던 때에 해당 계합편 426이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도록, 투명 커버 42A의 두께와 계합편 426의 위치가 관계 지어지고 있다.즉,계합편 426의 전방에서 볼록 만곡면 429를 보는 경우,계합편 426보다도 내측의 부분에서 반사한 빛 L1이 시야에 들어오도록 되어 있고,계합편 429 내를 통과한 빛은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다.이 경우,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 L1이 투명 커버 42A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볼록 만곡면 429가 아닌 부분(주판부 423)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42A 내를 통과한 거리와 거의 같으므로,이 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계합편 426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거나 하는 일이 없고,겉모양이 좋다.
도 6(a) 및 (b)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42A와 같이,계합편 4 26이 사각에 위치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투명 커버로부터 본체 41 측으로 돌출한 다른 돌기(예를 들면,위치 결정용 돌기)가 사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6(c)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B에서는,도 6(a) 및 (b)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42A와는 달리,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투명 커버 42B를 전방에서 보는 경우에 시야에 들어오는 위치에 계합편 426이 배치되어 있다.즉,계합편 426의 전방에서 볼록 만곡면 429를 보는 경우, 계합편 426 내를 통과하는 빛 L1이 시야에 들어오게 되어 있다.이 경우,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 L1이 투명 커버 42B 내를 통과하는 거리는, 볼록 만곡면 429가 아닌 부분(주판부 423)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42B 내를 통과하는 거리보다도 길어지므로,이 볼록 만곡면 429를 통해 보이는 계합편 426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다.
투명 커버 42,42A,42B의 계합편 426의 표면은,도료 등을 이용하고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이 경우,본체 41의 외면판 44는 회색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계합편 426의 표면이 본체 41의 색보다도 밝은색(보다 바람직한 것은,본체 41의 색과 같은 계통색보다 밝은 색)으로 착색되고 있으면,도 6(c)와 같이 계합편 426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42B 내를 통과하는 거리가,계합편 426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빛이 투명 커버 42 내를 통과하는 거리보다도 긴 경우에도,계합편 426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는 광량이 많아져서,계합편 426의 부분이 비 교적 밝게 보이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계합편 426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겉모양이 좋다.
다만, 계합편 426의 표면이 착색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투명 커버로부터 본체 41 측으로 돌출하는 다른 돌기(예를 들면,위치 결정용의 돌기)의 표면이 착색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7은,시트 45의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시트 45의 배면(본체 41 측의 면)에는,그 개구 451의 주위에,시트 45의 두께를 증가시켜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실(seal) 453,454가 부착되어 있다.보강 실 453,454는,가요성을 갖는 부재로써,그 두께가 시트 45의 두께보다도 두껍게(예를 들면,0.3mm 정도) 형성되어 있다.
보강실 453은,좌우 방향의 장척(長尺) 형상으로써,개구 451의 상방으로 해당 개구 45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좌단부터 우단까지 뻗어있다. 한편, 보강 실 454은,개구 45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개구 451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1 실 부 454A와 ,제 1 실 부 454A의 상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2 실 부 454B를 포함하는 약 L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제 2 실 부 454B는,보강 실 453과 동일 직선상에 신장되어 있고, 보강 실 453과 각 보강 실 454의 제 2 실 부 454B에 따르고,시트 45의 개구 451의 상방이 해당 시트 45의 좌단부에서 우단부까지 보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배기구 7로부터 배출된 증기에 기인하여,개구 451의 주위에서 외면판 44 및 투명 커버 42가 변형되기 쉽다.특히,개구 451의 하방에서는,폴(pawl) 부 422B와 환상 돌기부 431의 외주면과의 계합에 의해 투명 커버 42가 본체 41에 고정되어 있는데 비하여, 개구 451의 상방에서는,투명 커버 42가 본체 41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개구 451의 상방에 있어서의 투명 커버 42와 본체 41의 간극이 넓어지기 쉽다.이 경우,투명 커버 42와 본체 41의 간극이 비교적 큰 부분에서 시트 45가 휘고,겉모양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구 451의 주위(특히,상방)를 보강 실(seal) 453로 보강함으로써,본체 41과 투명 커버 42와의 사이에 끼운 시트 45가 휘고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각 보강 실 453,454는,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또한, 시트 45에 대해 보강 실을 부착한 부분은,개구 451의 상방 및 측방에 한하지 않고,개구 451의 주위 전체에 보강 실이 부착되고 있어도 좋으며,개구 451의 주위 이외의 시트 45가 휘기 쉬운 부분에 보강 실이 부착되고 있어도 좋다.
