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727B1 -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727B1
KR100627727B1 KR1020040011296A KR20040011296A KR100627727B1 KR 100627727 B1 KR100627727 B1 KR 100627727B1 KR 1020040011296 A KR1020040011296 A KR 1020040011296A KR 20040011296 A KR20040011296 A KR 20040011296A KR 100627727 B1 KR100627727 B1 KR 10062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quarium
sliding door
buil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741A (ko
Inventor
박철호
Original Assignee
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호 filed Critical 박철호
Priority to KR102004001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engthwise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ㆍ빌라와 같은 고급 주거지의 벽면 또는 발코니로 통하는 창틀이나 샤시부분 등의 슬라이딩 도어부를 고려하여 구성되어진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2)의 상, 하단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판체(3)(4)로 밀폐되게 고정 설치하되 하단부의 공간부에 수족관용 에어펌프와 전등용 안전기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상단부의 공간부에는 전등과 가습용 휀을 설치하고, 상단부 공간부를 막고 있는 판체(3)의 일측에는 회전식 먹이 투입구(5)를 설치하되 그 타측에는 송풍용 관통공을 형성하며, 도어(2)의 측면에는 완충장치용으로 연질의 완충재(6)를 설치하고 도어(2)의 배면 하단에는 자동 배수장치(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도어의 측면에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을 경우 도어와 문틀간에 발생되는 충격파나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하여 관상어가 놀래는 것을 방지하며 심할 경우 충격파로 인하여 수족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배수장치에 배출봉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문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교체할 수가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The architectural windows and the sliding door which have a aquarium}
도 1 은 본 발명 수족관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수족관의 발췌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수족관의 배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투입구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 투입구의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보인 개략 평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 배출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 배출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 배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 완충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발췌 확대 평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개략 발췌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정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건축용창 2. 도어 3. 4. 차단판
5. 먹이 투입구 6. 완충재 7. 전등
8. 배수장치 9. 배수공 10. 차단판
11. 차단구슬 12. 고정구 13. 작동구
14. 20. 밀대 15. 보조차단판 16. 16'. 배수공
17. 만곡부 18. 배출봉 19. 에어쇼바
22. 물방울 장식부 23. 격판 24. 에어펌프
25. 에어분사공 26. 통로 27. 틀채
본 발명은 아파트나 사무실 또는 각종 업소나 기타 주거공간에 있어서 개인의 기호적 취향에 부응하는 한편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창문을 수족관으로 구성함으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인 사용하여 수족관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의 설치에만 국한하지 않고 수족관의 형태를 개인의 주거생활과 친화적으로 구성하여 개개인의 생활수준 향상에 일조하는 한편 다기능을 겸비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수족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족관은 거실 등의 특정장소에 설치되어지므로 일정공간을 차지하여 전체적으로 장소를 협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또한 어린이들의 부주의에 의하여 파손시 그에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주위의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수족관의 형태가 주거생활에 있어 하나의 소품으로서의 의미를 넘지 못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공간상의 제약이나 어린이나 미숙련자 등의 부주의에 의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감소시키고자 액자형태의 수족관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그 형태와 크기에 따라 일정공간을 점유하게 되며, 기존의 박스형태의 수족관의 한계성으로 작용한 주거생활과의 보다 친화적인 일체감을 이루는데는 부족하여 문화적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개인의 취향을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수족관을 별도로 구입하여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였으며 수족관의 요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2000년 특허출원 제0087192호)를 출원하였는 바, 상기의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시공시의 벽면 전원공급 라인을 통해 샤시부로 연결되어진 전선을 통하여 외부에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전등과; 관상어와 각종 사료 및 물을 공급하고, 유리부재 내부에 발생되는 플랑크톤이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자석이 