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926B1 -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926B1
KR100627926B1 KR1020050113540A KR20050113540A KR100627926B1 KR 100627926 B1 KR100627926 B1 KR 100627926B1 KR 1020050113540 A KR1020050113540 A KR 1020050113540A KR 20050113540 A KR20050113540 A KR 20050113540A KR 100627926 B1 KR100627926 B1 KR 10062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mp
advertising
advertis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Priority to KR102005011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배치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고정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며 고정벽에 결합되는 광고프레임;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패널이 휘어서 상기 램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고프레임의 후면부에서 상기 램프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장치를 제공한다.
PSD, 패널고정부, 광고프레임, 돌출부

Description

광고장치{Apparatus for Advertiz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으로 되어 있는 패널고정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도어 20:고정벽
30:기계실 40:광고장치
100:표시부 110:패널
120:패널고정부 211:가변프레임부재
212:힌지축 310:램프
320:외부전극 400:광고프레임
440:광고프레임후면부 420:돌출부
600:절연테이프 700:스위치
800:인버터 900:접지부
본 발명은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도어의 고정벽에 적용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PSD(Platform Screen Door)로 불리는 스크린도어는 지하철이나 경전철의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시키기 위해 승강장에 설치되는 시설로서, 고정벽과 이동도어로 구성되며, 지하철이나 경전철 차량(이하, '전동차'라 한다)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멈추어 서면 전동차문과 함께 이동도어가 열려 승객이 탑승하고, 승객이 모두 탑승하면 이동도어가 닫히게 되어 있어서, 승객이 고의 또는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 및 전동차운행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열차진입 및 출발시에 발생되는 강풍이나 철로변의 먼지에 의한 승객에 대한 영향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냉난방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편, 지하철 또는 기차역사는 평소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게 되는 바, 이에 착안하여 많은 개인 또는 기업들은 자신들의 상품 또는 용역을 홍보하기 위하여 역사(驛捨)시설 곳곳에 광고물을 게시하고 있다. 특히, 승강장 주변은 전동차를 기다리는 장소로서 광고물을 게시하여 수요자들의 시선을 끌기에 좋은 장소로서 활용이 가능한 바, 이에 대한 광고게시방안이 모색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 스크린도어가 보급됨에 따라 스크린도어의 구성장치에 광고물을 게시하게 되었다.
이하에서, 종래의 광고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고정벽에 설치되는 광고장치는 표시부와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광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승강장 위에 광고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출퇴근시의 혼잡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주취자의 난폭한 행동 등이 빈번하여 광고장치에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가 많아 광고장치의 파손의 염려가 있었다.
둘째, 광고장치에 적용되는 표시부에 부착되는 광고게시물은 광고용 필름의 형태로 표시부에 부착되었다. 그러나, 광고용 필름은 발화성이 높은 소재이여서 화재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의 물리적 타격에 따른 광고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광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가 있는 경우에도 광고필름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부를 구비한 광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배치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고정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며 고정벽에 결합되는 광고프레임;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패널이 휘어서 상기 램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고프레임의 후면부에서 상기 램프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투명아크릴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승강장 쪽에 배치되는 전면패널와 광고프레임내측의 후면패널의 결합으로 된 이중구조로 할 있으며, 상기 양 패널 사이에 광고게시물이 삽입되어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조명부의 램프는 EEFL로 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40)는 전동차가 출입하는 승강장의 끝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의 고정벽(20)에 설치된다. 고정벽의 내부에는 전동차의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이동도어(10)가 출입하며, 고정벽과 이동도어의 상단에는 이동도어를 작동 및 제어하는 기계실(30)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광고장치(40)는 승강장의 승객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고정벽의 전면부 즉, 승강장을 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광고물이 게시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100) 와 상기 패널(110)이 고정되며, 승강장 측으로 패널의 후면에서 조명을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310)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고정벽에 체결되는 후면부를 갖는 광고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광고프레임(400)은 알루미늄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승강장 측을 향하는 표시부(100)에는 필름으로 된 광고게시물이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패널(110)에 부착되어 게시되며, 상기 패널은 그 둘레가 광고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한 패널고정부(120)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를 소재로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란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투명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을 갖추고 있는 소재를 말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패널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장 측의 전면패널과 반대측의 후면패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는 상기 광고게시물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때 상기 이중으로 된 패널을 강하게 밀착시켜서 상기 광고게시물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을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함으로써, 패널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패널 자체의 훼손이 최소화되고 패널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패널이 녹아내리거나 하지 않는다. 