시트 45를 보강하기 위해 시트 45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강 부재는, 실 형태의 것에 한하지 않고,예를 들면,판상의 것이어도 좋다.또,시트 45의 배면에 보강 부재를 부착하도록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예를 들면,시트 45 자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해도 좋다.
투명 커버 42의 내면 및 시트 45의 투명 커버 42 측의 면이 매끈매끈 한 경우,투명 커버 42와 시트 45가 밀착한다.이 때,외면판 44와 투명 커버 42와의 간극이 불균일한 경우에는,당해 윗 문짝 4를 정면 측에서 보는 때에, 외면판 44와 투명 커버 42의 간극이 좁고 시트 45에 대해 비교적 큰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무지개색 모양(스며듦)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이 경우, 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물이 침투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서,겉모양이 나쁘다.
그래서,이 실시 형태에서는,시트 45의 투명 커버 42 측의 면에는,그 표면을 거칠게 하기 위한 매트 처리(샌드 블라스트 처리나 약품을 이용한 처리 등)가 행해지고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시트 45의 투명 커버 42 측의 면을 거칠게 하여,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밀착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윗 문짝4를 정면 측에서 보는 때에,투명 커버 42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얼룩이 나타나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투명 커버 42의 또 다른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8(a)은,제3 변형례에 따른 투명 커버 42C를 구비한 윗 문짝4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고,도 8(b)은,제4 변형례에 따른 투명 커버 42D를 구비한 윗 문짝 4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C는,배기구 7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좌우 방향의 경계선 X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즉,이 투명 커버 42C는, 본체 41의 상기 경계선 X1보다도 하측의 부분만을 덮고 있다.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된 증기가,투명 커버 42C와 본 체 41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투명 커버 42C와 시트 45와의 사이에 물방울이 들어가서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에 나타난 투명 커버 42D는,배기구 7의 좌우 양측 테두리를 따라 윗 방향으로 늘어나는 경계선 X2보다도 내측(중앙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이 투명 커버 42D는,배기구 7의 상측 부분을 제외한 본체 41의 표면을 덮고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배기구 7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는 증기가,투명 커버 42D와 본체 41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투명 커버 42D와 시트 45의 사이에 물방울이 들어가서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도 11은, 각각,제 2∼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A,4B, 4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각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A,4B, 4C는,예를 들면,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4와 마찬가지로,식기 투입구 3을 개폐하기 위한 본체 41A,41B,41C와,본체 41A,41B,41C의 전면측(식기 투입구 3과 반대측)을 덮는 투명 커버 42E,42F,42G를 구비하고 있고,투명 커버 42E,42F,42G와 본체 41A,41B,41C의 사이에는,시트(미도시)가 끼워져 있다.윗 문짝 4A,4B,4C의 상부 중앙에는,세척실 9 내의 증기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7이,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a)는,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A를 앞측 경사 상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도 9(b)는,A-A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A에서는,투명 커버 42E가 본체 41A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전방에서 장착된다.투명 커버 42E는 평판상으로,그 이면(본체 41A 측의 면)의 외연부에는,본체 41A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461이 형성되어 있다.이 돌출부 461이,본체 41A의 전면의 외연부에 형성된 홈부 462 내에 끼워넣어짐으로써,투명 커버 42E가 본체 41A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투명 커버 42E의 4 구석(돌출부 461보다도 내측)에는,예를 들면, 당해 투명 커버 42E와 본체 41A를 고정하는 핀 463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 464가 형성되어 있다.또,본체 41A의 상기 관통공 46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관통공 465가 형성되어 있다.핀 463은,두부 463A와 축부 463B를 가지고 있으며,축부 463B의 선단에는,당해 축부 463B의 주면보다도 바깥쪽으로 확산되도록 형성된 탄성 변형부 463C가 구비되어 있다.