부착된 타월 등을 유입시키거나 형광등을 교체할 때 사용하는 투입구와;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투입구와; 수족관 내부의 물과 이물질 각종 모래 및 관상어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있어 물을 제외한 다른 물질의 배출을 제한하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가 체결되는 배출구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배출구를 밀착하는 방수캡; 배출부의 수압에 의한 프레임과 캡의 해정을 방지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를 고정시키는 원터치 고정캡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일 경우 전등을 켜기 위하여 별도의 전선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불편하고 미관상 보기가 흉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먹이를 공급하는 투입구가 상측에 구멍이 뚫린 형성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먹이를 줄 경우 실내로 흘러 내려 주변을 어지럽히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주 청소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발명은 배출구가 문틀이나 도어용 샷시에 설치되어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물을 교체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 문을 분리한 다음 하수구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교체를 하여야함으로써 힘들로 곤란하였으며, 수족관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하여야 함으로 혼자서 들어 이동시킬 수가 없었으며, 또한 부주의 할 경우 수족관을 떨어뜨려 파손됨으로서 다치게 되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수족간의 내부에 물과 어류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창을 닫을 경우 슬라이드 창이 닫히면서 문틀에 부딪히게 되고, 이 충격파가 내측으로 전 해짐으로서 관상어가 놀래는 단점이 있으며, 그 충격파가 심할 경우 단순히 유리로 된 수족관의 내부에 물에 의한 하중과 충격파로 인하여 유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의 개량 발명에 관한 것으로, 거실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유리로 된 창문이나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수족관으로 구성하되 창문이나 슬라이딩 도어의 상, 하단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단의 공간부에는 산소공급기를 설치하고 상단의 공간부에는 먹이투입구와 전등을 설치하며 도어의 측면에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과 슬라이딩 도어를 수족관으로 구성할 경우 전체 하중을 줄이고, 각각의 내부에 다양한 수족관용 설비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용 창(1)과 슬라이딩 도어(2)에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도어(2)의 상, 하단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판체(3)(4)로 밀폐되게 고정 설치하되 하단부의 공간부에 수족관용 에어펌프와 전등용 안전기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상단부의 공간부에는 전등과 가습용 휀을 설치하고, 상단부 공간부를 막고 있는 판체(3)의 일측에는 회전식 먹이 투입구(5)를 설치하되 그 타측에는 송풍용 관통공을 형성하며, 도어(2)의 측면에는 완충장치용으로 연질의 완충재(6)를 설치 하고 도어(2)의 배면 하단에는 자동 배수장치(8)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21은 열대어를 위한 온도조절용 히터, 28은 형광등을 보인 것이다.
상기 완충장치의 실시예로 도어(2)의 측면 상하부에 도어의 내측으로 에어쇼바(19)를 설치하여 고정구로서 견고히 고정하되, 밀대가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도어(2)를 닫을 때 밀대(20)가 압축되는 힘에 의하여 도어(2)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장치(8)는 도어(2)의 하단 일측에 배수구(9)를 형성하되 그 배수구에 수족관에 내장된 돌이나 모래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판(10)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는 고정구(12)를 체결하되 중앙부에 배수공(16')을 형성하며, 고정구(12)의 끝부분에는 반원형의 만곡부(17)를 형성하여 차단구슬(11)을 삽입하고 고정구(12)의 외측에는 중앙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작동구(13)를 체결하되 작동구의 끝부분에는 밀대(14)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외측에 보조차단판(15)을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작동구(14)의 외측에는 'ㄱ'형으로 절곡된 배출봉(18)을 밀폐되게 체결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건축물에 있어서, 거실과 방사이의 벽면에 틀채(26)를 설치하고 이 틀채(26)에 수족관을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수족관을 이루고 있는 도어(2)나 건축용 창(1)의 내부 일측에 수개의 격판(23)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통로(26)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의 수족관 틀에는 에어펌프(24)를 설치하여 각각의 통로에 에어분사공(25)을 설치하여 물방울장식부(22)를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도어나 창에 수족관을 설치할 경우 문틀이나 창틀 상, 하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내, 외측으로 판체(3)(4)를 덮어 차단되게 함으로서,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다.
이와 같이 공간부가 형성되면 하단의 공간부에는 소형의 에어펌프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측의 공간부에는 가습용 휀과 전등을 설치하고 창의 내부에 각종 수족관장식을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2)를 창틀에 설치한 다음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구(5)를 통하여 물을 공급한 다음 다시 관상어를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형 수족관은, 건물시공시의 벽면 전원공급 라인을 통해 샤시부로 연결되어진 전선을 통하여 외부에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전등을 설치한다.