게다가, 패널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광고게시물이 밀폐되어 있어서 광고게시물이 연소하여 화재를 발생시키거나 확대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표시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승강장 측에서 표시부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패널이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부(100)를 구성하는 패널(110)은 그 둘레가 광고프레임의 패널고정부(120)에 결합되어 광고프레임(40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고정부는 패널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고프레임의 패널고정부가 승강장을 향하는 전방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가변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으로 되어 있는 패널고정부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패널고정부에는 광고프레임의 전면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가변프레임부재(211)가 광고프레임의 측면에 힌지연결되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프레임부재(211)를 상기 힌지축(2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패널을 교체한 뒤에 상기 가변프레임부재를 덮어 패널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광고게시물이 부착되어 있는 패널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이 고정되는 광고프레임에는 내부의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7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승객들의 고의 또는 실수에 따라 스위치레버를 작동되는 일이 없도록 스위치부를 광고프레임 내부로 매입하고 이를 광고프레임의 하부측면에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고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광고프레임 내부의 조명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800)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나의 인버터가 고장인 난 경우에도 나머지 인버터의 작동으로 램프 전체 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인버터는 광고프레임 내측면을 따라 인버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함이다.또한, 인버터와 광고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의 광고프레임 후면부에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고프레임 후면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인버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프레임의 후면부(440)에는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램프는 EEF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EEFL 이란, Exterior Electronic Fluorescent Lamp의 약자로서 전극이 램프 외부에 있으며 외부전극의 전기장에 의해 플라즈마를 유도하여 빛을 내는 방식에 의해 작동하는 램프를 말한다.
한편, 상기 램프를 2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램프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EFL은 후면부에 고정된 램프지지대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EEFL의 외부전극(320)은 광고프레임후면부(440)에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전극과 광고프레임후면부(440) 사이에는 절연테이프(600)를 삽입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램프 상호 간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램프에 파손이 있는 경우에도 나머지 다른 램프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EEFL의 외부전극(320)과 후면부(440) 사이에 절연테이프(600)를 부착하여 둠으로써, 외부전극에 흐르는 고전압의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이 광고프레임을 따라 전달됨으 로써 광고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램프 내부의 플라즈마에 영향을 미쳐 램프가 깜박거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패널 및 램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42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돌출부는 광고프레임후면부(440)에 본드,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가 고정되는 광고프레임후면부(440)에 고정되는 돌출부(420)는 후면부로부터 표시부 방향으로의 램프의 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패널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되면서 광고프레임후면부(440) 방향으로 밀려오는 경우에는 램프와 패널이 부딪히기 전에 패널과 돌출부가 먼저 부딪히면서 돌출부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될 뿐 아니라 진행이 방해된다. 따라서, 패널과 램프의 충돌에 의한 램프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등 특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면부 고정된 램프와 평행하게 광고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420)는 램프의 빛이 광고판에 투사되면서 상기 돌출부에 의한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도록 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표시부를 구성하는 패널이 변형 또는 파손되어 광고프레임이 밀리는 경우에도 돌출부에 의해 패널의 진행이 제한되므로 램프와 패널이 직접적으로 부딪혀서 발생하는 램프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을 고려하여 램프와 패널 사이의 간격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만들 필요가 없으며, 패널과 램프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고장치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고장치는 그 후면부와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고정벽의 전면부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됨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체결구로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를 