투명 커버 42E의 전방에서 관통공 464,465에 핀 463을 삽입하면,핀 463의 선단에 형성된 탄성 변형부 463C가 안쪽(축부 463B 측)으로 탄성 변형한다.그리고,핀 463의 축부 463B가,투명 커버 42E의 관통공 464 및 본체 41A의 관통공 465를 통해 더 압입되고,탄성 변형부 463C가 본체 41A의 관통공 465를 통과하면,당해 탄성 변형부 463C가 원상태(축부 463B의 주면보다도 바깥쪽에 확산된 상태)로 돌아오고,관통공 465의 주연부에 계합한다.이에 의해,투명 커버 42E와 본체 41A가 핀 463에 의해 고정된다.
핀 463은,윗 문짝 4A의 4 구석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예를 들면, 윗 문짝 4A의 외연을 따라 다수(5개 이상)의 위치에 장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투명 커버 42E와 본체 41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는,핀 463에 한하지 않고,예를 들면,나사 등이어도 좋다.이 경우,본체 41A에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a)은,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B를 앞측 경사 상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도 10(b)은,B-B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B에서는,투명 커버 42F가 본체 41B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전방에서 장착된다.투명 커버 42F는 평판상으로,그 이면(본체 41B 측의 면)의 외연부에는,본체 41B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471이 형성되어 있다.본체 41B의 전면의 외연부에는,투명 커버 42F의 돌출부 471을 감입하기 위한 홈부 462가 형성되어 있다.또한,투명 커버 42F의 이면의 4 구석(돌출부 471보다도 내측)에는, 예를 들면,본체 41B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그 내주면이 나사 구멍을 구성한 원통 돌기부 472가 형성되어 있다.본체 41B의 상기 원통 돌기부 47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당해 원통 돌기부 47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통 홈부 473이 형성되어 있다.투명 커버 42F의 돌출부 471 및 원통 돌기부 472가,각각 본체 41B의 홈부 462 및 원통 홈부 473에 끼워넣어짐으로써,투명 커버 42F가 본체 41B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투명 커버 42F를 본체 41B에 대해 위치 결정한 후,본체 41B의 내 측에서 원통 홈부 473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 474에 나사 475를 통과시켜,투명 커버 42F의 원통 돌기부 472 내에 고정함으로써,투명 커버 42F와 본체 41B가 고정된다.
나사 475는,윗 문짝 4B의 4 구석에 장착된 것은 아니고,예를 들면,윗 문짝 4B의 외연을 따라 다수(5개 이상)의 위치에 장착되고 있어도 좋다.
도 11(a)은,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C를 앞측 경사 상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도 11(b)은,윗 문짝 4C의 우하단부를 경사 아래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윗 문짝 4C에서는,투명 커버 42G가 본체 41C에 대해 아래쪽에서 슬라이드 되고 장착된다.투명 커버 42G는 평판상으로,그 하단면을 제외한 주면(상단면 및 좌우 단면)에는,해당 투명 커버 42G를 본체 41C에 대해 슬라이드 시키는 때의 가이드로서의 돌출부 48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41C의 전면 482는,예를 들면,측면부 483의 선단(전단)보다도 투명 커버 42G의 두께분만큼 후방으로 위치하고 있고,이에 의해,본체 41C의 전면측에는,투명 커버 42G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 484가 형성되어 있다.측면부 483의 선단부에는,안쪽을 향해 돌출한 계지틀 485가 형성되어 있다.이 계지틀 485와 본체 41C의 전면 482와의 사이의 공간 내를 돌출부 481이 슬라이드하도록,투명 커버 42G를 하방에서 본체 41C의 수용 홈부 484 내에 삽입함으로써,투명 커버 42G가 본체 41C에 대해 장착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투명 커버 42G와 본체 41C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구를 이용한 필요가 없으므로,투명 커버 42G의 본체 41C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겉모양도 좋다.