그리고 관상어와 각종 사료 및 물을 공급하고, 유리부재 내부에 발생되는 플랑크톤이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자석이 부착된 타월 등을 유입시켜 청소하면 된다.
수족간의 내부에 있는 물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도어나 창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장치(8)의 작동구(13)를 회전시키면 작동구(13)는 나사산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구(13)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밀대(14)가 배출공(16')을 지나 만곡부(17)에 있는 차단구슬(11)을 내측으로 밀게되므로 수족관에 있던 물이 배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구(13)의 입구측에는 배출봉(18)을 체결하여 물이 창틀을 지나 베란다로 직접 떨어지게 할 수가 있으므로 도어를 분리하지 않고 문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배출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수족간에 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2)를 열고 닫을 경우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 도어가 문틀에 부딪치면서 충격파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재(6)에 의하여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관상어가 놀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도어가 이동하여 문틀과 접할 경우 도어(2)에 설치되어 있는 연질의 완충재(6)가 먼저 접하게 되면서 충격파를 흡수하게 되므로 도어가 닫히는 힘이 완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음이나 충격파를 최소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서와 같이 슬라이딩식 도어(2)의 측면 상하부 중앙에 에어쇼바(19)를 설치할 경우 도어가 닫힐 때 에어쇼바(19)의 밀대(20)가 도어(2)보다 외측으로 돌출 되어 있음으로 밀대(20)가 먼저 문틀과 접하게됨으로써 밀대가 에어쇼바(19)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압축하면서 내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2)가 서서히 닫히게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음과 충격파를 방지할 수가 이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로 슬라이딩 도어형 수족관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을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 시, 고정 도어부의 새시내부에 배선을 설치하여 유동 도어부는 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 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 벽면에 틀채(27)를 설치하고, 이 틀채에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과 벽면 사이가 투시됨으로서 유아나 환자가 기거할 경우 다른 곳에서도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4 에서와 같이 수족관을 이루고 있는 도어(2)나 건축용 창(1)의 일측에 에어를 이용한 물방울 장식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족관과 함께 물방울이 올라가면서 발생되는 장식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도 15 와 도 16 에서와 같이 도어(2)나 건축용 창(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펌프(24)가 작동할 경우 에어는 물방울장식부(22)에서 에어에 의하여 물방울이 발생하게 되고, 이 물방을은 각각의 통로(26)를 통하여 상승하다가 격판(23)이 끝나는 곳에서 부터 수족관 전체로 퍼지게 됨으로서, 장식의 효과와 관상어에 대한 산소의 공급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 수족관에 설치된 배출구의 위치는 배설물이나 물과 찌꺼기의 용이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발코니 등의 외부측면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먹이 투입구는 도어의 전면 즉 실내 측에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수족관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수족관의 내부에 발생되는 플랑크톤이나 물 찌꺼기 등에 의해 오염된 내부 유리면의 청소는 자석이 부착된 타월과 자석이 부착된 손잡이를 각각 내부와 외부에 위치하여 자석의 서로 다른 극성에서 발생되는 자기유도를 통하여 유리면의 청소가 가능해지도록 자석을 부착한 타월과 손잡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족관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상어가 활동하는데 필요한 산소 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가 내설됨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산소공급기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게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인 출원한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의 개량 발명에 관한 것으로, 거실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유리로 된 창문이나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수족관으로 구성하되 창문이나 슬라이딩 도어의 상, 하단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단의 공간부에는 산소공급기를 설치하고 상단의 공간부에는 먹이투입구와 전등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도어의 측면에 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을 경우 도어와 문틀간에 발생되는 충격파나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하여 관상어가 놀래는 것을 방지하며 심할 경우 충격파로 인하여 수족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배수장치에 배출봉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문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교체할 