고정벽에 체결하는 데 있어서, 이미 설치된 고정벽에 광고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상의 이유로 철로변에서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승강장 측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작업여건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볼트와 체결되는 대응부분은 넛서트(nutsert)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벽에 구멍을 형성하고 넛서트를 삽입, 체결하여 이를 고정벽에 고정시킨 뒤에 상기 광고프레임후면부(440)와 고정벽의 전면부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넛서트를 체결함으로써 광고장치를 고정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광고장치와 고정벽의 접촉면 사이, 볼트와 넛서트의 결합에 따른 금속부재간에 전류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부재를 사용하여 절연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의 사용과 함께 이중으로 광고프레임 자체에 접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절연부재와 함께 상기 접지부(900)를 구비함으로써 전류누설에 따른 위험을 이중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 광고장치에 가해지는 경우에있어서 광고장치의 표시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표시부의 파손 또는 변형으로 인해 램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파손을 염려하여 패널과 램프의 간격을 넓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광고장치의 부피를 슬림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 및 램프의 훼손으로 인한 광고게시물의 선명도 저하에 따른 광고효과의 약화를 방지하고, 패널 및 램프의 교체로 인한 광고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슬림화에 따라 광고장치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성하는 패널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서 패널이 화재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연소하지 않으며, 광고게시물 또한 상기 패널사이에 삽입되어 있어 쉽게 연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재발생 및 화재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보장한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부재의 이용과 광고장치에 대한 접지를 통해 광고장치와 슬라이딩도어가 절연되어 슬라이딩도어의 오작동 및 감전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면에 배치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고정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구비하며 고정벽에 결합되는 광고프레임;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패널이 휘어서 상기 램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고프레임의 후면부에서 상기 램프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고장치.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투명아크릴 재질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승강장 쪽에 배치되는 전면패널와 광고프레임내측의 후면패널의 결합으로 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양 패널 사이에 광고게시물이 삽입되어 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EEFL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
KR1020050113540A 2005-11-25 2005-11-25 광고장치 KR10062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40A KR100627926B1 (ko) 2005-11-25 2005-11-25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40A KR100627926B1 (ko) 2005-11-25 2005-11-25 광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926B1 true KR100627926B1 (ko) 2006-09-25

Family

ID=3762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540A KR100627926B1 (ko) 2005-11-25 2005-11-25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9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605A (ko) * 2003-04-18 2003-05-16 안균호 피난경로 표시장치
KR20030065428A (ko) * 2003-07-09 2003-08-06 (주)선명애드팜 박형 광고판
KR20030095706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KR200368539Y1 (ko) * 2004-08-23 2004-11-26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광고 부착형 슬라이딩 비상게이트
KR200399913Y1 (ko) * 2005-08-09 2005-11-01 이준호 외부전극형광램프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기구
KR20050115387A (ko) * 2004-06-03 2005-12-07 김길홍 간판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706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KR20030038605A (ko) * 2003-04-18 2003-05-16 안균호 피난경로 표시장치
KR20030065428A (ko) * 2003-07-09 2003-08-06 (주)선명애드팜 박형 광고판
KR20050115387A (ko) * 2004-06-03 2005-12-07 김길홍 간판 프레임
KR200368539Y1 (ko) * 2004-08-23 2004-11-26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광고 부착형 슬라이딩 비상게이트
KR200399913Y1 (ko) * 2005-08-09 2005-11-01 이준호 외부전극형광램프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824B2 (en) Field serviceable electronic display
KR100850753B1 (ko) 이동식 엘이디 광고차량
KR100627926B1 (ko) 광고장치
KR100606145B1 (ko) 광고장치
KR200408869Y1 (ko) 광고장치
WO2022247579A1 (zh) 一种隐藏式车顶灯及车辆
KR100830571B1 (ko) Psd의 광고용 고정 도어
KR200436322Y1 (ko) 버스 위험경고장치
CN105632363A (zh) 升降广告牌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KR101802185B1 (ko) 스크린 도어의 광고판 개폐 장치
CN205645168U (zh) 站名牌灯箱
KR20080096291A (ko) 광고장치
KR100606167B1 (ko) 스크린 도어에 설치되는 광고 및 홍보용 보드
KR100934102B1 (ko) 전기박스가 구비된 가로등주
KR20120110770A (ko) 슬림형 가로등 분전반
KR100767273B1 (ko) 버스 위험경고장치
CN210178256U (zh) 广告门
CN205910988U (zh) 广告门
CN106097933A (zh) 广告门
KR200466608Y1 (ko) 버스용 돌출형 번호판
KR200391025Y1 (ko) 광고장치가 설치된 가로시설물 제어함
KR100582668B1 (ko) 광고장치
CN206187019U (zh) 城铁车辆侧顶板结构总成
KR100893209B1 (ko) 전동차용 조명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