다만, 투명 커버 42G를 수용 홈부 484 내에 슬라이드 시켜 설치한 것은 아니고,예를 들면,폴 부나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투명 커버 42G를 수용 홈부 484 내에 계지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발명은,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청구항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다.
예를 들면,투명 커버 42,42A∼42G는,완전하게 투명할 필요는 없고,반투명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투명 커버 42,42A∼42G나 시트 45를 윗 문짝 4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동일한 구성을 아래 문짝 5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다.
또,상기 실시 형태에서는,식기 투입구 3을 2 장의 문(윗 문짝 4 및 아래 문짝 5)으로 덮도록 하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 1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은,예를 들면,식기 투입구를 1 장의 문으로 덮도록 하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에도 적용 가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의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고,또한, 겉모양이 좋은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에 있어서,
    닫혀진 때에 식기 투입구에 인접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식기 투입구를 막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기 위한 투명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이 도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2.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에 있어서,
    닫혀진 때에 식기 투입구에 인접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식기 투입구를 막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 반대측의 외면을 가지고,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기 위한 투명 커버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컬러 인쇄되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면의 외연부에는, 계지틀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계지틀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 외연부에는, 상기 본체측으로 돌출하고,상기 투명 커버의 내면과 상기 본체의 외면의 사이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수 방지용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는, 그 두께가 소정 두께로 되고,또한, 그 외면의 외연은 볼록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내면의 외연부에는 위치 결정용 또는 계지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이 돌기가, 투명 커버를 외면 측에서 보는 때에 당해 돌기가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도록,투명 커버의 두께와 돌기의 위치가 관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본체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상측부분을 덮지 않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상측부분은, 당해 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식기 투입구측에 근접하게 경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문짝.
  8. 세척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 내에 식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식기 투입구와,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식기 세척기용 문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40065141A 2003-09-05 2004-08-18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062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4681A JP4215602B2 (ja) 2003-05-07 2003-09-05 食器洗い機用扉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JPJP-P-2003-00314681 200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71A KR20050025271A (ko) 2005-03-14
KR100627932B1 true KR100627932B1 (ko) 2006-09-25

Family

ID=3461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141A KR100627932B1 (ko) 2003-09-05 2004-08-18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7932B1 (ko)
CN (1) CN12996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608B2 (ja) * 2014-02-07 2018-08-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6725192A (zh) * 2017-03-07 2017-05-31 何美英 一种高效率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419A (ja) * 1995-08-10 1997-0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3505471B2 (ja) * 2000-05-16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2433583Y (zh) * 2000-06-30 2001-06-06 伊莱克斯中意(长沙)电冰箱有限公司 冰箱门
JP2003065668A (ja) * 2001-08-27 2003-03-0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と冷蔵庫の部品と冷蔵庫の扉と冷蔵庫の扉用ハンドルと冷蔵庫の部品の製造方法
CN2537341Y (zh) * 2002-03-11 2003-02-26 李玉峰 拧干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631C (zh) 2007-02-14
KR20050025271A (ko) 2005-03-14
CN1589726A (zh)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463614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595180B1 (ko)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
KR20090115005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EP1609403B1 (en) Tub construction for dishwasher
US7997105B2 (en) Push-position indicator for appliance door
KR100826730B1 (ko) 식기 세척기
US20060255700A1 (en) Washing machine
KR101162206B1 (ko) 드럼세탁기의 전면 패널과 사이드 데코의 결합 구조
KR101234064B1 (ko) 세탁기
KR100627932B1 (ko) 식기 세척기용 문짝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JP4215602B2 (ja) 食器洗い機用扉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US20110215688A1 (en) Built-in dishwasher
KR101270607B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조립 구조
KR20090115004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EP369012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200395273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101203547B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TWI290034B (en) Tableware cleaning machine
EP3553385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wall of a household appliance or of a compon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KR101531500B1 (ko) 세탁장치
US11617491B2 (en) Dishwasher
TW201814101A (zh) 滾筒式洗衣機
CN107802224A (zh) 一种洗碗机门衬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