수가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변화시키지 아니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건축용 창(1)과 슬라이딩 도어(2)에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도어(2)의 상, 하단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판체(3)(4)로 밀폐되게 고정 설치하되 하단부의 공간부에 수족관용 에어펌프와 전등용 안전기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상단부의 공간부에는 전등과 가습용 휀을 설치하고, 상단부 공간부를 막고 있는 판체(3)의 일측에는 회전식 먹이 투입구(5)를 설치하되 그 타측에는 송풍용 관통공을 형성하며, 도어(2)의 측면에는 완충장치용으로 연질의 완충재(6)를 설치하고 도어(2)의 배면 하단에는 자동 배수장치(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2)의 측면 상하부에 도어의 내측으로 에어쇼바(19)를 설치하여 고정구로서 견고히 고정하되 밀대가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 되게 하여 도어(2)를 닫을 때 밀대(20)가 압축되는 힘에 의하여 도어(2)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8)는 도어(2)의 하단 일측에 배수구(9)를 형성하되 그 배수구에 수족관에 내장된 돌이나 모래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판(10)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는 고정구(12)를 체결하되 중앙부에 배수공(16')을 형성하며, 고정구(12)의 끝부분에는 반원형의 만곡부(17)를 형성하여 차단구슬(11)을 삽입하 고 고정구(12)의 외측에는 중앙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작동구(13)를 체결하되 작동구의 끝부분에는 밀대(14)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외측에 보조차단판(15)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작동구(13)의 외측에는 'ㄱ'형으로 절곡된 배출봉(18)을 밀폐되게 체결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수족관을 이루고 있는 도어(2)나 건축용 창(1)의 내부 일측에 공기를 이용한 물방울 장식구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수족관의 내부 일측에 수개의 격판(23)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통로(26)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의 수족관 틀에는 에어펌프(24)를 설치하여 각각의 통로에 에어분사공(25)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KR1020040011296A 2004-02-20 2004-02-20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KR10062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296A KR100627727B1 (ko) 2004-02-20 2004-02-20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296A KR100627727B1 (ko) 2004-02-20 2004-02-20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442U Division KR200354012Y1 (ko) 2004-02-20 2004-02-20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41A KR20050082741A (ko) 2005-08-24
KR100627727B1 true KR100627727B1 (ko) 2006-09-26

Family

ID=3726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296A KR100627727B1 (ko) 2004-02-20 2004-02-20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277A (zh) * 2019-04-11 2019-06-18 给力品牌服务(广州)有限公司 一种门式水族缸及其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968B1 (ko) * 2010-10-14 2011-06-16 이터건설 주식회사 바닥 틈새를 차단시킨 미닫이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277A (zh) * 2019-04-11 2019-06-18 给力品牌服务(广州)有限公司 一种门式水族缸及其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41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09B1 (ko) 건물의 창으로 들어오는 먼지 차단장치
US20160146484A1 (en) Ventilation system for bathroom
KR100709109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KR20170126927A (ko) 윈도우 장착된 펫리터 하우징 및 펫 셸터 장치
KR100627727B1 (ko)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KR200354012Y1 (ko)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KR102296750B1 (ko) 습식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어항파티션
ITTO20090021U1 (it) Dispositivo di eliminazione di odori per apparecchi sanitari a sciacquo.
KR20100004278U (ko) 천장 조명기구용 커버
JP4695196B2 (ja) 換気扉
KR101106599B1 (ko) 접이식 도어
KR200250483Y1 (ko) 건축용 창의 기능을 겸비한 수족관
KR20010035132A (ko) 수족관이 설치된 건축용 창과 슬라이딩 도어
KR101038944B1 (ko) 공동 주택용 환기 개선 장치
KR20160107952A (ko) 다용도실 일체형 텐트
KR200216482Y1 (ko) 창문 프레임의 환기장치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KR200294772Y1 (ko) 에어컨 실외기용 케이스
CN216641858U (zh) 智能窗
CN205579747U (zh) 自浸百叶式空气净化窗
CN109059160A (zh) 一种室内通风设备
CN204510434U (zh) 一种隔音地漏
CN220645378U (zh) 一种洗浴保温屋
KR102649717B1 (ko) 환기창이 없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개선장치
KR200212730Y1 (ko) 어항을 겸한 창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